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322B1 -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322B1
KR102271322B1 KR1020190122466A KR20190122466A KR102271322B1 KR 102271322 B1 KR102271322 B1 KR 102271322B1 KR 1020190122466 A KR1020190122466 A KR 1020190122466A KR 20190122466 A KR20190122466 A KR 20190122466A KR 102271322 B1 KR102271322 B1 KR 10227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compression
coupling
coupling protrusion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806A (ko
Inventor
문병건
Original Assignee
문병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건 filed Critical 문병건
Priority to KR102019012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3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4Actu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56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using screw-threads being integral at least to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7Auxiliary operation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04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with a radial cut in order to improve elasticity of the was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생산성 및 경제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제1결합홀 및 제1결합돌기가 형성된 백커버몸체부와,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중앙에 배치되되 상기 제1결합홀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 매쉬부와,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결합홀이 형성된 하부커버부를 복수개의 압착너트를 통해 상호 결합하여 차량용 시트 백커버를 제조하도록 구비되는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1결합홀 및 상기 제2결합홀에 각각 삽입되어 각 단부가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전측으로 노출된 가조립 상태에서 상기 백커버몸체부, 상기 매쉬부 및 상기 하부커버부가 안착되도록 안착면이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상부에 연결되되, 실린더장치로서 구비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하부에 연결되되, 상기 차량용 시트 백커버와 대향 배치되는 압착플레이트; 상기 압착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의 노출된 각 단부에 상기 압착너트가 삽입되어 압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일체로 승강되는 복수개의 압착부; 및 상기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compressing jig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eat back cover}
본 발명은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성 및 경제성이 개선되는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 후면에는 시트의 외관과 시트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백커버(back cover)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백커버는 시트에 고정 설치되도록 체결을 매개하는 체결부재가 일측에 구비되는 백커버몸체부와,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커버부와,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중앙에 연결되는 그물망 형상의 매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커버부가 배치되며,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중앙에 상기 매쉬부가 배치된 후 복수개의 압착너트를 통해 상호간 체결 조립됨에 따라 완제품으로 생산된다.
이때, 상기 백커버몸체부, 상기 하부커버부 및 상기 매쉬부에는 상호간의 조립을 위한 복수개의 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홀에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홀에 삽입된 후 상기 압착너트가 상기 돌기에 결합됨에 따라 상호 조립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백커버몸체부, 상기 매쉬부 및 상기 하부커버부를 체결하기 위한 각 상기 압착너트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개별 결합되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가 떨어질 경우 수작업으로 제조되는 상기 백커버의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07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산성 및 경제성이 개선되는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제1결합홀 및 제1결합돌기가 형성된 백커버몸체부와,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중앙에 배치되되 상기 제1결합홀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 매쉬부와,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결합홀이 형성된 하부커버부를 복수개의 압착너트를 통해 상호 결합하여 차량용 시트 백커버를 제조하도록 구비되는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1결합홀 및 상기 제2결합홀에 각각 삽입되어 각 단부가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전측으로 노출된 가조립 상태에서 상기 백커버몸체부, 상기 매쉬부 및 상기 하부커버부가 안착되도록 안착면이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상부에 연결되되, 실린더장치로서 구비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하부에 연결되되, 상기 차량용 시트 백커버와 대향 배치되는 압착플레이트; 상기 압착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의 노출된 각 단부에 상기 압착너트가 삽입되어 압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일체로 승강되는 복수개의 압착부; 및 상기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각 상기 압착부의 길이는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와의 거리에 대응되어 각각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며, 각 상기 압착부의 하단에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링형의 상기 압착너트가 자성 흡착되도록 자성흡착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성흡착부는 상기 압착너트의 외곽 테두리가 자성 흡착되도록 링형으로 구비되어 각 상기 압착부의 하단 테두리에 연결되되,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상기 압착너트의 중앙부가 삽입 및 안내되어 정렬되도록, 상기 자성흡착부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가이드정렬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는 상호 가조립된 상기 백커버몸체부 및 상기 