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526B1 -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526B1
KR101191526B1 KR1020090134498A KR20090134498A KR101191526B1 KR 101191526 B1 KR101191526 B1 KR 101191526B1 KR 1020090134498 A KR1020090134498 A KR 1020090134498A KR 20090134498 A KR20090134498 A KR 20090134498A KR 101191526 B1 KR101191526 B1 KR 101191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lat
blind
measured
inn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833A (ko
Inventor
이승복
정창헌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3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5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Landscapes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 가능한 이중창호는 외부창, 내부창 및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갖는 이중창호에 관한 것이다. 외부창에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내부창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외부창 또는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외부창을 개폐시키는 외부창구동부가 배치되며, 내부창 또는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내부창을 개폐시키는 내부창구동부가 배치되고, 프레임 내부에는 슬랫부를 갖는 블라인드가 배치되고, 블라인드는 내부창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블라인드를 구비한 이중창호 및 이중창호제어방법은 외부창을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돌출시켜 건물과 외부창 사이의 환기공간을 증대시켜 실내외 실외의 환기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블라인드를 설치하고 블라인드를 이동가능하게 하므로써 외부창으로부터 유입되는 일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실외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134498
이중창호, 내부창, 외부창, 블라인드, 환기, 냉방, 난방

Description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DOUBLE WINDOW AND DOOR HAVING AUTOMATIC CONTROLLABLE AND DOUBLE WINDOW AND DOOR CONTROL METHO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이중창호 및 이중창호제어방법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중창호제어방법에 관한 분야이다.
종래의 창호시스템은 단순히 실내와 실외를 단열, 차음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중창호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를 적절하게 이용하지 않고 실외의 온도와 무관하게 실내의 냉 난방하므로, 에너지의 과잉소비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중창호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실외와 실내의 온도차이에 따라 창호를 제어함으로써 실내의 냉난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고자 한다.
둘째, 외부의 일사량에 따라 창호를 제어함으로서 실내의 냉난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 가능한 이중창호는 외부창, 내부창 및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갖는 이중창호에 있어서, 외부창에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내부창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외부창 또는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외부창을 개폐시키는 외부창구동부가 배치되며, 내부창 또는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내부창을 개폐시키는 내부창구동부가 배치되고, 프레임 내부에는 슬랫부를 갖는 블라인드가 배치되고, 블라인드는 내부창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 고, 블라인드 또는 상기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블라인드를 이동시키는 블라인드구동부 또는 슬랫부를 개폐시키는 슬랫부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가 배치되며, 제1온도센서, 제2 온도센서, 외부창구동부, 내부창구동부, 블라인드구동부 및 슬랫부구동부는 각각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슬랫부는 복수 개의 슬랫(slat)으로 이루어지고, 블라인드에는 슬랫을 회전시키는 슬랫회전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는 외부창의 일측에는 일사량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수광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호제어방법은 이중창호를 구비하며, 제어부를 통한 이중창호의 제어방법은 외부창으로 유입되는 일사량을 측정하는 S1단계와, 제1 온도센서 및 제2 온도센서에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를 측정하여 구간값과 각각 비교하는 S2단계와, 외부창과 내부창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S3단계와, 외부창구동부, 내부창구동부, 블라인드구동부 및 슬랫부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S4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2단계는 실외온도의 구간값을 입력받는 S2a단계와, 실내온도의 구간값을 입력받는 S2b단계와, 제1 온도센서와 제2 온도센서에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S2c단계와, S2c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를 실외온도의 구간값과 비교 하고, 측정된 실내온도를 실내온도의 구간값과 비교하는 S2d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2단계에서 입력된 실외온도의 구간값은 26℃, 20℃, 15℃ 및 5℃ 이고, 입력된 실내온도의 구간값은 26℃,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To>26℃인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외부창을 개방시키고,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내부창을 개방시키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블라인드를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와 내부창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 20℃ 이고,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 인 경우, S3단계에서 외부창 및 내부창이 개방된 상태로 판단되면,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외부창을 개방시키고,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블라인드를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와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20℃ 이고,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 인 경우, S3단계에서 외부창과 내부창이 폐쇄된 상태로 판단되면,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내부창과 외부창을 개방시키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개방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블라인드를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와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20℃이고,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인 경우, S3단계에서 외부창과 내부창 중 어느 하나가 폐쇄된 상태로 판단되면, S4단계에서 폐쇄된 창에 대응되는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개방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블라인드를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와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인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고,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블라인드를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와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0℃≥To>15℃이고,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20℃인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고,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블라인드를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와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0℃≥Ti인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고,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15℃≥To>5℃ 보다 높고,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 20℃인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20℃인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5℃≥To 인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인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블라인드를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와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 S2c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20℃인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 S2c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0℃≥To 인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블라인드를 내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와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창구동부, 내부창구동부, 블라인드구동부 및 슬랫부구동부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블라인드를 구비한 창호시스템은 외부창을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돌출시켜 건물과 외부창 사이의 환기공간을 증대시켜 실내외 실외의 환기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블라인드를 설치하고 블라인드를 이동가능하게 하므로써 외부창으로부터 유입되는 일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실외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창과 내부창에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에 따라 창호를 제어하여 실내의 냉난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 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 및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호제어방법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는 외부창(200), 내부창(300) 및 외부창(200)과 내부창(300)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100)을 갖는다.
