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250A -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250A
KR20090018250A KR1020070082547A KR20070082547A KR20090018250A KR 20090018250 A KR20090018250 A KR 20090018250A KR 1020070082547 A KR1020070082547 A KR 1020070082547A KR 20070082547 A KR20070082547 A KR 20070082547A KR 20090018250 A KR20090018250 A KR 20090018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iron plate
guide
torch
preventing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541B1 (ko
Inventor
전미리
전완열
이상헌
김무석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5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8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64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213Prelimina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22Auxiliary equipment, e.g. backing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누설 발생시 자동 소화 기능을 발휘하여 뛰어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정, 역 진행방향을 따라 직선 주행이 가능하고, 한 쌍의 토치부를 한 쪽 방향으로 전후 배치하여 철판의 변형 방지에 사용할 충분한 열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는 부재(1)의 조립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부재를 미리 가열하는 것으로서, 부재를 기반으로 주행하는 모터 구동식 몸체부(110)와, 이런 몸체부에 설치된 다관절 구조의 회동식 홀더부(120)와, 이런 홀더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몸체부의 한 쪽 방향에서 전후 배치된 한 쌍의 토치부(130)와,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41)를 이격되고 경사지게 배치시켜 상기 부재의 가이드기준면(1a)을 상기 몸체부가 추종하도록 하는 가이드부(140)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부재의 끝단 인식, 가스누설 감지, 가스공급 차단 기능을 구현하는 센서부(150)를 포함한다.
몸체부, 홀더부, 토치부, 가이드부, 센서부

Description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HEA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STEEL PLATES}
본 발명은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건조시 플레이트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플레이트와 내구재를 용접하여 소조립을 형성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응력에 의해 플레이트의 끝 부분에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소조립 공정시 발생된 변형은 다음 단계의 중조립, 대조립 공정을 거치면서 더욱 더 커지는 특성을 갖는다. 이런 변형을 바로잡기 위해서, 중조립과 대조립 공정에서 변형된 부재 또는 철판의 이면(back surface)에 일명 곡직 작업과 같은 히팅 작업을 한다.
이때 작업시에는 오버헤드 작업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작업 피로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히팅 작업은 산소와 에틸렌 가스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토치에서 열을 발생시키므로 가스누설 발생시 장치 폭발 가능성이 있어 토치의 안전성 확보가 상당히 중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 장치는 안전 장치가 미흡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구성되어 작업자가 작업 전에 레일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레일을 사용하지 않는 다른 일반적인 히팅 장치는 작업시에 장비가 직선으로 주행하게 하기 위해서 장비가 주행하고 있을 때 작업자가 장비를 움직여 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수평으로 설치된 철판의 변형을 보정하기 위해 철판의 면에 밀착되어 이동하는 주행대차의 구성을 구현한 것으로서, 작업지점 가열 및 냉각 작업기구의 구성을 주행대차 상에 탑재하므로써 자동화된 장치에 의한 곡직작업수행이 되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 기술의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는 본체의 각 모서리 지점에 각각 주행을 위한 휠(11) 및 그 휠(11)을 회전시키는 주행용 모터(16) 및 베벨기어, 벨트, 풀리, 샤프트(15) 등의 동력전달기구가 설치된 베이스(12)를 갖는 주행기구부(10)와; 본체의 바닥면과 작업면의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본체에 설치되어 본체가 작업면에 밀착 이동되도록 한 밀착기구부(20)와; 상기 본체 상에 탑재되고, 외부에서 원료를 공급받는 토치와 냉각수 분사노즐이 본체의 양측으로 구비된 가열냉각기구부(50)가 설치되어 작업지점을 가열, 냉각하고, 주행기구부(10)의 사행이 발생될 때 양측의 가열냉각기구부(50)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모 터(33), 래크, 피니언 등을 구비한 중심이동기구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는 일단 용접 등을 통해 소조립이 된 후 변형이 발생된 철판에 맞게 소조립 후 공정용으로 제작된 것이다.
