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016B1 -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0016B1 KR102270016B1 KR1020200049249A KR20200049249A KR102270016B1 KR 102270016 B1 KR102270016 B1 KR 102270016B1 KR 1020200049249 A KR1020200049249 A KR 1020200049249A KR 20200049249 A KR20200049249 A KR 20200049249A KR 102270016 B1 KR102270016 B1 KR 1022700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attachment
- guide
- portable device
- rea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팩트하면서도 사용상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기기의 후면측에 배치되는 부착바디와, 상기 부착바디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부와, 상기 부착바디의 하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부착부(1000); 및 상기 부착부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면판부(2110)와, 상기 후면판부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가이드(2111) 및 제1가이드(2112)와, 상기 부착부의 상하이동을 제한 및 제한 해제하는 로킹부(2200)를 구비하는 거치부(2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기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대와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컴팩트하면서도 사용상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네비게이션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춤에 따라 보행중인 경우 뿐만 아니라 이동중인 차량이나 자전거, 오토바이 등에서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환경에 적합하도록 거치대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거치대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제안되고 있는데, 고정형식에 따라 크게 스마트폰의 양측 면에 밀착되어 기계적 마찰력에 의하여 고정하는 방식과,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대해 마찰력을 통하여 고정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차량의 대쉬보드에 고정되는 부위와, 각도를 가변할 수 있는 부위와 양측의 벽면 사이에 소정의 안착공간을 마련하여 이에 스마트폰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지지하게 된다.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는 방식은, 소정의 거치대 전면에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스마트폰의 후면에 자석이나 금속과 같은 자성체를 부착하여 상호 간의 자력을 통하여 지지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스마트폰 거치대들은 모두 고정력이 약화되거나 충격에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고, 특히 진동과 충격이 많은 자전거나 모터사이클의 경우에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6386호는 종래기술의 '자전거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동통신단말기(1)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2)이 마련되어, 이 지지판에 완충패드(14)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1)의 측부를 압박하는 측부압박구(16)와 이동통신단말기(1)의 하부를 거치하는 하부거치대(18)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2)의 배면과 자전거 핸들바(20)로의 결착을 위한 클램프(22) 사이에는 사용자의 임의에 의한 장착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면서 결합되게 방향조절구(24)가 매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 방식은 충격이나 진동에 따라 스마트폰이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잦고 특히 자전거나 모터사이클에 적용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경우에 따라 하부거치대 자체가 클램프와 분리되는 상황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자전거나 모터사이클의 주행시 거치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스마트폰이 파손되거나 외부 기물을 파손하고 심각한 경우 인체의 상해로 이어지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면서도 스마트폰은 물론 다양한 휴대용 기기의 탈착이 가능한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기기의 후면측에 배치되는 부착바디와, 상기 부착바디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부와, 상기 부착바디의 하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부착부(1000); 및 상기 부착부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면판부(2110)와, 상기 후면판부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2112) 및 제2가이드(2111)와, 상기 부착부의 상하이동을 제한 및 제한 해제하는 로킹부(2200)를 구비하는 거치부(2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걸림부측에 걸림되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로킹몸체(2230)와, 상기 로킹몸체에서 제1가이드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푸시로드(2220)와, 상기 푸시로드에 연결되고 제1가이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버튼부(22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로킹몸체에 지지되어 제1가이드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는, 상기 돌부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제1홈 및 제2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몸체가 상기 후면판부에 형성되는 핀홀(2113)에 관통삽입되는 핀부(2400)가 체결되는 고정홈(222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착부(1000)의 후면판부의 밀착되는 면에 결합되어 후면판부와 자성력에 의하여 결합력을 제공하는 자성체부(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기기측에 결합되는 부착부와 이에 결합되는 거치부의 부피가 적고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휴대의 편리하며 조작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컴팩트한 크기를 가짐으로 인하여 한손으로 탈착 조작이 가능하며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이 손의 제약이 많은 운송수단에서 안전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효과로 이어진다.