외부창(200)은 건물의 외벽에 접한 창을 말하며, 내부창(300)은 실내와 접한 창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의 외부창(200)에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210, 도 3 참조)가 설치되며, 내부창(300)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310, 도 3 참조)가 설치된다.
제1 온도센서(210)는 외부창(200)에 설치되어 실외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며, 제2 온도센서(310)은 내부창(300)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제1 온도센서(210)와 제2 온도센서(310)는 후술할 제어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온도센서(210)와 제2 온도센서(310)에서 측정된 실내 및 실외의 온도를 제어부(500)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창(200) 및 내부창(300)에는 외부창(200) 및 내부창(300)을 구동시키는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 도 3 참조)가 설치된다.
외부창구동부(220)는 외부창(200)을 이동시켜 개폐하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창(200)을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의 외부창구동부(220)는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외부창(200)을 구동시키나, 외부창(2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외부창구동부(220)는 전기, 유압 및 공압 등을 이용한 액추에이터가 사용될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전기를 이용한 액추에이터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외부창구동부(200)에 의해 외부창(200)이 개방되는 경우, 외부창(200)은 건물의 외벽에서 경사를 갖고 개방될 수도 있으며, 프레임(100)을 따라 미닫이 형식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외부창(200)은 외부창(200)의 가장자리가 건물의 외벽에서 돌출되고, 대략 건물의 외벽과 평행하게 개방되는 패러랠 개방 타입의 창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패러랠 개방 타입의 창은 건물의 외벽과 외부창(200)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보다 많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내부창구동부(320)는 내부창(300)을 이동시켜 개폐하는 것으로, 외부창구동부(220)와 동일하게 프레임(100) 또는 내부창(300)에 설치될 수 있다.
내부창(300)은 외부창(200)과 동일하게 다양한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프레임(100) 내부에는 슬랫부를 갖는 블라인드(400)가 배치된다.
블라인드(400)는 외부창으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을 차단시키고,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블라인드(400)는 내부창(300)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블라인드(400) 또는 프레임(100) 중 어느 일측에는 블라인드(400)를 이동시키는 블라인드구동부(430) 또는 슬랫부를 개폐시키는 슬랫부구동부(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부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 블라인드구동부(430)가 설치되었으나, 블라인드구동부(430)는 반드시 프레임(100)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블라인드(4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블라인드구동부(430)는 프레임(100)에 설치된 블라인드를 외부창(200) 및 내부창(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외부창구동부(220)와 같이 전기, 유압 및 고압 등을 이용한 액추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전기를 이용하여 로드를 돌출시키는 액추에이터가 사용되었다.
또한, 슬랫부구동부(420)는 블라인드구동부(430)과 같이 프레임(100)에 설치되었으나, 반드시 프레임(100)에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블라인드(4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외부창구동부(220), 내부창구동부(320), 블라인드구동부(430) 및 슬랫부구동부(420)는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랫부는 복수 개의 슬랫(slat, 411)으로 이루어지고, 블라인드(400)에는 슬랫(411)을 회전시키는 슬랫회전부(미도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랫(411)은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태양광 등을 차단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랫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슬랫(411)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슬랫(411)은 일반적으로 슬랫(411)을 회전시켜 슬랫(411)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도면 미도시)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며,연결부재는 슬랫(411)을 회전시키는 슬랫회전부(미도시)가 연결된다.