하부커버부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안착가이더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가이더의 외면 프로파일은 상호 가조립된 상기 백커버몸체부 및 상기 하부커버부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착플레이트의 테두리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승강가이드부와, 상기 승강가이드부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부 및 상기 압착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레일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백커버몸체부, 매쉬부 및 하부커버부의 각 결합돌기가 각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호 가조립된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부에 안착 및 정렬되면 압착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압착부의 하단에 자성 흡착된 압착너트가 하강 및 압착되어 각 결합돌기에 동시에 결합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링형의 압착너트 외곽 테두리가 압착부의 하단에 형성된 자성흡착부에 자성 흡착됨과 동시에 압착너트의 경사지게 돌출된 중앙부가 자성흡착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정렬홈에 삽입되어 정렬된 상태에서 하강 및 압착되므로 가압되는 순간에도 지지력이 유지되어 흐트러짐이 방지되므로 결합시 정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백커버몸체부 및 상기 하부커버부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의 안착가이더에 의해 백커버몸체부와 하부커버부가 안착 지지된 상태에서 압착너트가 부착된 압착부가 동시에 압착되므로 가압력에 의한 비틀림이 미연에 방지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되어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압착플레이트의 양측 테두리에 연결된 승강가이드부가 승강레일부에 의해 안내됨과 동시에 승강수단의 실린더가 보조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이중 안내구조로 압착부의 하단에 자성 흡착된 압착너트의 압착 위치의 정렬상태가 승강시에도 정확하게 유지되므로 제조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차량용 시트 백커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에서 압착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차량용 시트 백커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 백커버(1)는 백커버몸체부(2), 매쉬부(3), 그리고 하부커버부(4)가 각각 개별로 구비되어 상호간 조립됨에 따라 최종 제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커버몸체부(2), 상기 매쉬부(3) 및 상기 하부커버부(4)는 인체에 대응되는 차량용 시트 형상에 대응되어 굴곡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커버몸체부(2)에는 차량용 시트와의 체결을 매개하는 체결부재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용 시트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백커버몸체부(2)에는 상기 매쉬부(3) 및 상기 하부커버부(4)와 상호 조립되기 위해 중앙부에 복수개의 제1결합홀(2a)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복수개의 제1결합돌기(2b)가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홀(2a)은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중앙에 상기 매쉬부(3)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결합돌기(2a)는 상기 하부커버부(4)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하부에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소 전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쉬부(3)는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중앙 후면에 중첩 배치되며, 'U'자 형상의 테두리가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에 그물망이 연결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매쉬부(3)에는 각 상기 제1결합홀(2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결합돌기(3a)가 상기 매쉬부(3)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전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제2결합돌기(3a)는 상기 제1결합홀(2a)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호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제2결합돌기(3a)는 각 상기 제1결합홀(2a)에 삽입되어 관통 배치되면 각 상기 제2결합돌기(3a)의 단부가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전측으로 노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매쉬부(3)가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후면측으로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부(4)는 상부가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하부 전면에 중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하부 전면에 중첩 배치된 상기 하부커버부(4)의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2b)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결합홀(4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제2결합홀(4a)은 상기 제1결합돌기(2b)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호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제2결합홀(4a)에 각 상기 제1결합돌기(2b)가 삽입되어 관통 배치되면 각 상기 제1결합돌기(2b)의 단부가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전측으로 노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하부커버부가 백커버몸체부의 하부 후면에 중첩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 하부커버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백커버몸체부에 그에 대응되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가 상기 제1결합홀(2a) 및 상기 제2결합홀(4a)에 각각 삽입 관통되어 각 단부가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전측으로 노출 배치된 상태를 차량용 시트 백커버의 가조립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수개의 압착너트(5)가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의 각 단부 외곽에 가압되어 압착 고정됨에 따라 상기 백커버몸체부(2), 상기 매쉬부(3) 및 상기 하부커버부(4)가 상호간 결합되어 최종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너트(5)는 자성 흡착 가능한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반경방향 중앙에 상기 제1결합돌기(2b)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3a)가 삽입되는 너트홀(5a)이 관통 형성된 링형으로 구비되며, 중앙부 내측단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착너트(5)가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의 외주에 압착되어 억지 