예컨대, 종래 기술의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는 후 공정에 해당하는 중조립 또는 대조립 공정에서 히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 미리 철판을 가열하여 사전에 변형을 예방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큰 열응력을 반복적으로 발생시킬 수 없고, 장치의 주행시 사행이 발생되며, 별도의 가이드 수단이나 자동 정지 수단이 없기에, 소조립 전 변형 발생 예방을 위해 미리 철판을 가열하는 장치로서 사용되기 어렵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는 일단 사행이 발생될 경우 중심이동기구부를 조작하여 사행을 조정할 뿐, 직선 주행이 매우 어려운 구성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는 운반, 이동용 손잡이의 부재로 인하여 장치 운반, 취부, 관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는 양측에 토치가 분산되어 있으므로 소조립 형성 시 발생되는 변형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정도의 집중적인 가열 작업이 주행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는 작업 대상인 부재의 끝단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의 부재로 인하여, 적어도 작업 완료후 정지에 대한 자동화가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는 안전 장치의 불비로 인하여 작동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떨어지고, 토치에서 역화가 발생되거나 가스누설 발생시 등의 안전 사고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심한 경우 폭발될 위험성까지 갖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는 모터를 제외한 기타 베벨기어, 벨트, 풀리 등의 복잡한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하여 장치 구성이 매우 복잡하며, 특히 동력전달장치의 최종단에 연결된 휠이 밖으로 노출되어 있어, 가열 열기 또는 화염에 의해 보호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 구동식 몸체부와, 회동식 홀더부와, 한 쌍의 토치부와, 틸팅 및 간격 조정이 가능한 가이드부와, 가스 안전을 위한 센서부를 구비하여, 가스누설 발생시 자동 소화 기능을 발휘하여 뛰어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정, 역 진행방향을 따라 직선 주행이 가능하고, 한 쌍의 토치부를 한 쪽 방향으로 전후 배치하여 철판의 변형 방지에 사용할 충분한 열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부재의 조립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재를 미리 가열하는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재를 기반으로 주행하는 모터 구동식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다관절 구조의 회동식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몸체부의 한 쪽 방향에서 전후 배치된 한 쌍의 토치부;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를 이격되고 경사지게 배치시켜 상기 부재의 가이드기준면을 상기 몸체부가 추종하도록 하는 가이드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부재의 끝단 인식, 가스누설 감지, 가스공급 차단 기능을 구현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가스 안전을 위한 장치 구성과, 몸체부를 가열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는 소, 중, 대조립 공정 전에 미리 철판 등의 부재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한 쌍의 토치부를 모터 구동식 몸체부의 한 쪽 방향으로 전후 배치하여 장치 주행시 동일 작업 선상에서 반복적으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충분한 열량을 발생시켜 철판의 변형을 사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장치의 사행이 발생되지 않고, 가이드부의 틸트 조정에 따라 정, 역 진행방향에 따라 각각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는 정, 역 진행방향에 맞게 회동 조작이 가능한 회동식 홀더부를 구비하여 토치부 배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운반, 관리, 취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는 보호쉴드 안쪽 공간에 구동바퀴(driving wheel) 또는 아이들바퀴(idle wheel)가 위치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호쉴드에 의해 몸체부가 가열 환경으로부터 보호됨에 따라, 토치부로부터 발생된 열이 장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시켜 열에 대한 장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는 작업 대상인 부재의 끝단을 인식할 수 있는 저면 근접센서를 포함한 센서부를 구성함에 따라 적어도 작업 완료 후 자동 정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는 가스누설을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밸브로 산소 또는 에틸렌 등의 가스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센서부를 구성함에 따라 자동 소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폭발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는 기어 직결식 모터 구동식의 몸체부를 제공하여 몸체부를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제어회로를 갖는 전장박스를 몸체부 내부에 탑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는 주지의 오토캐리지(auto carriage)와 같은 대차 구조를 갖는 실시예(100)로서 이해된다.
