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194B1 - 섬유 돌망태 및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 돌망태 및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194B1
KR102270194B1 KR1020200066618A KR20200066618A KR102270194B1 KR 102270194 B1 KR102270194 B1 KR 102270194B1 KR 1020200066618 A KR1020200066618 A KR 1020200066618A KR 20200066618 A KR20200066618 A KR 20200066618A KR 102270194 B1 KR102270194 B1 KR 10227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iber
rope
fiber network
bund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남
Original Assignee
(주)한가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가람 filed Critical (주)한가람
Priority to KR1020200066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섬유 돌망태 및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섬유 돌망태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섬유 재질로 형성되고 망형상으로 직조된 섬유망, 상기 섬유망의 상기 개구부를 둘러 묶는 묶음로프, 및 상기 묶음로프에 결합되는 고정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고리는 일단이 힌지(hindge)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된 홀에 상기 묶음로프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고정고리와 상기 묶음로프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고리는 상기 묶음로프에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 상기 타단에서 양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 돌망태 및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FIBER STONE BAG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섬유로 제작된 섬유 돌망태 및 섬유 돌망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돌망태는 함은 직조 또는 편조된 형태의 망체 내에 석재 등을 채워 넣어 저수 호안의 세굴을 방호하거나 자연하청에 대한 식생 호안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돌망태는 연안침식을 방지하거나 해안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며, 해사 양빈 모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해저 케이블의 보호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돌망태는 인공어초로 활용되거나 오탁방지용 앵커, 교각의 세굴방호공,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돌망태로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금속 돌망태 또는 필라멘트 사에 의해 형성된 섬유 돌망태 등이 존재하는데, 섬유 돌망태의 경우 금속 돌망태에 비해 유연하고 무게가 가벼워 제조 및 처리가 쉬운 장점이 있다.
한편, 섬유 돌망태는 일반적으로 석재 등을 채워 넣는 섬유망과 석재를 채워넣은 후 이를 인양하는 인양로프 그리고 석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석재 주입구를 묶는 묶음로프로 구성되는데, 묶음로프가 묶여진 후 혹은 돌망태가 사용되는 도중 유속에 의해 묶음로프가 풀려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묶음로프를 묶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에 묶여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적절한 양의 석재가 섬유망 내에 채워지지 않거나, 묶음로프 자체가 섬유망과 분리되거나 풀어져 석재가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섬유 돌망태는 일반적으로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사용되는데, 돌망태가 설치되는 위치의 유속이 센 경우, 혹은 오랜 기간 돌망태가 사용되는 경우 유속에 의해 상층의 돌망태가 이동하여(혹을 쓸려나가) 제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섬유 돌망태의 묶음로프가 풀리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층에 적층된 돌망태의 유실 혹은 자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돌망태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7997호(공개일자 2020.02.19.)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하층 혹은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섬유 돌망태들이 유속에 의해 쓸려 나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붙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섬유 돌망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섬유망 내에 적절한 양의 석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묶음로프가 위치하도록 하는 섬유 돌망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묶음로프가 묶여진 이후 묶음로프가 유속에 의해 쓸려 나가 섬유망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섬유 돌망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돌망태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섬유 재질로 형성되고 망형상으로 직조된 섬유망, 상기 섬유망의 상기 개구부를 둘러 묶는 묶음로프, 및 상기 묶음로프에 결합되는 고정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고리는 일단이 힌지(hindge)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된 홀에 상기 묶음로프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고정고리와 상기 묶음로프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고리는 상기 묶음로프에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 상기 타단에서 양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의 타단은 양측으로 분리가능한 고리수용부, 상기 고리수용부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수용부와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정고리의 일단에서 힌지(hindge)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묶음로프에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 상기 고리부가 상기 고리수용부에서 분리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고리부가 상기 고리수용부내에 위치할 때에 상기 고리부와 상기 고리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고리부와 상기 고리수용부에 모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망은 상기 묶음로프에 의해 접촉되어 묶여지며 제 1방향으로 형성되어 정의되는 제 1영역 및 상기 제 1영역의 양 측으로 상기 제 1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정의되는 2개의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영역 내에서 상기 섬유망의 표면에 소수성 처리되어 