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927A -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927A
KR20100116927A KR1020090035588A KR20090035588A KR20100116927A KR 20100116927 A KR20100116927 A KR 20100116927A KR 1020090035588 A KR1020090035588 A KR 1020090035588A KR 20090035588 A KR20090035588 A KR 20090035588A KR 20100116927 A KR20100116927 A KR 20100116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mounting
cam
terminal
mou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교
Original Assignee
김영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교 filed Critical 김영교
Priority to KR1020090035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6927A/ko
Publication of KR20100116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대시보드나 전면 유리창에 부착되는 고정판 및 단말기를 거치 지지하는 크래들 그리고 크래들과 고정판을 연결하는 조인트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단말기의 후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톱니를 형성하여 된 래칫 톱니부 및 이 래칫 톱니부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그 하측 끝부분이 일측으로 만곡되는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진 거치 승강판과; 일측이 조인트와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거치 승강판과 승강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는 것으로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 조작력을 받는 것으로 타단은 내측 중앙으로 연장되어 캠부가 형성된 레버로 이루어진 클램프 베이스와; 상기 클램프 베이스의 내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래칫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폴부 및 일측부에 요입 형성되는 록킹홈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후퇴 회동하여 폴부가 톱니로부터 이격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의 일측에 구비되어 탄성 지지력을 받는 것으로 그 일측 끝단이 브레이크의 후퇴 회동시 록킹홈에 끼움되어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간소한 조작만으로도 단말기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가변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안전운행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단말기의 경우 운전자 의 체형에 따라 단말기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가변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에 대한 안정된 시야각 확보를 통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전 운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차량, 네비게이션, 단말기, 거치, 조절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HOLDING DEVICE OF PERSONAL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크기로 구비되는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소한 조작만으로 단말기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검색 처리하거나 또는 각종 미디어 파일을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로는 이동통신단말기, 개인정보단말기(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넷북(Net-Book) 등이 있다.
이들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이동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구비되어 휴대성이 강조된 것으로, 차량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거치장치에 의해 차량의 대시보드나 전방 유리창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는 차량의 대시보드나 전면 유리창에 부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단말기를 지지하는 크래들에 연결되는 조인트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은 일면에 접착테잎이 부착되거나 또는 진공압을 생성하는 흡착반이 부가 구성되어, 이를 통해 대시보드나 전면 유리에 부착된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고정판과 크래들을 연결하는 요소로, 상기 고정판과 억지 끼워맞춤으로 피벗 결합되어 선회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길이재의 마운트 브라켓트로 구비되거나, 또는 외력에 의해 비교적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면서 변형된 위치를 유지하는 플랙시블관으로 구비된다.
상기 크레들은 단말기가 거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단말기의 양측 또는 사방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결속편을 포함한다. 이러한 크래들은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중 상기 플랙시블관이 적용된 거치장치의 경우 크래들의 각도 전환이 상기 마운트 브라켓트 방식에 비하여 비교적 자유로운 장점이 있으나, 단말기 자체의 무게와 차량 주행시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플랙시블관이 쉽게 위치 변위를 일으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수시로 각도 조절을 재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가 크래들로부터 분리 낙하되면서 기기의 파손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가중시키는 심각 한 문제점을 유발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들어서는 안정된 결합력을 통해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크래들이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안정된 거치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마운팅 브라켓트가 적용된 거치장치의 보급이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운팅 브라켓트가 적용된 거치장치의 경우 크래들의 각도 전환은 비교적 자유로우나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그 높낮이 조절이 불가하여 이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일예로, 키가 큰 운전자와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운전자가 동일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크래들의 각도 조절만으로 운전자의 체형(눈 높이)에 맞는 위치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부득이 운전자가 바뀔때마다 자신의 체형에 맞는 눈높이에 위치하도록 단말기의 위치를 재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 치장치는, 차량의 대시보드나 전면 유리창에 부착되는 고정판 및 단말기를 거치 지지하는 크래들 그리고 크래들과 고정판을 연결하는 조인트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단말기의 후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톱니를 형성하여 된 래칫 톱니부 및 이 래칫 톱니부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그 하측 끝부분이 일측으로 만곡되는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진 거치 승강판과; 일측이 조인트와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거치 승강판과 승강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는 것으로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 조작력을 받는 것으로 타단은 내측 중앙으로 연장되어 캠부가 형성된 레버로 이루어진 클램프 베이스와; 상기 클램프 베이스의 내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래칫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폴부 및 일측부에 요입 형성되는 록킹홈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후퇴 회동하여 폴부가 톱니로부터 이격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의 일측에 구비되어 탄성 지지력을 받는 것으로 그 일측 끝단이 브레이크의 후퇴 회동시 록킹홈에 끼움되어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거치 승강판은 양측면에 상기 단말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된 두께를 갖도록 단차를 형성하여 된 가이드 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단턱이 슬라이드 끼움되게 홈을 형성한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브레이크는 후면에 상기 폴부가 톱니 측으로 진행하도록 복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브레이크의 일측에는 상기 레버의 캠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캠부의 곡면에 대하여 평탄한 면을 갖는 캠복귀 가압판 및 이 캠복귀 가압판의 후면에 구비되어 캠부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캠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록킹홈측으로 향하도록 일측에 록킹 스프링이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연동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하측 끝 부분이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굽힘 형성되어 상기 연동편이 록킹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록킹홈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는, 간소한 조작만으로도 단말기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가변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 이 있다.