따라서 슬랫회전부(미도시)의 회전시 슬랫(411)은 회전되며, 슬랫(411)을 외부창(200)에 대하여 평행 또는 수직 등 다양한 각도를 갖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슬랫회전부(미도시)는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창(200)에는 일사량을 측정하여 제어부(500)로 신호를 전달하는 수광센서(23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창(200)에 구비된 수광센서(230)는 외부창(200)을 통해 유입되는 일사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측정된 일사량은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외부창(200)에서 측정된 일사량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창(200)으로 유입되는 일사량에 따라 외부창(200), 내부창(300) 및 블라인드(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앞에서 설명한 제어가능한 이중창호가 구비된 이중창호제어방법(이하 '이중창호제어방법'이라 함)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의 제어부의 제어방법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의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의 실외온도 및 실내온도의 구간에 따른 외부창, 내부창 및 블라인드의 작동상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0)를 통한 이중창호의 제어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창(200)으로 유입되는 일사량을 측정하는 S1단계와, 제1 온도센서(210) 및 제2 온도센서(310)에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를 측정하여 구간값과 각각 비교하는 S2단계와,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S3단계와, 외부창구동부(220), 내부창구동부(320), 블라인드구동부(430) 및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키는 S4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단계는 외부창(200)으로부터 유입되는 일사량을 측정하는 단계로, 앞에서 설명한 수광센서(230)을 이용하여 일사량을 측정한다.
S2단계는 제1온도센서(210)과 제2온도센서(310)을 이용하여 실내와 실외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와 구간값을 비교하는 단계로, 구간값은 미리 설정하거나 설정받는 온도값으로 이러한 온도값과 실내 및 실외의 온도를 비교하여 S4단계에서 외부창(200), 내부창(300)을 개폐시키고, 블라인드(400)을 이동시킨다.
S3단계는 내부창(200) 및 외부창(300)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로, 내부창(200) 및 외부창(300)의 개폐상태에 따라 S4단계에서 내부창(200) 및 외부창(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S2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S2단계는 실외온도(To)의 구간값을 입력받는 S2a단계와, 실내온도(Ti)의 구간값을 입력받는 S2b단계와, 제1 온도센서(210)와 제2 온도센서(310)에서 실외온도(To)와 실내온도(Ti)를 측정하는 S2c단계와, S2c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를 상기 실외온도의 구간값과 비교하고, 측정된 실내온도를 상기 실내온도의 구간값과 비교하는 S2d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S2a단계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온도(To)의 구간값을 입력받는 단계로, 사용자가 임의의 구간값을 제어부(500)에 입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6℃, 20℃, 15℃, 5℃가 입력된다.
따라서 실외온도의 구간은 To>26℃, 26℃≥To>20℃, 20℃≥To>15℃, 15℃≥To>5℃ 및 5℃≥To인 5구간으로 나누어진다.
이하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To>26℃인 경우 실외온도 제1구간이라 정의하며, 26℃≥To>20℃인 경우 실외온도 제2구간, 20℃≥To>15℃인 경우 실외온도 제3구간, 15℃≥To>5℃인 경우 실외온도 제4구간, 5℃≥To인 경우 실외온도 제5구간이라 정의한다.
S2b단계는 실내온도(Ti)의 구간값을 입력받는 단계로 실외온도의 구간값과 같이 임의의 구간값을 제어부(500)에 입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6℃, 20℃값이 입력된다.
따라서 실내온도의 구간은 Ti>26℃, 26℃≥Ti>20℃ 및 20℃≥Ti으로 총 3구간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실내온도의 구간은 Ti>26℃인 경우, 실내온도 제1구간이라 정의하며, 26℃≥Ti>20℃인 경우 실외온도 제2구간, 20℃≥Ti인 경우 실내온도 제3구간이라 정의한다.
여기서 26℃, 20℃는 여름과 겨울의 실내 적정온도를 의미하며, 15℃는 냉방이 발생될 수 있는 최소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5℃는 실내와 실외의 열교환을 발생시키지 않고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기준온도를 의미한다.
S2c단계는 제1 온도센서(210) 및 제2 온도센서(310)을 이용하여 실내 및 실외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로, 측정된 실외온도(To)와 실내온도(Ti)는 S2d단계에서 S2a단계 및 S2b단계에서 입력된 구간값과 비교한다.
실외온도(To)와 실내온도(Ti)을 구간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S3단계 및 S4단계에서 외부창(200), 내부창(300) 및 블라인드(400)을 개폐시킨다.