형성된 소수성층 및 상기 소수성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이탈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층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층이 형성된 상기 제 2영역에서의 섬유망 단면의 제 1두께는 상기 묶음로프가 접촉되는 상기 제 1영역에서의 섬유망 단면의 제 2두께에 비해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묶음로프의 양 측에 형성되는 이탈방지층에 의해 상기 묶음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은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섬유 재질로 형성되고 망형상으로 직조된 섬유망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섬유망에 석재를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섬유망의 상기 개구부를 고정고리가 결합된 묶음로프로 둘러 묶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고리는 일단이 힌지(hindge)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된 홀에 상기 묶음로프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고정고리와 상기 묶음로프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고리는 상기 묶음로프를 둘러 묶는 단계에서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 상기 타단에서 양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섬유망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섬유망의 상기 개구부를 둘러 묶는 묶음로프가 접촉되며 제 1방향으로 형성되어 정의되는 제 1영역의 양측으로 상기 제 1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정의되는 2개의 제 2영역의 표면을 소수성 처리하여 소수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수성층의 표면에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이탈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 상기 섬유망 전체의 표면을 친수성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돌망태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섬유 돌망태에서 묶음로프가 묶여진 이후 인접하는 섬유 돌망태가 유속 등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붙잡을 수 있으면서, 묶음로프를 묶기 전에는 묶음로프의 고정고리가 다른 구성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묶음로프가 유속에 의해 쓸려 나가 섬유망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섬유망 내에 적절한 양의 석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묶음로프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돌망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로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묶음로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고정고리에서 고리부가 고리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묶음로프가 섬유 돌망태에서 묶여졌을 경우 고정고리에서 고리부가 고리수용부에서 분리되었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 돌망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섬유 돌망태에서 섬유망 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섬유망에서 일부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섬유 돌망태를 제작하는 과정 중 섬유망의 일부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도 8의 섬유망에서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섬유망에서 B-B'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섬유망에서 C-C'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돌망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묶음로프를 나타낸 도면이 되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2의 묶음로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고, 고정고리에서 고리부가 고리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묶음로프가 섬유 돌망태에서 묶여졌을 경우 고정고리에서 고리부가 고리수용부에서 분리되었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돌망태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섬유 재질로 형성되고 망형상으로 직조된 섬유망(200), 상기 섬유망(200)의 상기 개구부를 둘러 묶는 묶음로프(500), 및 상기 묶음로프(500)에 결합되는 고정고리(6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고리(600)는 일단이 힌지(hindge)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된 홀에 상기 묶음로프(500)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고정고리(600)와 상기 묶음로프(500)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고리(600)는 상기 묶음로프(500)에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 상기 타단에서 양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망(200)은 섬유 재질로 직조되어 형성되고, 망형상으로 직조되어 내부에 석재가 수용되어 머무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석재를 섬유망(200) 내에 넣도록 하기 위해 섬유망(200)의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섬유망(200)은 고강도 섬유로 직조된 망지가 복주머니 형상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고, 섬유망(200) 내부에는 석재, 골재 등으로 채워져 다공질의 연성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섬유망(200)은 묶음로프(500)에 의해 묶여지며, 묶음로프(500)는 섬유망(200)의 개구부가 형성된 주변을 묶음으로써 내부에 채워진 석재나 골재가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묶음로프(500)가 묶여지는 섬유망(200)의 위치는 개구부 주변으로 섬유망(200)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섬유망(200)에 묶음로프(500)를 묶기 전, 개구부가 형성된 섬유망(200)의 상단부(100) 주변에 걸쳐진 인양로프에 의해 개구부가 오므려지고, 묶음로프가(500) 묶여질 수 있다. 즉, 섬유망(200)의 상단부(100)에 인양로프가 여러 위치에 이격되어 걸쳐져 있고, 인양로프는 최상단의 특정 정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어. 인양로프를 들어올릴 경우 개구부가 오므려지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고정고리(600)는 힌지(hindge)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되면서 고정고리(600)에 형성된 홀에 묶음로프(500)가 관통하면서 묶음로프(500)에 고정고리(600)가 결합된 형식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고리(600)는 힌지 결합에 의해 일단과 타단이 움직일 수 있고, 이러한 일단과 타단의 일부에 형성된 홀에 묶음로프(500)가 결합되어 있는 방식인 것이다.
