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895B1 -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895B1
KR101642895B1 KR1020160012193A KR20160012193A KR101642895B1 KR 101642895 B1 KR101642895 B1 KR 101642895B1 KR 1020160012193 A KR1020160012193 A KR 1020160012193A KR 20160012193 A KR20160012193 A KR 20160012193A KR 101642895 B1 KR101642895 B1 KR 101642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steel plate
iron plate
guide groov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영
Original Assignee
(주)동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테크 filed Critical (주)동화테크
Priority to KR102016001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8Wheel-ballasting weights; Thei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판을 용이하게 분할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는, 상면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철판이 배치되는 하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강시 상기 안내홈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철판의 일부를 가압 절개하여 상기 안내홈으로 절곡 삽입시키는 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터에 의해 상기 철판에 형성된 절개선에 의해 상기 철판은 다수개의 중량본체로 분할되고, 각각의 중량본체는 유연한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커터에 의해 절곡된 상기 철판은 상기 상부금형의 하강에 의해 가압되어 평평하게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MANUFACTURING APPARATUS OF WHEEL BALANCE WEIGHT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판을 용이하게 분할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휠은 차량 주행 시 타이어의 중량분포에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타이어의 마모와 연료소모가 심해지면서 바퀴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타이어의 중량분포 불균형은 핸들의 떨림 현상과 연비를 악화시키기도 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러한 차량 타이어 휠의 정적 밸런스와 동적 밸런스를 보정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 차량용 휠 밸런스웨이트이다.
따라서 차량용 휠 밸런스웨이트는 휠의 중량이 집중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면으로 밸런스 편차 중량을 갖는 휠 밸런스웨이트가 부착되게 함으로써 무게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차량용 휠 밸런스웨이트는 과거 주로 납을 소재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의 더욱 강화된 환경유해물질 제한으로 철 등의 금속의 소재로 대체되고 있다.
차량에서 휠의 원주면에 부착되는 휠 밸런스웨이트의 무게는 보정값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보정값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의 무게 조정이 용이하도록 휠 밸런스웨이트는 일정무게의 금속이 하나의 단위 웨이트를 이루면서 일정갯수가 연접 성형되도록 하고, 필요한 갯수만큼의 단위 웨이트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차량용 휠에 접착제 특히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휠 밸런스 웨이트는 그 제조과정에서 많은 재료가 낭비되고 있다.
또한, 철판을 다수개의 웨이트로 분할하기 위해,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펀칭과정에서 철판의 하면에는 버(burr)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철판의 상면과 하면을 일일이 구분한 후 버가 형성된 하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93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889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휠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과정에서 재료의 낭비가 거의 없고, 또한 철판의 상면과 하면에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철판의 상면과 하면의 구분없이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는, 상면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철판이 배치되는 하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강시 상기 안내홈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철판의 일부를 가압 절개하여 상기 안내홈으로 절곡 삽입되는 절곡부위를 형성하는 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터에 의해 상기 철판에는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에 의해 상기 철판은 다수개의 중량본체로 분할되고, 각각의 중량본체는 유연한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철판의 절곡부위는 상기 상부금형의 하강에 의해 가압되어 평평하게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다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하부다이의 상부면 배치된 상기 철판을 상승시키는 철판승강부와; 상기 철판을 미리 설정된 일정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철판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철판승강부 및 철판이동부에 의해 상기 안내홈에서 이탈된 상기 철판의 절곡부위는 상기 상부금형의 하강에 의해 가압되어 평평하게 전개된다.
다수개의 상기 중량본체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를 상부와 하부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부를 상기 절개선의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업셋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업셋부에 의한 상기 연결부의 확장에 의해, 상기 절개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중량본체가 서로 멀어진다.
상기 커터의 하면에는 양측보다 중심부가 더 높게 위치한 형상의 절곡면부가 형성되되, 상기 커터의 하강시 상기 절곡면부에 의해 상기 철판에는 상기 절곡면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이격된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면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면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절곡복원블럭과; 상기 절곡복원블럭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곡복원블럭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터의 하강시 상기 철판의 절곡부위에 의해 상기 절곡복원블럭은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하강되고, 상기 커터의 상승시 상기 절곡복원블럭은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철판의 절곡부위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전개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은, 상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하부다이와, 커터가 승강되게 장착된 상부금형 사이에 철판을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상기 커터의 하강에 의해 상기 철판을 가압 절개하면서 상기 안내홈으로 절곡 삽입시켜 상기 철판을 상기 커터에 의해 형성된 절개선에 의해 다수개의 중량본체로 분할하는 분할단계와; 상기 철판을 상승시켜 전진시키는 상승 및 이동단계와; 상기 커터에 의해 절곡된 상기 철판을 평평하게 전개시키는 가압단계와; 다수개의 상기 중량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상부와 하부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부를 상기 절개선의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업셋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의 하강시 상기 철판에는 상기 절개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는, 상술한 제조장치 또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철판을 펀칭이 아닌 절단 및 절곡에 의해 중량본체로 분할하기 때문에, 휠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과정에서 재료의 낭비가 거의 없다.
