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150B1 -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150B1
KR101986150B1 KR1020180104411A KR20180104411A KR101986150B1 KR 101986150 B1 KR101986150 B1 KR 101986150B1 KR 1020180104411 A KR1020180104411 A KR 1020180104411A KR 20180104411 A KR20180104411 A KR 20180104411A KR 101986150 B1 KR101986150 B1 KR 10198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haft
pressure
underground
poi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주)맥이앤피
이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맥이앤피, 이성규 filed Critical (주)맥이앤피
Priority to KR1020180104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5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closing air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빌딩,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 발생되는 연돌효과를 저감하고, 고층건물 내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계단실에서 발생되는 연돌효과를 저감시켜, 연돌효과로 인해 지하 주차장부터 고층까지 문이 원활히 닫히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고층으로 갈수록 커지는 바람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키고,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연돌효과로 인해 연기와 화재 확산속도가 가속화되어 인명 피해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고층건물 내의 연돌효과를 저감시켜 연기와 화재 확산속도를 지체되게 하여 인명이 대피하는 시간을 확보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An air-stack effect air-conditioning decreasing system for high buildings}
본 발명은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 발생되는 연돌효과를 저감하는 공조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연돌효과란 기압차에 의해 지하나 저층에서 옥상이나 고층으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은 고층건물 내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와 계단실에서 발생되는 연돌효과를 저감시켜, 연돌효과로 인해 계단실이나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발생하는 심한 공기 유동에 의해 각층 현관문이 닫히지 않거나 심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 시 연돌효과로 인해 연기와 화재 확산속도가 가속화되어 피해가 심화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21세기 들어 세계적으로 인구 이동의 추세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화이며, 인구 1,000만 명을 초과하는 초거대 도시권들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서울을 중심으로 인천을 포함하는 우리나라의 수도권도 세계적으로 유명한 초거대 도시권이며, 지방 거점 대도시들인 부산, 대구, 광주, 대전도 각각 주변의 인접 시군을 포함하는 광역 생활권이 지역별로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대도시들은 한정된 지역에 많은 인구가 거주해야 하기 때문에, 신도심은 예외 없이 고층아파트, 주상복합빌딩들 위주로 건축되고 있으며 기존의 구도심도 고층 건물들을 건설하여 재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21세기는 건축기술의 발달로 인해 과거에 비해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의 초고층 건물들이 건축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2016년도에 준공한 123층의 롯데월드타워가 557미터의 위용을 자랑하며, 세계적으로는 두바이의 부르즈 할리파가 830미터 165층으로 세계 최고층 건물로 현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렇게 도시가 고도화 및 집적화됨과 함께 건물의 고층화도 급속히 진행되면서, 건물 내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계단실 등의 수직통로를 중심으로 높이에 따른 연돌효과(air-stack effect)가 발생한다.
이때, 연돌효과는 건물의 높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실내외의 기온차가 큰 겨울에 심해지는데, 연돌효과는 실외보다 온도가 높은 수직통로내 공기가 상승하면서 수직통로 저층부의 압력은 감소하고 수직통로 고층부의 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저층부에서는 계단실과 접한 부속실 및 거실로부터 계단실 쪽으로 공기가 침투하고 고층부에서는 계단실 측으로부터 거실 쪽으로 공기가 누기 되기 때문에, 평소에는 실내 온도 악화, 에너지 손실, 출입문의 열고 닫힘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과 피난이 어려워지고,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왔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115호 수직 통로 내 공기의 급기 및 배기를 통한 고층건물수직통로에서의 연돌 효과 저감방법 및 장치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고층건물의 수직통로에서 화재시 발생하는 연돌 효과(Stack Effect)를 저감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수직 풍도에 송풍기를 설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송풍기 설치비용이 더 소요되고 정전으로 인해 송풍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대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2.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76962호 벤츄리효과 및 연돌효과를 이용하여 환기 및 풍력발전이 가능한 건물일체형 제연시스템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벤츄리효과 및 연돌효과를 이용하여 환기 및 풍력발전이 가능한 건물일체형 제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도 시스템을 구성하는 벤츄리 구조물, 수직축 풍력터빈, 수직풍력발전기의 설피비용이 크게 소요되고 유지보수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3.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85400호 복사열 및 연돌효과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태양의 복사열과 연돌효과를 이용하여 초고층건물의 환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초고층 건물의 연돌효과를 이용한 환기에는 효율적이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는 대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 발생되는 연돌효과를 저감하는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층건물 내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와 계단실에서 발생되는 연돌효과를 저감시켜, 연돌효과로 인해 계단실이나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발생하는 심한 공기 유동에 의해 각층 현관문이 닫히지 않거나 심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 시 연돌효과로 인해 연기와 화재 확산속도가 가속화되어 피해가 심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10)은,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단속하는 제1덕트부(100)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의 기압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한 양측의 기압값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압력감지부(200)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기압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감지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 측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덕트부(100)에 제공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10)은,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단속하는 제1덕트부(100)와;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단속하는제2덕트부(500)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의 기압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한 양측의 기압값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압력감지부(200)와;
