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146B1 -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146B1
KR100640146B1 KR1020050114087A KR20050114087A KR100640146B1 KR 100640146 B1 KR100640146 B1 KR 100640146B1 KR 1020050114087 A KR1020050114087 A KR 1020050114087A KR 20050114087 A KR20050114087 A KR 20050114087A KR 100640146 B1 KR100640146 B1 KR 10064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ifferential pressure
vent
slit
eleva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우
유기형
유정연
정해권
정차수
강소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한일 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한일 엠.이.씨.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8Acti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 사이의 격벽에 설치되어 연돌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호 간의 차압을 저감하여 엘리베이터 문의 오작동 및 소음발생 문제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로비를 관통하는 통풍구; 회동가능한 다수 개의 회동날개로 구성되어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는 회동슬릿;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로비 사이의 차압을 감지하는 차압감지수단; 및, 차압감지수단이 감지한 차압에 따라 상기 회동슬릿을 구성하는 상기 회동날개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통풍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샤프트, 엘리베이터 로비, 통풍구, 회동슬릿, 차압감지수단, 제어수단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Pressure-difference Reducer for Elevator}
도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a) 통풍구에 회동슬릿이 장착된 경우, (b) 통풍구에 회동슬릿 및 핀이 장착된 경우, 및 (c) 통풍구에 회동슬릿 및 팬이 장착된 경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2는 통풍구, 핀, 및 회동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a) 회동슬릿이 개방된 상태의 저층부 및 고층부,및 (b) 회동슬릿이 개방된 상태와 닫힌 상태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차압감지수단 및 제어수단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3은 통풍구, 팬, 및 회동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a) 회동슬릿이 개방된 상태의 저층부 및 고층부,및 (b) 회동슬릿이 개방된 상태와 닫힌 상태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차압감지수단 및 제어수단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4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고층건물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저감장치의 작동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사용되는 팬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통풍구
110:핀(fin)
120:팬(fan)
200:회동슬릿
210:회동날개
300:차압감지수단
400:제어수단
11:엘리베이터 샤프트 12:엘리베이터 홀
13:격벽
22:모헤어(mohair)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 사이의 격벽에 설치되어 연돌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호 간의 차압을 저감하여 엘리베이터 문의 오작동 및 소음발생 문제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로비를 관통하는 통풍구; 회동가능한 다수 개의 회동날개로 구성되어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는 회동슬릿;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 사이의 차압을 감지하는 차압감지수단; 및, 차압감지수단이 감지한 차압에 따라 상기 회동슬릿을 구성하는 상기 회동날개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통풍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건축기술의 발전과 인구 도시집중화의 영향으로 고층건물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층건물의 내부에는 수직이동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가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의 수직이동 경로인 엘리베이터 샤프트는 굴뚝과 유사하게 수직으로 형성된 빈 공간인 바, 건물 내외부의 온도차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에 상승기류가 생성되어 상승하는 연돌효과(stack effect)가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 엘리베이터 샤프트는 굴뚝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된 빈 공간으로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공기는 실온으로 유지되고, 외기의 온도와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열기구가 더운 공기에 의해 상승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공기는 상승기류가 생성되어 상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저층부는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샤프트 저층부의 기압이 낮아지면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연통하는 엘리베이터 홀(엘리베이터 출입문이 구비된 건물 복도를 의미함)의 공기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홀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내부로 실내의 공기가 빨 려들면 실내의 기압이 건물 외부의 기압보다 낮아지게 되어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침기현상(infiltration)이 발생되며, 실내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난방장치에 의하여 가열된 후 다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로 빨려드는 과정이 되풀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돌효과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층부는 상승기류에 의하여 압력이 높아져 저층부와는 달리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엘리베이터 홀을 향하여 공기가 빨려든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홀로 공기가 유입되면 실내의 공기도 압력이 상승하여 건물의 외부로 실내의 공기가 유출되는 누기현상(exfiltration)이 발생된다.
