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865B1 -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865B1
KR102268865B1 KR1020190129555A KR20190129555A KR102268865B1 KR 102268865 B1 KR102268865 B1 KR 102268865B1 KR 1020190129555 A KR1020190129555 A KR 1020190129555A KR 20190129555 A KR20190129555 A KR 20190129555A KR 102268865 B1 KR102268865 B1 KR 102268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old
core
manufactur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151A (ko
Inventor
고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2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8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62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2Mechanical after-treatments
    • B29C66/0324Reforming or reshaping the joint, e.g. folding 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2Mechanical after-treatments
    • B29C66/0326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3Making tension-free or wrinkle-fre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Abstract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원단을 미리 특정된 형태로 성형하여 시트를 형성하고, 시트를 재봉하여 스티치를 형성하고, 스티치가 형성된 시트를 금형장치를 통해 코어에 접합하고, 접합된 시트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고, 시트의 테두리부를 코어 측으로 폴딩 접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NTERIOR MATERIAL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킨패드의 접합 시 주름 발생을 감소시키고, 스킨패드에 스티치를 직접 재봉하여 심미성을 증대시키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내장재는 차량의 내부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도어트림, 콘솔, 글로브 박스, 에어백 덮개 패널 등 다양한 부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내장재는 주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경질의 코어에, 연질의 표피재를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 때, 차량 내부 촉감을 향상시키고 차량 내부에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부여하기 위하여 표피재는 가죽 또는 천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해 표피재의 테두리부에 재봉선을 박음질하여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차량용 내장재를 구성하는 코어와 표피재의 접합 공정 시, 압착 금형을 이용해 표피재를 코어에 밀착시키는데, 밀착 과정에서 표피재에 주름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00232호 (2013.01.02.)
본 실시 예는 시트에 스티치 라인이 직접 재봉되어 스티치 라인의 품질이 향상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시트와 코어의 접합 시 시트의 위치 규제를 통해 주름 발생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시트와 코어의 접합 시 금형에 설치되는 온수라인을 통해 접착제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내장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시트와 코어의 접합 시 회전형 금형을 이용해 부품의 장착이 쉬워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시트의 폴딩 접합 시 기계식과 수작업의 이중 접합으로 내장재의 제조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원단을 미리 특정된 형태로 성형하여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를 재봉하여 스티치를 형성하고, 스티치가 형성된 상기 시트를 금형장치를 통해 코어에 접합하고, 접합된 상기 시트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고, 상기 시트의 테두리부를 상기 코어 측으로 폴딩 접합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원단은 예열기를 통해 예열되고, 진공성형을 통해 미리 특정된 형태로 성형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금형장치는 상기 시트를 흡입하여 상면에 장착시키는 하부 금형과, 일측이 힌지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코어를 흡입하여 하면에 장착시키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금형장치는 상기 하부 금형의 상면에 상기 시트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금형이 회전하여 상기 상부 금형의 하면에 상기 코어가 장착된 후 상기 상부 금형이 원위치로 회전하고,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하부 금형 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시트와 상기 코어를 접합시키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상기 상부 금형의 가압 시 상기 상부 금형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와, 상기 하부 금형에 상기 제1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는 홈 사이에 고정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상기 상부 금형의 가압 시 상기 상부 금형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어를 관통하는 제2 돌기와, 상기 하부 금형 사이에 개재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시트에 스티치 라인이 직접 재봉되어 스티치 라인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시트와 코어의 접합 시 시트의 위치 규제를 통해 주름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시트와 코어의 접합 시 금형에 설치되는 온수라인을 통해 접착제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내장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시트와 코어의 접합 시 회전형 금형을 이용해 부품의 장착이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시트의 폴딩 접합 시 기계식과 수작업의 이중 접합으로 내장재의 제조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시트 성형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접합 단계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접합 단계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접합 단계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접합 단계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접합 단계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시트 트리밍 단계 및 시트 폴딩 접합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시트 성형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코어 접합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시트 트리밍 단계 및 시트 폴딩 접합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시트 성형 단계(S100), 스티치 재봉 단계(S200), 코어 접합 단계(S300), 시트 트리밍 단계(S400), 시트 폴딩 접합 단계(S5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시트 성형 단계(S100)에서는 연질의 표피재로 이루어진 원단을 진공 금형(10)을 이용해 차량의 내장재의 형상에 알맞게 성형하여 시트(110)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원단의 양단을 고정하고, 예열기(H)로 예열시켜 원단의 형상 변형이 용이하도록 준비시킬 수 있다. 원단은 형상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면에 가죽무늬가 형성되는 합성수지, PVC 원단, 인조피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열된 원단은 진공 금형에 의해 미리 특정된 형태로 진공 성형되어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열된 원단을 금형(10)의 금형부에 배치시킨 후 금형 내부 공기를 흡입라인(1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형성시키면, 원단이 금형부에 밀착 변형되어 미리 특정된 형태의 시트(110)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티치 재봉 단계(S200)에서는 시트 성형 단계(S100)에서 형성된 시트(110)에 재봉라인을 형성하여 스티치를 형성하여 시트(110)의 입체감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스티치 재봉 단계(S200)에서는 재봉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시트(110)에 스티치를 직접 재봉하며, 예를 들어 시트(110)의 테두리부 또는 시트와 코어(120)가 접합되는 부분을 따라 재봉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코어 접합 단계(S300)에서는 스티치가 형성된 시트(110)를 금형장치(20,30)를 이용해 코어(120)와 접합시킨다.
