KR102272167B1 -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 - Google Patents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167B1
KR102272167B1 KR1020200122256A KR20200122256A KR102272167B1 KR 102272167 B1 KR102272167 B1 KR 102272167B1 KR 1020200122256 A KR1020200122256 A KR 1020200122256A KR 20200122256 A KR20200122256 A KR 20200122256A KR 102272167 B1 KR102272167 B1 KR 102272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feed block
block
composite film
dischar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이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승 filed Critical 이현승
Priority to KR102020012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9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two or more extruders to feed one die or nozzle
    • B29C48/495Feed-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피드블럭 및 제2피드블럭을 중첩시킨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을 구비하여 복합필름 성형장치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1토출라인 및 제2토출라인의 일단부에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두께축소경사면을 형성하여 제1원료 또는 제2원료의 토출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 { Plate-type feedblock for composite film molding devices }
본 발명은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필름 성형장치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얇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피드블럭 및 제2피드블럭을 중첩시킨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이 구비된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필름이라 함은 이종(異種) 또는 동종(同種)의 수지 등의 원료를 다수의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드블럭(feedblock)방식이나, 멀티 매니폴드(multi-manifold)방식 등을 통하여 다층의 용융된 상태로 토출시킨 후, 종방향 연신공정과, 횡방향 연신공정인 이축연신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다층의 필름을 말하는 것이다.
이렇게, 다층의 필름인 복합필름의 용도는 단일물질로 구성되는 단층필름의 단점을 보완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특성들을 복합적으로 요구하는 고기능의 필름 제품에 쓰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복합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복합필름의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문헌으로 국내등록특허 제100-0280017호가 개시되었고, 도 1은 복합필름 제조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종래의 복합필름의 제조장치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원료 등을 용융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압출기부(2)와, 상기 압출기부(2)에서 공급되는 원료가 이동하는 다수의 공급관부(3)와, 상기 공급관부(3)에서 원료를 공급받아 시트형상으로 배출시키는 압출다이부(4)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원료 등을 용융하여 인입시킨 후 상기 압출다이부(4)로 이동시키고, 상기 압출다이부(4)에서 층층이 적층시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복합필름을 제조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복합필름은 공급되는 원료의 수를 증가시켜 복합필름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공급관부(3)의 수량이 많아져 제조장치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얇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피드블럭 및 제2피드블럭을 중첩시킨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을 구비하여 복합필름 성형장치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1토출라인 및 제2토출라인의 일단부에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두께축소경사면을 형성하여 제1원료 또는 제2원료의 토출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은 제1원료 또는 제2원료가 중복적으로 적층된 복합필름을 성형하는 복합필름 성형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원료 또는 제2원료를 순차적으로 토출하는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으로서, 판형상의 제1블럭본체와, 상기 제1블럭본체의 일면에 상기 제1원료가 유입되도록 천공된 제1원료유입공과, 상기 제1원료유입공의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제1원료가 일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정해진 깊이로 요입된 제1토출라인으로 이루어진 제1피드블럭과; 상기 제1블럭본체의 일면에 밀착된 판형상의 제2블럭본체와, 상기 제2블럭본체의 일면에 상기 제2원료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원료유입공의 반대위치에 천공된 제2원료유입공과, 상기 제2원료유입공의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제2원료가 일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정해진 깊이로 요입된 제2토출라인으로 이루어진 제2피드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피드블럭과 제2피드블럭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피드블럭과 제2피드블럭은 상기 제1원료와 제2원료가 하부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일측방향으로 적층된 수직형 피드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피드블럭과 제2피드블럭의 일면에는 상기 제1토출라인과 제2토출라인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원료 또는 제2원료에 열이 전달되도록 히터봉이 안착되는 히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피드블럭과 제2피드블럭의 일면에는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토출라인 및 제2토출라인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원료 또는 제2원료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두께축소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피드블럭과 제2피드블럭은 상기 제1원료 또는 제2원료가 토출되는 방향이 일측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적층된 수평형 피드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형 피드블럭은 상기 제1원료 또는 제2원료가 2중으로 토출되도록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며 그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토출되는 상기 제1원료 또는 제2원료가 하부로 이동되며 서로 밀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두께가 작아지는 이동유도차단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얇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피드블럭 및 제2피드블럭을 중첩시킨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을 구비함으로써, 복합필름 성형장치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둘째, 제1피드블럭과 제2피드블럭을 일측방향으로 적층시킨 수직형 피드블럭을 구비함으로써, 원료의 양이 증가될 경우 복합필름 성형장치의 크기가 상부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제1피드블럭과 제2피드블럭을 상부방향으로 적층시킨 수평형 피드블럭을 구비함으로써, 원료의 양이 증가될 경우 복합필름 성형장치의 크기가 측방향으로 확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제1토출라인 및 제2토출라인의 일단부에 제1원료 또는 제2원료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두께축소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토출되는 원료를 제1토출라인 및 제2토출라인의 깊이보다 작게 토출할 수 있으며,