건물의 저층부에서의 침기현상과 건물의 상층부에서의 누기현상이 반복되는 이러한 연돌효과는 모두 건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데, 특히 실내외 온도차이가 심한 겨울철 고층건물에서 그 정도가 심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연돌효과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하여 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첫째, 침기현상 및 누기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실내의 공기와 외기 사이의 지속적인 순환에 따른 과도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원하지 않는 외기가 강하게 유입됨에 따라 거주자에게 심한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고층건물의 저층부에서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고속의 기류가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로 유입되고, 고층부에서는 반대방향의 고속 기류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침기현상 및 누기현상에 따라 고주파 소음이 발생하여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연돌효과에 따라 발생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상승기류를 타고 각종 냄새와 기타 오염물질이 건물 내부에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섯째, 층별 실내 온도/습도제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일곱째, 엘리베이터의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저층부의 침기현상과 상층부의 누기현상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기류상승을 방지하지는 못하고, 단지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방풍실 설치 및 엘리베이터 홀 별도 구획 등 밀실시공이 이루어져 왔으나, 외기 유입 차단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며, 출입구의 개폐에 의한 외기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회전문을 시공하고 있으나, 회전문의 효과 또한 제한적이며, 시공비가 많이 들고, 사용이 불편하며, 각종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돌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 사이의 압력차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과 연계된 차압 저감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고주파 소음 방지, 불쾌한 고속 기류의 유출입 방지, 불필요한 외기의 유입 및 실내 공기의 외부유출을 방지하여 거주자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에너지 효율을 제고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 사이의 격벽에 설치되어 연돌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호 간의 차압을 저감하여 엘리베이터 문의 오작동 및 소음발생 문제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을 관통하는 통풍구; 회동가능한 다수 개의 회동날개로 구성되어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는 회동슬릿;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 사이의 차압을 감지하는 차압감지수단; 및, 차압감지수단이 감지한 차압에 따라 상기 회동슬릿을 구성하는 상기 회동날개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통풍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a) 통풍구에 회동슬릿이 장착된 경우, (b) 통풍구에 회동슬릿 및 핀이 장착된 경우, 및 (c) 통풍구에 회동슬릿 및 팬 이 장착된 경우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1(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을 관통하는 통풍구(100), 회동가능한 다수 개의 회동날개(210)로 구성되어 통풍구(100)를 개폐하는 회동슬릿(200),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차압을 감지하는 차압감지수단(300), 및 차압감지수단(300)이 감지한 차압에 따라 회동슬릿(200)을 구성하는 회동날개(2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통풍구(1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풍구(100)는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격벽(13)에 설치되어 격벽(13)으로 구획된 두 공간 사이의 공기통로 역할을 한다.
회동슬릿(200)은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통풍구(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풍구(100)를 통한 공기흐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슬릿(200)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가능한 다수 개의 회동날개(210)로 구성되어 회동날개(210)의 회동각도에 따라 개폐 여부가 결정된다.
즉, 회동날개(210) 각각이 수직으로 일렬 배열되면 통풍구(100)가 막혀 공기흐름이 차단되고, 회동날개(210) 각각이 회동하여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면 통풍구(100)가 최대로 개방되어 공기흐름이 가장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회동날개(210)가 0° 내지 180°사이에서 회동함에 따라 통풍구(100)가 개방되거나 차단되고 개방 단면적이 변경된다.
따라서, 회동날개(2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통풍구(100)를 통한 공기의 유량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슬릿(200)은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어수 단(400)과 연결된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동날개(210)의 회동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됨이 일반적이다.
차압감지수단(300)의 구체적 형상은 도시하지 않았으며,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압력 차이를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사용되며, 압력 차이(차압)를 감지하기에 적절한 건물 내의 위치를 선택하여 설치한다.
제어수단(400)도 구체적 형상을 도시하지 않았으며, 차압감지수단(300)으로부터 수신된 차압 정보에 따라 회동슬릿(200)을 구성하는 회동날개(2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한다.
제어수단(400)은 단순히 차압 정보만을 입력받아 회동슬릿(200)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관한 정보도 함께 입력받아 이와 연계하여 회동슬릿(200)을 제어할 수 있다.
통풍구(100)에는 회동슬릿(200)만이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보다 효과적인 차압저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1(b)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100)의 내부에 별도의 핀(110)이 구비될 수 있다.
핀(110)은 통풍구(100)의 상하 내측면 또는 좌우 내측면에 교차적으로 부착되어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통풍구(100)를 통과하는 공기는 반드시 핀(110)에 의하여 형성된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통로를 통과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은 핀(11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슬릿(2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핀(110)에 의하여 형성된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통로를 통하여 공 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게 되면 통풍구(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류의 속도 및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핀(110)의 형태는 단순한 판재형태가 사용됨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곡면 단부를 구비한 판재가 사용될 수도 있고, 핀(110)의 외형도 단순한 사각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핀(110)이 사용될 수 있다.
