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759B1 -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759B1
KR102271759B1 KR1020200004064A KR20200004064A KR102271759B1 KR 102271759 B1 KR102271759 B1 KR 102271759B1 KR 1020200004064 A KR1020200004064 A KR 1020200004064A KR 20200004064 A KR20200004064 A KR 20200004064A KR 102271759 B1 KR102271759 B1 KR 102271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b plate
bar
heating
flan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철
성우제
홍태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4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23K37/0217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fixed to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 플레이트에 웹 플레이트를 용접시켜 T-바를 제작하기 위한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웹 플레이트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시키기 위한 용접부; 및 상기 용접부와 연결되고 상기 웹 플레이트 상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T-BAR WELDING CARRIAGE FOR SHIP AND T-BAR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 T-바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사용되는 T-바 제작을 위한 용접 작업 시 용접 대상물의 용접으로 인한 굽힘 변형을 최소화하고, 곡직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망간강과 스테인레스 스틸은 오스테나이트 계열 강재로써 극저온(-163℃)에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LNG 연료 선박(LNG Fueled ship)의 연료 탱크 구조에 적용된다. 그러나, 구조물의 제작성은 탄소강에 비해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고망간강과 스테인레스 스틸은 탄소강에 비해 열확산계수가 작고 기계적인 물성인 열팽창계수가 크므로 동일 입열 시 용접 변형(굽힘)이 2배 내지 3배 발생하게 된다. 즉, 열원에 대한 용접 변형 특성이 탄소강에 비해 크고 예민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주변 구속이 약한 소부재 단계(예를 들어, T-바)에서 용접 변형이 크게 발생한다.
탄소강 T-바는 탠덤 2극(Tandem 2 pole) 양면 용접으로 매우 빠른 용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자동화되었으나, 고망간강과 스테인레스 스틸의 재료적 특성을 고려한 자동화 용접 설비가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종래의 고망간강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마련되는 T-바의 웹 플레이트(web plate)와 플랜지 플레이트(flange plate)의 용접은 반 자동 용접(FCAW)으로 T-바의 양면에서 이루어지며, T-바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용접 캐리지는 최소 2명의 작업자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이러한 종래의 용접 방법은 T-바의 양측에서의 불균일한 열원 작용으로 인해 길이 방향 종굽힘 외 다른 방향으로 추가적인 굽힘 변형(폭 방향 횡굽힘)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의 연료 탱크 구조에 적용되는 T-바의 경우 그 길이는 10m 정도로서, 양측 필렛(fillet) 용접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 폭 방향 횡굽힘 현상이 크게 발생할 수 있으며, 양측 용접 캐리지의 속도 차이로 용접부위에 기공이 발생하는 등 용접 작업이 까다로워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용접 작업 이후에는 용접으로 인한 굽힘 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곡직 작업이 동반되어야 하는데, 폭 방향 횡굽힘량이 큰 경우에는 기계 곡직으로는 교정이 어려워 작업자는 별도의 가열 토치를 이용하여 웹 플레이트의 상부 양측면을 동시 가열한다.
수동으로 곡직 작업을 하게되는 경우 불균일한 열원 작용으로 인해 종굽힘 외 다른 방향으로 추가적인 굽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가열 곡직 작업을 1회 수행 시 용접 작업 시간만큼의 시간이 소모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열 곡직 작업은 복수회 수행되므로 그로 인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 종굽힘량이 큰 경우에도 기계 곡직 횟수가 증가하여 작업시간 증가를 초래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9230호(한국가스공사) 2008. 11. 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박에 사용되는 T-바 제작을 위한 용접 작업 시 용접 대상물의 용접 변형을 최소화하고, 용접 변형으로 인한 곡직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랜지 플레이트에 웹 플레이트를 용접시켜 T-바를 제작하기 위한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로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웹 플레이트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시키기 위한 용접부; 및 상기 용접부와 연결되고 상기 웹 플레이트 상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용접부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웹 플레이트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시키는 용접 토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를 가열시키는 가열 토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토치에는 복수의 가스 노즐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노즐은 상기 웹 플레이트 상단면을 직접 가열하기 위한 탑 노즐부; 및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 양측면을 가열시키는 사이드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롤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 저면을 가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부와 상기 가열부 각각에는,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단면에 접촉되어 상기 롤러부로 인한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 방향 가압력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 및 상기 웹 플레이트는 고망간강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저온용강으로 마련되고, 상기 T-바는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의 연료 탱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랜지 플레이트에 웹 플레이트를 용접시켜 T-바를 제작하기 위한 선박용 T-바의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웹 플레이트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시키기 