고정고리(600)는 묶음로프(500)가 섬유망(200)에 묶여지기 전에는 닫혀 있는 방식이어서 다른 외부 구성에 영향을 최소화하다가 묶음로프(500)가 섬유망(200)에 묶여진 이후에는 힌지 결합에 의해 고리부가 열리는 구조로서, 이에 의해 복수의 섬유 돌망태가 서로 적층되거나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하단 혹은 인접하는 위치의 섬유 돌망태에 위치한 고정고리(600)가 상단이나 인접하는 섬유 돌망태의 일부를 걸어 지지함으로써, 인접하는 섬유 돌망태가 유속 등에 의해 이탈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4를 통해 본 발명의 고정고리(600)의 작동방식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고리(600)의 타단은 양측으로 분리가능한 고리수용부(610), 상기 고리수용부(61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고리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수용부(610)와 상기 고리부(620)는 상기 고정고리(600)의 일단에서 힌지(hindge)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묶음로프(500)에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 상기 고리부(620)가 상기 고리수용부(610)에서 분리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은 경우는 묶음로프(500)를 섬유망에 묶기 전 상태인 것으로, 섬유망에 묶음로프(500)를 묶기 전에는 다른 외부 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고리부(620)가 고리수용부(610)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고리부(620)가 상시 노출되는 경우 직조된 섬유망의 특성상 다른 부위에 쉽게 걸리거나 하여 섬유 돌망태를 제조함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는데, 묶음로프(500)를 묶기 전에는 고리부(620)가 고리수용부(610) 내측에 삽입되어 있도록 함으로서, 다른 외부요소에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 4과 같이 상기 묶음로프(500)에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에는 상기 고리부(620)가 상기 고리수용부(610)에서 분리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고리부(62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묶음로프(500)가 특정 힘에 의해 섬유망에 묶여지는 경우 고리부(6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제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외부로 노출된 고리부(620)는 인접하는 섬유 돌망태의 일부에 걸어져서 인접하는 섬유 돌망태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섬유 돌망태와의 결합에 의해 섬유 돌망태가 유속 등에 의해 다른 위치로 쓸려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경우, 단순히 복수의 섬유 돌망태를 적층하거나,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하천이나 연안 등에 배칭하는 방식이었는데, 단순히 섬유 돌망태들 만을 배치하는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거나 강한 유속이 가해지는 경우 섬유 돌망태가 이동하여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었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고정고리(600)의 고리부(620)가 고리수용부(610)에서 노출되어 인접한 섬유 돌망태의 일부를 지지(혹은 결속)함으로써, 인접한 섬유 돌망태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오랜 시간동안 시공된 위치에 섬유 돌망태들이 머무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리부(620)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체(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630)는 상기 고리부(620)가 상기 고리수용부(610) 내에 위치할 때에 상기 고리부(620)와 상기 고리수용부(610)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고리부(620)와 상기 고리수용부(610)에 모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630)는 실리콘, 고무, 기타 수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고리부(620) 자체가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특정 힘이 가해지기 전에는 고리부(620)가 고리수용부(610) 내에서 머무르도록 하며, 특정 힘이 가해지는 경우 고리부(620)가 외부로 나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 돌망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의 섬유 돌망태에서 섬유망 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 돌망태에서, 상기 섬유망(200)은 상기 묶음로프(500)에 의해 접촉되어 묶여지며 제 1방향으로 형성되어 정의되는 제 1영역(10) 및 상기 제 1영역(10)의 양 측으로 상기 제 1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정의되는 2개의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영역 내에서 상기 섬유망(200)의 표면에 소수성 처리되어 형성된 소수성층 및 상기 소수성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이탈방지층(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다시피, 상기 섬유망(200)에 묶음로프(500)를 묶기 전, 개구부가 형성된 섬유망(200)의 상단부(100) 주변에 걸쳐진 인양로프(400)에 의해 개구부가 오므려지고, 묶음로프가(500) 묶여질 수 있다. 즉, 도 5과 같이, 섬유망(200)의 상단부(100)에 인양로프(400)가 여러 위치에 이격되어 걸쳐져 있고, 인양로프(400)는 최상단의 특정 정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어. 인양로프(400)를 들어올릴 경우 개구부가 오므려지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도 5과 같이 제 1영역(10)은 섬유망(200)의 개구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하단의 위치에 존재하여 개구부를 오므려 외부로 석재나 골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1영역(10)은 묶음로프(500)가 묶여질 경우 섬유망(200)과 접하는 영역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영역(10)의 양 측으로 상기 제 1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정의되는 2개의 제 2영역을 포함한다. 