특히,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안전운행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단말기의 경우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단말기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가변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에 대한 안정된 시야각 확보를 통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전 운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의 위치 고정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며, 도 7은 도 3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의 위치 가변이 가능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4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끝으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에서 레버의 구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1)는, 차량의 대시보드나 전면 유리창에 부착되는 고정판(2)과, 이동통신단말기, 개인정보단말기(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넷북(Net-Book) 등의 휴대용 단말기(p)를 거치 지지하는 크래들(4) 그리고 상기 고정판(2)과 크래들(4)을 연결하는 조인트(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2)은 일면에 접착 테잎이 부착되거나, 또는 진공압을 생성하는 흡착반이 부가 구성된 것으로 이를 통해 차량의 대시보드나 전면 유리창에 부착 고정된다.
상기 조인트(3)는 상기 고정판(2)과 크래들(4)을 연결하는 요소로, 피벗 결합구조를 채용하여 선회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길이재의 마운트 브라켓트로 구비되거나 또는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면서 변형된 위치를 유지하는 플랙시블관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고정판(2)과 조인트(3)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 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크래들(4)을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단말기(p)의 높낮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크래들(4)은 단말기(p)의 후면에 결합 고정되는 거치 승강판(10)과, 상기 조인트(3)의 일측에 결합되는 클램프 베이스(20) 그리고 상기 클램프 베이스(20)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승강판(10)의 하강을 제한하는 브레이크(30) 및 이 브레이크(30)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거치 승강판(10)의 하강을 자유롭게 하는 스토퍼(40) 그리고 상기 클램프 베이스(20)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회전 조작력을 받는 레버(22)를 위치 복귀시키는 캠복귀 가압판(50)으로 구성된다.
거치 승강판(1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p)의 후면에 결합 고정된다. 이때 상기 거치 승강판(10)과 단말기(p)의 결합은 나사체결 또는 끼움결합 등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거치 승강판(10)은 상기 단말기(p)와 결합되는 반대쪽면에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하는 방향으로 중앙부에는 래칫 톱니부(11)가 형성되고, 이 래칫 톱니부(11)의 일측으로는 가이드 레일(13)이 형성된다.
상기 래칫 톱니부(11)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의 상기 톱니는 상면이 평탄하고 하면이 경사각 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에 의해 후술할 폴부(31)와의 걸림시 상승 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하면서 하강 방향으로 이동은 제한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3)은 상기 래칫 톱니부(11)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긴홈으로서, 그 하측 끝부분이 일측으로 만곡되게 굽힘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3)은 후술할 스토퍼(40)의 연동편(41)이 슬라이드 끼움되며, 이때의 상기 연동편(41)은 상기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이동되면서 하측 끝부분에 도달하였을 때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거치 승강판(10)은 양측면에 상기 단말기(p)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된 두께를 갖도록 단차를 형성하여 된 가이드 단턱(14)을 구비하며, 이러한 가이드 단턱(14)은 후술할 클램프 베이스(20)의 슬라이드부(21)에 끼움되는 것에 의해 거치 승강판(10)이 클램프 베이스(20)를 중심으로 승강은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구속된다.