위한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와 연결되고 상기 웹 플레이트 상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를 상기 이송부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웹 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웹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용접부를 통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웹 플레이트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부를 통해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T-바의 제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를 가열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단면 또는 상기 웹 플레이트 상단면과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 양측면을 동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에 마련된 복수의 롤러부를 통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접부와 상기 가열부 각각에 설치된 지지부를 통해 상기 롤러부의 가압력으로 인한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 방향 가압력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용접부와 연결되어 웹 플레이트 상부를 가열하는 가열부에 의해, 용접과 동시에 웹 플레이트 상부를 가열하여 1회 곡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열부는 웹 플레이트의 상단면을 직접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용접으로 인한 굽힘 변형에 상반되는 굽힘력을 발생시켜 길이 방향 종굽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웹 플레이트의 상단면뿐만 아니라 웹 플레이트의 상부 양측면을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곡직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굽힘력이 부족할 경우, 이송부에 마련된 복수의 롤러부를 통해 상부 방향으로 플랜지 플레이트의 저면을 가압시킴으로써, 굽힘력을 상승시켜 길이 방향 종굽힘 변형량이 감소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부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부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100)는, 플랜지 플레이트(11)에 웹 플레이트(12)를 용접시켜 T-바(10)를 제작하기 위한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100)로서, 웹 플레이트(12)의 상부에서 플랜지 플레이트(11)와 웹 플레이트(12)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하는 용접부(110)와, 용접부(110)와 연결되어 웹 플레이트(12)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130)와, 플랜지 플레이트(11)의 하부에 설치되고 플랜지 플레이트(11)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5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 플레이트(11) 및 웹 플레이트(12)는 고망간강(HMn)이나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랜지 플레이트(11)와 웹 플레이트(12)를 용접하여 제작되는 T-바(10)는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의 연료 탱크에 적용될 수 있다.
용접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플레이트(11)와 웹 플레이트(12)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몸체부(111)와, 제1 몸체부(111)에 마련되어 플랜지 플레이트(11)와 웹 플레이트(12)가 접하는 용역을 용접시키는 용접 토치(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몸체부(110)는 안정적인 용접작업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프레임(미도시)을 통해 위치 고정 또는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용접부(110)의 용접 토치(113)는 한 쌍이 마련되어 플랜지 플레이트(11)와 웹 플레이트(12)가 접하는 영역 양측에서 동시에 용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100)는 T-바 양측 용접 부위에서 동일한 속도로 용접이 가능하여, T-바 양측 용접부위에서 용접 속도차이로 인한 기공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100)는 용접부(1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한 쌍의 용접 토치(113) 중 어느 하나의 용접 토치(113)의 작동이 멈추면 나머지 용접 토치(113)의 작동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플랜지 플레이트(11)의 이송을 중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양쪽 필렛(fillet) 용접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고 폭 방향 횡굽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용접부(110)는 제1 몸체부(111)의 일측에 용접 토치(11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부재(미부호)를 설치하고, 용접 토치(113)는 높이 조절 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용접 토치(113)는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제1 몸체부(111)에 결합되고, 그 단부는 플랜지 플레이트(11)와 웹 플레이트(12)가 접하는 영역, 즉, 플랜지 플레이트(11)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해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100)는, 제1 몸체부(111)에 한 쌍의 용접 토치(113)가 일정 높이 및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 고정되어 용접 작업 시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가열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부(110)에 연결되어 웹 플레이트(12)를 가열함으로써 T-바(10)의 길이 방향 종굽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가열부(130)는 용접부의 후방(도 1에서 진행방향 기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웹 플레이트(12)가 플랜지 플레이트(11)와 접하는 영역을 웹 플레이트(12)의 일측 단부라고 할 때, 가열부(130)는 웹 플레이트(12)의 타측 단부를 가열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용접으로 인한 길이 방향 종굽힘량을 감쇠시키기 위한 것으로, 용접으로 인해 발생되는 종굽힘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굽힘력을 발생시키면서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열부(130)는 제1 몸체부(111)와 연결되는 제2 몸체부(131)와, 제2 몸체부(131)에 마련되어 웹 플레이트(12)의 상부를 가열시키는 가열 토치(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부(131)는 용접부(110)의 후방에서 별도의 연결대(미부호)에 의해 제1 몸체부(111)와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프레임(미도시)을 통해 제1 몸체부(111)와 