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745B1 -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745B1
KR102270745B1 KR1020187034575A KR20187034575A KR102270745B1 KR 102270745 B1 KR102270745 B1 KR 102270745B1 KR 1020187034575 A KR1020187034575 A KR 1020187034575A KR 20187034575 A KR20187034575 A KR 20187034575A KR 102270745 B1 KR102270745 B1 KR 10227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ribbon
plate
glass
mark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899A (ko
Inventor
마사오 츠카다
사카에 유노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5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운드로우 법에 의해 연속 성형되는 유리 리본(2)에, 그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마킹 라인(4)을 형성하는 마킹 수단(3)을 구비한 유리판(2a)의 제조방법으로서, 마킹 수단(3)은, 유리 리본(2)의 일면 측에 폭방향에 걸쳐 접촉하는 접촉면(3a1)을 가지는 정반(3a)과, 정반(3a)의 접촉면(3a1)에 유리 리본(2)을 가압하면서 그 타면 측에 마킹 라인(4)을 형성하는 마킹 블레이드(3b)를 구비하며, 정반(3a)의 접촉면(3a1)에 대전 방지 부재(3c)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0001] 본 발명은, 유리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다운드로우(Downdraw) 법에 의해 연속 성형되어 하방으로 유도되는 유리 리본에 마킹 라인(marking line, 刻線)을 형성하는 수단을 가지는 유리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이하, 단순히 'FPD'라고도 한다)용 유리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유리판을 제조하는 수법으로서, 예컨대 용융 유리를 하방으로 끌어내어 성형하는 다운드로우 법이 알려져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컨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Overflow Downdraw) 법이나 슬롯 다운드로우(Slot Downdraw) 법을 들 수 있다.
[0003]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 법은, 용융 유리를 내화물로 이루어진 성형체의 양측으로부터 넘쳐 흐르게 하고 성형체의 하단(下端)에서 합류시켜, 유리 리본으로서 하방으로 끌어내는 수법이다. 한편, 슬롯 다운드로우 법은, 용융 유리를 내화물의 바닥부에 형성된 긴 구멍 형상의 슬롯으로부터 유출시켜, 유리 리본으로서 하방으로 끌어내는 수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연속 성형되는 유리 리본을 소정의 크기로 분리함으로써, 유리판이 제작된다.
[0004] 이와 같이 연속하여 성형되어 하방으로 유도되는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판을 분리할 경우에는, 예컨대, 유리 리본의 이동과 동기(同期)하는 이동식의 스코어링(scoring) 장치에 의해, 유리 리본의 일방의 면 측에 정반(定盤)을 접촉시키고, 또한 유리 리본의 타방의 면 측에 마킹 블레이드(marking blade, 刻設刃)에 의해 마킹 라인을 형성하는(이하, '마킹(marking, 刻設) 공정'이라고도 칭함) 동시에, 이 마킹 라인으로 구획된 유리판의 분리 영역을 흡착 수단에 의해 유지하며, 유리 리본에 굽힘 모멘트를 작용시켜 마킹 라인으로 꺾어 분할함으로써,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판을 분리시켜 꺼낸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0005]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137930호
[0006] 그런데, 상기의 마킹 공정에 있어서, 유리 리본에 접촉되는 정반은, 유리 리본의 폭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유리 리본에 대한 접촉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그 재질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례이다.
[0007] 마킹 공정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 리본의 일면 측에 금속제의 정반의 평탄한 접촉면을 접촉시키고, 그 접촉면을 따르도록 마킹 블레이드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정반에 접촉된 유리 리본이, 정전기의 대전에 기인하여 정반에 부착된 채인 상태가 되어, 정반이 유리 리본으로부터 떨어지려고 할 때에, 유리 리본에 파손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금속제의 정반의 접촉면이 유리 리본에 직접 접촉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여, 유리 리본이 손상을 입을 우려도 있었다.