핀(110)의 표면과 회동슬릿(200)을 구성하는 회동날개(210)의 표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헤어(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모헤어(22)란 앙고라 양에서 채취한 모섬유 또는 그것으로 짠 직물을 의미하는데, 모헤어(22)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보다 세밀한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통풍구(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류의 속도 및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2(a)는 회동슬릿(200)이 개방된 상태의 저층부 및 고층부의 공기흐름을 도시하고 있고, 도2(b)는 회동슬릿(200)이 개방된 상태 및 닫힌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2(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저층부에서는 개방된 통풍구(100)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홀(12)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11)로 기류가 유출되고, 고층부에서는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개방된 통풍구(100)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11)에서 엘리베이터 홀(12)로 공기가 유입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압 력차이가 감소된 후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게 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100)를 통한 기류의 흐름은 다수 개의 핀(110)과 회동슬릿(200)을 구성하는 회동날개(210)를 통과하게 되는데, 핀(110) 및 회동날개(210)의 표면에는 모헤어(22)가 구비되어 있어 통풍구(100)를 통과하는 기류는 필연적으로 모헤어(22) 사이의 좁은 공간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통풍구(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류의 속도 및 소음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회동슬릿(200)이 닫혀 통풍구(100)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통풍구(100)를 통한 기류의 이동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가 상하로 운행 중인 경우에는 통풍구(100)가 차단된 상태가 되고, 엘리베이터가 정차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해당 층의 통풍구(100)를 개방하여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류의 흐름을 유도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압력 차이를 감소시킨다.
도3은 통풍구(100), 팬(120), 및 회동슬릿(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a) 회동슬릿이 개방된 상태의 저층부 및 고층부,및 (b) 회동슬릿이 개방된 상태와 닫힌 상태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도2와는 달리 핀(110) 대신에 팬(120)이 구비되어 있다.
팬(120)은 통풍구(100)의 단면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바, 통풍구(100)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3의 경우에도 도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저층부에서는 개방된 통풍구(100)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홀(12)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11)로 기류가 유출되고, 고층부에서는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개방된 통풍구(100)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11)에서 엘리베이터 홀(12)로 공기가 유입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압력차이가 감소된 후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게 된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100)를 통한 기류의 흐름은 팬(120)과 회동슬릿(200)을 구성하는 회동날개(210)를 통과하게 되는데, 팬(120) 및 회동날개(210)의 표면에는 모헤어(22)가 구비되어 있어 통풍구(100)를 통과하는 기류는 필연적으로 모헤어(22) 사이의 좁은 공간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통풍구(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류의 속도 및 소음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회동슬릿(200)이 닫혀 통풍구(100)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통풍구(100)를 통한 기류의 이동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팬(120)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정한 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팬(120)을 구성하는 날개도 다양한 형태의 것이 선택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팬(120)의 회전축도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100)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방향(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100)의 길이방향(종방향)으로 회전축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팬(120)의 회전축 방향이 종방향인가 또는 횡방향인가 여부에 따라 팬(120)을 구성하는 날개의 형태도 그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것이 선택되어 사용됨은 물론이다.
엘리베이터가 상하로 운행 중인 경우에는 통풍구(100)가 차단된 상태가 되고, 엘리베이터가 정차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해당 층의 통풍구(100)를 개방하여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류의 흐름을 유도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압력 차이를 감소시킨다.
도4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고층건물의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건물의 고층부 또는 저층부에서 엘리베이터가 정차하는 경우에만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기 직전에 해당 층의 회동슬릿(200)이 개방되어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차압을 저감하게 되고, 엘리베이터가 상하로 운행 중에는 회동슬릿(200)이 닫혀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기류의 흐름을 차단한다.
즉, 본 발명은 차압감지수단(300)이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차압을 감지하더라도 엘리베이터가 상하로 운행 시에는 제어수단(400)이 회동슬릿(200)을 구성하는 회동날개(2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통풍구(100)기 차단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차압이 감지되는 경우 엘리베이터가 정차 시에만 제어수단(400)이 회동슬릿(200)을 구성하는 회동날개(2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통풍구(100)를 개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압감지수단(300)에서 감지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차압 정도에 따라 제어수단(400)이 회동슬릿(200)을 구성하는 회동날개(2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통풍구(100)의 개방 정도를 변화시킨다.
다시 말하면, 차압의 정도를 고려하여 통풍구(100)의 개방 단면적이 변경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도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압감지수단(300)에서 설정 차압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수단(400)은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를 작동시킨다.
엘리베이터가 해당 층에 정차를 하게 되면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제어수단(400)은 회동슬릿(200)을 개방하여 통풍구(100)를 통하여 기류가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차압을 감소시킨다.
차압이 감소되면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하고 승객의 하차 및 승차가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가 다시 닫히고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시작되면 제어수단(400)은 회동슬릿(200)을 닫아 통풍구(100)를 차단한다.
차압감지수단(300)에서 설정 차압 미만이 감지된 경우에는 본 발명을 작동시키지 않고 통풍구(100)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통풍구(100)를 차단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11) 내부의 연돌효과를 방지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돌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압력차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다시 말하면, 모헤어(22)가 부착된 회동슬릿(200)이 포함된 통풍구(100)를 이용하여 기류를 원활하게 유동시켜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압력차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둘째,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과 연계된 차압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차압감지수단(300)이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차압을 감지하더라도 엘리베이터가 상하로 운행 시에는 제어수단(400)이 회동슬릿(200)을 구성하는 회동날개(2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통풍구(100)기 차단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차압이 감지되는 경우 엘리베이터가 정차 시에만 제어수단(400)이 회동슬릿(200)을 구성하는 회동날개(2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통풍구(100)를 개방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11)와 엘리베이터 홀(12) 사이의 차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고주파 소음 방지, 불쾌한 고속 기류의 유출입 방지, 불필요한 외기의 유입 및 실내 공기의 외부유출을 방지하여 거주자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에너지 효율을 제고한다.
