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605B1 - 산업용 방폭 청소기 - Google Patents

산업용 방폭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605B1
KR102271605B1 KR1020200167605A KR20200167605A KR102271605B1 KR 102271605 B1 KR102271605 B1 KR 102271605B1 KR 1020200167605 A KR1020200167605 A KR 1020200167605A KR 20200167605 A KR20200167605 A KR 20200167605A KR 102271605 B1 KR102271605 B1 KR 102271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or
wheel
shaft hole
binding
bin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호철
Original Assignee
한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호철 filed Critical 한호철
Priority to KR1020200167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5/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use of gas or air flow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방폭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집진기와 진공 흡입 펌프를 이원화시켜 대용량 펌프로 출력을 높이고, 주름형 필터 백으로 이물질 여과 기능을 높여서, 일반 가정이 아닌 대형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산업용 방폭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방폭 청소기는, 제1 바퀴가 달린 대차; 상기 대차에 장착되며, 집진통, 상기 집진통의 상단에 결합되어 집진통과 상하 연통되고 흡입 헤드의 흡입관이 연결되는 하단 흡입구와 배출관이 연결되는 상단 배출구를 구비한 필터통, 상기 필터통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배출로를 갖는 백 케이지와 상기 백 케이지에 외삽되며 다수개의 주름부가 둘레방향으로 연결된 여과지로 이루어진 필터 백을 포함한 집진기; 및 상기 대차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관이 연결되는 진공 흡입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업용 방폭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산업용 방폭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집진기와 진공 흡입 펌프를 이원화시켜 대용량 펌프로 출력을 높이고, 주름형 필터 백으로 이물질 여과 기능을 높여서, 일반 가정이 아닌 대형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산업용 방폭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방폭 청소기는 진공펌프의 펌핑 작동으로부터 진공 흡입 호스의 헤드가 바닥면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이나 쓰레기 등을 흡입하게 하고, 진공 흡입 호스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나 쓰레기가 필터링되어 진공청소기 본체 내의 집진통에 모아져, 집진통을 비워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최근 가정용 방폭 청소기는 무선 청소기가 각광을 받고 있지만, 공장이나 건축 현장, 특히 면적이 넓은 대형 산업 시설에서는 흡입 용량 등의 문제로 일반 가정용 방폭 청소기를 사용할 수가 없어 산업용 방폭 청소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산업용 방폭 청소기는 도 1과 같이 본체(3) 내부에 진공 흡입 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본체(3)의 상단 덮개(4)를 열어서 내부의 집진통을 수거해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진공 흡입 펌프의 출력만 높이고 집진통의 크기를 대형화한 것에 불과하여, 실제로는 가정용 방폭 청소기와 별다른 차이가 없다.
그런데 일반 가정과 달리 공장 등의 산업 현장에서는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쓰레기의 종류, 양 등이 완전하게 다르기 때문에, 가정용 방폭 청소기와 별반 차이가 없는, 크기만 대형화된 종래의 산업용 방폭 청소기만으로 넓은 면적의 산업 현장 전체를 깨끗하게 청소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필터의 잦은 교체, 부품의 잦은 고장 등으로 산업용 방폭 청소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못하고 새제품으로 교체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산업용 방폭 청소기는 일반 가정용 필터와 동종의 제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집진 효율이 떨어져 각종 미세 유해 물질이 집진되지 못하고 다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진통의 대형화로 인해 집진통의 무게 역시 상당하기 때문에 집진통이 가득 찼을 때 이를 비우고 처리하는데도 많은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집진기와 진공 흡입 펌프를 이원화시켜 대용량 펌프로 출력을 높이고, 주름형 필터 백으로 이물질 여과 기능을 높여서, 일반 가정이 아닌 대형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산업용 방폭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방폭 청소기는,