또한, 삽입 및 로킹의 조작을 위한 구조가 단순하므로 작동의 신뢰성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도 1은 종래기술의 자전거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에서 부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에서 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거치부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가 스마트폰의 케이싱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가 부착부와 함께 형성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에서 부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에서 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거치부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가 스마트폰의 케이싱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가 부착부와 함께 형성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휴대용기기의 후면측에 배치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와 결합하여 휴대용기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부착부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킹되고, 측면에 배치되는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로킹이 해제되는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휴대용기기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통신 장치를 의미하며 일반적인 휴대 전화기는 물론 화면을 구비하고 이동성을 가지는 PDA, 네비게이션, 태블릿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가 배치되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자전거나 모터사이클, 자동차와 같은 이송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가구나 고정 구조물등 휴대용기기의 거치가 필요한 다양한 물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에서 부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부착부(1000)는 휴대용기기의 후방측에 접착 또는 체결되거나, 휴대용기기를 보호하는 케이싱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홀더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등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착부(1000)의 후방 및 하측이 나타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용기기를 바라보는 방향을 전방으로 이에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부착부(1000)의 전방에는 케이싱이나 홀더 등의 기구가 부착되거나 경우에 따라 상기 기구에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으며, 전체적인 몸체를 이루는 부착바디(1100)는 배면상 전체적으로 사각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부착바디(1100)의 측면은 후술될 거치부의 가이드 부위에 밀착되면서 상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부착바디(1100)의 형태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착바디(110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하나 이상의 돌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정적인 삽입 및 인출 가이드를 위하여 양측에 대칭적으로 돌부가 형성되어 제1돌부(1220) 및 제2돌부(1210)를 이룬다. 그러나 후술될 바와 같이 부착부(1000)가 안정적으로 거치부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상기 돌부는 어느 일측에 단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부착바디(1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면은 밀착면(1110)으로서 거치부의 마주보는 면에 밀착배치된다. 상기 부착바디(110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 형태의 제1 및 제2돌부(1210, 1220)의 후면도 상기 밀착면(1110)의 위치에 대응되는 면을 가질 수 있다.
삽입 및 인출시의 어느 정도 유격을 허용하고, 특히 삽입시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부착바디(1100)의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진 형태 또는 수직면에 대해 경사진 모따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돌부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홈에 삽입시 편리성을 고려하여 라운드진 형태 또는 수직면에 대해 경사진 모따기 형태가 하측 및/또는 상측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부착바디(1100)의 하측에는 로킹을 위한 걸림부(1300)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300)의 내주측은 거치부에 형성되는 후크 구조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소정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300)의 구조 및 기능과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에서 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거치부(2000)는 후면판부(2110)와 양측의 가이드에 의하여 감싸진 전방의 공간에 부착부(1000)의 후방측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는 소정의 공간으로 부착부(1000)가 삽입되는 과정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후면판부(2110)는 부착부(1000)의 밀착면(1110)이 접촉될 수 있는 지지면으로서 기능하며, 그 후방측에서는 휴대용기기와 결합된다.
상기 후면판부(211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측벽을 이루는 형태로 제1가이드(2112)와 제2가이드(2111)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2112)와 제2가이드(2111)의 후면판부(2110)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1돌부(1220) 및 제2돌부(1210)에 대응되도록 높이방향으로 긴 홈들이 형성된다. 즉, 제2돌부(1210)에 대응되는 제2홈(2010)과 제1돌부(1220)에 대응되는 제1홈(2020)이 형성되며 상기 홈들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부(1000)가 거치부(2000)에의 결합시 양측의 돌부가 홈들에 삽입되면서 상측으로 삽입되어 하측으로 이동이 가이드된다. 경우에 따라 부착부(1000)의 타측에 제2돌부(1210)와 거치부(2000)의 타측에 제2가이드(2111)가 형성되고, 부착부(1000)의 일측에는 돌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가이드(2112) 및 제1돌부(11220)이 배치되는 측을 일측으로 제2가이드(2111) 및 제2돌부(1210)가 배치되는 측을 타측으로 정의하고, 제1가이드(2112)와 제2가이드(2111)가 마주보는 공간을 내측으로 그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으로 정의한다.