본 실시예(10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가스누설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실시예(100)는 산소와 에틸렌과 같은 가스를 해당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가열 가스 공급 장치(도시 안됨)와 함께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100)는 전진과 같은 정 진행[예 : 우행(右行) 기준], 또는 후진과 같은 역 진행[예 : 좌행(左行) 기준] 도중에 산소, 에틸렌 등의 가스에 의한 화염을 분사하여, 철판 또는 유사 내지 등가 부재의 이면(back surface)을 미리 가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100)는 모터 구동식 몸체부(110)와, 회동식 홀더부(120)와, 한 쌍의 토치부(130)와, 틸팅 및 간격 조정이 가능한 가이드부(140)와, 가스 안전을 위한 센서부(150)를 갖는다.
몸체부(110)는 상기 회동식 홀더부(120), 토치부(130), 가이드부(140), 센서부(150) 등과 같은 구성품을 탑재시키기 위한 평판 형상의 바닥프레임(111)과, 상기 바닥프레임(111)의 전방측 상부에 설치되고 모터엔코더, 기어박스 등을 구비한 주행모터조립체와, 이런 주행모터조립체의 출력샤프트에 기어 방식으로 직결된 한 쌍의 대형 구동바퀴(112)와, 바닥프레임(111) 후방 양측에서 각각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소형 아이들바퀴(113)를 갖는다.
몸체부(110)는 그의 바닥프레임(111) 하부에 오버헤드 작업을 위한 적어도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밀착용 마그네트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10)는 그의 바닥프레임(111)의 네 측면 모두에서 사방으로 유한한 길이만큼 연장 설치된 서포트용 어댑터(114)와; 상기 어댑터(114) 각각의 끝단을 기반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서 몸체부(110)의 네 측면에 배치된 판상의 보호쉴드(115)를 갖는다.
이런 보호쉴드(115)의 안쪽으로 바닥프레임(111)의 후방측 상부에는 전장박스(116)가 탑재된다.
전장박스(116)는 일종의 본 실시예(100)용 컨트롤러로서, 주지의 오토캐리지 등에서 사용한 방식으로서 복수개의 저면 근접센서(151), 주행모터조립체 등을 이용한 주행 제어(예 : 전진, 후진, 정지) 및 자동 정지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제어회로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전장박스(116) 내의 제어회로는 몸체부(110)에 실장된 복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152), 가스누설 감지기(153) 등과 연계하여 자동 소화 기능, 전자 회로적으로 구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밸브(152)는 산소 또는 에틸렌 가스가 공급되는 공급호스라인 상에 연결되어 있다.
전장박스(116)는 그의 제반적인 제어회로에 접속된 컨트롤패널, 시작 버튼, 작동 표시등, 전원 온오프(on/off) 스위치, 전원 연결시 불이 켜지고 몸체부(110)의 분당 이송거리를 표시하는 리드램프, 작동 선택 스위치(예 : 수동 정지 또는 자 동 정지), 주행방향 선택 스위치(예 : 전진 또는 후진 선택), 주행 속도 조절 스위치 등과 같은 각종 전자 제어 수단을 갖는다.
몸체부(110)는 그의 바닥프레임(111)의 전방 측면 또는 후방 측면에서 각각 상향으로 절곡 설치되어 있되, 보호쉴드(115)의 안쪽 공간에 배치된 링형 손잡이(117)를 부착하고 있어서, 장치 운반, 취부, 관리가 용이하다.
홀더부(120)는 다관절 서포트 형식으로 구성된다.
홀더부(120)는 상기 바닥프레임(111)의 중앙에서 세워지고 상단부에 제1회동(r1) 조정용 클램프를 구비한 중앙서포트(121)와, 상기 제1회동(r1) 조정용 클램프에서 체결되고 수평 방향으로 바 체결 구멍이 형성된 제1바홀더(122)와, 상기 제1바홀더(122)의 바 체결 구멍에 결합된 제1바(123)와, 상기 제1바(123)의 끝단에 결합되고 제2회동(r2) 조정용 클램프를 구비한 제2바홀더(124)와, 상기 제2회동(r2) 조정용 클램프에서 체결되고 수평 방향으로 바 체결 구멍이 형성된 제3바홀더(125)와, 상기 제3바홀더(125)의 바 체결 구멍에 결합된 제2바(126)와, 상기 제2바의 양쪽 끝단에 각각 체결된 토치홀더(127)를 갖고, 각각의 토치홀더(127)에 토치부(130)를 거치하고 있다.