즉, 묶음로프(500)가 섬유망(200)과 접하여 형성되는 부분이 제 1영역(10)이고 제 2영역은 상기 제 1영역(10)의 바로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 1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영역 내에서는 상기 섬유망(200)의 표면에 소수성 처리되어 형성된 소수성층 및 상기 소수성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이탈방지층(300)을 포함한다. 상기 소수성 층은 소수성 처리에 의해 혓어되며, 소수성 프라이머가 처리된 층이거나 소수성 물질을 도포한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수성 표면개질 방법으로 불소코팅한 것이거나, 소수성 성ㅂ질을 갖는 프라이머 처리를 한 것이거나, 플라즈마 처리 등에 의해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층을 처리하는 방식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층의 표면에는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이탈방지층(300)이 형성된다. 상기 소수성층의 형성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층(300)은 보다 정교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층(300)에 의해 상기 묶음로프(500)가 정해진 위치인 제 1영역(1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층(300)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탈방지층(300)에 의해 특정 두께만큼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에 의해 묶음로프(500)가 외부로 이탈하여 섬유망(200)의 개구부가 풀리거나, 원치 않는 위치에 묶음로프(500)가 묶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묶음로프(500)가 유속 등에 의해 쓸려나가 개구부가 개봉되고 이에 의해 섬유망(200) 내부의 석재나 골재가 외부로 유실되어 섬유 돌망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는데, 이와 같이 이탈방지층(300)을 형성함으로써, 묶음로프(500)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수성 처리를 통해 소수성층을 미리 형성함으로써, 정해진 위치에만 이탈방지층(30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특정 위치에만 형성된 이탈방지층(300)에 의해 묶음로프(500)가 묶여져야 할 정확한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도 6의 섬유망에서 일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섬유 돌망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섬유 돌망태를 제작하는 과정 중 섬유망의 일부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도 8의 섬유망에서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 10에는 도 7의 섬유 돌망태에서 B-B'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가, 그리고 도 11에는 도 7의 섬유 돌망태에서 C-C'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섬유 돌망태에서 상기 이탈방지층(300)이 형성된 상기 제 2영역에서의 섬유망 단면의 제 1두께는 상기 묶음로프가 접촉되는 상기 제 1영역(10)에서의 섬유망 단면의 제 2두께에 비해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묶음로프(500)의 양 측에 형성되는 이탈방지층(300)에 의해 상기 묶음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11의 C-C'의 단면과 같이, 제 1영역(10)에서의 섬유망에서의 단면은 이탈방지층(300)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고, 제 2영역에서는 이탈방지층(300)이 제 1영역(10)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특정 두께를 형성하게 되어 물리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묶음로프(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영역(10)에 위치하는 묶음로프(500)가 다른 위치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소수성층(250)을 형성하는 과정은 섬유망(200)의 원하는 위치에 소수성 처리를 수행하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섬유망(200) 표면의 일부가 소수성층(25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수성층(250)이 형성된다는 의미는 섬유망(200)에서 소수성 처리를 하는 위치의 표면 성질이 변형되어 소수성층(250)이 형성된다는 의미로, 별도로 섬유망(200)의 두께가 변형되거나 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이후 도 7,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소수성층(250)에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이탈방지층(300)을 형성하게 되면, 소수성층(250) 상에만 이탈방지층(300)이 정교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소수성물질로 형성된 이탈방지층(300)은 소수성층(250)에 친화력을 가져 소수성층(250)이 형성된 위치의 상측에 접촉하여 형성되게 되고, 이외의 위치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미리 소수성층(250)을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만 정교하게 이탈방지층(300)이 형성된 섬유 돌망태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후에 섬유 돌망태의 제조방법에서 다시 설명하겠으나, 상기 소수성층(250)을 형성하기 전에 섬유망(200) 전체를 친수성 처리하는 단계를 더 거침으로써 섬유망(200) 전체 표면을 친수화한 이후 특정 부위에만 소수성 처리를 하여 소수성층(250)과 이외의 부분 간의 경계에서의 표면특성을 보다 차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정교하게 이탈방지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수성층(250), 혹은 이탈방지층(300)이 형성된 위치 이외의 섬유망 부분은 친수성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상기 이탈방지층(300)은 상기 소수성층(250)의 모든 표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이탈방지층(300)은 소수성 처리가 된 소수성층(250)의 표면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섬유 