클램프 베이스(20)는 후술할 브레이크(30)와 스토퍼(40) 그리고 캠복귀 가압판(5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방형상으로 구비되는 부재로, 그 후면은 조인트(3)와 공지의 나사체결 또는 끼움구조로 연결 결합된다.
이러한 클램프 베이스(20)는 사용자로부터 회전 조작력을 받는 레버(22)를 구비하며, 상기 레버(22)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 방향으로 일측이 돌출되어 손잡이(미부호)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클램프 베이스(20)의 내부 중앙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레버(22)는 손잡이의 반대쪽 부분은 단면이 반원형상을 갖는 캠부(22c)가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캠부(22c)는 후술할 브레이크(30)와 캠복귀 가압판(50)의 각 일측에 접촉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 베이스(20)는 상기 거치 승강판(10)이 승강은 가능하면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은 방지되도록 슬라이드부(21)가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슬라이드부(21)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베이스(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단턱(14)이 슬라이드 끼움되게 수직하는 방향으로 홈(미부호)을 형성한 구조로 구비된다.
브레이크(30)는 상기 클램프 베이스(20)의 내부 일측에 힌지(33)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그 상단부는 상기 래칫 톱니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톱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폴부(31)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스토퍼(40)의 선단이 끼움되어 구속력을 생성하도록 요입된 록킹홈(37)이 형성된다.
이러한 브레이크(30)는 그 후면에 상기 폴부(31)가 래칫 톱니부(11)의 톱니에 물림 고정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30s)이 설치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30)는 복귀 스프링(30s)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힌지(33)를 중심으로 그 상단부가 상기 래칫 톱니부(11)측으로 회동을 이루어, 결과적으로 폴부(31)가 래칫 톱니부(11)이 톱니에 물림되어 고정력을 생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30)는 상기 래칫 톱니부(11)의 톱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승 이동시에는 구속력이 해제되고 하강시에는 구속력이 유지된다.
상기 록킹홈(37)은 상기 브레이크(30)의 측부에 요입 형성되는 홈으로, 상기 브레이크(30)가 힌지(33)를 중심으로 후퇴 회동 즉, 폴부(31)가 톱니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이루면, 후술할 스토퍼(4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구속력을 생성한다. 이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30)는 록킹홈(37)에 스토퍼(40)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30)가 위치 복귀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결과적으로 폴부(31)가 톱니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브레이크(30)는 상기 레버(22)의 회전 조작시 캠부(22c)와 접촉되는 부분이 곡률에 의해 후퇴 회동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 폴부(31)는 래칫 톱니부(11)의 톱니에서 분리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록킹홈(37)으로는 스토퍼(40)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30)가 복귀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토퍼(40)는 상기 브레이크(30)의 일측에 구비되어 탄성 지지력을 받아 상기 브레이크(30)가 후퇴 회동시 그 록킹홈(37)에 삽입되어 상기 브레이크(30)의 위치 복귀를 구속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스토퍼(40)는 상기 브레이크(30)와 반대되는 쪽에 록킹 스프링(43)이 구비되는데, 이 록킹 스프링(43)의 탄성 지지력을 받아 상기 브레이크(30)를 향하는 일측이 상기 록킹홈(37)에 선택적으로 끼움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토퍼(40)는 상기 래칫 톱니부(11)와 마주보는 일측면으 로 상기 가이드 레일(13)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이동되는 연동편(41)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가이드 레일(13)은 하측 끝부분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록킹 스프링(43)이 형성된 방향측으로 만곡지게 굽힘 형성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연동편(41)이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하강 이동하면서 하측 끝부분에서 수평 이동을 하여 상기 록킹 스프링(43)을 압축시키면서 록킹홈(37)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위치 복귀를 이룬다.