제1 바퀴가 달린 대차;
상기 대차에 장착되며, 집진통, 상기 집진통의 상단에 결합되어 집진통과 상하 연통되고 흡입 헤드의 흡입관이 연결되는 하단 흡입구와 배출관이 연결되는 상단 배출구를 구비한 필터통, 상기 필터통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배출로를 갖는 백 케이지와 상기 백 케이지에 외삽되며 다수개의 주름부가 둘레방향으로 연결된 여과지로 이루어진 필터 백을 포함한 집진기; 및
상기 대차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관이 연결되는 진공 흡입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방폭 청소기에서,
상기 대차는, 상기 제1 바퀴가 달린 양측 수직 프레임부, 상기 양측 수직 프레임부의 일측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필터통이 장착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양측 수직 프레임부의 타측 하단을 연결하며 상면에 상기 진공 흡입 펌프가 장착되는 상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방폭 청소기에서,
상기 집진통과 필터통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통의 저면에 제2 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방폭 청소기에서,
상기 대차는, 상기 양측 수직 프레임부의 일측 하단 사이에 상기 집진통이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출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통이 상기 필터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통의 제2 바퀴가 바닥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방폭 청소기는,
집진기와 진공 흡입 펌프의 이원화로 펌프의 출력 증강 및 집진통의 대형화에 유리하면서, 주름형 필터 백의 사용으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물질이나 쓰레기에 대한 집진 처리 효율이 높아, 넓음 면적의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하고,
대차의 무게를 최대한 줄이면서 이원화된 집진기와 진공 흡입 펌프를 안정적으로 장착하여 안전하고 쉽게 사용 가능하게 하며,
무게가 무거운 집진통을 본체에서 들어서 탈거할 필요없이, 쉽게 분리하여 바퀴로 집진통을 바로 옮겨서 비울 수 있어, 쓰레기 등의 처리가 매우 쉽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산업용 방폭 청소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방폭 청소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 청소기의 샘플 사진도.
도 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백의 샘플 사진도.
도 7은 본 발명의 집진통용 바퀴 접힘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면도와 단면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방폭 청소기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핸들이 설치된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전방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방폭 청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퀴(11)가 달린 대차(10);
상기 대차(10)에 장착되며, 집진통(20), 상기 집진통(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집진통(20)과 상하 연통되고 흡입 헤드(미도시)의 흡입관(H1)이 연결되는 하단 흡입구(31)와 배출관(H2)이 연결되는 상단 배출구(32)를 구비한 필터통(30), 상기 필터통(3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배출구(32)와 연결되는 배출로(41a)를 갖는 백 케이지(41)와 상기 백 케이지(41)에 외삽되며 다수개의 주름부가 둘레방향으로 연결된 여과지(42)로 이루어진 필터 백(40)을 포함한 집진기(D); 및
상기 대차(10)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관(H2)이 연결되는 진공 흡입 펌프(50);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10)는 상기 집진기(D) 및 진공 흡입 펌프(50)를 원하는 곳으로 쉽게 운반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바퀴(11)가 달린 양측 수직 프레임부(12), 상기 양측 수직 프레임부(12)의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필터통(30)이 장착되는 장착부(13S)를 형성하는 수평 프레임(13), 상기 양측 수직 프레임부(12)의 타측(도면 상 전방측) 하단을 연결하며 상면에 상기 진공 흡입 펌프(50)가 장착되는 상판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양측 수직 프레임부(12)의 최후단측 상단 끝단부에는 대차(10)의 운전을 위한 핸들바(15)가 장착되어 있으며, 수직 프레임부(12)들 중 하나에 진공 흡입 펌프(50) 제어용 콘트롤 박스(16)가 장착된다.
