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547B1 -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547B1
KR102268547B1 KR1020190114864A KR20190114864A KR102268547B1 KR 102268547 B1 KR102268547 B1 KR 102268547B1 KR 1020190114864 A KR1020190114864 A KR 1020190114864A KR 20190114864 A KR20190114864 A KR 20190114864A KR 102268547 B1 KR102268547 B1 KR 102268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common part
building
pressure
exclu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298A (ko
Inventor
길용식
조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19011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5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10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의 사용자가 동일 층의 전유부와 공용부를 출입하는 상기 전유부의 현관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현관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동작센서; 상기 건물의 공용부를 환기시키기 위해 설치된 공용부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창호 개폐장치; 및 상기 동작센서를 통해 상기 현관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 사이의 압력 차를 산출하여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과 비교하며, 상기 산출된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상인 경우, 상기 창호 개폐장치를 통해 상기 공용부 창호를 개방하여 상기 건물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유출시킴으로써,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를 저감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돌효과에 따른 과도한 압력 차를 각 층의 개별 창호를 개방하여 해소함으로써, 건물의 설계변경에 따른 지속적인 압력 차를 저감하는 것과 함께 단속적인 압력 차를 저감할 수 있고, 공용부 창호를 개방시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건물 내 공조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연돌효과에 따른 과도한 압력 차를 해소할 수 있으며, 중성대로부터 멀어질수록 가중되는 연돌효과에 따른 압력 차를 각 층의 공용부 창호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시의적절하고 보다 간편한 유지와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Differential pressure reduction device in common part and dedicated part in building caused by stack effect}
본 발명은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 사이에 발생하는 연돌효과에 의한 차압을 공용부에 설치된 창호를 개방하여 해소하는 차압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이 고층화됨에 따라 기존 저층 건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들 중 연돌효과(Stack effect)에 의한 문제는 건물의 거주자에게 큰 불편함을 주는 문제들을 야기한다.
고층 건물에서 발생하는 연돌효과는 건물에서 내부공기와 외부공기의 상태(온/습도, 공기밀도) 차이로 인해 내외부 공기간의 압력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건물 내부와 외부, 건물 내에서 상층부와 하층부간의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엘리베이터 통로나 계단실과 같은 수직공간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돌효과는 침기와 누기에 의한 문제, 환기 및 배기설비 상의 문제, 화재 발생 시 전파 속도에 따른 문제를 비롯하여 엘리베이터 문 또는 현관 출입문에서 개폐 문제 등을 발생시킨다.
연돌효과의 작용 과정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보다 높을 때, 건물의 저층부에서는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수직이동경로인 샤프트 공간을 통해 건물 내부에서 상승하고, 상승한 공기는 건물의 상층부에서 외부로 유출된다. 이에, 중성대로 불리는 건물 내외부의 압력차가 없는 구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연돌효과는 중성대로부터의 거리와 건물 내외부의 온도차에 비례한다.
따라서, 겨울철 건물의 상층부로 갈수록 연돌효과에 의한 건물 내외부 압력차는 가중되어 엘리베이터 문 또는 현관 출입문에서 발생하는 과중한 압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문의 오작동 및 소음에 따른 문제와 아동 또는 노인들과 같은 이들이 출입문을 스스로 개폐할 수 없는 문제 등이 심화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5397호』
본 발명은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과도한 압력 차를 저감할 수 있는 차압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사용자가 동일 층의 전유부와 공용부를 출입하는 상기 전유부의 현관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현관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동작센서; 상기 건물의 공용부를 환기시키기 위해 설치된 공용부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창호 개폐장치; 및 상기 동작센서를 통해 상기 현관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 사이의 압력 차를 산출하여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과 비교하며, 상기 산출된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상인 경우, 상기 창호 개폐장치를 통해 상기 공용부 창호를 개방하여 상기 건물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유출시킴으로써,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를 저감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연돌효과에 따른 과도한 압력 차를 각 층의 개별 창호를 개방하여 해소함으로써, 건물의 설계변경에 따른 지속적인 압력 차를 저감하는 것과 함께 단속적인 압력 차를 저감할 수 있다.
둘째, 공용부 창호를 개방시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건물 내 공조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연돌효과에 따른 과도한 압력 차를 해소할 수 있다.