[0008] 이상의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운드로우 법에 의해 연속 성형되는 유리 리본에 대하여, 마킹 공정에 있어서 유리 리본이 정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리 리본에 손상을 주지 않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0009]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유리판의 제조방법은, 다운드로우 법에 의해 연속 성형되어 하방으로 유도되는 유리 리본에, 그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마킹 라인을 형성하는 마킹 수단을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마킹 수단은, 상기 유리 리본의 일면 측에 폭방향에 걸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정반과, 상기 정반의 접촉면에 상기 유리 리본을 가압하면서 그 타면 측에 상기 마킹 라인을 형성하는 마킹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정반의 접촉면에 대전 방지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0010]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정반의 접촉면에 대전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다운드로우 법에 의해 성형된 유리 리본에 대해서 마킹 라인을 형성할 때에, 정전기의 대전에 기인하여 유리 리본이 정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반이 유리 리본으로부터 떨어질 때에 유리 리본이 파손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리본에 대하여 마킹 라인을 적정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판을 양호하게 분리, 취출(取出)할 수 있게 된다.
[0011] 상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금속판이고, 상기 대전 방지 부재는 시트 형상의 대전 방지 시트이며, 상기 대전 방지 시트가 상기 정반의 접촉면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2]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하고 용이하게, 정반에 대해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할 수가 있다.
[0013] 상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 시트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4] 이와 같이 하면, 유리 리본의 일면 측에 정반을 접촉시키고 또한 유리 리본의 타면 측에 마킹 블레이드에 의해 마킹 라인을 형성할 때에, 적당한 완충(cushion)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마킹 공정에 있어서 정반과의 접촉에 의해 유리 리본이 손상될 우려가 없어, 보다 양호한 마킹 라인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0015] 상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 시트의 두께는, 0.2㎜~5㎜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6] 이와 같이 하면, 유리 리본에 대해 양호한 마킹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완충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0017] 상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반의 상기 유리 리본의 흐름 방향의 폭은, 5㎜~30㎜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8] 이와 같이 하면, 유리 리본에 접촉하는 정반의 폭을 가급적 좁게 할 수 있어, 유리 리본의 표면 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0019] 상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리본을 유지하고, 상기 마킹 라인을 벌리도록 상기 유리 리본에 굽힘 응력을 부여하는 분리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유리 리본의 두께가 0.4㎜ 이하이고, 상기 마킹 수단은, 상기 유리 리본에 상기 마킹 라인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정반을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떨어져 나오게(離反) 하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정반을 떨어져 나오게 한 후에, 상기 유리 리본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0] 유리 리본의 두께가 0.4㎜ 이하 등으로 얇은 경우에는, 유리 리본에 발생하는 주름을 펴도록 마킹 블레이드가 마킹 라인을 형성하게 되기 때문에, 마킹 라인의 형성보다 먼저 분리 수단이 유리 리본을 유지하면 유리 리본이 파손되기 쉬워진다. 한편, 분리 수단이 유리 리본을 유지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정반이 유리 리본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면, 유리 리본의 하단부가 자유로운(free)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정전기의 대전에 기인하는 정반에 대한 유리 리본의 부착의 문제가 보다 현저해진다. 따라서, 상기 구성과 같이, 정반의 접촉면에 대전 방지 부재를 가짐으로써, 유리 리본의 하단부가 자유로운 상태였다 하더라도, 정전기의 대전에 기인하여 유리 리본이 정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리 리본의 하단부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002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유리판의 제조장치는, 다운드로우 법에 의해 연속 성형되어 하방으로 유도되는 유리 리본에, 그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마킹 라인을 형성하는 마킹 수단을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장치로서, 상기 마킹 수단은, 상기 유리 리본의 일면 측에 폭방향에 걸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정반과, 상기 정반의 접촉면에 상기 유리 리본을 가압하면서 그 타면 측에 상기 마킹 라인을 형성하는 마킹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정반의 접촉면에 대전 방지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2]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미 기술한 대응하는 구성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0023] 본 발명의 유리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운드로우 법에 의해 성형된 유리 리본에 대해 마킹 라인을 형성할 때에, 정전기의 대전에 기인하여 유리 리본이 정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 리본이 파손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리본에 대해 마킹 라인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어,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판을 양호하게 분리, 취출할 수 있게 된다.