끼움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는 단부로 갈수록 외주가 협소화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에서 압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100)는 베이스프레임부(10), 승강수단(20), 압착플레이트(30), 압착부(40), 그리고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100)는 복수개의 제1결합홀(2a) 및 제1결합돌기(2b)가 형성된 백커버몸체부(2)와,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중앙에 배치되되 상기 제1결합홀(2a)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3a)가 형성된 매쉬부(3)와,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결합돌기(2b)가 삽입되는 제2결합홀(4a)이 형성된 하부커버부(4)를 복수개의 압착너트(5)를 통해 상호 결합하여 차량용 시트 백커버(1)를 제조하도록 구비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가 상기 제1결합홀(2a) 및 상기 제2결합홀(4a)에 각각 삽입되어 각 단부가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전측으로 노출된 가조립 상태에서 상기 백커버몸체부(2), 상기 매쉬부(3) 및 상기 하부커버부(4)가 안착되도록 안착면(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면(11)에는 상호 가조립된 상태의 상기 백커버몸체부(2), 상기 매쉬부(3) 및 상기 하부커버부(4)가 안착되는데, 이때,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후면이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의 하측방향으로 배치되며, 전면이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의 상측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에는 상호 가조립된 상태의 상기 백커버몸체부(2) 및 상기 하부커버부(4)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면(11)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안착가이더(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가이더(12)는 인체에 대응되는 차량용 시트 형상에 대응되어 굴곡진 형상으로 구비된 상기 백커버몸체부(2) 및 상기 하부커버부(4)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영역의 상기 안착면(11)으로부터 상향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가이더(12)의 외면 프로파일은 상호 가조립되되 굴곡진 형상으로 구비된 상기 백커버몸체부(2) 및 상기 하부커버부(4)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착가이더(12)의 상부가 상기 백커버몸체부(2) 및 상기 하부커버부(4)의 후면측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아래로 갈수록 오목하게 좁아지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가이더(12)의 상부에 상기 백커버몸체부(2) 및 상기 하부커버부(4)의 후면이 실질적으로 형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굴곡진 형상으로 구비된 상기 백커버몸체부(2) 및 상기 하부커버부(4)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안착가이더(12)에 의해 상기 백커버몸체부(2) 및 상기 하부커버부(4)가 안착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너트(5)가 부착된 상기 압착부(40)가 동시에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착부(40)의 가압력에 의한 상기 백커버몸체부(2) 및 상기 하부커버부(4)의 비틀림이 미연에 방지됨에 따라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되어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는 상기 안착면(11)이 상면에 형성된 하부프레임(10a)과, 상기 하부프레임(10a)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프레임(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10b)은 상기 하부프레임(10a)의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상기 안착가이드부(12)를 두고 각각 상향 연장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각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의 상부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20)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20)은 유압실린더 등의 실린더장치로서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구동 제어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20)의 실린더본체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되, 상기 실린더본체로부터 실린더가 하측으로 확장 및 수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승강수단(20)을 제어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구동 조작버튼(미도시)이 회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압착너트(5)가 하단에 배치된 상기 압착부(40)가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의 외주를 가압하도록 상기 승강수단(20)을 정방향 제어하여 상기 승강수단(20)의 실린더를 확장시켜 하강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압착부(40)가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승강수단(20)을 역방향 제어하여 상기 승강수단(20)의 실린더를 수축시켜 상승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승강수단(20)은 상기 실린더의 승강 방향을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보조가이드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조가이드부(21)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중앙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안내홀에 관통되어 배치되는 수직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가이드부(21)는 일측이 상기 수직가이드부의 하단에 연결되되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수평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승강수단(20)의 실린더가 상하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시 상기 보조가이드부(21)에 의해 승강 방향이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착플레이트(30)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승강수단(20)의 실린더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수단(20)의 구동상태에 대응되어 상기 압착플레이트(30)와 일체로 동시에 승강되되, 상기 차량용 시트 백커버(1)의 후면 및 상기 안착면(11)과 대향 배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20) 및 상기 압착플레이트(30)의 사이에는 상호간의 연결을 매개하도록 'ㄷ'자 형상의 연결매개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수단(20) 및 상기 압착플레이트(30)가 상호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100)는 상기 압착플레이트(30)의 양측 테두리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승강가이드부(31)와, 상기 승강가이드부(31)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부(31) 