셋째, 중성대로부터 멀어질수록 가중되는 연돌효과에 따른 압력 차를 각 층의 공용부 창호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시의적절하고 보다 간편한 유지와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들이 설치된 공용부와 전유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건물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고층 건물에 형성되는 공용부와 전유부의 압력 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의 차압 저감장치를 이용하여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을 저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압 저감장치를 이용하여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을 저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압 저감장치(100)의 구성이 나타나 있고, 도 2에는 건물 내 형성되는 공용부(CP)와 전유부(DP)의 구조와 함께 도 1의 차압 저감장치(100)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구조가 나타나 있으며, 도 3에는 건물 내 건물의 높이에 따른 공용부(CP)와 전유부(DP) 사이의 압력 차가 나타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CP)와 전유부(DP)의 차압 저감장치(100, 이하, ‘차압 저감장치’라 함)는 압력센서(110), 온도센서(120), 동작센서(130), 창호 개폐장치(140) 및 제어장치(150)를 포함한다.
압력센서(110)은 건물 내 전유부(DP)와 공용부(CP)의 압력 차를 산출하기 위하여, 건물 내 현관(FD)을 통해 출입되는 전유부(DP), 공용부(CP) 및 엘리베이터(EV) 내부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것으로, 전유부(DP)의 압력을 측정하는 전용 압력센서(111)와, 공용부(CP)의 압력을 측정하는 공용 압력센서(112) 및 엘리베이터(EV)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승강 압력센서(113)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건물 내 출입문으로 구획되는 공간들에 대한 설명을 약술하면, 전유부(DP)는 구분소유권의 목적인 건물부분으로 세대 내 거주를 위한 구역이며, 공용부(CP)는 건물 내 상술한 전유부(DP)에 속하지 않은 공유지에 속하는 건물 부분으로 거주자(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구역을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연돌효과에 의한 공용부(CP)와 전유부(DP)의 차압을 저감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 일 실시예에서는 연돌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구역을 전유부(DP)라 정의하고, 연돌효과가 나타나는 구역을 공용부(CP)라 정의 한다. 구체적으로, 전유부(DP)는 거주자가 머무는 현관(FD) 내측의 세대 내 구역을 의미하는 것은 물론, 엘리베이터(EV) 내부 공간 역시 연돌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전유부(DP)로 분류하며, 엘리베이터(EV) 통로와 계단을 통해 인접한 층들과 연통되어 연돌효과가 나타나는 엘리베이터 홀(EH) 및 계단실(SC)은 공용부(CP)로 분류한다.
이에, 상술한 압력센서(110)를 부연하면, 전용 압력센서(111)은 세대 내 거주 구역에 설치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수단이고, 공용 압력센서(112)는 엘리베이터 홀(EH) 또는 계단실(SC)에 설치되어 공용 부분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단이며, 승강 압력센서(113)은 전유부(DP) 내 엘리베이터(EV)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단이다.
온도센서(120)는 전유부(DP)와 공용부(CP)의 온도 차는 물론 건물의 내외부의 온도 차를 산출하기 위하여, 전유부(DP)와 공용부(CP) 및 건물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전유부(DP)의 온도를 측정하는 전용 온도센서(121)와, 공용부(CP)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용 온도센서(122)와, 건물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외 온도센서(123)을 포함한다.
동작센서(130)는 전유부(DP)와 공용부(CP)를 출입하는 현관(FD)이 개폐되는 것을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현관(FD)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전유부(DP) 내 거주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전용 동작센서(131), 공용부(CP) 내 거주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공용 동작센서(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미 전유부(DP)로 분류된 엘리베이터(EV) 내부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승강 동작센서(130)가 설치될 수 있으나, 제어장치(150)가 엘리베이터(EV)가 각 층에 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술한 승강 동작센서(130)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창호 개폐장치(140)는 공용부(CP) 내 설치된 공용부 창호(CPW)를 자동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후술될 제어장치(150)에 의해 동작되며, 미닫이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의 개폐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공용부 창호(CPW)는 상술한 엘리베이터 홀(EH) 및 계단실(SC)에 설치된 창호로 공용부(CP)의 조망, 채광 및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창호를 의미한다.