[0024]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유리판의 제조방법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제조방법의 분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제조방법의 분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0025]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0026]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구현화하는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유리판의 제조장치(1; 이하, 단순히 제조장치(1)라 기재한다)는, 도면 밖의 상방에 배치되고, 또한 예컨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 법을 실시하도록 용융 유리를 흘러 넘치게 하는 성형체를 가지며, 이 성형체로부터 흘러 내린 용융 유리는, 서서히 고화(固化)됨에 따라 대략 수직 하방으로 연속된 상태로 이동하는 유리 리본(2)이 되는 동시에, 상기 유리 리본(2)의 표면에는, 미리 설정된 높이 위치에서, 마킹 수단(3)에 의해 마킹 라인(4)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또한, 본 제조장치(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킹 수단(3)의 하방에 배치되고 또한 유리 리본(2)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의 소정 영역을 상기 마킹 라인(4)으로 꺾어 분할하여 유리판(2a)으로서 분리하는 분리 수단(5)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도 2, 도 3 참조).
[0027] 상기 마킹 수단(3)은, 유리 리본(2)의 이면(裏面)에 접촉되고, 또한 유리 리본(2)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길이가 긴 정반(3a)과, 이 정반(3a)에 유리 리본(2)을 가압하면서 유리 리본(2)의 표면에 폭방향에 걸쳐 마킹 라인(4)을 형성하는 마킹 블레이드(3b)를 구비하고 있다.
[0028] 정반(3a)에는, 유리 리본(2)의 이면 측(일면 측)에 폭방향에 걸쳐 접촉하는 접촉면(3a1)이 설치된다. 그리고, 마킹 블레이드(3b)는, 접촉면(3a1)에 유리 리본(2)을 가압하면서, 그 표면 측(타면 측)에 마킹 라인(4)을 형성한다.
[0029]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정반(3a)의 접촉면(3a1)에, 대전 방지 부재(3c)로서, 예컨대, 시트 형상 수지인 MC나일론(MCNYLON; 등록상표), 팔로니아(PAULOWNIA; 등록상표) 혹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1㎜의 탄성 시트 등이 부착되어 있다. 탄성 시트는, 탄성변형 가능한 부재(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경도(硬度)를 가지고 있다.
[0030] 그리고, 탄성 시트는 정반(3a)의 접촉면(3a1)에 양면 테이프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이로써, 정반(3a)이 유리 리본(2)의 일방의 면 측에 접촉하고, 유리 리본(2)의 타방의 면 측에 마킹 블레이드(3b)에 의해 마킹 라인(4)을 형성하는 마킹 공정에 있어서, 정반(3a)과 유리 리본(2)의 사이에서 정전기에 의한 대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반(3a)이 유리 리본(2)으로부터 떨어지려고 할 때에 양자의 원활한 이격(離隔)을 달성할 수가 있다. 또 마킹 공정에 있어서, 마킹 블레이드(3b)에 의해 유리 리본(2)에 마킹 라인(4)을 형성할 때에, 적당한 완충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정반(3a)과의 접촉에 의해 유리 리본(2)이 손상을 입을 우려가 없어, 보다 양호한 마킹 라인(4)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0031] 대전 방지 부재(3c)의 두께는, 0.2㎜~5㎜인 것이 바람직하고, 0.5~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유리 리본에 대해서 양호한 마킹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완충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0032] 정반(3a)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반(3a) 자체를 막대 형상의 고무 등의 대전 방지 부재 자체로 제작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양호한 대전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정반(3a) 자체를 고무 등으로 형성하면 금속에 비해 강성(剛性)이 떨어지기 때문에, 마킹 블레이드(3b)에 의해 마킹 라인(4)을 형성할 때의 가압에 의해, 정반(3a)이 휘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정반(3a)에 대해서는 금속판으로 제작함으로써 강성을 확보하고, 그 접촉면(3a1)에 대전 방지 시트를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0033] 정반(3a)의 유리 리본(2)의 흐름 방향에 대한 폭(w)은, 5㎜~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리본(2)에 접촉하는 정반(3a)의 폭을 가급적 좁게 할 수 있어, 유리 리본(2)의 표면 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0034] 유리 리본(2)의 두께는,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3㎜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유리 리본(2)의 두께가 얇을수록 정반(3a)의 부착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본 발명의 대전 방지 부재(3c)의 효과가 유리 리본(2)의 두께가 보다 얇을수록 발휘된다.