건물의 지하주차장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하주차장의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 감지 시 화재감지 신호를 제어부(300)로 송신하는 화재감지기(400)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기압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감지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기압과 외부 옥상 지점의 기압 측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와 화재감지기(400)의 화재감지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과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덕트부(100)와 제2덕트부(500)에 제공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화재감지기(400)로부터 화재감지 신호가 수신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의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2덕트부(500)에 제공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의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미만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2덕트부(5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 발생되는 연돌효과를 저감하는 공조시스템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층건물 내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와 계단실에서 발생되는 연돌효과를 저감시켜, 연돌효과로 인해 계단실이나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발생하는 심한 공기 유동에 의해 각층 현관문이 닫히지 않거나 심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평소 고층건물을 거주하는 사람들의 주거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 시 연돌효과로 인한 연기와 화재 확산속도의 가속화를 저감 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인명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1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1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1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2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2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2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3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3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3의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 발생되는 연돌효과를 저감하는 공조시스템을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하고 유지보수 할 수 있는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이하 '공조시스템')을 실시예 1, 2, 3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1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1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1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10) 실시예 1은 제1덕트부(100), 압력감지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단속하는 제1덕트부(100)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의 기압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한 양측의 기압값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압력감지부(200)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기압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감지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 측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덕트부(100)에 제공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돌효과란 기압차나 온도차에 의해 지하나 저층에서 옥상이나 고층으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서 발생되는 연돌효과는 건물의 높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실내외의 기온차가 큰 겨울에 심해지는 현상으로, 주로 실외보다 온도가 높은 건물 내의 엘리베이터 샤프트(30)와 계단실(50)과 같은 폐쇄된 수직통로 내에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연돌효과로 인해 고층건물은 평소에는 난방효율이 낮아지고 출입문의 열고 닫힘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재가 발생하면 연돌효과에 의해 연기나 유독가스의 확산이 심해져 제연과 피난이 어려워지고,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10)은 건물의 연돌효과를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제1덕트부(100)를 건물의 지하주차장(20) 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 공간을 상호 연결하여 상호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고, 공기 유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과 옥상 지점(40)의 기압차가 감소되면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돌효과도 자연스럽게 저감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덕트부(100)는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단속하며, 제1덕트(110)와 제1댐퍼(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덕트(110)는 공기가 유동하는 도관으로 제1덕트(110)의 일측은 지하주차장(20)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에 연결되어, 지하주차장(20)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 공간의 공기를 상호 유동되게 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과 옥상 지점 공간의 기압차를 감소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10)은 별도의 급배기 장치 및 송풍기를 설치하지 않고, 지하주차장(20)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 공간에 상호 연결된 제1덕트(110)를 통해 자연적으로 공기의 유동을 흐르게 하므로 별도의 설비로 인한 설치비용과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덕트(110)의 일측에 제1댐퍼(120)가 설치되며, 상기 제1댐퍼(120)는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지하주차장(20)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차단 또는 통과되게 단속한다.
상기 제1댐퍼(120)는 DC모터를 포함하고 있고, 제어신호에 따른 DC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제1댐퍼(120)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감지부(200)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 기압과 옥상 지점(40)의 기압을 각각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양측의 기압값을 제어부(300)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300)가 제1덕트부(100)의 제1댐퍼(120)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감지부(200)는 제1압력센서(210)와 제2압력센서(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압력센서(210)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의 기압을 측정하여 제어부(300)로 송신하고, 상기 제2압력센서(220)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옥상 지점(40)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옥상 지점의 기압을 측정하여 제어부(30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압력감지부(200)의 측정 주기는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10)의 사용자인 안전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기압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감지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 측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덕트부(100)에 제공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기압차(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기압차)를 감소시켜 건물의 연돌효과를 저감되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300)는 차압스위치(310)와 제어패널(3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300)의 차압스위치(310)는 압력감지부(200)가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양측 기압값에 대한 기압차를 구하고 기압차에 대한 차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패널(32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패널(320)은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차압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미만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한다.