외부의 일사량,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에 따른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의 작동순서가 도시된 도 4 및 실외온도(To)와 실내온도(Ti)가 각 구간에 있는 경우, 외부창, 내부창 및 블라인드의 작동개략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실외온도 제1구간에 있는 경우, 제어부(500)는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을 개방시키고,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내부창(300)을 밀폐시키며,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430)를 구동시켜 블라인드(400)를 외부창(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400)와 내부창(300)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 도 5의 모드(mode)1과 같은 상태로 변경시킨다.
또한, 블라이드(400)을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사를 외부창에서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블라인드(400)의 슬랫부는 내부창(300)과 거리가 이격되므로 외부창(200)과 프레임(100)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는 블라인드(400)의 슬랫부와 내부창(3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블라인드(400)의 슬랫부와 내부창(300) 사이의 공기가 정체되어 발생될 수 있는 과열을 방지한다.
실외온도(To)가 실외온도 제1구간에 있는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26℃이상의 온도를 갖고 실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실내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부창(300)을 폐쇄시키고 냉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부창(200)을 내부창(300)과 동일하게 폐쇄시키는 경우, 외부창(200) 과 내부창(300) 사이의 공간에는 외부창(200)을 통해 입사되는 일사(日射)가 누적되어 고온의 상태가 되어, 실내와 내부창(300)을 통해 열교환을 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냉방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는 외부창(300)을 개방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 공기를 외부와 순환시켜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외부창(200)을 통해 실내로 일사(日射)가 유입되지 않고, 외부창(200)과 내부창(300) 사이의 공기와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블라인드(400)를 외부창(2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슬랫부을 도 5의 모드 1과 같이 회전시켜 외부의 공기가 블라인드(400)과 내부창(300)의 전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실외온도 제2구간에 있으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실내온도 제1구간에 있는 경우, 제어부(500)은 S3단계에서 외부창(200) 및 내부창(300)이 개방된 상태로 판단되면,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을 개방시키고, 내부창구동부(310)을 구동시켜 내부창(300)을 닫으며,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430)를 구동시켜 블라인드(400)를 외부창(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400)와 내부창(30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이 개방된 상태에서, 실외온도(To)가 제2구간에 있고, 실내온도(Ti)가 제1구간에 있는 경우, 실내에는 온도를 상승시키는 사용자의 활동 또는 각종 설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상태에는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를 자연냉방 하기 어려우므로, 도 5에 도시된 모드 1의 상태로 실외창(200)을 개방시키고, 실내창(300)을 폐쇄시키며, 블라인드(400)를 실외창(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실내의 냉방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한다.
이때, 슬랫부을 도 5의 모드 1과 같이 회전시켜 외부의 공기가 블라인드(400)과 내부창(300)의 전면 사이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실외온도 제2구간에 있으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실내온도 제1구간에 있는 경우, S3단계에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이 폐쇄된 상태로 판단되면,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내부창(300)과 외부창(200)을 개방시키며,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430)를 구동시켜 블라인드(400)를 외부창(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400)와 내부창(30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실외창(200)과 실내창(300)이 폐쇄된 상태에서 실외온도(To)가 실외온도 제2구간에 있고 실내온도(Ti)가 실내온도 제2구간에 있는 경우, 실내의 온도(Ti)는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낮춰질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모드 2와 같이 외부창(200)을 개방시키고, 내부창(300)을 완전히 개방시키며, 블라인드(400)을 외부창(2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슬랫부을 도 5의 모드 2와 같이 회전시켜 외부의 공기가 블라인드(400)과 내부창(300)의 전면 사이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실외온도 제2구간에 있으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실내온도 제2구간 또는 제3구간에 있는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을 개방시키고,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430)를 구동시켜 블라인드(400)를 외부창(200) 방향으로 이동시키켜 도 4에 도시된 모드 2와 같이 외부창(200)과 내부창(300) 및 블라인드(400)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실외온도 제3구간에 있으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실내온도 제1구간에 있는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을 개방시키고,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430)를 구동시켜 블라인드(400)를 외부창(200) 방향으로 이동시키켜 도 4에 도시된 모드(mode) 2와 같이 외부창(200)과 내부창(300) 및 블라인드(400)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실외온도 제3구간에 있으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실내온도 제2구간에 있는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을 개방시키고,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430)를 구동시켜 블라인드(400)를 외부창(200) 방향으로 이동시키켜 도 4에 도시된 모드 3과 같이 외부창(200)과 내부창(300) 및 블라인드(400)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실외온도 제3구간에 있으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실내온도 제3구간에 있는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을 개방시키고,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개방시켜 도 5에 도시된 모드 3과 같이 외부창(200), 내부창(300)을 개방시키고, 슬랫부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실외온도 