제어장치(150)는 상술한 압력센서(110) 및 온도센서(1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용부(CP)에 나타나는 연돌효과에 의한 압력 차를 산출하고, 동작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공용부 창호(CPW)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의 필요를 판별하며, 이러한 산출 결과에 따라 개폐장치를 통해 공용부 창호(CPW)를 개폐시키는 제어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공용부(CP) 내 연돌효과에 의한 압력 차를 산출하기 위하여, 압력센서(110)을 통해 직접적으로 공용부(CP)와 전유부(DP)의 압력 차 또는 공용부(CP)와 엘리베이터(EV) 내부의 압력 차를 산출하거나,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연돌효과는 중성대와의 거리와 온도에 비례하므로, 온도센서(120)를 통해 공용부와 전유부(DP)의 압력 차 또는 공용부(CP)와 엘리베이터(EV) 내부의 압력 차를 간접적으로 산출하거나, 공용부와 건물 외부의 온도 차를 기반으로 연돌효과에 의한 압력 차를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압력 차는 동일 층의 전유부(DP)와 공용부(CP)의 압력 차이며, 보통 압력센서(110)에 비해 온도센서(120)의 비용이 더 저렴하므로, 보다 간편하게 공용부 창호(CPW)를 개폐하기 위해 압력센서(110) 대신 온도센서(120)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공용부(CP)와 건물 외부의 온도 차를 통해 본 발명의 차압 저감장치(100)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연돌효과는 실내외 온도 차이가 현저한 겨울철에 주로 나타나며, 여름철의 경우, 겨울철과 반대로 공기흐름이 발생하는 역연돌 현상이 발생하거나, 겨울철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내외 온도 차가 그리 크지 않아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특정한 계절 또는 시기에만 본 발명의 차압 저감장치(100)를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므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1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압 저감장치(100)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150)는 동작센서(1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현관(FD)이 개방되는 것과, 호출된 엘리베이터(EV)가 각 층에 도착하여 엘리베이터 문(ED)이 개방되는 것을 미리 예측 또는 추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현관(FD) 또는 엘리베이터 문(ED)이 개방될 때, 연돌효과에 의한 불편함과 불쾌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종래에 제안된 현관(FD) 또는 복도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점멸하는 복도 천장등(PCL) 및 현관 천장등(FCL)의 점멸 원리와 유사한 것으로, 동일한 과정을 통해 현관(FD) 또는 엘리베이터 문(ED)의 개방을 미연에 예측할 수 있고, 나아가 승강 동작센서(130)를 엘리베이터(EV)의 호출 신호로 대신하듯, 전용 동작센서(131)을 현관 천장등(FCL)의 점멸을 위한 감지센서로, 공용 동작센서(132)를 복도 천장등(PCL)의 점멸을 위한 감지센서로 대신할 수 있다. 즉, 동작센서(130)를 현관 천장등(FCL) 및 복도 천장등(PCL)에 연동시켜 현관(FD) 및 엘리베이터 문(ED)의 개방 동작을 예측 및 추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장치(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센서(130)를 통해 현관(FD) 또는 엘리베이터 문(ED)이 개방되는 것이 예측되면, 압력센서(110) 또는 온도센서(120)를 통해 공용부(CP)와 전유부(DP)의 압력 차가 거주자가 현관(FD)문을 개방하기 어려울 만큼, 엘리베이터 문(ED)이 오작동 될 만큼 크다 판단되면 공용부 창호(CPW)를 개방하여 공용부(CP) 내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건물의 내외부 온도 차가 최대 설정 온도 차 이상이면, 건물 내 에너지 소비를 경감하기 위해, 창호 개폐장치(140)를 이용하여 공용부 창호(CPW)를 폐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연돌효과는 각 층과 중성대의 거리에 비례하여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각 층의 공용부 창호(CPW)를 개방하여 쉬이 건물 내 압력을 대기압과 평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층의 다양한 압력 차에 따라 공용부 창호(CPW)의 개방면적과 개방속도를 제어하여 각 층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한 속도로 평형을 이루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차압 저감장치(100)를 이용하여 건물 내 공용부(CP)와 전유부(DP)의 압력 차를 저감하는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CP)와 전유부(DP)의 차압 저감방법은, 공용부(CP)의 창호를 개방하여 건물 내 압력과 대기압이 평형을 이루게 하거나 근접하게 낮추어 공용부(CP)와 전유부(DP)의 압력 차를 해소한다.