상기와 같이 부착부(1000)와 거치부(2000)의 결합과정에서 삽입이 완료되면 삽입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로킹부(2200)가 기능한다. 상기 로킹부(2200)는 제1가이드(2112)와 제2가이드(2111)의 선택된 어느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2112)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사용자는 거치부(2000)의 일측에서 버튼부(2210)를 조작하여 부착부(1000)와 거치부(20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버튼부(2210)는 거치부(2000)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푸시로드(2220)가 제1가이드(2112)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참조번호 미표시)에 인입출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시로드(2220)의 말단에는 거치부(2000)의 내측에서 로킹몸체(2230)가 연결되고 상기 로킹몸체(2230)의 상측으로는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후크부(223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231)의 위치에 대응하여 부착부(1000)의 저면측에 걸림부(1300)가 형성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후크부(2231)의 걸림고리 부위에 대응되어 걸림부(1300)의 내측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고, 부착부(10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후크부(2231)는 탄성부재의 일측방향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단차에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2210)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로킹몸체(2230)를 타측으로 밀어내어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데 이러한 탄성부재의 결합관계에 관하여서는 후술한다.
도 4는 도 3의 거치부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로킹부(2200)는 거치부(2000)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제1가이드(2112) 및 후면판부(2110)에 결합되는데,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고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된다.
이를 위하여 로킹부(2200), 더욱 정확하게는 로킹몸체(2230)의 후방측에는 고정홈(2221)이 형성되고 거치부(2000)의 후면판부(2110)를 관통하여 핀부(2400)가 상기 고정홈(22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면판부(2110)의 핀부(2400) 삽입부위는 좌우 유동을 허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도 6의 핀홀(2113)을 참고한다. 상기 핀홀(2113)은 좌우로 긴 형태로 이루어지며 핀부(2400)의 후단측은 핀홀(2113)의 상하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전단측은 고정홈(2221)에 나삽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로킹몸체(2230)의 타측에는 탄성부재(2300)와의 연결을 위한 홈 형태의 안착그루브(2222)가 형성되고, 탄성부재(2300)의 일단은 제2가이드(2111)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안착그루브(2222)의 내벽에 지지되어 부착부(1000)의 삽입과정 및 버튼부(2210)의 조작과정에서 신축이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부(2231)가 걸림부(1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푸시로드(2220)의 일부와 로킹몸체(2230)의 상면은 부착부(1000)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기 버튼부(2210)의 외측은 손가락으로 푸시하기 쉬운 선택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손의 배치와 조작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로킹몸체(2230)의 모서리측에 더 인접되는 곡선형태를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가 스마트폰의 케이싱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1001)의 후면에 부착부(1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거치부(2000)에 탈착될 수 있는 경우를 제시한다. 상기 케이싱(1001)은 각 휴대용기기의 종류에 대응되는 형태로 미리 성형될 수 있으며, 제조상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부착부(1000)는 케이싱(1001)과 일체의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착부(1000)는 타측의 제2돌부(1210)와 일측의 제1돌부(1220)를 포함함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응되는 거치부(2000)의 양측으로 제1홈(2020)과 제2홈(2010)이 형성된다. 상기 부착부(1000)의 부착바디(1100)의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져 돌부들이 홈에 삽입될 때 용이성을 증가시키며, 양측의 홈에 돌부들이 하측으로 삽입되면서 밀착면(1110)이 후면판부(211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됨은 상기와 같다.