여기서, 제1회동(r1) 조정용 클램프 또는 제2회동(r2) 조정용 클램프 등은 릴리스 상태에서 대상물인 제1바(123) 또는 제2바(126)을 360도 회전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런 세부 구성적 결합관계의 홀더부(120)는 두 개 또는 한 쌍의 토치부(130)를 한 쪽 방향으로 전후 배치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복수개의 토치부(130)는 용접에 의한 소조립 공정시 발생되는 변형을 사전 예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열량을 낼 수 있다(도 3참조).
또한, 한 쪽 방향에서 전후 배치된 토치부(130)는 몸체부(110)를 기반으로, 작업자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조작에 의해 제1회동(r1) 및 제2회동(r2)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결국 몸체부(110)의 방향을 바꿔 주지 않고도, 제1회동(r1) 및 제2회동(r2) 조작을 이용하여, 단순히 토치부(130)만을 한 쪽 방향에서 다른 쪽 방향으로 가열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도 4참조).
토치부(130)는 가스, 에틸렌 등의 가스를 화염 형태로 분사하는 토치본체(131)와, 토치본체(131)에 탑재된 주지의 역화 방지기(132)와, 토치본체(131)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3)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40)는 철판 또는 등가물에 해당하는 부재(1)의 측면과 같은 현물을 추적하면서 가이드될 수 있도록 몸체부(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부(140)는 상기 부재(1)를 따라 구름 작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141)와, 가이드롤러(141)를 양단에 결합한 제1가이드아암(142)과, 제1가이드아암(142)의 중앙에 결합된 클램핑레버(143)와, 상기 클램핑레버(143)의 조작에 따라 제1가이드아암(142)의 중앙에서 틸트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가이드아암(144)과, 상기 제2가이드아암(144)을 바닥프레임(111)의 폭방향으로 몸체부(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아암체결부(145)를 갖는다.
각각의 아암체결부(145)는 제2가이드아암(144)의 연장 길이 또는 간격을 조정한 후, 제2가이드아암(144)을 바닥프레임(111)에 임시 록킹 또는 릴리싱시키도록 바닥프레임(111)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연장 길이 조정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체결부(145)에 의해 제2가이드아암(144)의 돌출 길이는 조정되고, 이는 가이드롤러(141)와 몸체부(110)간 이격 거리, 즉 간격의 조정으로 이해된다.
제2가이드아암(144)의 간격 조정은 토치부(130)와 몸체부(110)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멀리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과열로 인한 전장박스(116) 등과 같은 내장품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가이드롤러(141) 등을 이용하여 정, 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에 상관없이 몸체부(110)가 직선 주행할 수 있게 가이드 한다.
센서부(150)는 몸체부(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부착된 저면 근접센서(151)를 이용하여 부재(1)의 끝단을 인식하여 주행이 자동 종료됨과 함께, 솔레노이드밸브(152)를 폐쇄 작동시켜 가스공급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작업자로 하여금 가열 작업을 지켜볼 필요 없게 해준다.
복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152), 가스누설 감지기(153)는 센서부(150)의 구성으로 이해된다.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152)는 가열 가스 공급 장치와 토치부(130)의 사이에서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각각의 가스(예 : 산호, 에틸렌)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솔레노이드밸브(152)의 가스 공급 또는 차단은 저면 근접센서(151)에 의한 부재(1)의 끝단 인식시 또는 가스누설 감지기(153)에 의한 가스누설 감지시, 앞서 설명한 전장박스(116) 내의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즉, 본 실시예(100)가 부재(1)를 따라 이동하는 도중 이탈 사고 또는 비정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고, 이를 저면 근접센서(151)가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회로 및 솔레노이드밸브(152)에 의해 가스 공급이 차단되어 자동으로 소화가 이루어진다.