돌망태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은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섬유 재질로 형성되고 망형상으로 직조된 섬유망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섬유망에 석재를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섬유망의 상기 개구부를 고정고리가 결합된 묶음로프로 둘러 묶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고리는 일단이 힌지(hindge)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된 홀에 상기 묶음로프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고정고리와 상기 묶음로프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고리는 상기 묶음로프를 둘러 묶는 단계에서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 상기 타단에서 양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다시피, 고정고리는 묶음로프를 묶기 전에는 분리가 되지 않은 상태이어서 다른 구성(예를 들어, 직조된 섬유 돌망태)에 걸려지지 않을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으며, 섬유 돌망태를 제조하기 위해 여러 재료들을 운송하는 과정에서도 다른 구성들과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묶음로프가 묶여진 이후에는 고정고리의 힌지결합된 부분의 타단이 외부 힘에 의해 분리되어 인접하는 섬유 돌망태들을 서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섬유망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섬유망의 상기 개구부를 둘러 묶는 묶음로프가 접촉되며 제 1방향으로 형성되어 정의되는 제 1영역의 양측으로 상기 제 1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정의되는 2개의 제 2영역의 표면을 소수성 처리하여 소수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수성층의 표면에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이탈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다시피 소수성 처리를 통해 섬유망의 제 2영역에 소수성층을 형성함으로써, 특정 위치에만 이탈방지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이탈방지층에 의해 묶음로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수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 상기 섬유망 전체의 표면을 친수성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섬유망 전체 표면을 친수화한 후 특정 위치 즉, 제 2영역에만 소수성처리를 하여 제 2영역에만 이탈방지층이 정교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소수성 처리에 의한 소수성 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소수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섬유망 전체를 친수성 처리하여 친수화한 후 선택적으로 특정 위치만 소수성 처리하여 보다 정교하게 소수성 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기타 다른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섬유 돌망태에 대해 이미 설명하였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제 1영역
200: 섬유망
250: 소수성층
300: 이탈방지층
400: 인양로프
500: 묶음로프
600: 고정고리
610: 고리수용부
620: 고리부
630: 지지체

Claims (9)

  1.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섬유 재질로 형성되고 망형상으로 직조된 섬유망;
    상기 섬유망의 상기 개구부를 둘러 묶는 묶음로프; 및
    상기 묶음로프에 결합되는 고정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고리는 일단이 힌지(hindge)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된 홀에 상기 묶음로프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고정고리와 상기 묶음로프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고리는 상기 묶음로프에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 상기 타단에서 양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고정고리의 타단은 양측으로 분리가능한 고리수용부, 상기 고리수용부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수용부와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정고리의 일단에서 힌지(hindge)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묶음로프에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 상기 고리부가 상기 고리수용부에서 분리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돌망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고리부가 상기 고리수용부 내에 위치할 때에 상기 고리부와 상기 고리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고리부와 상기 고리수용부에 모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돌망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망은 상기 묶음로프에 의해 접촉되어 묶여지며 제 1방향으로 형성되어 정의되는 제 1영역; 및 상기 제 1영역의 양 측으로 상기 제 1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정의되는 2개의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영역 내에서 상기 섬유망의 표면에 소수성 처리되어 형성된 소수성층 및 상기 소수성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이탈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돌망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층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돌망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층이 형성된 상기 제 2영역에서의 섬유망 단면의 제 1두께는 상기 묶음로프가 접촉되는 상기 제 1영역에서의 섬유망 단면의 제 2두께에 비해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묶음로프의 양 측에 형성되는 이탈방지층에 의해 상기 묶음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돌망태.