이를 위해, 우선 온도센서(120)를 통해 차압 저감장치(100)의 온(On)/오프(Off) 동작을 판별한다.(S1100) 차압 저감장치(100)가 동작되면, 동작센서(130)을 통해 사용자가 현관(FD)을 개방하거나 엘리베이터(EV)가 호출된 층에 도착하는 것을 감지한다.(S1200 or S1210) 동작센서(130)에 의해 사용자가 공유부로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면, 압력센서(110) 또는 온도센서(12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공용부(CP)와 전유부(DP)(엘리베이터(EV) 내부 포함)의 압력을 측정한다.(S1300 or S1310)
이때, 제어장치(150)는 현관(FD) 또는 엘리베이터 문(ED)의 개방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공용부(CP)와 전유부(DP)의 압력 차를 산출한다.(S1400 or S1410) 이후, 제어장치(150)는 공용부(CP)와 전유부(DP)의 압력 차가 거주자가 현관(FD)을 개방하기 어려운 압력 차 즉, 공용부 창호(CPW)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50Pa)과 비교하여(S1500) 그 이상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CPW)를 개방시키고,(S1510) 상기 압력 차가 공용부 창호(CPW)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50Pa) 미만인 경우,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개방되는 과정에서 압력 차가 압력 설정값(50Pa) 미만으로 하락한 상태이면 개방을 중단시키며,(S1520) 전유부(DP)와 공용부(CP)의 압력 차가 공용부 창호(CPW)의 폐쇄를 위한 압력 설정값(0Pa) 이하로 하락한 상태이면 공용부 창호(CPW)를 폐쇄한다.(S1530) 여기서, 공용부 창호(CPW) 폐쇄를 위한 압력 설정값은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보다 항상 낮게 설정된다.
여기서, 전유부(DP)는 엘리베이터(EV) 내부를 포함하므로, 엘리베이터(EV)가 상기 전유부(DP)의 동일 층에 호출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제어 과정이 적용된다.(S1510 ~ S1530)
이때, 이러한 엘리베이터(EV) 내부를 포함하는 전유부(DP)와 공용부(CP)의 압력 저감 과정 중, 현관(FD)이 개방됨에 따라 공용부 창호(CPW)를 통해 유입되는 건물 외부 공기에 의해 공용부(CP)의 압력이 상승하여 공용부(CP)와 엘리베이터(EV) 내부의 압력 차가 엘리베이터 문(ED)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압력 차 즉, 공용부 창호(CPW)의 개방을 중단시키는 압력 설정값(25Pa)을 상회하는 경우, 제어장치(150)는 공용부 창호(CPW)의 개방을 중단 및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S1540) 여기서, 공용부 창호(CPW)의 개방을 중단시키는 압력 설정값은 공용부 창호(CPW)를 개방시키는 압력 설정값보다 크고 공용부 창호(CPW)를 폐쇄시키는 압력 설정값보다는 항상 낮게 설정된다.