또한 수직 프레임부(12)들 중 하나에는 청소 도구 보관함(17)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대차(10),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부(12)의 상단과 하단에는 엘리베이터 사용이 불가능한 산업 현장에서 크레인이나 호이스트를 사용해 방폭 청소기의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걸이부(12a)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수직 프레임부(12)의 상단 양측 끝단부에는 수평 프레임(13)이 좌우로 연결되면서, 집진기(D) 설치용 'ㅁ'자형 장착부(13S)를 형성하고, 장착부(13S)의 각 모서리부에는 사선 프레임(13a)이 연결되어 집진기(D)의 필터통(30)이 사선 프레임(13a)에 거치 형태로 볼팅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집진통(20)은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이고, 상기 필터통(30)은 상하 양면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필터통(30)의 하단에 집진통(20)의 상단이 장착되어 집진통(20)과 필터통(30)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필터통(30)의 상단에 상기 배출구(32)가 구비된 덮개(3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C1, C2는 집진통(20)과 필터통(30) 및 덮개(33)의 탈부착을 위한 클램프이고, 미설명 도면부호 P는 필터통(30) 내의 압력을 체크해 사용 중인 진공 흡입 펌프(5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압력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진통(20)은 저면에 제2 바퀴(21)가 구비되어 대차(10)와 별개로 필터통(30)에서 분리된 집진통(20)만을 굴려서 운반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대차(10)는, 상기 양측 수직 프레임부(12)의 일측 하단 사이에 상기 집진통(20)이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출입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통(20)이 상기 필터통(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통(20)의 제2 바퀴(21)가 바닥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대차(10) 이동 시 상기 제2 바퀴(21)는 바닥에 닿지 않아 대차(1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집진통(20)을 비울 경우 제1 클램프(C1)를 잠금 해제하면 집진통(20)이 필터통(30)에서 분리, 낙하하여 바로 바닥에 착지한 후 집진통(20)을 상기 출입부(18)로 빼내어 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바퀴(21)와 바닥 사이의 이격 높이에 제한이 없으나, 집진통(20)의 분리, 낙하 시 충격으로 인한 이물질 등의 비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 바퀴(21)가 바닥으로부터 5~10mm 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집진통(20)의 용량을 최대한으로 확보하기에도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통(30)은 상단부 소정 높이에 주름형 필터 백(40)을 거치식으로 탈착 하게 하는 장착 플레이트(3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34)의 하부(보다 엄밀하게는 필터통(30)의 최하단에 근접한 높이)에 상기 흡입구(31)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백(40)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배출로(41a)를 갖는 백 케이지(41)의 외면에 상기 여과지(42)가 주름형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때 백 케이지(41)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되어 여과지(42) 외부의 공기가 배출로(41a)로 유입되게 한다.
상기 필터 백(40)은 백 케이지(41)의 상, 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 캡을 포함하며, 이때 하부 캡(도면부호 미표기)은 배출로(41a)의 하단 개구부를 밀폐하는 형태이고, 상부 캡(43)은 중공이 형성되어 배출로(41a)의 상단 개구부를 개방시켜 배출로(41a)와 배출구(32)가 서로 연결되게 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주름형 필터 백(40)은 각종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등에 포함된 미세 분진과 이물질 등을 여과시키는 싸이백 집진설비에 사용되는 것으로써, 일반 가정용 방폭 청소기에 사용되는 필터보다 더 높은 집진 효율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대형 산업 현장에서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며, 주름형 필터 백(40)은 공지된 기술로써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진공 흡입 펌프(50)는 상기 집진통(20)에 마이너스 압력을 걸어서 상기 흡입구(31)에 연결된 흡입관(H1)으로 산업 현장 내의 쓰레기 및 각종 미세분진을 비롯한 이물질을 진공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고출력의 모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모터에는 진공 압력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게 하는 흡기구(51)와,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52)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32)와 흡기구(51)가 배출관(H2)으로 서로 연결되어 필터 백(40)으로 여과되어 흡기된 청정 공기가 모터를 거쳐서 상기 배기구(52)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진공 흡입 펌프(50)의 작동으로 흡입관(H1)으로 흡입된 각종 이물질이나 미세 분진 등이 필터통(30) 내 필터 백(40) 주변에서 공기와 함께 상승기류를 형성하면서 선회하여 필터 백(40)의 여과지(42)를 통과하여 각종 이물질이나 미세 분진 등이 여과지(42)의 외주면에 걸러지며, 여과지(42)에서 걸러진 이물질 등은 낙하하여 집진통(20)으로 포집되고, 이렇게 여과된 청정공기는 백 케이지(41)의 배출로(41a)를 경유해서 상기 배출구(32)로 배출된 후 진공 흡입 펌프(50)를 거쳐서 상기 배기구(52)로 최종 배출된다.