다시 말하면, 통풍구(100)를 통과하는 기류의 속도와 소음을 감소시켜 고주파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불쾌한 고속 기류의 유출입을 방지하여 거주자의 주거 환경을 저해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과다한 외기 유입 및 실내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한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 사이의 격벽에 설치되어 동절기에 연돌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호 간의 차압을 저감하여 엘리베이터 문의 오작동 및 소음발생 문제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을 관통하는 통풍구;
    회동가능한 다수 개의 회동날개로 구성되어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는 회동슬릿;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 사이의 차압을 감지하는 차압감지수단; 및,
    상기 차압감지수단이 감지한 차압에 따라 상기 회동슬릿을 구성하는 상기 회동날개의 회동각도를 0° 내지 180°로 조절하여 상기 통풍구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상기 통풍구의 개방 단면적을 변경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 사이의 차압이 감지되더라도 엘리베이터가 운행 시에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회동슬릿을 구성하는 상기 회동날개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통풍구를 차단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엘리베이터 홀 사이의 차압이 감지되는 경우 엘리베이터가 정차 시에만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회동슬릿을 구성하는 상기 회동날개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통풍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통풍구의 상하 내측면 또는 좌우 내측면에 교차적으로 부착되어 지그재그형태의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핀(fin);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서,
    상기 핀의 표면, 또는 상기 회동슬릿을 구성하는 상기 회동날개의 표면 각각에 부착되는 흡음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050114087A 2005-11-28 2005-11-28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KR100640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087A KR100640146B1 (ko) 2005-11-28 2005-11-28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087A KR100640146B1 (ko) 2005-11-28 2005-11-28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146B1 true KR100640146B1 (ko) 2006-11-01

Family

ID=3762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087A KR100640146B1 (ko) 2005-11-28 2005-11-28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1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5239A1 (en) * 2007-03-22 2008-09-25 Carrier Corporation Stack effect mitigation
KR101179064B1 (ko) 2010-09-17 2012-09-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기압 조정 방법
KR20200048179A (ko) * 2018-10-29 2020-05-08 현대건설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KR102183371B1 (ko) * 2020-08-19 2020-11-26 주성필 크린 엘리베이터 카
KR20210033298A (ko) * 2019-09-18 2021-03-26 현대건설주식회사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850007227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5239A1 (en) * 2007-03-22 2008-09-25 Carrier Corporation Stack effect mitigation
KR101179064B1 (ko) 2010-09-17 2012-09-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기압 조정 방법
KR20200048179A (ko) * 2018-10-29 2020-05-08 현대건설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KR102145788B1 (ko) 2018-10-29 2020-08-19 현대건설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3298A (ko) * 2019-09-18 2021-03-26 현대건설주식회사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KR102268547B1 (ko) 2019-09-18 2021-06-22 현대건설(주)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KR102183371B1 (ko) * 2020-08-19 2020-11-26 주성필 크린 엘리베이터 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146B1 (ko)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장치
KR100807273B1 (ko)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CN103874889B (zh) 嵌装型材
KR100785399B1 (ko)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100770969B1 (ko) 자연환기를 위한 외피전면개방형 기능성 이중외피구조 및이의 제어시스템
KR102082664B1 (ko) 통합 제연 시스템
KR101201894B1 (ko) 실내 주차장용 환기팬
EP3189195B1 (de) Hochhaus mit einer anzahl von n etagen und mit einem abströmschacht
KR101185801B1 (ko) 고층건물의 제연 댐퍼 시스템
RU2583897C2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окно, система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о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необходимости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а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KR102119098B1 (ko) 엘리베이터 샤프트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2645959B1 (ko) 복합 댐퍼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CN113803841A (zh) 风幕装置
KR200380422Y1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JP2012051722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換気装置
JP4687984B2 (ja) 空調設備の制御方法
KR100421805B1 (ko) 제연방법
JP4328085B2 (ja) 換気構造
KR102145788B1 (ko)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JP2007010237A (ja) 風除室、および風除室において室内と室外の間の空気の流れを低減する方法
CN216048248U (zh) 风幕装置
KR102647434B1 (ko) 일체형 급기 가압 제어유니트
JP4179854B2 (ja) 換気構造
KR102645958B1 (ko) 인버터 송풍기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