아울러, 온도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건물의 내외부 온도 차가 최대 설정 온도 차 이상이면, 건물 내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기 위해 창호 개폐장치(140)를 이용하여 공용부 창호(CPW)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550)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압 저감장치(100)는 상술한 동작센서(130)에 의해 사용자가 현관(FD) 또는 엘리베이터 문(ED)을 개방할 때가 아닌 평상적이고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공용부(CP)의 차압을 저감할 수 있다.(S2500)
구체적으로 동작센서(130)의 감지 동작과 별개로 전유부(DP)와 공용부(CP)의 차압이 공용부 창호(CPW)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상인 경우, 개폐장치를 통해 공용부 창호(CPW)를 개방시켜(S2410) 공용부(CP)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연돌효과를 미연에 경감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동작센서(130)의 현관(FD) 또는 엘리베이터 문(ED)의 개방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 없이 일반적인 상황에서 작동하는 차압 저감방법은 동작센서(130)와 연계되어 작동하는 차압 저감방법과 온도센서(120)를 이용하여 차압 저감장치(100)를 온/오프 하는 과정과(S2100)은 동일하며, 압력센서(110)와 온도센서(120)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S2200) 압력 차를 산출하는 과정은(S2300) 전유부(DP)와 공용부(CP)를 먼저 측정 및 산출한 후, 압력 차가 공용부 창호(CPW)의 개방 압력 설정값보다 작으면 공용부(CP)와 엘리베이터(EV) 내부의 압력 차를 측정(S2400) 및 산출(S2500)한다. 이후 과정인 공용부 창호(CPW)를 개방, 중단, 폐쇄하는 과정(S2600)은 역시 동일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압 저감장치
110 : 압력센서 111 : 전용 압력센서
112 : 공용 압력센서 113 : 승강 압력센서
120 : 온도센서 121 : 전용 온도센서
122 : 공용 온도센서 123 : 승강 온도센서
124 : 실외 온도센서 130 : 동작센서
131 : 전용 동작센서 132 : 공용 동작센서
140 : 창호 개폐장치 150 : 제어장치
DP : 전유부 FCL : 현관 천장등
FD : 현관 CP : 공용부
PCL : 복도 천장등 EH : 엘리베이터 홀
EV : 엘리베이터 ED : 엘리베이터 문
SC : 계단실 CPW : 공용부 창호

Claims (17)

  1. 건물 내 동일 층의 전유부와 공용부를 출입하는 현관에 건물의 사용자가 상기 현관의 개폐를 위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동작센서;
    상기 건물의 공용부를 환기시키기 위해 설치된 공용부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창호 개폐장치; 및
    상기 동작센서를 통해 상기 현관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 사이의 압력 차를 산출하여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과 비교하며, 상기 산출된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상인 경우, 상기 창호 개폐장치를 통해 상기 공용부 창호를 개방하여 상기 건물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유출시킴으로써,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를 저감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물 내 동일 층의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건물 내 공용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전용 압력센서와, 상기 건물 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승강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공용부의 동일 층에 호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를 산출하여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과 비교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상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를 개방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미만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중단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폐쇄를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하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를 폐쇄시키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건물 내 공용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공용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센서는,
    상기 전유부 내 사용자의 현관 접근을 감지하는 전용 동작센서와, 상기 공용부 내 사용자의 현관 접근을 감지하는 공용 동작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 동작센서는 상기 전유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되, 점멸되는 현관 천장등과 연동되어 동작되며, 상기 공용 동작센서는 상기 공용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되, 점멸되는 복도 천장등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전유부, 공용부 및 상기 건물 외부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건물의 내외부 온도 차 또는 상기 건물의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온도 차를 이용하여 상기 동일 층의 전유부와 공용부의 압력 차를 산출하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공용부와 상기 건물 외부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건물의 내외부 온도 차가 최대 설정 온도 차 이상이면, 상기 창호 개폐장치는 상기 공용부 창호를 폐쇄하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상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를 개방시키고,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미만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중단시키며,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폐쇄를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하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를 폐쇄시키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에 따라 상기 공용부 창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공용부의 동일 층에 호출되면, 상기 공용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압력 차를 산출하여 상기 공용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중단시키는 압력 설정값(Pa)를 상회하는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중단 및 폐쇄시키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용부는,
    상기 건물 내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층과 연통된 엘리베이터 통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홀 또는 상기 건물 내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층과 연통된 계단실을 포함하며,
    상기 공용부 창호는,
    상기 엘리베이터 홀 및 상기 계단실에 설치된 개폐식 창호인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10. 건물의 공용부를 환기시키기 위해 설치된 공용부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창호 개폐장치; 및