한편 상기 집진통(20)은 제2 바퀴(21)가 바닥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으나, 산업 현장의 바닥에는 각종 배선이나 배관 등이 설치되거나, 다양한 물품 등이 떨어져 있을 수 있어 대차(10) 이동 시 제2 바퀴(21)가 걸려서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대차(10) 이동 시 상기 집진통(20)의 제2 바퀴(21)를 수평방향으로 접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바퀴용 젖힘수단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용 젖힘수단은,
상기 집진통(20)의 저면에서 돌출되게 장착되며, 일측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축공(22a)과, 상기 제1 축공(22a)의 내주면에서 수평방향의 소정 길이로 오목 형성되되 일측면이 개구되면서 제1 축공(22a)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자형으로 배열된 제1 결속홈(22b)(22b')을 구비한 축설블록(22),
상기 축설블록(22)의 일측면에 접하여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제2 바퀴(21)가 장착되며, 상기 제1 축공(22a)에 대응하는 제2 축공(23a)과, 상기 제2 축공(23a)의 내주면에서 수평방향의 소정 길이로 오목 형성되되 타측면이 개구되면서 제2 축공(23a)을 중심으로 상하 'l'자형으로 배열된 제2 결속홈(23b)을 구비한 회전블록(23),
상기 제1 축공(22a)과 제2 축공(23a)을 관통하여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제1 결속홈(22b)(22b')과 제2 결속홈(23b)에 삽입 가능하게 외주면에서 돌출된 결속돌기(24b)를 구비한 회전봉(24)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홈(22b)(22b')보다 상기 제2 결속홈(23b)의 길이가 길면서, 상기 제2 결속홈(23b)과 결속돌기(24b)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24)이 타측으로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결속돌기(24b)가 수직 배열된 제1 결속홈(22b)과 제2 결속홈(23b)에 모두 걸리면서, 상기 제2 바퀴(21)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고,
상기 회전봉(24)을 일측으로 후진시키면, 상기 결속돌기(24b)가 상기 제2 결속홈(23b)에만 걸리면서 상기 회전봉(24)을 회전시켜 상기 제2 바퀴(21)를 수평으로 눕힐 수 있으며,
상기 제2 바퀴(21)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24)을 타측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결속돌기(24b)가 수평 배열된 제1 결속홈(22b')과 제2 결속홈(23b)에 모두 걸리면서 상기 제2 바퀴(21)가 수평으로 눕혀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설블록(22)과 회전블록(23)은 상기 제1, 제2 축공(22a)(23a)이 동일선 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자 배열된 제1 결속홈(22b)(22b')과 'l'자 배열된 제2 결속홈(23b)의 각 개구부가 서로 면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봉(24)은 전후(또는 좌우)로 배열된 2 개의 제2 바퀴(21)를 동시 회전할 수 있도록, 전후(또는 좌우) 배열된 블록들의 간격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일측 끝단부에 당김부(24a)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당김부(24a)는 일측에 배열된 회전블록(23)에 연결된 파지부(25) 내측에 위치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봉(24)은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 등에 의해 타측으로 전진하게 탄성 지지된다.