같은 원리로서 가스누설 감지기(153)는 미리 설정된 감지 범위 내에서 가스량을 검출하는 주지의 방식을 이용하여 가스누설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152)를 작동시키도록 함에 따라 자동 소화 기능이 적시에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몸체부(110)의 직선 주행을 위해 가이드부(140)의 클램핑레버(143)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조작에 의해, 제1가이드아암(142)을 기준으로 제2가이드아암(144)이 틸트각(t)을 갖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서, 결국 부재(1)의 가이드기준면(1a)의 연장 방향과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이 평행이 아닌 예각을 이루도록 세팅한다.
이후, 작업자는 몸체부(110) 및 토치부(130)를 작동시켜 주행을 수행시킬 경우, 몸체부(110)가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41)를 갖는 가이드부(140)를 통해 직선 주행 또는 세팅한 각도를 가지면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더부(120)의 회동 조작에 따라 몸체부(110)의 전, 후, 좌, 우 위치에서 부재(1)를 안전하게 가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실시예 110 : 몸체부
120 : 홀더부 130 : 토치부
140 : 가이드부 150 : 센서부

Claims (8)

  1. 부재의 조립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재를 미리 가열하는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재를 기반으로 주행하는 모터 구동식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다관절 구조의 회동식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몸체부의 한 쪽 방향에서 전후 배치된 한 쌍의 토치부;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를 이격되고 경사지게 배치시켜 상기 부재의 가이드기준면을 상기 몸체부가 추종하도록 하는 가이드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재의 끝단 인식, 가스누설 감지, 가스공급 차단 기능을 구현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평판 형상의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방측 상부에 설치되고 모터엔코더, 기어박스를 구비한 주행모터조립체;
    상기 주행모터조립체의 출력샤프트에 기어 방식으로 직결된 한 쌍의 구동바퀴(driving wheel);
    상기 바닥프레임 후방 양측에서 설치된 아이들바퀴(idle whee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에는 오버헤드 작업을 위한 적어도 한 개의 밀착용 마그네트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바닥프레임의 네 측면 모두에서 사방으로 유한한 길이만큼 연장 설치된 서포트용 어댑터;
    상기 어댑터 각각의 끝단을 기반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몸체부의 네 측면에 배치된 보호쉴드;
    상기 보호쉴드의 안쪽으로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방측 상부에 탑재된 전장박스;
    상기 보호쉴드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프레임에 설치된 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바닥프레임의 중앙에서 세워지고 제1회동 조정용 클램프를 구비한 중앙서포트;
    상기 제1회동 조정용 클램프에서 체결되고 수평 방향으로 바 체결 구멍이 형성된 제1바홀더;
    상기 제1바홀더의 바 체결 구멍에 결합된 제1바;
    상기 제1바의 끝단에 결합되고 끝단회동 조정용 클램프를 구비한 제2바홀더;
    상기 끝단회동 조정용 클램프에서 체결되고 수평 방향으로 바 체결 구멍이 형성된 제3바홀더;
    상기 제3바홀더의 바 체결 구멍에 결합된 제2바;
    상기 제2바의 양쪽 끝단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토치부 각각을 거치시키기 위한 토치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치부는
    가스를 화염 형태로 분사하는 토치본체;
    상기 토치본체에 탑재된 역화 방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부재를 따라 구름 작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를 양단에 결합한 제1가이드아암;
    상기 제1가이드아암의 중앙에 결합된 클램핑레버;
    상기 클램핑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아암의 중앙에서 틸트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가이드아암;
    상기 제2가이드아암을 바닥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연장 길이 조정레버를 갖는 복수개의 아암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부착된 저면 근접센서;
    상기 몸체부에 탑재된 가스누설 감지기;
    상기 몸체부에 탑재되고, 가스가 공급되는 공급호스라인 상에 연결되고, 전장박스 내의 제어회로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복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KR1020070082547A 2007-08-17 2007-08-17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KR100940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547A KR100940541B1 (ko) 2007-08-17 2007-08-17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547A KR100940541B1 (ko) 2007-08-17 2007-08-17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250A true KR20090018250A (ko) 2009-02-20