즉, 차압스위치(310)로부터 전달받은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차압신호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신호이면, 상기 제어패널(320)은 건물의 지하주차장(20)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제1덕트부(1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제1댐퍼(120)를 개방되게 한다.
또한, 차압신호가 설정된 기압차 미만인 신호이면, 상기 제어패널(320)은 건물의 지하주차장(20)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지 않도록 제1덕트부(1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제1댐퍼(120)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하여 지하주차장(20)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의 유동이 차단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댐퍼(120)가 개방된 후 압력감지부(200)로부터 새롭게 제공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옥상 지점(40)이 설정된 기압차 미만인 신호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패널(320)은 제1덕트부(1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제1댐퍼(120)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댐퍼(120)가 닫힘 상태가된 후 압력감지부(200)로부터 새롭게 제공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옥상 지점(40)이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신호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패널(320)은 제1덕트부(1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제1댐퍼(120)가 개방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압력감지부(200)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측정되어 전송되는 측정 기압값을 비교 판단하고 설정된 기압차를 초과하거나 미만되는 상태에 따라, 제1댐퍼(120)의 상태도 개방 또는 닫힘 상태로 제어하여 건물의 연돌효과를 저감되도록 반복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안전 관리자는 압력감지부(200)의 측정 주기를 임의로 설정하며, '30분', '1시간'처럼 분 또는 시간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자동 저장 기능이 있어, 날짜별, 시간별로 제1압력센서(210)와 제2압력센서(220)가 측정한 기압값과 제1댐퍼(120)를 제어한 작동내역을 저장하여 안전 관리자가 건물관리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 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2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2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2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10) 실시예 2는 제1덕트부(100), 압력감지부(200), 제어부(300), 화재감지기(400), 제2덕트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시예 1과 비교하면 건물의 지하주차장(2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처하기 위한 구성으로 화재감지기(400)와 제2덕트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단속하는 제1덕트부(100)와;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단속하는제2덕트부(500)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한 양측의 기압값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압력감지부(200)와;
건물의 지하주차장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하주차장의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 감지 시 화재감지 신호를 제어부(300)로 송신하는 화재감지기(400)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기압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감지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외부 옥상 지점의 기압 측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와 화재감지기(400)의 화재감지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과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덕트부(100)와 제2덕트부(500)에 제공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어부(300)는 차압스위치(310)와 제어패널(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압스위치(310)는 압력감지부(200)가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양측 기압값에 대한 기압차를 구하고 기압차에 대한 차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패널(320)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패널(320)은,
화재감지기(400)로부터 화재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차압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2덕트부(500)에 제공하고,
화재감지기(400)로부터 화재감지 신호가 수신되고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차압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2덕트부(500)에 제공하고,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미만인 차압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2덕트부(5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10) 실시예 2를 구성하는 상기 제1덕트부(100), 압력감지부(200), 제어부(300)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인 화재감지기(400)와 제2덕트부(500)와 이에 관한 제어부(300)의 동작 특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와 6을 참조하면, 지하주차장(2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온돌 효과 저감을 위해 제1실시예 설명부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덕트부(100)를 통해 지하주차장(20)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를 연통 시키게 되면 지하주차장(20)의 연기나 유독가스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로 유입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통해 각층 세대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를 통해 탈출하는 대피자들에게 심각한 인명 피혜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해 화재감지기(400)와 제2덕트부(500)가 추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재감지기(400)는 건물의 지하주차장(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하주차장(20)의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감지 신호를 제어부(300)로 송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덕트부(500)는 건물 외부 지상(60)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 공간을 상호 연결하여 건물 외부 지상(60)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 공간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덕트부(500) 역시 제2덕트(510), 제2댐퍼(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덕트(510)는 건물 외부 지상 공간(60)과 엘리베이터 샤프트(30)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 통로인 일종의 도관으로 제2덕트(510)의 일측은 건물 외부 지상(60)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댐퍼(520)는 제2덕트(5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댐퍼(520)는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며, 건물 외부 지상(60)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30)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차단 또는 통과되게 단속하게 된다.