[0035] 정반(3a) 및 마킹 블레이드(3b)는,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유지되는 동시에, 그 하이동(下動) 속도는 유리 리본(2)의 하강 속도와 동일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양자의 속도가 동일해져 있을 때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 리본(2)에 마킹 라인(4)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또, 양자는, 마킹 작업이 종료된 후, 유리 리본(2)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면서, 미리 설정된 초기 위치로 상이동(上動)하면서 복귀한다.
[0036] 분리 수단(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리본(2)의 마킹 라인(4)이 형성된 면의 반대 측의 면에 접촉되는 지점(支点) 부재(5a)와, 지점 부재(5a)(마킹 라인(4))보다 하방에서 유리 리본(2) 내지 유리판(2a)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5b)을 구비하고 있다.
[0037] 지점 부재(5a)는, 유리 리본(2)에 마킹 라인(4)이 형성된 후, 정반(3a)과 교체되도록 하여, 그 하단면(5a1)을 마킹 라인(4)이 형성된 위치에 합치시킨 상태에서 유리 리본(2)의 폭방향을 따라 접촉된다. 또, 지지 수단(5b)은, 유리 리본(2) 내지 유리판(2a)의 폭방향의 일단부 측과 타단부 측에 있어서 각각 설치되는 동시에, 유리 리본(2) 내지 유리판(2a)의 안팎면(表裏面)에 접촉하여 끼움지지(挾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0038] 지지 수단(5b)은, 유리 리본(2)으로부터 유리판(2a)을 분리할 때에, 지점 부재(5a)를 중심으로 하여 도 3에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유리 리본(2)의 면과 직교하는 면 내에서) 회동(回動)하며, 유리 리본(2)에 대해 마킹 라인(4)이 형성된 표면으로부터 그 이면 측을 향해 마킹 라인(4)을 벌리도록 꺾어 분할하는 힘을 작용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유리 리본(2)으로부터 분리된 유리판(2a)은, 지지 수단(5b)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후속 공정으로 유리판(2a)을 반송하는 도면 밖의 반송 수단에 인도되게 되어 있다.
[0039] 지점 부재(5a) 및 지지 수단(5b)은,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유지되는 동시에, 그 하이동(下動) 속도는 유리 리본(2)의 하강 속도와 동일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양자의 속도가 동일해져 있을 때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 리본(2)으로부터 유리판(2a)을 분리하게 되어 있다. 또, 양자는, 분리 작업이 종료된 후(지지 수단(5b)은, 반송 수단에 유리판(2a)을 인도한 후), 유리 리본(2)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면서, 미리 설정된 초기 위치로 상이동하면서 복귀하게 되어 있다.