캠복귀 가압판(50)은 상기 브레이크(30)의 일측 즉, 상기 스토퍼(40)와 반대되는 쪽에 구비되는 부재로, 상기 레버(22)가 회동되었을 때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캠복귀 가압판(50)은 상기 캠부(22c)의 곡면에 대하여 평탄한 면을 구비하는 판재형의 부재로, 본 발명에서는 캠부(22c)의 전면측을 제외한 나머지 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절곡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상기 캠복귀 가압판(50)은 그 후면에 캠부(22c)를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캠 스프링(50s)이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캠 스프링(50s)은 상기 캠복귀 가압판(50)이 전방측 즉, 거치 승강판(10)을 향하는 쪽으로 이동될 수 있게 탄성 지지한다면 공지의 다양한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5 그리고 도 7은 크래들(4)을 구성하는 요소 중, 거치 승강판(10)과 클램프 베이스(20)가 상호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단말기(p)를 거치한 거치 승강판(10)의 높이를 현 위치보다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없이 거치 승강판(10)을 잡고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상향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즉, 거치 승강판(10)을 상향 이동시면 상기 거치 승강판(10)의 래칫 톱니부(11)와 폴부(31)는 그 형상이 상향 이동시 걸림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빗면으로 상승방향으로 빗면 접촉을 이루고 있으므로 상향 이동이 가능하다.
반면, 단말기(p)를 거치한 거치 승강판(10)의 높이를 현 위치보다 하강 조절하는 경우에는, 먼저 레버(22)를 일방향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레버(22)의 회전에 의해 그 끝단부에 마련된 캠부(22c)가 상기 브레이크(30)의 캠홈(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체로 회전을 이루면서 상기 브레이크(30)를 후퇴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30)가 힌지(33)를 중심으로 후퇴 회동됨에 따라 폴부(31)가 래칫 톱니부(11)의 톱니로부터 분리되고, 이와 동시에 일측에 설치된 록킹 스프링(43)의 탄성지지력을 받는 스토퍼(40)가 탄성력에 의해 그 선단부가 록킹홈(37)에 삽입되어 결과적으로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레버(22)에 가하는 회전 조작력을 해제하여도 브레이크(30)가 후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30)의 폴부(31)가 래칫 톱니부(11)로부터 이격되어 걸림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단말기를 거치한 거치 승강판(10)을 하강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거치 승강판(10)을 완전 하강시키면, 상기 스토퍼(40)의 연동편(41)이 가이드 레일(13)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레일(13)의 하부 끝단부에 형성된 굴곡된 부분으로 진입하면서 연동편(41)이 일측으로 즉, 록킹 스프링(43)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을 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스토퍼(40)가 전체적으로 후퇴하여 그 선단부가 상기 브레이크(30)의 록킹홈(37)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30)는 복귀 스프링(30s)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후퇴 회동된 위치에서 최초 위치로 복귀되어 폴부(31)가 래칫 톱니부(11)의 톱니에 맞물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승강판(10)의 높이를 현 위치보다 상승시키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별도의 레버 조작없이 상기 거치 승강판(10)을 잡고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상향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의 위치 고정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의 위치 가변이 가능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도 3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6은 도 4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7은 도 3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8은 도 4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에서 레버의 구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2 : 고정판
3 : 조인트 4 : 크래들
10 : 거치 승강판 20 : 클램프 베이스
30 : 브레이크 40 : 스토퍼
50 : 캠복귀 가압판

Claims (5)

  1. 차량의 대시보드나 전면 유리창에 부착되는 고정판 및 단말기를 거치 지지하는 크래들 그리고 크래들과 고정판을 연결하는 조인트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4)은, 단말기(p)의 후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톱니를 형성하여 된 래칫 톱니부(11) 및 이 래칫 톱니부(11)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그 하측 끝부분이 일측으로 만곡되는 가이드 레일(13)로 이루어진 거치 승강판(10)과;
    일측이 조인트(3)와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거치 승강판(10)과 승강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는 것으로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 조작력을 받는 것으로 타단은 내측 중앙으로 연장되어 캠부(22c)가 형성된 레버(22)로 이루어진 클램프 베이스(20)와;
    상기 클램프 베이스(20)의 내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래칫 톱니부(11)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폴부(31) 및 일측부에 요입 형성되는 록킹홈(37)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22)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후퇴 회동하여 폴부(31)가 톱니로부터 이격되는 브레이크(30)와;