또한 커터에 의해 철판을 절단하기 때문에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커터에 의해 중량본체를 형성한 후 상부금형의 하강에 의해 철판을 누르기 때문에 철판의 하면에 형성된 버(burr)도 제거할 수 있어, 작업자가 철판의 상면과 하면의 구분없이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의 상부금형과 하부다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의 투입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의 분할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할단계를 마친 상태에서의 철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의 상승 및 이동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의 가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의 업셋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10)과, 접착테이프(20)와, 이형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철판(10)은 중량본체(11)와 연결부(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량본체(11)와 연결부(13)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량본체(11)는 상기 철판(10)이 절개되면서 다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본실시예에서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중량본체(11)는 절개선(12)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절개선(12)은 상기 중량본체(11)의 양측에서 각각 두개씩 형성되고, 어느 일측에 형성된 두개의 절개선(12)은 상기 연결부(13)를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상호 이격되어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중량본체(11)를 기준으로 양측에 2개씩 총 4개의 절개선(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절개선(12)은 모두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이웃한 중량본체(11)는 상기 절개선(12)에 의해 상호 분할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3)는 각각의 중량본체(11)를 상호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부(13)를 유연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13)는 단면이 대략 'W'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절곡이 유연하게 잘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부(1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3)는 상기 절개선(12)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서 형성되는 것으로써, 각각의 중량본체(11)의 중심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연결부(13)가 'W'형상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13)를 그 길이가 확장되어, 상기 절개선(12)을 기준으로 이웃한 중량본체(11) 사이의 간격을 좀 더 멀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상기 연결부(13)에 의해 다수개의 상기 중량본체(11)를 휘어지게 배치하거나,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테이프(20)는 상기 철판(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형지(30)는 상기 접착테이프(20)의 하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형지(30)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접착테이프(20)의 하면을 자동차용 휠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는, 아래와 같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의 상부금형(60)과 하부다이(5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의 투입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의 분할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할단계를 마친 상태에서의 철판(1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의 상승 및 이동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의 가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의 업셋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는, 하부다이(50), 상부금형(60)과, 커터(65), 철판승강부(70), 철판이동부(미도시), 업셋부(8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다이(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안내홈(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다이(50)의 상면에는 휠 밸런스 웨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철판(10)이 배치된다.
상기 안내홈(51)에는 절곡복원블럭(52)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절곡복원블럭(52)의 하부에는 상기 절곡복원블럭(52)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금형(60)은 상기 하부다이(5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금형(60)이 상기 하부다이(5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조 및 구성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면 충분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터(65)는 상기 상부금형(6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커터(65)는 상기 상부금형(60)에서 상기 상부금형(6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커터(65)는 상기 상부금형(60)과 함께 승강되면서도, 상기 상부금형(60)과 별도로 승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터(65)는 하강시 상기 하부다이(50)에 형성된 상기 안내홈(51)에 삽입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51)의 상부에 철판(10)이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커터(65)의 하강시 상기 커터(65)는 상기 철판(10)의 일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안내홈(51)에 삽입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판(10)의 일부는 상기 커터(65)가 가압함에 따라 일부가 가압 절개되어, 상기 안내홈(51)으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절곡부위(15)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터(65)의 하강시 상기 철판이 절곡되면서 상기 절곡부위(15)에 의해 상기 안내홈(51)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절곡복원블럭(52)은 상기 스프링(53)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커터(65)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절곡복원블럭(52)은 상기 스프링(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철판의 절곡부위(15)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일부 전개시키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절곡복원블럭(52)과 스프링(53)은 생략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커터(65)의 하강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판(10)은 절개되면서 절개선(1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12)에 의해 상기 철판(10)은 다수개의 상기 중량본체(11)로 분할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터(65)에 의해 절개되지 않은 부위는 상기 연결부(13)를 형성하면서 다수개의 상기 중량본체(11)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상기 철판(10)을 다수개의 중량본체(11)로 분할하는 상기 커터(6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양측보다 중심부가 더 높게 위치한 형상의 절곡면부(6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면부(66)는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절곡면부(66)에 의해 상기 커터(65)의 하강시 상기 철판(10)에는 상기 절곡면부(66)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이격된 상기 절개선(12)이 형성되면서, 상기 중량본체(11)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면부(66)의 중심부에서는 상기 절개선(12)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상기 중량본체(11)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13)가 형성된다.