및 상기 압착플레이트(3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레일부(32)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승강가이드부(31)는 'ㄴ'자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측이 상기 압착플레이트(30)의 양측에 나사 체결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며, 외측이 상기 승강레일부(32)에 레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레일부(32)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부(31)의 외측에 상기 승강레일부(32)에 레일 연결되도록 상기 승강레일부(32)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레일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승강수단(20)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상기 압착플레이트(30)의 양측 테두리에 연결된 승강가이드부(31)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승강레일부(32)에 의해 안내되므로 승강 방향이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착플레이트(30)가 상기 승강레일부(32)에 의해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수단(20)의 실린더가 상기 보조가이드부(21)에 의해 안내되는 이중 안내구조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착부(40)의 하단에 자성 흡착된 상기 압착너트(5)의 압착되는 위치의 정렬상태가 상기 압착플레이트(30)의 승강시에도 정확하게 유지되므로 제조되는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되어 경제성 및 제조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착부(40)는 상기 압착플레이트(30)의 하부에 복수개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의 노출된 각 단부 외주에 상기 압착너트(5)가 삽입되어 압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일체로 승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압착부(40) 간의 간격은 각 상기 제1결합돌기(2b)간의 간격, 각 상기 제2결합돌기(3a) 간의 간격에 대응되어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압착부(40)의 길이는 굴곡진 형상으로 구비된 상기 매쉬부(3) 및 상기 하부커버부(4)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와의 각 거리에 대응되어 각각 상이한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압착부(40)는 상기 압착플레이트(3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승강수단(20)에 의해 승강되는 상기 압착플레이트(30)의 승강시 각 상기 압착부(40)가 동시에 승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각 상기 압착부(40)의 하단에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상기 압착너트(5)가 자성 흡착되어 가고정되도록 자성흡착부(4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착너트(5)는 자성 흡착 가능한 금속 재질로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반경방향 중앙에 상기 제1결합돌기(2b)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3a)가 삽입되는 너트홀(5a)이 관통 형성된 링형으로 구비되며, 중앙부 내측단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착너트(5)는 링형으로 구비되되,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상기 압착너트(5)의 중앙부 내면에는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흡착부(41)는 링형의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비되어 각 상기 압착부의 하단 테두리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성흡착부(41)의 외경은 상기 압착너트(5)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성흡착부(41)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상기 압착너트(5)의 경사지게 돌출된 중앙부가 삽입 및 안내되어 정렬되도록 가이드정렬홈(4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정렬홈(42)은 상기 압착부(40)의 하단에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정렬홈(42)의 함몰 깊이는 상기 가이드정렬홈(42)에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가 상기 백커버몸체부(2)의 전측으로 노출된 길이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착부(40)의 하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가 정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부(40) 및 상기 압착너트(5)가 하강되면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가 상기 압착너트(5) 및 상기 가이드정렬홈(42)에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정렬홈(42)의 내경은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의 직경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정렬홈(42)의 내경은 상기 압착너트(5)의 돌출된 중앙부의 직경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착너트(5)는 각 상기 압착부(40)의 하단에 상기 자성흡착부(41)에 의해 자성 흡착된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백커버몸체부(2), 상기 매쉬부(3) 및 상기 하부커버부(4)가 상기 안착가이더(12)에 의해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면(11)에 정렬 배치된 후 상기 압착플레이트(30)가 상기 승강수단(20)에 의해 하강되면 각 상기 압착부(40)가 동시에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압착부(40)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압착너트(5)가 상기 제1결합돌기(2b) 및 상기 제2결합돌기(3a)에 삽입된 후 압착되어 상기 백커버몸체부(2), 상기 매쉬부(3) 및 상기 하부커버부(4)가 상호간 조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압착너트(5)의 외곽 테두리가 상기 압착부(40)의 하단에 형성된 자성흡착부(41)에 자성 흡착됨과 동시에 경사지게 돌출된 중앙부가 상기 자성흡착부(41)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정렬홈(42)에 경사진 외면이 안내되며 삽입되어 정렬된 상태에서 하강 및 압착되므로 가압되는 순간에도 지지력이 유지되므로 흐트러짐이 방지되어 각 결합돌기와의 결합시 정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커버몸체부(2), 상기 매쉬부(3) 및 상기 하부커버부(4)의 각 결합돌기(2b,3a)가 각 결합홀(2a,4a)에 삽입되어 상호 가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에 안착 및 정렬되면 상기 압착플레이트(30)의 하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상기 압착부(40)의 하단에 자성 흡착된 상기 압착너트(5)가 각 결합돌기(2b,3a)에 상기 승강수단(20)에 의해 동시에 하강 및 압착되어 결합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1: 차량용 시트 백커버
2: 백커버몸체부 2a: 제1결합홀
2b: 제1결합돌기 3: 매쉬부
3a: 제2결합돌기 4: 하부커버부
4a: 제2결합홀 5: 압착너트
10: 베이스프레임부 12: 안착가이더
20: 승강수단 30: 압착플레이트
31: 승강가이드부 32: 승강레일부
40: 압착부 41: 자성흡착부
42: 가이드정렬홈 90: 제어부