    상기 브레이크(30)의 일측에 구비되어 탄성 지지력을 받는 것으로 그 일측 끝단이 브레이크(30)의 후퇴 회동시 록킹홈(37)에 끼움되어 고정시키는 스토퍼(4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승강판(10)은 양측면에 상기 단말기(p)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된 두께를 갖도록 단차를 형성하여 된 가이드 단턱(14)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베이스(20)는 상기 가이드 단턱(14)이 슬라이드 끼움되게 홈을 형성한 슬라이드부(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30)는 후면에 상기 폴부(31)가 톱니 측으로 진행하도록 복귀 스프링(30s)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30)의 일측에는 상기 레버(22)의 캠부(22c)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캠부(22c)의 곡면에 대하여 평탄한 면을 갖는 캠복귀 가압판(50) 및 이 캠복귀 가압판(50)의 후면에 구비되어 캠부(22c)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캠 스프링(50s)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록킹홈(37)측으로 향하도록 일측에 록킹 스프링(43)이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3)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연동편(4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3)은 하측 끝 부분이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굽힘 형성되어 상기 연동편(41)이 록킹 스프링(43)을 압축시키면서 록킹홈(37)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KR1020090035588A 2009-04-23 2009-04-23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KR20100116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588A KR20100116927A (ko) 2009-04-23 2009-04-23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588A KR20100116927A (ko) 2009-04-23 2009-04-23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927A true KR20100116927A (ko) 2010-11-02

Family

ID=4340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588A KR20100116927A (ko) 2009-04-23 2009-04-23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692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323A (ko) * 2014-03-20 2015-10-02 오슬기 회동이 자유로운 유니버셜 레일마운트
KR101593071B1 (ko) * 2015-01-08 2016-02-1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20160038313A (ko) * 2014-09-30 2016-04-07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KR102270016B1 (ko) * 2020-04-23 2021-06-28 김정태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CN114102483A (zh) * 2021-12-31 2022-03-01 湖北鸿福羊全屋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可调式钢结构加工工装卡具
KR102410656B1 (ko) * 2020-12-28 2022-06-22 박시우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조립체
CN114776997A (zh) * 2022-03-23 2022-07-22 呼伦贝尔安泰热电有限责任公司海拉尔热电厂 一种电厂热控用热控仪表安装装置
CN116278644A (zh) * 2023-05-18 2023-06-23 江苏祥强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塑料出风口组件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323A (ko) * 2014-03-20 2015-10-02 오슬기 회동이 자유로운 유니버셜 레일마운트
KR20160038313A (ko) * 2014-09-30 2016-04-07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KR101593071B1 (ko) * 2015-01-08 2016-02-1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102270016B1 (ko) * 2020-04-23 2021-06-28 김정태 개선된 잠금 및 잠금해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기기 거치대
KR102410656B1 (ko) * 2020-12-28 2022-06-22 박시우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조립체
CN114102483A (zh) * 2021-12-31 2022-03-01 湖北鸿福羊全屋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可调式钢结构加工工装卡具
CN114776997A (zh) * 2022-03-23 2022-07-22 呼伦贝尔安泰热电有限责任公司海拉尔热电厂 一种电厂热控用热控仪表安装装置
CN114776997B (zh) * 2022-03-23 2023-10-10 呼伦贝尔安泰热电有限责任公司海拉尔热电厂 一种电厂热控用热控仪表安装装置
CN116278644A (zh) * 2023-05-18 2023-06-23 江苏祥强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塑料出风口组件
CN116278644B (zh) * 2023-05-18 2023-08-04 江苏祥强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塑料出风口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6927A (ko)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EP2159470B1 (en) Holder
CN1925730B (zh) 显示器装置
US8109479B1 (en) Multi-vacuum mount type support device
US20090242722A1 (en) Planar rotation mechanism of supporting device
US8056877B2 (en) Support mechanism
KR20080010631A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438202Y1 (ko) 차량용 휴대형 전자 기기의 거치대
KR101403413B1 (ko) 가변형 거치대
CN104608705A (zh) 一种隐藏式移动设备夹紧装置
CN108413225B (zh) 移动终端支架
CN204801669U (zh) 一种车载手机架
TW201228861A (en) A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CN212430392U (zh) 一种可调的汽车用导航支架
JP2007031981A (ja) 梯子の転倒防止器具
CN101799105A (zh) 可收合锁固的支撑架
CN210867816U (zh) 一种角度易调节的车载手机支架
KR200438824Y1 (ko) 고정수단을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CN100518202C (zh) 移动通信终端的旋转合叶装置
CN109519663B (zh) 电子装置夹持支架
CN208789838U (zh) 一种手机支架
KR101198839B1 (ko)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장치
CN204870796U (zh) 一种车载手机支架
CN204906478U (zh) 一种手机支架
CN215871495U (zh) 自动锁止的手机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