한편 제1 결속홈(22b)(22b')에 비해 길이가 길면서 길이가 서로 동일한 제2 결속홈(23b)과 결속돌기(24b)로 인해, 상기 회전봉(24)이 타측으로 밀려서 전진한 상태에서는 상기 결속돌기(24b)가 수직 배열된 제1 결속홈(22b) 전부와 제2 결속홈(23b)의 전단부에 걸려 있어, 수직으로 세워진 제2 바퀴(21)가 눕혀지지 않고 그대로 고정되어 집진통(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대차(10) 운반 시에, 상기 파지부(25)를 잡고 상기 당김부(24a)를 후방 일측으로 당기면 상기 결속돌기(24b)가 제1 결속홈(22b)에서 이탈하여 제2 결속홈(23b)에만 걸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파지부(25)와 함께 회전봉(24)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된 축설블록(22)에 대하여 상기 회전블록(23)만이 함께 회전하여, 결국 제2 바퀴(21)가 수평하게 눕혀진다.
이 상태에서 제2 결속홈(23b)과 결속돌기(24b)는 수평하게 배열되며, 따라서 회전봉(24)을 전방 타측으로 전진시키면, 결속돌기(24b)가 수평 배열된 제1 결속홈(22b') 전부와 제2 결속홈(23b)의 전단부에 걸리면서 회전봉(24)이 고정됨에 따라, 제2 바퀴(21)의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제2 바퀴(21)와 바닥 사이의 이격 높이가 확장되어, 바닥의 돌출 구조물에 의해 대차(10)의 이동이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산업용 방폭 청소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대차 20 : 집진토
30 : 필터통 40 : 필터 백
50 : 펌프 D : 집진기

Claims (4)

  1. 제1 바퀴(11)가 달린 대차(10);
    상기 대차(10)에 장착되며, 집진통(20), 상기 집진통(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집진통(20)과 상하 연통되고 흡입 헤드의 흡입관(H1)이 연결되는 하단 흡입구(31)와 배출관(H2)이 연결되는 상단 배출구(32)를 구비한 필터통(30), 상기 필터통(3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배출구(32)와 연결되는 배출로(41a)를 갖는 백 케이지(41)와 상기 백 케이지(41)에 외삽되며 다수개의 주름부가 둘레방향으로 연결된 여과지(42)로 이루어진 필터 백(40)을 포함한 집진기(D); 및
    상기 대차(10)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관(H2)이 연결되는 진공 흡입 펌프(50);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10)는 크레인이나 호이스트를 사용한 방폭 청소기의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걸이부(12a)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20)과 필터통(30)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통(20)의 저면에 제2 바퀴(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대차(10)는 양측 수직 프레임부(12)의 일측 하단 사이에 상기 집진통(20)이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출입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통(20)이 상기 필터통(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통(20)의 제2 바퀴(21)가 지면과 이격되어 있되,
    상기 대차(10) 이동 시 상기 집진통(20)의 제2 바퀴(21)를 수평방향으로 접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바퀴용 젖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바퀴용 젖힘수단은,
    상기 집진통(20)의 저면에서 돌출되게 장착되며, 일측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축공(22a)과, 상기 제1 축공(22a)의 내주면에서 수평방향의 소정 길이로 오목 형성되되 일측면이 개구되면서 제1 축공(22a)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자형으로 배열된 제1 결속홈(22b)(22b')을 구비한 축설블록(22),
    상기 축설블록(22)의 일측면에 접하여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제2 바퀴(21)가 장착되며, 상기 제1 축공(22a)에 대응하는 제2 축공(23a)과, 상기 제2 축공(23a)의 내주면에서 수평방향의 소정 길이로 오목 형성되되 타측면이 개구되면서 제2 축공(23a)을 중심으로 상하 'l'자형으로 배열된 제2 결속홈(23b)을 구비한 회전블록(23),
    상기 제1 축공(22a)과 제2 축공(23a)을 관통하여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제1 결속홈(22b)(22b')과 제2 결속홈(23b)에 삽입 가능하게 외주면에서 돌출된 결속돌기(24b)를 구비한 회전봉(24)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홈(22b)(22b')보다 상기 제2 결속홈(23b)의 길이가 길면서, 상기 제2 결속홈(23b)과 결속돌기(24b)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24)이 타측으로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결속돌기(24b)가 수직 배열된 제1 결속홈(22b)과 제2 결속홈(23b)에 모두 걸리면서, 상기 제2 바퀴(21)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고,
    상기 회전봉(24)을 일측으로 후진시키면, 상기 결속돌기(24b)가 상기 제2 결속홈(23b)에만 걸리면서 상기 회전봉(24)을 회전시켜 상기 제2 바퀴(21)를 수평으로 눕힐 수 있으며,
    상기 제2 바퀴(21)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24)을 타측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결속돌기(24b)가 수평 배열된 제1 결속홈(22b')과 제2 결속홈(23b)에 모두 걸리면서 상기 제2 바퀴(21)가 수평으로 눕혀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방폭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10)는, 상기 제1 바퀴(11)가 달린 양측 수직 프레임부(12), 상기 양측 수직 프레임부(12)의 일측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필터통(30)이 장착되는 수평 프레임(13), 상기 양측 수직 프레임부(12)의 타측 하단을 연결하며 상면에 상기 진공 흡입 펌프(50)가 장착되는 상판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방폭 청소기.