상기 제2댐퍼(520)는 DC모터를 포함하고 있고, 제어신호에 따른 DC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제2댐퍼(520)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10) 실시예 2에 있어서 제어부(300)는 화재감지기(400)로부터의 화재감지신호 수신 여부와 압력감지부(200)에서 제공한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제1덕트부(100)와 제2덕트부(50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압스위치(310)와 제어패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압스위치(310)는 압력감지부(200)가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양측 기압값에 대한 기압차를 구하고 기압차에 대한 차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패널(320)로 제공한다.
이후, 상기 제어패널(320)은 화재감지기(400)로부터 화재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차압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2덕트부(50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덕트부(100)의 제1댐퍼(12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제1댐퍼(120)가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덕트부(500)의 제2댐퍼(52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제2댐퍼(220)도 개방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제1,2댐퍼(120,520)가 개방 상태가 되면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기압은 지하주차장 공간 또는 건물 외부 지상 공간의 기압과 동일해지게 되는데 이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기압이 옥상 지점의 기압과 거의 동일해짐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기압차에 의한 연돌효과가 감소되게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옥상 지점은 환풍구 등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공간인 지하주차장 공간,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거의 동일한 기압을 갖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화재감지기(400)로부터 화재감지 신호가 수신되고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차압신호인 경우는 건물의 지하주차장(20)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연돌효과를 유발시키는 기압차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패널(320)은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2덕트부(500)에 제공한다.
즉, 건물의 지하주차장(20) 공간에 있는 연기나 유독가스가 엘리베이터 샤프트(30)의 지하 지점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어패널(320)은 제1덕트부(100)의 제1댐퍼(120)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댐퍼(120)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320)은 연돌효과를 저감시키기 위해 제2덕트부(500)의 제2댐퍼(52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2댐퍼(520)가 개방상태가 되도록 하여 건물 외부 지상(60)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30) 공간과 옥상 지점의 기압차를 감소시킨다.
마지막으로,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미만인 차압신호이면, 상기 제어패널(320)은 화재감지신호 수신 여부에 상관 없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2덕트부(500)에 제공한다.
즉, 제1덕트부(100)의 제1댐퍼(12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제1댐퍼(120)를 닫힘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제2덕트부(500)의 제2댐퍼(520)로도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제2댐퍼(520)도 닫힘 상태를 유지시킨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3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3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실시예 3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과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10) 실시예 3은 고층건물의 계단실에서 발생하는 연돌효과도 저감시키기 위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10) 실시예 3은 제1덕트부(100), 압력감지부(200), 제어부(300), 제3덕트부(600), 제2압력센서(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돌효과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30)뿐만 아니라 계단실(50)과 같은 수직통로 내에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10) 실시예 3은 계단실에서 발생하는 연돌효과도 저감시키기 위한 발명으로서 실시예 1과 비교하면 제3덕트부(600), 제2압력센서(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10) 실시예 3의 상기 제1덕트부(100), 압력감지부(200)의 구성적 특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인 제3덕트부(600), 제2압력센서(230), 이에관 제어부(300)의 구성적 특징만 설명한다.
상기 제3덕트부(600)는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계단실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계단실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단속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3덕트부(600)는 제3덕트(610)와 제3댐퍼(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3덕트(610)는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계단실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는 일종의 도관으로서, 일측은 지하주차장(20)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은 계단실(50)의 지하 지점 공간에 연결되어 공기를 유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3댐퍼(620)는 제3덕트(6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지하주차장 공간과 계단실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차단 또는 통과되게 단속한다.
상기 제3댐퍼(620)는 DC모터를 포함하고 있고, 제어신호에 따른 DC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제3댐퍼(620)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과 9를 참조하면, 상기 제3압력센서(230)는 계단실(50)의 지하 지점 기압을 측정하여 제어부(30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차압스위치(310)와 제어패널(3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압스위치(31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 이외에 추가로 압력감지부(200)가 제공하는 계단실 지하 지점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옥상 지점의 양측 기압값에 대한 제2 기압차를 구하고 제2 기압차에 대한 제2 차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패널(32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패널(320)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 이외에 추가적으로 아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패널(320)은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제2 차압신호가 계단실 지하 지점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차압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계단실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3덕트부(600)에 제공하고,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제2 차압신호가 계단실 지하 지점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미만인 차압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계단실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3덕트부(600)에 제공한다.