[0040] 또한, 지지 수단(5b)으로서는, 유리 리본(2)의 표리면의 어느 일방(一方)으로부터 유리 리본(2)을 진공 흡착하여 지지하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0041] 제조장치(1)는, 마킹 수단(3)이 마킹 라인(4)을 형성한 후, 정반(3a)을 유리 리본(2)으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한 후에, 분리 수단(5)(지지 수단(5b))이 유리 리본(2)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리본의 두께가 0.4 ㎜이하로 매우 얇은 경우에는, 유리 리본(2)에 발생하는 주름을 펴도록 마킹 블레이드(3b)가 마킹 라인(4)을 형성하게 된다. 마킹 라인(4)의 형성보다 먼저 분리 수단(5)이 유리 리본(2)을 지지하면, 주름이 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유리 리본(2)이 파손되기 쉬워진다. 한편, 분리 수단(5)이 유리 리본(2)을 지지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정반(3a)이 유리 리본(2)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면, 유리 리본(2)의 하단부가 자유로운(free)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정전기의 대전에 기인한 정반(3a)의 유리 리본(2)에 대한 부착의 문제가 보다 현저해진다. 따라서, 상기 구성과 같이, 정반(3a)의 접촉면(3a1)에 대전 방지 부재(3c)를 가지기 때문에, 유리 리본(2)의 하단부가 자유로운 상태였다 하더라도, 정전기의 대전에 기인하여 유리 리본(2)이 정반(3a)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리 리본(2)의 하단부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0042]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제조장치(1)에 의하면, 정반(3a)의 접촉면(3a1)에 대전 방지 부재(3c)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다운드로우 법에 의해 성형된 유리 리본(2)에 대해 마킹 라인(4)을 형성할 때에, 정전기의 대전에 기인하여 유리 리본(2)이 정반(3a)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반(3a)이 유리 리본(2)으로부터 떨어질 때에 유리 리본(2)이 파손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리본(2)에 대해서 마킹 라인(4)을 적정하게 형성할 수 있어, 유리 리본(2)으로부터 유리판(2a)을 양호하게 분리, 취출할 수 있게 된다.
[0043]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유리 리본(2)에, 평탄한 형상의 접촉면(3a1)을 가지는 정반(3a)을 접촉한 상태에서, 마킹 블레이드(3b)에 의해 마킹 라인(4)을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마킹 수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폭방향으로 만곡된 유리 리본에, 이 만곡에 대응한 곡면(예컨대,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촉면을 갖는 정반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마킹 블레이드에 의해 만곡을 따르듯이 마킹 라인(4)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0044]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반(3a)과 지점 부재(5a)가 별개의 개체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지점 부재(5a)를 생략하고, 정반(3a)이 지점 부재(5a)의 역할을 겸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마킹 작업이 종료된 후, 정반(3a)의 하단면을, 마킹 라인(4)을 형성한 위치에 합치시켜, 재차 위치결정을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0045]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장치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유리판을 제조할 때에 이용할 수가 있다.
[0046] 1; 제조장치
2; 유리 리본
3; 마킹 수단
3a; 정반
3a1; 접촉면
3b; 마킹 블레이드
3c; 대전 방지 부재
4; 마킹 라인

Claims (7)

  1. 다운드로우(Downdraw) 법에 의해 연속 성형되어 하방으로 유도되는 유리 리본에, 그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마킹 라인(marking line, 刻線)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유리판의 제조방법으로서,
    분리 수단에 의해, 상기 유리 리본을 지지하고, 상기 마킹 라인을 벌리도록 상기 유리 리본에 굽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유리판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마킹 라인은 마킹(刻設) 수단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마킹 수단은,
    상기 유리 리본의 일면 측에 폭방향에 걸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정반(定盤)과,
    상기 정반의 접촉면에 상기 유리 리본을 가압하면서 그 타면 측에 상기 마킹 라인을 형성하는 마킹 블레이드(marking blade, 刻設刃)
    를 구비하며,
    상기 정반의 접촉면에 대전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리 리본의 두께가 0.5㎜ 이하이며,
    상기 마킹 수단은, 상기 유리 리본에 상기 마킹 라인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정반을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떨어져 나오게(離反) 하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정반이 떨어져 나온 후에, 상기 유리 리본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금속판이고,
    상기 대전 방지 부재는 시트 형상의 대전 방지 시트이며,
    상기 대전 방지 시트가 상기 정반의 접촉면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 시트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 시트의 두께는, 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의 상기 유리 리본의 흐름 방향의 폭은,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방법.