제2 몸체부(131) 각각을 독립적으로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가열 토치(133)에는 복수의 가스 노즐이 이격 마련될 수 있으며, 웹 플레이트(12)의 상단면을 직접 가열하는 탑 노즐부(133a)와, 웹 플레이트(12) 상부 양측면을 가열시키는 사이드 노즐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100)는, 탑 노즐부(133a)를 통해 웹 플레이트(12)의 상단면을 직접적으로 가열하여 용접으로 인한 굽힘 변형과 반대 반향의 굽힘력(이하, ‘카운터 굽힘력’이라 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 종굽힘을 감쇠시키기 위한 카운터 굽힘력이 부족한 경우, 사이드 노즐부(133b)를 통해 웹 플레이트(12)의 상부 양측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카운터 굽힘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웹 플레이트(12)의 상부 양측면을 가열하는 것은 웹 플레이트(12)의 상단면을 가열하는 것보다 효과는 작을 수 있으나, 웹 플레이트(12)의 상단면을 가열할 때 웹 플레이트(12)의 양측면을 함께 가열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곡직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이송부(150)는 플랜지 플레이트(11)의 하부에 설치되어 플랜지 플레이트(11)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롤러부(1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롤러부(151) 중 적어도 하나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플랜지 플레이트(11)의 저면을 가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롤러부(151)는 웹 플레이트(12)의 상부 가열로 인한 카운터 굽힘력과 같은 방향으로 플랜지 플레이트(11)를 가압하여 카운터 굽힘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용접부(110)와 가열부(130) 각각에는 웹 플레이트(12)의 상단면에 접촉되어 플랜지 플레이트(11)의 가압으로 인해 웹 플레이트(12)에 전달되는 상부 방향 가압력을 지지하는 지지부(115, 13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접부(110)는 제1 몸체부(111)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가열부(130)는 제2 몸체부(131)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2 지지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5) 및 제2 지지부(135)는 진행방향에 대한 웹 플레이트(12)의 이동을 보조적으로 가이드하는 롤러 타입(roller type)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송부(150)의 롤러부(151)와 유사하게, 웹 플레이트(12)의 상단면을 가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100)는, 용접부(110)와 연결되어 웹 플레이트(12) 상부를 가열하는 가열부(130)에 의해, 용접과 동시에 웹 플레이트(12) 상부를 가열하여 1회 곡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열부(130)는 웹 플레이트(12)의 상단면을 직접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용접으로 인한 굽힘 변형에 상반되는 굽힘력을 발생시켜 길이 방향 종굽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웹 플레이트(12)의 상단면뿐만 아니라 웹 플레이트(12)의 상부 양측면을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곡직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굽힘력이 부족할 경우, 이송부(150)에 마련된 복수의 롤러부(151)를 통해 상부 방향으로 플랜지 플레이트(11)의 저면을 가압시킴으로써, 굽힘력을 상승시켜 길이 방향 종굽힘 변형량이 감소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100)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선박용 T-바 제작 방법은, 플랜지 플레이트(11)에 웹 플레이트(12)를 용접시켜 T-바를 제작하기 위한 선박용 T-바의 제작 방법으로서,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100)를 준비하는 단계와, 플랜지 플레이트(11)를 이송부(150)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플랜지 플레이트(11)의 상부에 웹 플레이트(12)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이송부(150)를 작동시켜 플랜지 플레이트(11)와 웹 플레이트(12)를 이송시키는 단계와, 용접부(110)를 통해 플랜지 플레이트(11)와 웹 플레이트(12)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하는 단계와, 가열부(130)를 통해 웹 플레이트(12)의 상부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웹 플레이트(12)의 상부를 가열하는 단계에서, 가열부(130)는 웹 플레이트(12)의 상단면 또는 웹 플레이트(12)의 상단면과 함께 웹 플레이트(12)의 상부 양측면을 동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T-바 제작 방법은, 이송부(150)에 마련된 복수의 롤러부(151)를 통해 플랜지 플레이트(11)의 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플랜지 플레이트(11)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플레이트(11)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용접부(10)와 가열부(130) 각각에 설치된 지지부(115, 135)를 통해 상기 롤러부(151)로 인한 웹 플레이트(12)의 상부 방향 가압력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용접부와 가열부에 의해서 용접과 가열이 같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이송부에 마련된 복수의 롤러부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져 용접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곡직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곡직에 불리한 폭 방향 횡굽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곡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과 가열이 동시에 이루어져 용접과 동시에 1회의 곡직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나아가, 용접 중에 가열과 외력을 사용하여 용접 굽힘력에 상반되는 굽힘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최종 종굽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용접 캐리지
110 : 용접부
111 : 제1 몸체부
113 : 용접 토치
115 : 제1 지지부
130 : 가열부
131 : 제2 몸체부
133 : 가열 토치
135 : 제2 지지부
150 : 이송부
151 : 롤러부

Claims (11)

  1. 플랜지 플레이트에 웹 플레이트를 용접시켜 T-바를 제작하기 위한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로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웹 플레이트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시키기 위한 용접부; 및
    상기 용접부와 연결되고 상기 웹 플레이트 상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를 가열시키는 가열 토치를 포함하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토치에는 복수의 가스 노즐이 이격 마련되고,
    상기 가스 노즐은,