위와 같은 형상을 갖는 상기 커터(65)의 하강에 의해 형성된 상기 중량본체(11)는 초기에 상기 절곡면부(66)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절곡부위(15)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51)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 철판승강부(70)는 상기 하부다이(5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하부다이(50)의 상부면 배치된 상기 철판(10)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판승강부(7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안내홈(51)에 삽입된 상기 철판(10)의 절곡부위(15)를 상기 안내홈(51)으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복원블럭(52) 및 스프링(53)에 의해 상기 절곡부위(15)가 상방향으로 일부 전개되었기 때문에, 상기 철판승강부(70)는 상기 철판(10)을 조금만 상승시켜도 상기 안내홈(51)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철판이동부(미도시)는 상기 철판(10)을 미리 설정된 일정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철판이동부에 의해 상기 철판(10)은 지속적으로 일정거리만큼 전진하면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철판이동부는 롤러, 슬라이딩핀 등 다양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어떤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종래의 공지된 구성 및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다.
위와 같이 상기 철판승강부(70)와 철판이동부는 필요에 따라 없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작업자가 상기 철판(10)을 올려주거나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철판승강부(70) 및 철판이동부에 의해 상기 안내홈(51)에서 이탈된 상기 철판(10)의 절곡부위(1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60)의 하강에 의해 가압되어 평평하게 전개된다.
이때, 상기 커터(65)에 의해 철판(10)의 절단시 상기 철판(10)의 하면에 발생하는 버(burr)는 상기 상부금형(60)의 하강에 의해 가압하여 제거되게 된다.
상기 업셋부(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상기 중량본체(11)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13)를 상부와 하부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부(13)를 상기 절개선(12)의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업셋부(80)는 상부에 형성된 상부핀이 상기 연결부(13)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고, 그 후 연결부(13)가 일정거리 이동하면 하부에 형성된 하부핀이 상기 연결부(13)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업셋부(80)에 의해 상기 연결부(13)는 'W'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연한 구조를 갖게 되며, 이러한 업셋부(80)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업셋부(80)에 의한 상기 연결부(13)의 확장에 의해, 상기 절개선(12)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중량본체(11)가 서로 멀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제조장치에 의해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제조방법은, 투입단계와, 분할단계와, 상승 및 이동단계와, 가압단계와, 업셋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다이(50)와 상부금형(60) 사이에 철판(10)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다이(50)에는 상기 안내홈(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금형(60)에는 상기 커터(6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투입단계에서 상기 철판(10)은 상기 안내홈(51)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분할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51)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철판(10)을 상기 커터(65)의 하강에 의해 가압 절개하여 상기 철판(10)을 중량본체(11)로 분할하는 단계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60)이 하강하여 상기 철판(10)을 상기 하부다이(50)와의 사이에 가압하여 상기 철판(1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커터(65)가 상기 상부금형(60)과 독립적으로 더 하강하여 상기 철판(10)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상기 철판(10)은 일부가 절개되면서 상기 안내홈(51)으로 절곡 삽입되는 상기 절곡부위(15)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철판(10)에는 상기 커터(65)에 의해 상기 절개선(1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12)에 의해 상기 철판(10)은 중량본체(11)로 분할되게 된다.
상기 커터(65)의 하강시 상기 철판(10)이 절곡되면서 상기 절곡부위(15)에 의해 상기 안내홈(51)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절곡복원블럭(52)은 상기 스프링(53)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65)가 상승하게 되면, 하강된 상기 절곡복원블럭(52)은 상기 스프링(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철판의 절곡부위(15)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방향으로 일부 전개시키게 된다.