  6. 삭제
  7. 다운드로우 법에 의해 연속 성형되어 하방으로 유도되는 유리 리본에, 그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마킹 라인을 형성하는 마킹 수단을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장치로서,
    상기 유리 리본을 지지하고, 상기 마킹 라인을 벌리도록 상기 유리 리본에 굽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유리판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킹 수단은,
    상기 유리 리본의 일면 측에 폭방향에 걸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정반과,
    상기 정반의 접촉면에 상기 유리 리본을 가압하면서 그 타면 측에 상기 마킹 라인을 형성하는 마킹 블레이드
    를 구비하며,
    상기 정반의 접촉면에 대전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리 리본의 두께가 0.5㎜ 이하이며,
    상기 마킹 수단은, 상기 유리 리본에 상기 마킹 라인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정반을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떨어져 나오게(離反) 하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정반이 떨어져 나온 후에, 상기 유리 리본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장치.
KR1020187034575A 2016-05-31 2017-05-12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270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8646A JP6647680B2 (ja) 2016-05-31 2016-05-31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JP-P-2016-108646 2016-05-31
PCT/JP2017/018053 WO2017208788A1 (ja) 2016-05-31 2017-05-12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899A KR20190005899A (ko) 2019-01-16
KR102270745B1 true KR102270745B1 (ko) 2021-06-28

Family

ID=5761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575A KR102270745B1 (ko) 2016-05-31 2017-05-12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47680B2 (ko)
KR (1) KR102270745B1 (ko)
CN (1) CN205838836U (ko)
WO (1) WO2017208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5551B (zh) * 2019-09-05 2021-10-01 嘉兴博创智能传感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紫外激光掩模刻蚀的微流控芯片结构
KR20220093088A (ko) * 2019-10-29 2022-07-05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484A (ja) * 2005-05-10 2006-11-24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13230964A (ja) 2011-09-30 2013-11-14 Avanstrate Inc ガラス板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6025B1 (en) 2000-08-31 2003-09-09 Corning Incorporated Automated flat glass separator
US20070095108A1 (en) * 2005-10-31 2007-05-03 Kirby Thomas E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ress variations in glass sheets produced from a glass ribbon
US8794036B2 (en) * 2011-08-23 2014-08-05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glass sheet from a moving ribbon of glass
WO2014209833A1 (en) * 2013-06-25 2014-12-31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glass sheet from a moving ribbon of gla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484A (ja) * 2005-05-10 2006-11-24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13230964A (ja) 2011-09-30 2013-11-14 Avanstrate Inc ガラス板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838836U (zh) 2016-12-28
KR20190005899A (ko) 2019-01-16
JP6647680B2 (ja) 2020-02-14
JP2017214239A (ja) 2017-12-07
WO2017208788A1 (ja)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09399B (zh) 用于从玻璃带分离玻璃板的分离设备和方法
JP4947488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881590B1 (ko) 시트 안정성이 향상된 유리 시트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46086A (ko) 유리 리본 절단 방법 및 그 장치
JP5649658B2 (ja) ガラスシートを分離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08137372B (zh) 玻璃板的制造装置
JP2017226549A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20200407262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eating moving continuous glass ribbons at desired lines of separation and/or for separating glass sheets from continuous glass ribbons
CN111356659B (zh) 玻璃板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KR102270745B1 (ko)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4803591B (zh) 刻划装置
JP6032428B2 (ja) ガラスフィルム切断装置及びガラスフィルム切断方法
TW201350446A (zh) 包含機械手工具裝置及導引裝置的玻璃帶接合系統
TW202108521A (zh) 具有切割邊緣的玻璃元件及其製造方法
CN104803592B (zh) 脆性材料基板的刻划装置
WO2022270288A1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板ガラスの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
TWI530461B (zh) 用於分離玻璃板的設備及方法
WO2022219922A1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
CN107922238B (zh) 利用辊的非金属材料的切割装置及切割方法
KR20230023603A (ko)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