제4구간에 있고,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실내온도 제1구간에 있는 경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을 개방시키고,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밀폐시켜 도 5의 모드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실외온도 제4구간에 있고,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실내온도 제2구간에 있는 경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을 개방시키고,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밀폐시켜 도 5의 모드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실외온도 제4구간에 있고,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실내온도 제3구간에 있는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을 폐쇄시키고,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개방시키켜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창(200)으로부터 일사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외창(200), 실내창(300) 및 블라인드(300)는 도 5의 모드 5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실외온도 제5구간에 있는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을 폐쇄시키고,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외온도(To)가 실외온도 제4구간에 있는 경우,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이 모두 개방된 경우, 외부창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실내의 온도를 20℃이하로 낮출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내부창(200)과 외부창(300)을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창(200)을 통해 일사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블라인드(400)를 개방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실외온도 제1구간에 있는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을 폐쇄시키고,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블라인드구동부(430)를 구동시켜 블라인드(400)를 외부창(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400)와 내부창(30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 도 5의 모드 1의 상태가 된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실외온도 제2구간에 있는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을 개방시켜 도 5에 도시된 모드 3 또는 모드 4의 상태로 변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실내는 외부창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20℃ ~ 26℃ 사이에 있게 된다.
또한, S1단계에서 제어부(500)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실외온도 제3구간, 실외온도 제4구간 및 실외온도 제5구간에 있는 경우, S4단계에서 외부창구동부(220)와 내부창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외부창(200)과 내부창(300)을 폐쇄시키고, 슬랫부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폐쇄시킨 뒤, 블라인드구동부(430)를 구동시켜 블라인드(400)를 내부창(300)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부창(300)을 통해 실외로 열교환되는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부(500)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사량, 실외온도(To) 및 실내온도(Ti)에 따라 외부창(200), 내부창(300) 및 블라인드(400)을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창구동부(220), 내부창구동부(320), 블라인드구동부(430) 및 슬랫부구동부(420)를 독립적으로 구동시켜 수동으로 외부창(200), 내부창(300) 및 블라인드(4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슬랫부의 각 슬랫(411)은 일면과 타면에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표면을 형성하여 외부창(300)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량이 많은 경우, 반사율이 높은 표면이 외부창(200)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실내온도(Ti)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할 수도 있다.
반대로, 실내온도(Ti)가 낮은 경우, 반사율이 낮은 표면이 외부창(200)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 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의 실외온도 및 실내온도의 구간에 따른 외부창, 내부창 및 블라인드의 작동상태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200 : 외부창
210 : 제1 온도센서 220 : 외부창구동부
230 : 수광센서 300 : 내부창
310 : 제2 온도센서 320 : 내부창구동부
400 : 블라인드 410 : 슬랫부
411 : 슬랫
420 : 슬랫부구동부 500 : 제어부
To : 실외온도 Ti : 실내온도

Claims (20)

  1. 외부창, 내부창 및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갖는 이중창호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에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창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외부창 또는 상기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외부창을 개폐시키는 외부창구동부가 배치되며, 상기 내부창 또는 상기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내부창을 개폐시키는 내부창구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슬랫부를 갖는 블라인드가 배치되고,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내부창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라인드 또는 상기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블라인드를 이동시키는 블라인드구동부 또는 슬랫부를 개폐시키는 슬랫부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온도센서, 제2 온도센서, 외부창구동부, 내부창구동부, 블라인드구동부 및 슬랫부구동부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며,
    상기 슬랫부는 복수 개의 슬랫(slat)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라인드에는 상기 슬랫을 회전시키는 슬랫회전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창의 일측에는 일사량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수광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외부창구동부, 내부창구동부, 블라인드구동부 및 슬랫부구동부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5. 제3항에 따른 이중창호를 구비한 이중창호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부를 통한 이중창호의 제어방법은