이러한 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철판(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선(12)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상기 연결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상승 및 이동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아 같이 상기 안내홈(51)에 삽입된 상기 철판(10)의 절곡부위(15)가 상기 안내홈(5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철판(10)을 상승시켜 전진시키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철판승강부(70)가 상기 철판(10)을 상승시켜 상기 절곡부위(15)를 상기 안내홈(51)에서 이탈시키고, 미도시된 철판이동부에 의해 상기 철판(10)을 일정거리만큼 전진시키도록 하였습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복원블럭(52) 및 스프링(53)에 의해 상기 절곡부위(15)가 상방향으로 일부 전개되었기 때문에, 상기 철판승강부(70)는 상기 철판(10)을 조금만 상승시켜도 상기 안내홈(51)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승 및 이동단계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단계는 상기 커터(65)에 의해 절곡된 상기 철판(10) 자세하게는 상기 절곡부위(15)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전개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상기 상부금형(60)이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금형(60)과 하부다이(5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절곡부위(15)를 눌러, 상기 절곡부위(15)가 평평한 중량본체(11)로 전개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철판(10)에서 상기 중량본체(11)가 계속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중량본체(11)의 단폭과 상기 철판(10)의 이동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동일 시간에, 일부과정에서는 상기 철판(10)을 절개 및 절곡시키고, 동시에 다른곳에서는 상기 절곡부위(15)를 평평하게 전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업셋단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셋부(80)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상기 중량본체(11)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13)를 상부와 하부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부(13)를 'W'자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절개선(12)의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고, 동시에 연결부(13)를 유연하게 만드는 단계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중량본체(11) 및 연결부(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에 접착테이프(20) 및 이형지(30)를 부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휠 밸런스 웨이트의 완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과정은 1개의 중량본체(11)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의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상기 중량본체(11)가 상기 연결부(13)를 통해 연속하여 연결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철판(10)을 일정면적으로 뚫어내는 펀칭기술이 아닌 커터(65)를 이용하여 철판(10)을 절단 및 절곡하기 때문에, 종래의 펀칭시 발생하는 재료의 낭비가 없다.
또한, 커터(65)에 의해 철판(10)을 절단하기 때문에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절단시 하면에 발생한 버(burr) 조차도 상부금형(60)의 하강에 의해 가압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철판(10)의 상면과 하면의 구분없이 양면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철판, 11 : 중량본체, 12 : 절개선, 13 : 연결부, 15: 절곡부위,
20 : 접착테이프, 30 : 이형지,
50 : 하부다이, 51 : 안내홈, 52 : 절곡복원블럭, 53 : 스프링,
60 : 상부금형, 65 : 커터, 66 : 절곡면부,
70 : 철판승강부,
80 : 업셋부.

Claims (9)

  1. 상면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철판이 배치되는 하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강시 상기 안내홈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철판의 일부를 가압 절개하여 상기 안내홈으로 절곡 삽입되는 절곡부위를 형성하는 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터에 의해 상기 철판에는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에 의해 상기 철판은 다수개의 중량본체로 분할되고, 각각의 중량본체는 유연한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철판의 절곡부위는 상기 상부금형의 하강에 의해 가압되어 평평하게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하부다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하부다이의 상부면 배치된 상기 철판을 상승시키는 철판승강부와;
    상기 철판을 미리 설정된 일정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철판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철판승강부 및 철판이동부에 의해 상기 안내홈에서 이탈된 상기 철판의 절곡부위는 상기 상부금형의 하강에 의해 가압되어 평평하게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중량본체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를 상부와 하부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부를 상기 절개선의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업셋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업셋부에 의한 상기 연결부의 확장에 의해, 상기 절개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중량본체가 서로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하면에는 양측보다 중심부가 더 높게 위치한 형상의 절곡면부가 형성되되,
    상기 커터의 하강시 상기 절곡면부에 의해 상기 철판에는 상기 절곡면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이격된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면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절곡복원블럭과;