다섯째, 수평형 피드블럭의 내측 중심부에 하부방향으로 두께가 작아지는 이동유도차단벽을 구비함으로써, 별적으로 토출된 원료들이 하부로 이동될 경우 하단부에서 상호 밀착시키며 간편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합필름의 제조장치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 성형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 성형장치를 나타내 보인 측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및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부분 정면작용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를 확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두께축소경사면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부분 부분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수평형 피드블럭을 나타내 보인 부분 정면작용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중복적으로 적층된 복합필름(F)을 성형하는 복합필름 성형장치(M)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를 순차적으로 토출하는 플레이트형 피드블럭(1)으로서 판형상의 제1블럭본체(110)와, 상기 제1블럭본체(110)의 일면에 상기 제1원료(P1)가 유입되도록 천공된 제1원료유입공(120)과, 상기 제1원료유입공(120)의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제1원료(P1)가 일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정해진 깊이로 요입된 제1토출라인(130)으로 이루어진 제1피드블럭(100)과; 상기 제1블럭본체(110)의 일면에 밀착된 판형상의 제2블럭본체(210)와, 상기 제2블럭본체(210)의 일면에 상기 제2원료(P2)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원료유입공(120)의 반대위치에 천공된 제2원료유입공(220)과, 상기 제2원료유입공(220)의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제2원료(P2)가 일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정해진 깊이로 요입된 제2토출라인(230)으로 이루어진 제2피드블럭(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적층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형 피드블럭(1)의 외부에는 다수회 적층된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을 밀착시키는 메인플레이트(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미도시)의 하부에는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에서 토출되는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이동되도록 천공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천공부(미도시)는 상기 복합필름(F)의 두께가 작아지도록 상광하협형상 즉,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미도시)의 상부 또는 일측부에는 원료가 공급되는 압출공급부(D)가 구비되며 상기 압출공급부(D)의 통로가 상기 제1원료유입공(120) 또는 제2원료유입공(220)으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은 상기 제1원료(P1)와 제2원료(P2)가 하부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일측방향으로 적층된 수직형 피드블럭(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의 일면에는 상기 제1토출라인(130)과 제2토출라인(230)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에 열이 전달되도록 히터봉(H)이 안착되는 히터공(40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의 일면에는 볼트(B)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결합공(500)이 형성된다.
상기 제1토출라인(130) 및 제2토출라인(230)의 일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두께축소경사면(600)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토출되는 방향이 일측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적층된 수평형 피드블럭(7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형 피드블럭(700)은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2중으로 토출되도록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며 그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토출되는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하부로 이동되며 서로 밀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두께가 작아지는 이동유도차단벽(71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은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적층된 복합필름(F)을 성형하는 복합필름 성형장치(M)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를 순차적으로 토출하는 플레이트형 피드블럭(1)이다.
즉,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료(P1)가 이동하는 제1토출라인(130)이 형성된 판형상의 제1피드블럭(100)과, 상기 제2원료(P2)가 이동하는 제2토출라인(230)이 형성된 판형상의 제2피드블럭(200)을 반복적으로 중첩시킴으로써, 얇은 판형상의 제1피드블럭(100) 또는 제2피드블럭(200)의 중첩만으로 다수의 원료를 개별적으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복합필름 성형장치(M)의 상부에서 공급되는 제1원료(P1)가 상기 플레이트형 피드블럭(1)의 측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1피드블럭(100)의 제1원료유입공(120)을 통하여 제1토출라인(130)을 타고 하부방향으로 토출되고, 상기 제2원료(P2)는 상기 플레이트형 피드블럭(1)의 측방향에서 상기 제1원료유입공(120)과 반대방향에 배치된 제2원료유입공(220)을 통하여 제2토출라인(230)을 타고 하부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원료를 순차적으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피드블럭(100) 및 제2피드블럭(200)를 연속적으로 중첩시켜 제1원료(P1)와 제2원료(P2)가 반복적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다수의 원료가 중첩된 복합필름(F)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얇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피드블럭(100) 및 제2피드블럭(200)을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형 피드블럭(1)을 구성함으로써, 복합필름 성형장치(M)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은 상기 제1원료(P1)와 제2원료(P2)가 하부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일측방향으로 적층된 수직형 피드블럭(300)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복합필름 성형장치(M)의 상부방향에 대한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의 일면에는 상기 제1토출라인(130)과 제2토출라인(230)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에 열이 전달되도록 히터봉(H)이 안착되는 히터공(40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형 피드블럭(1)을 토출온도에 맞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의 일면에는 볼트(B)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결합공(50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을 면밀히 밀착시키며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토출라인(130) 및 제2토출라인(230)의 일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두께축소경사면(60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에서 토출되는 원료의 두께를 상기 두께축소경사면(600)의 마지막 높이만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토출되는 방향이 일측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적층된 수평형 피드블럭(700)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복합필름 성형장치(M)의 측방향에 대한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형 피드블럭(700)의 내측 중심부에는 하부방향으로 두께가 작아지는 이동유도차단벽(710)을 구비함으로써, 내측으로 토출되는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하부로 이동되며 서로 밀착되도록 하여 양측에서 개별적으로 토출된 원료들을 상호 접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P1 : 제1원료 P2 : 제2원료