상기 부착바디(1100)의 하측이 로킹부(2200)에 접촉되면 -걸림부(1300)에 인접되는 저면이 후크부(2231)의 상측에 접촉되면- 로킹부(2200)는 전체적으로 탄성부재(230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타측으로 소정 간격 이동하고 후크부(2231)가 걸림부(1300)측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다시 소정 간격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내부의 단턱에 후크부(2231)가 걸림되어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착부(1000)의 후면은 후면판부(2110)에 지지되고, 타측은 제2가이드(2111) 및 제2홈(2010)에 지지되며 일측은 제1가이드 및 제1홈(2020)에 지지되어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하부에서는 로킹부(2200)에 걸림되어 상하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거치부(2000)의 후측에는 거치브라켓부(3100)가 연결되어 핸들바, 대쉬보드, 스템 등의 다양한 구조들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부착부(1000)와 거치부(2000)에는 자성체부(1400)가 결합되어 상호 자기력에 의한 결합상태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가 부착부와 함께 형성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부(1000)의 전방측으로 스마트폰의 외곽 부위 등을 잡을 수 있는 홀더부(4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부착부(1000)는 홀더부(4100)와 체결할 수 있는 볼팅부(1111)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거치부(2000)와의 결합을 강화하거나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자성체부(1400)가 추가될 수 있음은 전술한 예와 같다.
상기 구조에 대응하여 거치부(2000)의 제1홈(2020)과 제2홈(2010)의 삽입가이드 및 로킹부(2200)의 체결과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부착부(1000)를 탈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버튼부(2210)를 눌러 후크부(2231)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1300) 내부의 단차와 후크부(2231)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상하 로킹상태가 해제된다. 이렇게, 버튼부(2210)가 눌려진 상태에서 부착부(10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양측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탈거가 완료될 수 있다. 후크부(2231)의 접촉이 해제되면 버튼부(2210)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할 수 있고, 탄성부재(2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후크부(2231)는 다시 일측으로 소정 간격 이동된다.
상기 로킹부(2200)의 좌우 이동 폭은 양측의 가이드 내측의 위치 및 형상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념에 의하여 제1가이드(2112)와 제2가이드(2111)는 로킹부(2200)의 좌우 이동폭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의 일부 기능들은 상호 치환되거나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휴대용기기의 종류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는 휴대용기기측에 결합되는 부착부와 이에 결합되는 거치부의 부피가 적고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휴대의 편리하며 조작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컴팩트한 크기를 가짐으로 인하여 한 손으로도 탈착 조작이 가능하다. 이는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이 손의 제약이 많은 운송수단에서 안전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효과로 이어진다.
또한, 삽입 및 로킹의 조작을 위한 구조가 단순하므로 작동의 신뢰성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잠금해제가 한손가락으로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편리성이 극대화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부착부 1001...케이싱
1100...부착바디 1110...밀착면
1111...볼팅부 1210...제2돌부
1220...제1돌부 1300...걸림부
1400...자성체부 2000...거치부
2010...제2홈 2020...제1홈
2100...몸체 2110...후면판부
2111...제2가이드 2112...제1가이드
2113...핀홀 2200...로킹부
2210...버튼부 2220...푸시로드
2221...고정홈 2222...안착그루브
2230...로킹몸체 2231...후크부
2300...탄성부재 2400...핀부
2500...연결부 3100...거치브라켓부
4100...홀더부
1100...부착바디 1110...밀착면
1111...볼팅부 1210...제2돌부
1220...제1돌부 1300...걸림부
1400...자성체부 2000...거치부
2010...제2홈 2020...제1홈
2100...몸체 2110...후면판부
2111...제2가이드 2112...제1가이드
2113...핀홀 2200...로킹부
2210...버튼부 2220...푸시로드
2221...고정홈 2222...안착그루브
2230...로킹몸체 2231...후크부
2300...탄성부재 2400...핀부
2500...연결부 3100...거치브라켓부
4100...홀더부
Claims (4)
- 휴대용기기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부착바디와, 상기 부착바디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부와, 상기 부착바디의 하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부착부(1000); 및