    상기 건물 내 동일층의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 사이의 압력 차를 산출하여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과 비교하며, 상기 산출된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상인 경우, 상기 창호 개폐장치를 통해 상기 공용부 창호를 개방하여 상기 건물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유출시킴으로써,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를 저감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가 상기 공용부의 동일 층에 호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를 산출하여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과 비교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상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를 개방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미만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중단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폐쇄를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하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를 폐쇄시키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 동일 층의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건물 내 전유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전용 압력센서와, 상기 건물 내 공용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공용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건물 내 동일 층의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를 출입하는 현관에 건물의 사용자가 상기 현관의 개폐를 위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동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센서는,
    상기 전유부 내 사용자의 현관 접근을 감지하는 전용 동작센서와, 상기 공용부 내 사용자의 현관 접근을 감지하는 공용 동작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 동작센서가 상기 전유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되, 점멸되는 현관 천장등과 연동되어 동작되며, 상기 공용 동작센서가 상기 공용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되, 점멸되는 복도 천장등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전유부, 공용부 및 상기 건물 외부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건물의 내외부 온도 차 또는 상기 건물의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온도 차를 이용하여 상기 동일 층의 전유부와 공용부의 압력 차를 산출하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공용부와 상기 건물 외부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건물의 내외부 온도 차가 최대 설정 온도 차 이상이면, 상기 창호 개폐장치는 상기 공용부 창호를 폐쇄하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상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를 개방시키고,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위한 압력 설정값(Pa) 미만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중단시키며,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폐쇄를 위한 압력 설정값(Pa) 이하인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를 폐쇄시키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유부와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에 따라 상기 공용부 창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공용부의 동일 층에 호출되면, 상기 공용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압력 차를 산출하여 상기 공용부의 압력 차가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중단시키는 압력 설정값(Pa)를 상회하는 경우, 상기 공용부 창호의 개방을 중단 및 폐쇄시키는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용부는,
    상기 건물 내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층과 연통된 엘리베이터 통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홀 또는 상기 건물 내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층과 연통된 계단실을 포함하며,
    상기 공용부 창호는,
    상기 엘리베이터 홀 및 상기 계단실에 설치된 개폐식 창호인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KR1020190114864A 2019-09-18 2019-09-18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KR102268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64A KR102268547B1 (ko) 2019-09-18 2019-09-18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64A KR102268547B1 (ko) 2019-09-18 2019-09-18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98A KR20210033298A (ko) 2021-03-26
KR102268547B1 true KR102268547B1 (ko) 2021-06-22

Family

ID=7525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864A KR102268547B1 (ko) 2019-09-18 2019-09-18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5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146B1 (ko) 2005-11-28 2006-11-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JP4082635B2 (ja) * 1998-08-24 2008-04-30 株式会社フジタ 換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186B1 (ko) * 2008-07-01 2010-11-04 삼성물산 주식회사 연돌효과문제 저감을 위한 실내 가압방법 및 가압장치
KR101191526B1 (ko) * 2009-12-30 2012-10-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KR101565397B1 (ko) 2013-11-27 2015-11-03 삼성물산 주식회사 연돌효과문제 저감을 위한 공조가압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66983B1 (ko) * 2014-04-16 2015-11-06 (주) 금강씨에스 상황 인식 기술기반의 통합 제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황 인식 기술기반의 통합 제연 방법
KR101766826B1 (ko) * 2015-11-30 2017-08-1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8643A (ko) * 2015-12-09 2017-06-20 동해기연(주) 고층 건물내 수직통로의 공조공기 급기 및 배기를 통한 연돌효과 저감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2635B2 (ja) * 1998-08-24 2008-04-30 株式会社フジタ 換気システム
KR100640146B1 (ko) 2005-11-28 2006-11-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98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889B1 (ko) 급기가압 차압제연장치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CN101668993A (zh) 烟囟效应的减轻
KR20210019251A (ko)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KR20060069785A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및 방법
KR100785399B1 (ko)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102268547B1 (ko)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KR20090044172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JP5502699B2 (ja) 室内環境制御システム
KR101911323B1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KR200419718Y1 (ko) 건축물 자동제연시스템의 송풍라인 풍압 자동조절장치
KR200393245Y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20110125482A (ko)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KR200380422Y1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JP4526174B2 (ja) 高層集合住宅及び加圧防排煙方法
KR100421805B1 (ko) 제연방법
KR100671477B1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KR200393246Y1 (ko) 제연장치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JP2012112116A (ja) 建物
KR101986150B1 (ko)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KR102205257B1 (ko) 과도 차압 해소 시스템 및 방법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WO2011162450A1 (ko)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KR102145788B1 (ko)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