    상기 웹 플레이트 상단면을 직접 가열하기 위한 탑 노즐부; 및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 양측면을 가열시키는 사이드 노즐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롤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 저면을 가압시키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와 상기 가열부 각각에는,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단면에 접촉되어 상기 롤러부로 인한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 방향 가압력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웹 플레이트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시키는 용접 토치를 포함하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 및 상기 웹 플레이트는 고망간강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저온용강으로 마련되고,
    상기 T-바는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의 연료 탱크에 적용되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8. 플랜지 플레이트에 웹 플레이트를 용접시켜 T-바를 제작하기 위한 선박용 T-바의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웹 플레이트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시키기 위한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와 연결되고 상기 웹 플레이트 상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를 상기 이송부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웹 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웹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용접부를 통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웹 플레이트가 접하는 영역을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부를 통해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T-바의 제작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를 가열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단면 또는 상기 웹 플레이트 상단면과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 양측면을 동시 가열하는 선박용 T-바의 제작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마련된 복수의 롤러부를 통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T-바의 제작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접부와 상기 가열부 각각에 설치된 지지부를 통해 상기 롤러부의 가압력으로 인한 상기 웹 플레이트의 상부 방향 가압력을 지지하는 선박용 T-바의 제작 방법.
KR1020200004064A 2020-01-13 2020-01-13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 KR102271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064A KR102271759B1 (ko) 2020-01-13 2020-01-13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064A KR102271759B1 (ko) 2020-01-13 2020-01-13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759B1 true KR102271759B1 (ko) 2021-07-01

Family

ID=7685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064A KR102271759B1 (ko) 2020-01-13 2020-01-13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7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224A (ko) * 1996-12-18 1998-10-07 가나이쯔도무 용접방법 및 용접장치
KR100869230B1 (ko) 2006-08-11 2008-11-18 한국가스공사 Lng선박의 탱크의 밀봉벽 설치를 위한 예비용접방법과lng선박의 탱크제조 방법 및 예비 조립체
KR20090018250A (ko) * 2007-08-17 2009-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KR20100119648A (ko) * 2009-05-01 2010-11-10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곡직 가열토오치 지지구
KR20120133820A (ko) * 2011-06-01 2012-12-11 기 중 김 용접 예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224A (ko) * 1996-12-18 1998-10-07 가나이쯔도무 용접방법 및 용접장치
KR100869230B1 (ko) 2006-08-11 2008-11-18 한국가스공사 Lng선박의 탱크의 밀봉벽 설치를 위한 예비용접방법과lng선박의 탱크제조 방법 및 예비 조립체
KR20090018250A (ko) * 2007-08-17 2009-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KR20100119648A (ko) * 2009-05-01 2010-11-10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곡직 가열토오치 지지구
KR20120133820A (ko) * 2011-06-01 2012-12-11 기 중 김 용접 예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0872B (zh) 钢板的激光焊接方法和激光焊接装置
KR102271759B1 (ko)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
JP5602206B2 (ja) 溶接型鋼の歪矯正装置
US6127646A (en) Apparatus for butting two workpieces together for a welding operation
CN106425018A (zh) LNG低温储罐9%Ni钢对接焊道的焊接方法
KR101769317B1 (ko) 해양구조물용 문자마킹 자동용접시스템
JP3521279B2 (ja) ビルトアップロンジ製作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5030014A (ja) レーザビーム溶接機
KR102289311B1 (ko)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
JP2023511698A (ja) 溶接機
US1922249A (en) Arc welding apparatus
KR20130003682A (ko) 조관 방법 및 성형기
KR102502589B1 (ko) 생산성 향상을 위해 좌굴변형을 최소화하는 자동용접장치
JP6418224B2 (ja) スポット溶接物の製造方法およびスポット溶接電極
JP2020171929A (ja) ワーク固定装置及び金属加工システム
JPH0775786B2 (ja) 立体薄板構造体の溶接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142920A (ja) 溶接構造ビームの自動製作装置
CN216636919U (zh) 拉伸膜包装机
US3729798A (en) Steel section handling mechanism
KR102482694B1 (ko)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JPH11314116A (ja) 溶接型鋼の歪矯正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0323795A (ja) 鋼板連続ラインにおける溶接機のクランプ装置
JPH0557477A (ja) 突合わせ溶接機の後加熱装置
CN218698104U (zh) 用于大型圆柱状工件的装配热处理和转运装置
KR20240003319A (ko) 용접사 테스트를 위한 멤브레인 피스 성형용 벤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