즉,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제2 차압신호가 계단실(50)의 지하 지점의 기압값과 엘리베이터 샤프프 내부의 옥상 지점(40)의 기압값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20) 공간과 계단실(50)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3덕트부(600)에 송신하여, 제3댐퍼(620)를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제2 차압신호가 계단실(50)의 지하 지점의 기압값과 엘리베이터 샤프프 내부의 옥상 지점(40)의 기압값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미만인 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계단실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3덕트부(600)의 제3댐퍼(620)에 제공하여 제3댐퍼(620)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공조시스템
20 : 지하주차장
30 :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40 :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옥상 지점 공간
50 : 계단실
60 : 건물 외부 지상
100 : 제1덕트부
200 : 압력감지부
300 : 제어부
400 : 화재감지기
500 : 제2덕트부
600 : 제3덕트부

Claims (8)

  1.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10)에 있어서,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단속하는 제1덕트부(100)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의 기압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한 양측의 기압값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압력감지부(200)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기압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감지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 측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덕트부(100)에 제공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차압스위치(310)와 제어패널(320)로 구성되고,
    상기 차압스위치(310)는 압력감지부(200)가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양측 기압값에 대한 기압차를 구하고 기압차에 대한 차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패널(320)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패널(320)은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차압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미만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부(100)는,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공기를 상호 유동되도록 하는 통로인 제1덕트(110)와,
    상기 제1덕트(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차단 또는 통과되게 하는 제1댐퍼(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200)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의 기압을 측정하여 제어부(300)로 송신하는 제1압력센서(210)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옥상 지점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옥상 지점의 기압을 측정하여 제어부(300)로 송신하는 제2압력센서(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4. 삭제
  5.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10)에 있어서,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단속하는 제1덕트부(100)와;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을 상호 연결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 사이의 공기 유동을 단속하는제2덕트부(500)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한 양측의 기압값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압력감지부(200)와;
    건물의 지하주차장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하주차장의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 감지 시 화재감지 신호를 제어부(300)로 송신하는 화재감지기(400)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인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기압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감지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외부 옥상 지점의 기압 측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와 화재감지기(400)의 화재감지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과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덕트부(100)와 제2덕트부(500)에 제공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차압스위치(310)와 제어패널(320)로 구성되고,
    상기 차압스위치(310)는 압력감지부(200)가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과 옥상 지점의 양측 기압값에 대한 기압차를 구하고 기압차에 대한 차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패널(320)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패널(320)은,
    화재감지기(400)로부터 화재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차압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2덕트부(500)에 제공하고,
    화재감지기(400)로부터 화재감지 신호가 수신되고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이상인 차압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2덕트부(500)에 제공하고,
    차압스위치(310)가 제공한 차압신호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기압과 옥상 지점 기압의 차가 설정된 기압차 미만인 차압신호이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덕트부(100)에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2덕트부(5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부(100)는,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공기를 상호 유동되도록 하는 통로인 제1덕트(110)와,
    상기 제1덕트(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지하주차장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차단 또는 통과되게 하는 제1댐퍼(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덕트부(500)는,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공기를 상호 유동되도록 하는 통로인 제2덕트(510)와,
    상기 제2덕트(5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외부 지상 공간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공간의 상호 공기 유동을 차단 또는 통과되게 하는 제2댐퍼(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200)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지하 지점의 기압을 측정하여 제어부(300)로 송신하는 제1압력센서(210)와,
