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833A -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7833A KR20110077833A KR1020090134498A KR20090134498A KR20110077833A KR 20110077833 A KR20110077833 A KR 20110077833A KR 1020090134498 A KR1020090134498 A KR 1020090134498A KR 20090134498 A KR20090134498 A KR 20090134498A KR 20110077833 A KR20110077833 A KR 201100778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blind
- slat
- outer window
- measur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Landscapes
- Bli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0)
- 외부창, 내부창 및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갖는 이중창호에 있어서,상기 외부창에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창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가 설치되며,상기 외부창 또는 상기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외부창을 개폐시키는 외부창구동부가 배치되며,상기 내부창 또는 상기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내부창을 개폐시키는 내부창구동부가 배치되고,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슬랫부를 갖는 블라인드가 배치되고,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내부창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라인드 또는 상기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블라인드를 이동시키는 블라인드구동부 또는 슬랫부를 개폐시키는 슬랫부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가 배치되며,상기 제1온도센서, 제2 온도센서, 외부창구동부, 내부창구동부, 블라인드구동부 및 슬랫부구동부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슬랫부는 복수 개의 슬랫(slat)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라인드에는 상기 슬랫을 회전시키는 슬랫회전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외부창의 일측에는 일사량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수광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외부창으로 유입되는 일사량을 측정하는 S1단계;상기 제1 온도센서 및 제2 온도센서에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를 측정하여 구간값과 각각 비교하는 S2단계;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S3단계; 및상기 외부창구동부, 내부창구동부, 블라인드구동부 및 슬랫부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S4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4항에 있어서,상기 S2단계는실외온도의 구간값을 입력받는 S2a단계와,실내온도의 구간값을 입력받는 S2b단계와,상기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S2c단계와,상기 S2c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를 상기 실외온도의 구간값과 비교하고, 측정된 실내온도를 상기 실내온도의 구간값과 비교하는 S2d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5항에 있어서,상기 S2단계에서 입력된 실외온도의 구간값은 26℃, 20℃, 15℃ 및 5℃ 이고, 입력된 실내온도의 구간값은 26℃,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6항에 있어서,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To>26℃인 경우,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을 개방시키고, 상기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내부창을 개방시키며,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6항에 있어서,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 20℃ 이고,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 인 경우,상기 S3단계에서 상기 외부창 및 내부창이 개방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을 개방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6항에 있어서,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20℃ 이고,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 인 경우,상기 S3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이 폐쇄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내부창과 외부창을 개방시키며,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6항에 있어서,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 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20℃이고,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인 경우,상기 S3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중 어느 하나가 폐쇄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S4단계에서 폐쇄된 창에 대응되는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9항에 있어서,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인 경우,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6항에 있어서,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0℃≥To>15℃이고,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20℃인 경우,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폐쇄시키 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0℃≥Ti인 경우,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6항에 있어서,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15℃≥To>5℃ 보다 높고, 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 20℃인 경우,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S2b단계에서 측정된 실내온도(Ti)가 S2d단계에서 26℃≥Ti>20℃인 경우,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6항에 있어서,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높다고 판단되고,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5℃≥To 인 경우,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6항에 있어서,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상기 S2a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인 경우,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 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외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6항에 있어서,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상기 S2c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6℃≥To>20℃인 경우,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6항에 있어서,상기 S1단계에서 제어부가 측정된 일사량이 기준 일사량보다 낮다고 판단되고,상기 S2c단계에서 측정된 실외온도(To)가 S2d단계에서 20℃≥To 인 경우,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외부창구동부와 내부창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을 폐쇄시키고,상기 슬랫부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슬랫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상기 내부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와 상기 내부창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외부창구동부, 내부창구동부, 블라인드구동부 및 슬랫부구동부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4498A KR101191526B1 (ko) | 2009-12-30 | 2009-12-30 |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4498A KR101191526B1 (ko) | 2009-12-30 | 2009-12-30 |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7833A true KR20110077833A (ko) | 2011-07-07 |
KR101191526B1 KR101191526B1 (ko) | 2012-10-15 |
Family
ID=4491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4498A KR101191526B1 (ko) | 2009-12-30 | 2009-12-30 |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152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88913A (zh) * | 2015-08-28 | 2016-11-09 | 张宏 | 智能窗户自动开启平台 |
KR20210033298A (ko) * | 2019-09-18 | 2021-03-26 | 현대건설주식회사 |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88436B (zh) * | 2015-08-28 | 2017-07-25 | 广东云管匠装饰工程有限公司 | 一种智能窗户自动开启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2008B1 (ko) * | 2006-01-10 | 2007-05-28 | 박철수 | 건축물의 외피 시스템 |
KR100722007B1 (ko) | 2006-01-10 | 2007-05-28 | 박철수 | 건물의 이중외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2009
- 2009-12-30 KR KR1020090134498A patent/KR10119152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88913A (zh) * | 2015-08-28 | 2016-11-09 | 张宏 | 智能窗户自动开启平台 |
KR20210033298A (ko) * | 2019-09-18 | 2021-03-26 | 현대건설주식회사 |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1526B1 (ko) | 2012-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2067B1 (ko) |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 |
EP2954140B1 (en) | Window comprising a modular drum valve | |
CN110273634B (zh) | 百叶窗及应用于百叶窗的叶片角度控制方法 | |
KR200446074Y1 (ko) |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자동제어 창호 시스템 | |
WO2012125418A1 (en) | Method of controlling a motorized window treatment to save energy | |
KR101062187B1 (ko) | 하이브리드 파사드 시스템 및 건물의 실내공기 제어방법 | |
KR101586399B1 (ko) |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 |
EP2929118B1 (en) | Modular window ventilation system | |
KR101191526B1 (ko) | 자동제어가능한 이중창호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호제어방법 | |
KR101612006B1 (ko) | 이중창 시스템 | |
CN103821268A (zh) | 一种构件式双层幕墙 | |
KR101352018B1 (ko) | 전천후 이동식 블라인드 내장형 친환경 디자인 창호 | |
KR101197301B1 (ko) | 환기 기능이 포함된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 시스템 | |
KR20110070717A (ko) | 외창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창호 | |
KR101155791B1 (ko) | 이동가능한 블라인드를 구비한 창호시스템 | |
CN108798378B (zh) | 一种可翻转双向闭合门窗 | |
WO2009098440A1 (en) | Temperature control system | |
KR101210516B1 (ko) | 차양겸용 셔터를 가지는 통합창호 | |
KR102320216B1 (ko) | 축열용 창호 시스템 | |
CN112814552A (zh) | 一种智能建筑活动遮阳百叶系统及其控制方法 | |
KR101168493B1 (ko) | 비대칭 반사면을 구비한 이중창호 시스템 | |
CN221590781U (zh) | 一种具有隔热效果的铝合金门窗 | |
RU2740237C1 (ru) |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климатом в помещении | |
JP2010229672A (ja) | 窓サッシ | |
JP7448897B2 (ja) | 換気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