먼저 금형장치(20,30)는 스티치가 형성된 시트(110)를 장착시키는 하부 금형(20)과, 코어(120)를 장착시키는 상부 금형(30)을 포함하며, 상하부 금형(20,30)의 합형에 의해 시트(110)와 코어(120)를 접합시킬 수 있다.
하부 금형(20)의 상면(23)에는 시트(110)의 형상과 대응되게 굴곡이 형성되는 금형부가 마련되어 시트(11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금형(20,30)이 정확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하부 금형(20)의 상면(23)의 양단에는 상부 금형(30)의 결합돌기(33c)와 대응되는 결합홈(23c)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 금형(20)의 내부에는 온수라인(미도시)이 설치되어 금형부 표면의 온도를 일정 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시트(110)와 코어(120)의 접착 시 접착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하부 금형(20)의 내부에는 금형부의 표면을 통해 연통되는 흡입라인(21)이 마련되어 시트(110) 장착 시 흡입라인(21)의 흡입력을 이용해 시트(110)를 금형부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이 때, 흡입라인(21)은 상술한 시트 성형 단계(S100)에서의 진공 흡입 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다.
상부 금형(30)의 하면(33)에는 코어(120)의 형상과 대응되게 굴곡이 형성되는 금형부가 마련되어 코어(12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금형(20,30)이 정확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상부 금형(30)의 하면(33)의 양단에는 하부 금형(20)의 결합홈(23c)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결합돌기(33c)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금형(30)은 하부 금형(20) 측으로(또는 상하 방향으로) 가압 및 가압 해제 가능하게 마련되되, 이와 동시에 일측이 힌지 고정되어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 접합 공정 전에는 상부 금형(30)을 회전시켜 코어(120)가 쉽게 장착 가능하며, 코어 접합 공정 후에는 부품의 취출이 쉬워진다.
상부 금형(30)의 내부에는 온수라인(미도시)이 설치되어 금형부 표면의 온도를 일정 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시트(110)와 코어(120)의 접착 시 접착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부 금형(30)의 코어(120)가 장착되는 부분의 외측에는 제1 돌기(33a)가 형성되고, 제1 돌기(33a)는 상하부 금형(20)의 합형 시(도 6 참조) 하부 금형(20)의 홈(23a)에 삽입된다. 이 때, 제1 돌기(33a)와 홈(23a) 사이에 시트(110)의 위치가 규제 및 고정되어 시트(110)와 코어(120)의 접합 시 발생하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시트(110)의 위치가 규제됨에 따라 가죽과 같은 연질재에 발생 가능한 밀림 현상에 의한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금형(30)의 코어(120)가 장착되는 부분에는 제2 돌기(33b)가 형성되고, 제2 돌기(33b)는 코어(120)의 장착 시 코어(120)에 마련된 관통홀(123b)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돌기(33b)는 코어(120)를 상부 금형(30)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하부 금형(20,30)의 합형 시(도 6 참조) 시트(110)를 가압하여 고정시켜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금형(30)의 내부에는 금형부의 표면을 통해 연통되는 흡입라인(31)이 마련되어 코어(120) 장착 시 흡입라인(31)의 흡입력을 이용해 코어(120)를 금형부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이 때, 흡입라인(31)은 상술한 시트 성형 단계(S100)에서의 진공 흡입 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다.
코어 접합 단계(S300)에서는 하부 금형(20)의 흡입라인(21)을 작동시켜 금형부에 시트(110)를 안착시키고(도 3), 상부 금형(30)의 일측이 힌지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을 회전시켜 미리 성형된 코어(120)를 상부 금형(30)에 장착시킨다(도 4).
이어서, 상부 금형(30)을 원위치로 회전시킨 후, 하부 금형(20) 측으로 가압하여 시트(110)와 코어(120)를 접합시킨다(도 5 및 6). 이 때, 시트(110)와 코어(120)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며 상하부 금형(20)의 내부에 마련된 온수라인(미도시)에 의해 접착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시트(110)는 코어(120)와 밀착 시 상부 금형(30)의 제1 돌기(33a) 및 제2 돌기(33b)에 의해 고정되어 주름 발생이 억제된다.