    상기 절곡복원블럭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곡복원블럭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터의 하강시 상기 철판의 절곡부위에 의해 상기 절곡복원블럭은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하강되고,
    상기 커터의 상승시 상기 절곡복원블럭은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철판의 절곡부위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7. 상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하부다이와, 커터가 승강되게 장착된 상부금형 사이에 철판을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상기 커터의 하강에 의해 상기 철판을 가압 절개하면서 상기 안내홈으로 절곡 삽입시켜 상기 철판을 상기 커터에 의해 형성된 절개선에 의해 다수개의 중량본체로 분할하는 분할단계와;
    상기 철판을 상승시켜 전진시키는 상승 및 이동단계와;
    상기 커터에 의해 절곡된 상기 철판을 평평하게 전개시키는 가압단계와;
    다수개의 상기 중량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상부와 하부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부를 상기 절개선의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업셋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하강시 상기 철판에는 상기 절개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
  9. 삭제
KR1020160012193A 2016-02-01 2016-02-01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4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193A KR101642895B1 (ko) 2016-02-01 2016-02-01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193A KR101642895B1 (ko) 2016-02-01 2016-02-01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895B1 true KR101642895B1 (ko) 2016-07-26

Family

ID=5668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193A KR101642895B1 (ko) 2016-02-01 2016-02-01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8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04B1 (ko) 2016-10-14 2017-03-09 김낙현 차량 타이어용 휠 밸런스 웨이트
CN108556559A (zh) * 2018-04-18 2018-09-21 保隆(安徽)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整体粘贴式车轮平衡块及其成型工艺
KR20180106629A (ko) * 2017-03-21 2018-10-01 이호진 자동차 휠 밸런스 웨이트용 소재 모듈화 장치
KR20180106627A (ko) 2017-03-21 2018-10-01 이호진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892B1 (ko) 2005-07-27 2006-09-27 (주)동화테크 자동차 타이어용 휠 밸런스 웨이트
KR101023534B1 (ko) * 2010-04-05 2011-03-21 신영민 휠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89326B1 (ko) 2014-01-22 2014-04-25 백인태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892B1 (ko) 2005-07-27 2006-09-27 (주)동화테크 자동차 타이어용 휠 밸런스 웨이트
KR101023534B1 (ko) * 2010-04-05 2011-03-21 신영민 휠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89326B1 (ko) 2014-01-22 2014-04-25 백인태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04B1 (ko) 2016-10-14 2017-03-09 김낙현 차량 타이어용 휠 밸런스 웨이트
KR20180106629A (ko) * 2017-03-21 2018-10-01 이호진 자동차 휠 밸런스 웨이트용 소재 모듈화 장치
KR20180106627A (ko) 2017-03-21 2018-10-01 이호진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시스템
KR101950965B1 (ko) 2017-03-21 2019-02-22 이호진 자동차 휠 밸런스 웨이트용 소재 모듈화 장치
KR101970704B1 (ko) 2017-03-21 2019-04-22 이호진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시스템
CN108556559A (zh) * 2018-04-18 2018-09-21 保隆(安徽)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整体粘贴式车轮平衡块及其成型工艺
CN108556559B (zh) * 2018-04-18 2020-04-24 安徽拓扑思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整体粘贴式车轮平衡块及其成型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895B1 (ko)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RU2627833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штампованных элементов и штамп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3008451B (zh) 一种汽车托臂组件加工工艺
JP4972374B2 (ja) プレス加工装置およびプレス加工方法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JP4781380B2 (ja) プレス加工装置及びプレス加工方法
CN104220184B (zh) 由金属板制至少局部闭合的型材或管状构件的装置和方法
JP6050382B2 (ja) 殻形部品の絞り加工動作の間に下部領域およびフレーム領域で切断が行われる深絞り加工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05945149A (zh) 一种u形板的冲压模具
KR101352511B1 (ko) 범퍼 빔 금형 장치 및 범퍼 빔 제조 방법
KR101647211B1 (ko) 가변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1252690B1 (ko) 시트 쿠션프레임의 연속제조공정을 위한 헤밍장치
JP6355128B2 (ja) プレス成形方法
KR20200033528A (ko) 전철 창틀 성형방법
KR101733168B1 (ko) 프레스용 금형장치
CN205309080U (zh) 用于料带的切边冲孔模具
KR102169380B1 (ko) 자동차 내장재 벤딩장치 및 방법
JP2554768B2 (ja) フランジ成形用金型
CN106077278B (zh) 将板形工件的工件部分间的连接筋压力成形的装置和方法
KR20150062028A (ko) 차량용 시트레일 성형용 프레스 가공장치.
CN106925671A (zh) 冲压模具及使用该冲压模具的冲压方法
CN110496873B (zh) 一种汽车靠背侧板激光焊接面的冲压模及其加工方法
CN211191488U (zh) 一种整形机
KR20130134435A (ko) 챔퍼링 장치와 챔퍼링 방법 그리고 챔퍼링 방법이 적용된 프레스 가공 방법
KR101811555B1 (ko) 압축 성형품의 버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