  7.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섬유 재질로 형성되고 망형상으로 직조된 섬유망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섬유망에 석재를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섬유망의 상기 개구부를 고정고리가 결합된 묶음로프로 둘러 묶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고리는 일단이 힌지(hindge)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된 홀에 상기 묶음로프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고정고리와 상기 묶음로프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고리는 상기 묶음로프를 둘러 묶는 단계에서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 상기 타단에서 양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고정고리의 타단은 양측으로 분리가능한 고리수용부, 상기 고리수용부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수용부와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정고리의 일단에서 힌지(hindge)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묶음로프에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을 가할 때 상기 고리부가 상기 고리수용부에서 분리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망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섬유망의 상기 개구부를 둘러 묶는 묶음로프가 접촉되며 제 1방향으로 형성되어 정의되는 제 1영역의 양측으로 상기 제 1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정의되는 2개의 제 2영역의 표면을 소수성 처리하여 소수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수성층의 표면에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이탈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 상기 섬유망 전체의 표면을 친수성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KR1020200066618A 2020-06-02 2020-06-02 섬유 돌망태 및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KR102270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18A KR102270194B1 (ko) 2020-06-02 2020-06-02 섬유 돌망태 및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18A KR102270194B1 (ko) 2020-06-02 2020-06-02 섬유 돌망태 및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194B1 true KR102270194B1 (ko) 2021-06-28

Family

ID=7660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618A KR102270194B1 (ko) 2020-06-02 2020-06-02 섬유 돌망태 및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1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2626A (ja) * 1982-12-28 1984-07-16 Penta Ocean Constr Co Ltd 水中基礎構築法
JP2001288727A (ja) * 2000-04-04 2001-10-19 Mikuni Sangyo Kk 護岸用石材の接続構造
JP2007327324A (ja) * 2006-05-12 2007-12-20 Maeda Kosen Co Ltd 相互に連結容易な袋材
KR20140128577A (ko) * 2013-04-29 2014-11-06 이영희 호안용 돌망태
KR20200017997A (ko)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다기능 섬유 돌망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2626A (ja) * 1982-12-28 1984-07-16 Penta Ocean Constr Co Ltd 水中基礎構築法
JP2001288727A (ja) * 2000-04-04 2001-10-19 Mikuni Sangyo Kk 護岸用石材の接続構造
JP2007327324A (ja) * 2006-05-12 2007-12-20 Maeda Kosen Co Ltd 相互に連結容易な袋材
KR20140128577A (ko) * 2013-04-29 2014-11-06 이영희 호안용 돌망태
KR20200017997A (ko)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다기능 섬유 돌망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6389B2 (ja) 水中構造物の洗掘防止材と洗掘防止工法
KR102270194B1 (ko) 섬유 돌망태 및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JP6589081B1 (ja) 土木工事用袋体および土木工事用構造体
US4878446A (en) Method for the forming and the deposition in a selected place of a bulk
JP6401415B1 (ja) 土木工事用袋体
WO2002081826A2 (en)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JP3911146B2 (ja) 中繋ぎ材を設けた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材とこの袋材を用いた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体の製造方法。
JP4766525B2 (ja) 相互に連結容易な袋材
JP5266266B2 (ja) 中詰め材の投入方法
TWI787625B (zh) 容器及其用途
JP6074535B1 (ja) 水工用大型土のう
KR200473345Y1 (ko) 섬유돌망태 및 섬유돌망태 인양장치
JP3122398U (ja) 河川堤防
KR20080037637A (ko) 내외 일체 이중망식 석재 충전용 수공(水工) 섬유망체 및그 제조방법
JP7044335B1 (ja) 海底地盤の根固め構造および根固め方法
JP2021173041A (ja) 土木工事用構造体
KR20220078273A (ko) 보강형 화이버 스톤–r
KR20140109657A (ko) 모노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무결절 직조구조의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EP3816066B1 (en) Bag material and crushed stone placement method using bag material
JP6865455B2 (ja) 洗掘防止材の敷設方法
JP4282115B2 (ja) 海洋構造物の構築工法
JP3631377B2 (ja) 水中にコンクリート構造物を形成する方法
JP6614675B2 (ja) 中詰め材入り袋体の形成方法及び中詰め材入り袋体
JP7307444B1 (ja) 袋詰ユニットの段積み構造
JP3502895B2 (ja) 埋め立て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