Claims (5)

  1. 복수개의 제1결합홀 및 제1결합돌기가 형성된 백커버몸체부와,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중앙에 배치되되 상기 제1결합홀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 매쉬부와,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결합홀이 형성된 하부커버부를 복수개의 압착너트를 통해 상호 결합하여 차량용 시트 백커버를 제조하도록 구비되는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1결합홀 및 상기 제2결합홀에 각각 삽입되어 각 단부가 상기 백커버몸체부의 전측으로 노출된 가조립 상태에서 상기 백커버몸체부, 상기 매쉬부 및 상기 하부커버부가 안착되도록 안착면이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상부에 연결되되, 실린더장치로서 구비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하부에 연결되되, 상기 차량용 시트 백커버와 대향 배치되는 압착플레이트;
    상기 압착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의 노출된 각 단부에 상기 압착너트가 삽입되어 압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일체로 승강되는 복수개의 압착부; 및
    상기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각 상기 압착부의 길이는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와의 거리에 대응되어 각각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며, 각 상기 압착부의 하단에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링형의 상기 압착너트가 자성 흡착되도록 자성흡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성흡착부는 상기 압착너트의 외곽 테두리가 자성 흡착되도록 링형으로 구비되어 각 상기 압착부의 하단 테두리에 연결되되,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상기 압착너트의 중앙부가 삽입 및 안내되어 정렬되도록, 상기 자성흡착부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가이드정렬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는 상호 가조립된 상기 백커버몸체부 및 상기 하부커버부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안착가이더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가이더의 외면 프로파일은 상호 가조립된 상기 백커버몸체부 및 상기 하부커버부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플레이트의 테두리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승강가이드부와,
    상기 승강가이드부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부 및 상기 압착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레일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KR1020190122466A 2019-10-02 2019-10-02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KR102271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66A KR102271322B1 (ko) 2019-10-02 2019-10-02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66A KR102271322B1 (ko) 2019-10-02 2019-10-02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806A KR20210039806A (ko) 2021-04-12
KR102271322B1 true KR102271322B1 (ko) 2021-06-29

Family

ID=7543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466A KR102271322B1 (ko) 2019-10-02 2019-10-02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105B1 (ko) * 2022-10-21 2023-05-02 (주)삼원 자동차 언더커버 부속체결용 압입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50B1 (ko) 2005-12-30 2007-03-29 경신공업 주식회사 볼트 공급 체결장치
KR200447477Y1 (ko) 2008-01-21 2010-01-26 한일이화주식회사 복합 열융착 및 열풍융착 장치
KR101756589B1 (ko) * 2016-05-17 2017-07-10 주식회사 대일산업 차량용 시트 백커버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KR101759025B1 (ko) * 2016-05-23 2017-07-17 주식회사 대일산업 차량용 시트 백커버 조립장치
KR101926712B1 (ko) 2017-02-10 2018-12-0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후드의 실러 접합을 위한 고주파 유도 가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70Y1 (ko) 2006-05-10 2006-07-20 한일내장(주) 차량용 조립식 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50B1 (ko) 2005-12-30 2007-03-29 경신공업 주식회사 볼트 공급 체결장치
KR200447477Y1 (ko) 2008-01-21 2010-01-26 한일이화주식회사 복합 열융착 및 열풍융착 장치
KR101756589B1 (ko) * 2016-05-17 2017-07-10 주식회사 대일산업 차량용 시트 백커버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KR101759025B1 (ko) * 2016-05-23 2017-07-17 주식회사 대일산업 차량용 시트 백커버 조립장치
KR101926712B1 (ko) 2017-02-10 2018-12-0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후드의 실러 접합을 위한 고주파 유도 가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105B1 (ko) * 2022-10-21 2023-05-02 (주)삼원 자동차 언더커버 부속체결용 압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806A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0549B (zh) 固定元件、装配工具以及装配组件
KR102271322B1 (ko)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KR101668863B1 (ko) 카시트 고정용 래치 어셈블리 조립장치
CN216370934U (zh) 一种汽车扶手座的磁铁压扣装置
US2021022915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molded article
KR101473459B1 (ko) 헤드라이너 공급 셔틀라인
KR101642895B1 (ko)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252690B1 (ko) 시트 쿠션프레임의 연속제조공정을 위한 헤밍장치
KR20160054074A (ko) 방범창틀용 창틀조립장치 및 방범창틀의 조립방법
KR101647211B1 (ko) 가변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CN112317578B (zh) 一种汽车尾门下盖板自动包边装置
KR102253813B1 (ko) 시트 백커버용 멀티융착 제조장치
KR101856879B1 (ko) 자동차 시트용 연결바의 브래킷 결합방법
CN211102578U (zh) 自动压灯罩治具
KR101759025B1 (ko) 차량용 시트 백커버 조립장치
CN110238797B (zh) 一种橡胶弹簧的组装工装
CN211028734U (zh) 一种用于叉车前底板总成组焊的定位工装
CN210547741U (zh) 一种支撑环生产锻压装置
KR102273929B1 (ko) 멀티 체결이 가능한 클램프 조립 자동화 장치
CN208178904U (zh) 一种童车安全扣装配装置
KR100997364B1 (ko) 크로스멤버와 러버 조립 장치
US4194277A (en) Method and device for stamping ball retainers
CN220092642U (zh) 一种圆锥压制机
KR101719900B1 (ko) 금속박판의 엠보싱돌기 성형금형
KR101601929B1 (ko) 전동식 리프트 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