F : 복합필름 M : 복합필름 성형장치
H : 히터봉 1 : 플레이트형 피드블럭
100 : 제1피드블럭 110 : 제1블럭본체
120 : 제1원료유입공 130 : 제1토출라인
200 : 제2피드블럭 210 : 제2블럭본체
220 : 제2원료유입공 230 : 제2토출라인
300 : 수직형 피드블럭 400 : 히터공
500 : 결합공 600 : 두께축소경사면
700 : 수평형 피드블럭 710 : 이동유도차단벽

Claims (7)

  1.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중복적으로 적층된 복합필름(F)을 성형하는 복합필름 성형장치(M)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를 순차적으로 토출하는 플레이트형 피드블럭(1)에 있어서,
    판형상의 제1블럭본체(110)와, 상기 제1블럭본체(110)의 일면에 상기 제1원료(P1)가 유입되도록 천공된 제1원료유입공(120)과, 상기 제1원료유입공(120)의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제1원료(P1)가 일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정해진 깊이로 요입된 제1토출라인(130)으로 이루어진 제1피드블럭(100)과;
    상기 제1블럭본체(110)의 일면에 밀착된 판형상의 제2블럭본체(210)와, 상기 제2블럭본체(210)의 일면에 상기 제2원료(P2)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원료유입공(120)의 반대위치에 천공된 제2원료유입공(220)과, 상기 제2원료유입공(220)의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제2원료(P2)가 일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정해진 깊이로 요입된 제2토출라인(230)으로 이루어진 제2피드블럭(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의 일면에는 상기 제1토출라인(130)과 제2토출라인(230)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에 열이 전달되도록 히터봉(H)이 안착되는 히터공(40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의 일면에는 볼트(B)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결합공(500)이 형성되며;
    상기 제1토출라인(130) 및 제2토출라인(23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두께축소경사면(60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드블럭(100)과 제2피드블럭(200)은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토출되는 방향이 일측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적층된 수평형 피드블럭(7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형 피드블럭(700)은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2중으로 토출되도록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며 그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토출되는 상기 제1원료(P1) 또는 제2원료(P2)가 하부로 이동되며 서로 밀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두께가 작아지는 이동유도차단벽(7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22256A 2020-09-22 2020-09-22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 KR102272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256A KR102272167B1 (ko) 2020-09-22 2020-09-22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256A KR102272167B1 (ko) 2020-09-22 2020-09-22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167B1 true KR102272167B1 (ko) 2021-07-01

Family

ID=7685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256A KR102272167B1 (ko) 2020-09-22 2020-09-22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1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50B1 (ko) * 2006-08-09 2008-07-21 (주)흥원피앤엠 다층 열가소성 수지제품 성형용 피드블록
KR20130018266A (ko) * 2010-03-25 2013-02-2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중 스트라이프 압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 다이 요소, 압출 다이 및 방법
KR20130105788A (ko) * 2010-05-07 2013-09-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층 중합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피드블록
KR20170072285A (ko) * 2014-10-23 2017-06-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심-스택 발포 다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50B1 (ko) * 2006-08-09 2008-07-21 (주)흥원피앤엠 다층 열가소성 수지제품 성형용 피드블록
KR20130018266A (ko) * 2010-03-25 2013-02-2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중 스트라이프 압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 다이 요소, 압출 다이 및 방법
KR20130105788A (ko) * 2010-05-07 2013-09-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층 중합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피드블록
KR20170072285A (ko) * 2014-10-23 2017-06-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심-스택 발포 다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779B1 (ko) 동시 압출 장치
US4824618A (en) Coextrusion blowmolding process
JPH0717027B2 (ja) 多層パリソン成形方法及び装置
CN101588905B (zh) 生产多层物品的方法
US6409494B1 (en) Device for the extrusion of multi-layer plastic films, boards or tubes
TWI261023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lown multi-layer film
JPH07290554A (ja) 多層ラミネートフィルム成形方法及び装置
KR20070003959A (ko) 멀티 레이어 도즈
KR102272167B1 (ko) 복합필름 성형장치용 플레이트형 피드블럭
CN103379987A (zh) 预成形坯的注塑成形装置
US7097441B2 (en) Annular co-extrusion die
JP4224842B2 (ja) ブロー成形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多層押出し成形装置
WO2018074075A1 (ja) フィラメント3次元結合体
JP5492385B2 (ja) シート成形用ダイスおよびシート成形方法
JPH11309770A (ja) 多層押出成形方法および装置
KR100847450B1 (ko) 다층 열가소성 수지제품 성형용 피드블록
KR101222548B1 (ko)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217097B1 (ko) 복합필름 성형용 원료중첩장치
CN210415601U (zh) 一种asa/pvc多层瓦共挤生产线
CN107775927A (zh) 多层汇流槽式共挤流道异型材挤出模具模头
JP3552119B2 (ja) 合成樹脂製中空パネルおよび合成樹脂製中空パネル押出し成形用金型
KR100280017B1 (ko) 공압출필름의제조장치
JP3665318B2 (ja) 白滝製造装置および白滝の製造方法
JP4504146B2 (ja) プラスチックボード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7241897A (ja) 多層フィルムの押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