    외부창으로 유입되는 일사량을 측정하는 S1단계; 상기 제1 온도센서 및 제2 온도센서에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를 측정하여 구간값과 각각 비교하는 S2단계;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S3단계; 및 상기 외부창구동부, 내부창구동부, 블라인드구동부 및 슬랫부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S4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S2단계는 실외온도의 구간값을 입력받는 S2a단계와, 실내온도의 구간값을 입력받는 S2b단계와, 상기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S2c단계와, 상기 S2c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를 상기 실외온도의 구간값과 비교하고, 측정된 실내온도를 상기 실내온도의 구간값과 비교하는 S2d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2단계에서 입력된 실외온도의 구간값은 26℃, 20℃, 15℃ 및 5℃ 이고, 입력된 실내온도의 구간값은 26℃,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To>26℃인 경우,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을 개방시키고, 상기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내부창을 개방시키며,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 20℃ 이고,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 인 경우,
    상기 S3단계에서 상기 외부창 및 내부창이 개방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을 개방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20℃ 이고,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 인 경우,
    상기 S3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이 폐쇄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내부창과 외부창을 개방시키며,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20℃이고,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인 경우,
    상기 S3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중 어느 하나가 폐쇄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S4단계에서 폐쇄된 창에 대응되는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인 경우,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0℃≥To>15℃이고,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20℃인 경우,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0℃≥Ti인 경우,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15℃≥To>5℃ 보다 높고,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 20℃인 경우,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20℃인 경우,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5℃≥To 인 경우,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인 경우,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
    상기 S2c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20℃인 경우,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
    상기 S2c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0℃≥To 인 경우,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내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제어방법.
KR1020090134498A 2009-12-30 2009-12-30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KR10119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498A KR101191526B1 (ko) 2009-12-30 2009-12-30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498A KR101191526B1 (ko) 2009-12-30 2009-12-30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833A KR20110077833A (ko) 2011-07-07
KR101191526B1 true KR101191526B1 (ko) 2012-10-15

Family

ID=4491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498A KR101191526B1 (ko) 2009-12-30 2009-12-30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8436A (zh) * 2015-08-28 2016-08-24 张宏 一种智能窗户自动开启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969B (zh) * 2015-08-28 2016-09-14 南通海鹰木业有限公司 智能窗户自动开启平台
KR102268547B1 (ko) * 2019-09-18 2021-06-22 현대건설(주)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008B1 (ko) * 2006-01-10 2007-05-28 박철수 건축물의 외피 시스템
KR100722007B1 (ko) 2006-01-10 2007-05-28 박철수 건물의 이중외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008B1 (ko) * 2006-01-10 2007-05-28 박철수 건축물의 외피 시스템
KR100722007B1 (ko) 2006-01-10 2007-05-28 박철수 건물의 이중외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8436A (zh) * 2015-08-28 2016-08-24 张宏 一种智能窗户自动开启方法
CN105888436B (zh) * 2015-08-28 2017-07-25 广东云管匠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窗户自动开启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833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1766B2 (en) Automated sliding panel mechanism with rack
KR200446074Y1 (ko)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자동제어 창호 시스템
EP2954140B1 (en) Window comprising a modular drum valve
KR101062187B1 (ko) 하이브리드 파사드 시스템 및 건물의 실내공기 제어방법
WO2012125418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motorized window treatment to save energy
KR101191526B1 (ko)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CN104879051A (zh) 一种光伏百叶半导体温控节能窗
KR101586399B1 (ko)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101352018B1 (ko) 전천후 이동식 블라인드 내장형 친환경 디자인 창호
KR101197301B1 (ko) 환기 기능이 포함된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 시스템
CN107313703B (zh) 多功能全天候节能窗及其使用方法
KR101155791B1 (ko) 이동가능한 블라인드를 구비한 창호시스템
WO2009098440A1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203757944U (zh) 一种建筑幕墙横梁内安装的平移式过滤通风装置
KR101210516B1 (ko) 차양겸용 셔터를 가지는 통합창호
CN112814552A (zh) 一种智能建筑活动遮阳百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20216B1 (ko) 축열용 창호 시스템
RU2740237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климатом в помещении
JP2010229672A (ja) 窓サッシ
KR101168493B1 (ko) 비대칭 반사면을 구비한 이중창호 시스템
JP7448897B2 (ja) 換気システム
RU2664819C1 (ru) Безрамная панель
CN213510207U (zh) 一种隔热反射节能门窗
KR20220151967A (ko) 스마트 이중창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