KR100940541B1 KR100940541B1 (ko) 2010-02-10

Family

ID=4068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547A KR100940541B1 (ko) 2007-08-17 2007-08-17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5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65B1 (ko) * 2010-03-11 2013-01-24 성동조선해양(주) 자동 선상가열 장치
KR101248965B1 (ko) * 2012-05-24 2013-04-02 김병권 무전원 구동 방식의 곡선, 원 또는 타원 면취 가스 절단기
CN103909366A (zh) * 2014-03-14 2014-07-09 安徽富煌钢构股份有限公司 一种射吸式焊嘴能360°转动的焊枪
KR20200098919A (ko) * 2019-02-13 2020-08-2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스피닝 가열장치
KR102271759B1 (ko) * 2020-01-13 2021-07-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
CN116493709A (zh) * 2023-06-21 2023-07-28 山西八建集团有限公司 一种转换桁架上钢板的预热焊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995B1 (ko) 2012-09-10 2014-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경량화 구조의 포터블 용접로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0684A (ja) 1987-05-22 1988-11-28 Sumitomo Metal Ind Ltd 鋳片の切断制御方法
KR0138138Y1 (ko) * 1995-11-30 1999-04-01 이대원 플라즈마 프래너 절단기
KR200292439Y1 (ko) * 1997-07-25 2003-10-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석판이 구비된 오버헤드 가열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65B1 (ko) * 2010-03-11 2013-01-24 성동조선해양(주) 자동 선상가열 장치
KR101248965B1 (ko) * 2012-05-24 2013-04-02 김병권 무전원 구동 방식의 곡선, 원 또는 타원 면취 가스 절단기
WO2013176359A1 (ko) * 2012-05-24 2013-11-28 Kim Byeong Kweon 전원 또는 무전원 구동 방식의 곡선, 원 또는 타원 면취 가스 절단기
CN103909366A (zh) * 2014-03-14 2014-07-09 安徽富煌钢构股份有限公司 一种射吸式焊嘴能360°转动的焊枪
KR20200098919A (ko) * 2019-02-13 2020-08-2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스피닝 가열장치
KR102271759B1 (ko) * 2020-01-13 2021-07-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t-바 용접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t-바 제작 방법
CN116493709A (zh) * 2023-06-21 2023-07-28 山西八建集团有限公司 一种转换桁架上钢板的预热焊接装置
CN116493709B (zh) * 2023-06-21 2023-09-05 山西八建集团有限公司 一种转换桁架上钢板的预热焊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541B1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541B1 (ko)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EP2394776B1 (en) Welding station for vehicle metal sheet body components using magnetic fixing means ; Industrial Plant with such welding station
US20190262928A1 (en) Welding device
JP5923503B2 (ja) トーチ調整装置
CN103209801A (zh) 等离子切割机和氧气燃料切割机的斜切头附接装置
KR100972156B1 (ko) 자동 주행 용접 장치
US20110109022A1 (en) Bevel head attachment for plasma and oxy fuel cutting machines
KR100962483B1 (ko) 철판의 변형 방지용 가열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KR101356240B1 (ko) 자동용접기
WO2014119613A1 (ja) 走行台車
KR101390230B1 (ko) 곡직용 캐리지
KR100639608B1 (ko)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
CN113751868A (zh) 一种焊接生产线
KR102428662B1 (ko) 용접 작업 공간 구조체
KR101225565B1 (ko) 자동 선상가열 장치
KR20130051215A (ko) 무레일 용접장치
KR200386741Y1 (ko) 자동 백히팅 장치
KR101233309B1 (ko) 용접 캐리지
KR101820769B1 (ko) 양방향 용접 자동화 장치
JP3575910B2 (ja) Yagレーザ加工装置
CN114657356B (zh) 一种温度可多点传感与智能控制的零部件锻造用热处理炉
CN219112885U (zh) 烧煤氧装置及烧煤氧系统
CN220029018U (zh) 可防虚焊的激光焊接设备
CN105522261A (zh) 焊字机自动焊接装置
JP2018158358A (ja) 走行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