    건물의 옥상 일측에 설치되어, 옥상의 기압을 측정하여 제어부(300)로 송신하는 제2압력센서(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8. 삭제
KR1020180104411A 2018-09-03 2018-09-03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KR101986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11A KR101986150B1 (ko) 2018-09-03 2018-09-03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11A KR101986150B1 (ko) 2018-09-03 2018-09-03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150B1 true KR101986150B1 (ko) 2019-06-05

Family

ID=6684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411A KR101986150B1 (ko) 2018-09-03 2018-09-03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3397A (zh) * 2020-11-16 2021-02-23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电梯井道通风控制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28B1 (ko) * 2006-04-28 2007-06-21 삼성물산 주식회사 건물의 샤프트 냉각장치 및 방법
KR100785400B1 (ko) 2007-02-16 2007-12-13 조병남 복사열 및 연돌효과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20100000115A (ko) 2008-06-24 2010-01-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직 통로 내 공기의 급기 및 배기를 통한 고층건물수직통로에서의 연돌 효과 저감방법 및 장치
KR101180655B1 (ko) * 2011-08-10 2012-09-07 박인 빌딩의 지하 주차장용 하이브리드 환기 장치 및 방법
KR101376962B1 (ko) 2012-11-07 2014-03-20 한신공영 주식회사 벤츄리효과 및 연돌효과를 이용하여 환기 및 풍력발전이 가능한 건물일체형 제연시스템
KR20160131512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엘리베이터 홀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28B1 (ko) * 2006-04-28 2007-06-21 삼성물산 주식회사 건물의 샤프트 냉각장치 및 방법
KR100785400B1 (ko) 2007-02-16 2007-12-13 조병남 복사열 및 연돌효과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20100000115A (ko) 2008-06-24 2010-01-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직 통로 내 공기의 급기 및 배기를 통한 고층건물수직통로에서의 연돌 효과 저감방법 및 장치
KR101180655B1 (ko) * 2011-08-10 2012-09-07 박인 빌딩의 지하 주차장용 하이브리드 환기 장치 및 방법
KR101376962B1 (ko) 2012-11-07 2014-03-20 한신공영 주식회사 벤츄리효과 및 연돌효과를 이용하여 환기 및 풍력발전이 가능한 건물일체형 제연시스템
KR20160131512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엘리베이터 홀 환기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고층건물의 수직통로에서 화재시 발생하는 연돌 효과(Stack Effect)를 저감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벤츄리효과 및 연돌효과를 이용하여 환기 및 풍력발전이 가능한 건물일체형 제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태양의 복사열과 연돌효과를 이용하여 초고층건물의 환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수직 풍도에 송풍기를 설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송풍기 설치비용이 더 소요되고 정전으로 인해 송풍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대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도 시스템을 구성하는 벤츄리 구조물, 수직축 풍력터빈, 수직풍력발전기의 설피비용이 크게 소요되고 유지보수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초고층 건물의 연돌효과를 이용한 환기에는 효율적이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는 대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3397A (zh) * 2020-11-16 2021-02-23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电梯井道通风控制系统
CN112393397B (zh) * 2020-11-16 2021-11-30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电梯井道通风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lamees Air tightness and air leakages of new lightweight single-family detached houses in Estonia
KR101376962B1 (ko) 벤츄리효과 및 연돌효과를 이용하여 환기 및 풍력발전이 가능한 건물일체형 제연시스템
Khoukhi et al. Stack pressure and airflow movement in high and medium rise buildings
Kalamees et al. Measured and simulated air pressure conditions in Finnish residential buildings
Kosonen et al. Methods to reduce stack effect and improve energy efficiency in a Nordic high rise residential building
KR101986150B1 (ko) 고층건물용 연돌효과 저감 공조시스템
KR20130110680A (ko) 제연구역 급기댐퍼의 비례제어시스템
JP5502699B2 (ja) 室内環境制御システム
KR200393245Y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Finch et al. Air leakage within multi-unit residential buildings: Testing and implications for building performance
KR200435724Y1 (ko) 복층건물의 국소 배기 입상덕트에 적용되는 배기효율 최적화 제어시스템
Blomsterberg et al. Air flows in dwellings—simulations and measurements
JP4484428B2 (ja) 住居の換気構造
Brohus et al. Measurements of hybrid ventilation performance in an office building
KR100975636B1 (ko) 복층 건물의 국소 배기 입상덕트에 채용되는 와이어리스형배기시스템
JP3140296B2 (ja) 集合住宅用換気システム
Brennan et al. Measuring airtightness at ASHRAE headquarters
JP4542497B2 (ja) 建物
JP2001220836A (ja) フラット屋根型住宅用自然換気建造物の構造及び自然換気システム
Armstrong et al. Infiltration and ventilation in Russian multi-family buildings.
KR102268547B1 (ko) 연돌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내 공용부와 전유부의 차압 저감장치
Jo et al. Effect of building design on pressure-related problems in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Ferdyn-Grygierek et al. Assessment of the airtightness and air exchange in polish dwellings–measurement experiences and problems met
Mallay Compact Buried Ducts in a Hot-Humid Climate House
Kim et al. Field experiment of the measures to control the stack effect in stairwell of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