  3. 삭제
  4. 삭제
KR1020200167605A 2020-12-03 2020-12-03 산업용 방폭 청소기 KR102271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605A KR102271605B1 (ko) 2020-12-03 2020-12-03 산업용 방폭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605A KR102271605B1 (ko) 2020-12-03 2020-12-03 산업용 방폭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605B1 true KR102271605B1 (ko) 2021-07-01

Family

ID=7686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605A KR102271605B1 (ko) 2020-12-03 2020-12-03 산업용 방폭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6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202A (ja) * 2004-11-19 2006-06-08 Noda Yane Kojiten:Kk 清掃装置
KR20130002156U (ko) * 2011-09-28 2013-04-05 (주)경서글로텍 진공청소기
KR102115949B1 (ko) * 2019-12-16 2020-05-27 (주)탱크런 카트리지 타입의 집진기용 필터 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202A (ja) * 2004-11-19 2006-06-08 Noda Yane Kojiten:Kk 清掃装置
KR20130002156U (ko) * 2011-09-28 2013-04-05 (주)경서글로텍 진공청소기
KR102115949B1 (ko) * 2019-12-16 2020-05-27 (주)탱크런 카트리지 타입의 집진기용 필터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4546A1 (zh) 清洁机器人系统及其控制方法、基站
KR101669932B1 (ko) 수거통의 호환 장착이 가능한 친환경 전기 노면청소차
CN1442109A (zh) 具有可再用的过滤器的真空吸尘器
CN107811578A (zh) 排空站
CN101352326A (zh) 一种自动清洁器用的垃圾收集装置
KR102271605B1 (ko) 산업용 방폭 청소기
CN105996902A (zh) 一种箱式多级过滤吸尘器
CN220047426U (zh) 一种气箱脉冲袋式收尘器
CN201119847Y (zh) 一种自动清洁器用的垃圾收集装置
CN205421128U (zh) 环卫吸尘手推车
CN101600837B (zh) 带有移行驱动器的抽吸清洁机
KR101012945B1 (ko) 압축 공기 작동식 분진 진공회수장치
CN211773230U (zh) 一种道路保洁车
CN211922439U (zh) 一种小区物业用道路垃圾收集装置
CN210446910U (zh) 一种扫地吸尘车整车
CN208022205U (zh) 一种生活垃圾收集清运及处理设备
CN108814451B (zh) 一种室内地面除污方法
CN208450101U (zh) 拖曳式真空吸料清理装置
KR102300762B1 (ko) 도로용 이동청소기
CN214914220U (zh) 一种建筑工程用无水扬尘处理装置
CN205314035U (zh) 一种吸尘车
CN218944579U (zh) 一种用于滤网的除尘小车
CN215738717U (zh) 一种节能型扫地车用垃圾回收转移装置
CN217119703U (zh) 一种阵列式除尘机
CN212283307U (zh) 一种干湿双吸式吸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