상하부 금형(20)의 합형에 의해 시트(110)와 코어(120)가 접합 완료되면, 상부 금형(30)은 가압 해제되고 접합된 부품(110,120)은 금형으로부터 취출된다.(도 7)
도 8을 참조하면, 시트 트리밍 단계(S400)에서는 트리밍 기계를 이용해 접합 완료된 부품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한다. 이는 후술할 단계에서 시트(110)의 폴딩 접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시트 폴딩 접합 단계(S500)에서는 시트(110)의 테두리부를 코어(120) 측으로 폴딩하여 코어(120)를 감싸도록 접어서 접착시킨다. 이 때, 폴딩 접합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 폴딩 작업을 수행한 후에 작업이 미흡한 부분은 수작업으로 폴딩 작업을 진행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진공금형 11: 흡입라인
20: 하부 금형 21: 흡입라인
23: 금형부 23a: 홈
23c: 결합홈 30: 상부 금형
31: 흡입라인 32: 힌지부
33: 금형부 33a: 제1 돌기
33b: 제2 돌기 33c: 결합돌기
100: 내장재 110: 시트
120: 코어 123b: 관통홀

Claims (6)

  1. 원단을 미리 특정된 형태로 성형하여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를 재봉하여 스티치를 형성하고,
    스티치가 형성된 상기 시트를 흡입하여 상면에 장착시키는 하부 금형과, 일측이 힌지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코어를 흡입하여 하면에 장착시키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장치로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의 테두리부는 금형장치로 고정하면서 상기 시트의 중심부는 상기 코어에 접합하고,
    접합된 상기 시트의 테두리부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고,
    상기 불필요한 부분이 절단된 시트의 테두리부를 상기 코어 측으로 폴딩 접합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상부 금형의 가압 시 일측이 상기 상부 금형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와 상기 하부 금형에 상기 제1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는 홈 사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 금형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어를 관통하는 제2 돌기와 상기 하부 금형 사이에 개재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예열기를 통해 예열되고,
    진공성형을 통해 미리 특정된 형태로 성형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장치는
    상기 하부 금형의 상면에 상기 시트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금형이 회전하여 상기 상부 금형의 하면에 상기 코어가 장착된 후 상기 상부 금형이 원위치로 회전하고,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하부 금형 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시트와 상기 코어를 접합시키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90129555A 2019-10-18 2019-10-18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2268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555A KR102268865B1 (ko) 2019-10-18 2019-10-18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555A KR102268865B1 (ko) 2019-10-18 2019-10-18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151A KR20210046151A (ko) 2021-04-28
KR102268865B1 true KR102268865B1 (ko) 2021-06-25

Family

ID=7572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555A KR102268865B1 (ko) 2019-10-18 2019-10-18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8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928B1 (ko) * 2011-06-03 2011-12-15 엠티코리아 주식회사 진공 가압 제조 장치
KR101773138B1 (ko) * 2016-02-24 2017-08-31 주식회사 몰텍스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232A (ko) 2011-06-22 2013-01-02 (주) 마린테크 가죽 무늬 패턴이 형성된 금형장치
KR20180131028A (ko) * 2017-05-31 2018-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재와 표피재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928B1 (ko) * 2011-06-03 2011-12-15 엠티코리아 주식회사 진공 가압 제조 장치
KR101773138B1 (ko) * 2016-02-24 2017-08-31 주식회사 몰텍스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151A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138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JP4766322B2 (ja) 車両用内装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92236B2 (ja) 自動車のトリムパネル
US11427117B2 (en) Panel assembly with molded foam backing
JPH058036B2 (ko)
US829305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vehicular interior part
KR102165285B1 (ko)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인서트 사출 공법
EP0737556B1 (en) Method of making a vehicle trim panel
KR102268865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WO2013111680A1 (ja) 表皮付き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11400674B2 (en) Sheet molding production method
US201101980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laminating a substrate layer with a decorative layer
EP3335876A1 (en) Method of forming three-dimensional composite
JP5166832B2 (ja) 表皮材被覆樹脂製品の製造方法
CN112208186A (zh) 成型车辆内装材料的成型模具及其成型方法
JP2564597B2 (ja) 加飾用部品の取付け構造
JP4235305B2 (ja) オーナメント組立体の製造方法
US20230044458A1 (en) Press apparatus for vehicle crash pads comprising real wood shee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 crash pads using the same
JP2019001042A (ja) 車両内装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圧着装置
KR102305153B1 (ko) 진동형 금형장치
KR101507983B1 (ko) 물리적 강도를 개선한 쿠션 방석 및 제조 방법
US20230038199A1 (en) Press apparatus for vehicle crash pads comprising real wood shee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 crash pads using the same
JP2012228814A (ja) 表皮材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KR20160062954A (ko) 차량의 도어트림 제조방법
KR20180062214A (ko) 자동차 내장재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