상기 부착부의 후면에 밀착되어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후면판부(2110)와, 상기 후면판부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부착부의 좌우방향 및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가이드(2112) 및 제2가이드(2111)와, 상기 부착부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 및 제한 해제하는 로킹부(2200)를 구비하는 거치부(2000);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는,
상기 걸림부측에 걸림되는 후크부를 구비하되 후면판부에 형성되는 핀홀에 삽입되는 핀부(2400)가 체결되는 고정홈(2221)을 구비하는 로킹몸체(2230)와, 상기 로킹몸체에서 연장되는 푸시로드(2220)와, 상기 푸시로드에 연결되어 로킹 및 로킹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2210)를 구비하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로킹몸체에 지지되어 제1가이드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00)를 구비하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 및 제1가이드는,
상기 돌부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제2홈 및 제1홈을 구비하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1000)의 후면판부의 밀착되는 면에 결합되어 후면판부와 자성력에 의하여 결합력을 제공하는 자성체부(1400);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9249A KR102270016B1 (ko) | 2020-04-23 | 2020-04-23 |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9249A KR102270016B1 (ko) | 2020-04-23 | 2020-04-23 |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0016B1 true KR102270016B1 (ko) | 2021-06-28 |
Family
ID=7660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9249A KR102270016B1 (ko) | 2020-04-23 | 2020-04-23 |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0016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1195U (ja) * | 1993-12-24 | 1995-07-21 | 株式会社テイエムシイ | 携帯品用ホルダ |
KR20000020179A (ko) * | 1998-09-18 | 2000-04-15 | 강병호 | 휴대용 자동항법기거치대의 이젝트장치 |
KR200407607Y1 (ko) * | 2005-09-30 | 2006-02-03 | (주) 피엔텔레컴 | 휴대용 단말기 착용 및 거치 장치 |
KR20100116927A (ko) * | 2009-04-23 | 2010-11-02 | 김영교 |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
KR20120124741A (ko) * | 2011-05-04 | 2012-11-14 | 주식회사 토마토플래쉬 | 휴대기기 거치부 |
KR200489709Y1 (ko) * | 2018-07-04 | 2019-07-25 | 이덕호 | 휴대 단말기 거치대 |
-
2020
- 2020-04-23 KR KR1020200049249A patent/KR1022700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1195U (ja) * | 1993-12-24 | 1995-07-21 | 株式会社テイエムシイ | 携帯品用ホルダ |
KR20000020179A (ko) * | 1998-09-18 | 2000-04-15 | 강병호 | 휴대용 자동항법기거치대의 이젝트장치 |
KR200407607Y1 (ko) * | 2005-09-30 | 2006-02-03 | (주) 피엔텔레컴 | 휴대용 단말기 착용 및 거치 장치 |
KR20100116927A (ko) * | 2009-04-23 | 2010-11-02 | 김영교 |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
KR20120124741A (ko) * | 2011-05-04 | 2012-11-14 | 주식회사 토마토플래쉬 | 휴대기기 거치부 |
KR200489709Y1 (ko) * | 2018-07-04 | 2019-07-25 | 이덕호 | 휴대 단말기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39521B2 (en) | Locking mechanism | |
KR101705819B1 (ko) | 매직 푸시 | |
US9651069B2 (en) | Mount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 |
US8744540B2 (en) | Cradle for mobile phones | |
KR100640369B1 (ko) |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팩 케이스 락킹 장치 | |
US5836563A (en) | Mobile phone holder | |
US6227016B1 (en) | Cable lock assembly | |
US20090189033A1 (en) |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 |
US20080142651A1 (en) | Cradle for Mobile Phones and Ejector Device Thereof | |
US20080318646A1 (en) | Mobile phones | |
KR102270016B1 (ko) |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 |
KR101650766B1 (ko) | 마운팅 부재 | |
US20050174752A1 (en) | Lantern detachable cap | |
CN204932214U (zh) | 颈部按摩器 | |
TWM561965U (zh) | 行動裝置重力夾座 | |
CN202703775U (zh) | 一种内置手机固定装置的车把 | |
KR102235288B1 (ko) |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 | |
JP2974287B2 (ja) | 電池パック固定構造 | |
CN101786438B (zh) | 夹持装置 | |
JP6171823B2 (ja) | 端末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 |
WO2009117865A1 (en) |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 |
CN221929931U (zh) | 一种手写笔固定结构及手机壳 | |
CN218762255U (zh) | 移动终端夹持器 | |
CN207009797U (zh) | 挂绳 | |
CN209909509U (zh) | 智能移动终端夹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