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059B1 - 운동 민감도 예측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운동 민감도 예측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059B1
KR102268059B1 KR1020180153713A KR20180153713A KR102268059B1 KR 102268059 B1 KR102268059 B1 KR 102268059B1 KR 1020180153713 A KR1020180153713 A KR 1020180153713A KR 20180153713 A KR20180153713 A KR 20180153713A KR 102268059 B1 KR102268059 B1 KR 10226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hromosome
human
human chromosom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944A (ko
Inventor
박웅양
차소연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8015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059B1/ko
Priority to PCT/KR2019/016250 priority patent/WO2020116838A1/ko
Publication of KR2020006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운동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및 개체의 운동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개체의 운동에 따른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를 예측 또는 측정할 수 있다. 예측 또는 측정된 개체의 운동에 따른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는 개인 맞춤의학적 비만 치료에 적용하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 민감도 예측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mposition, kit for predicting weight control according to exercise, and method using the same}
운동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키트, 및 개체의 운동 민감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우리나라 식생활의 서구화 및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비만,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고지혈증 등 심혈관질환의 발병이 증가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만성 질환의 증가는 사람들의 식사, 흡연, 운동 등과 같은 생활 양식의 큰 변화 때문이며 식사 패턴의 변화가 바람직하지 않은 영양 상태를 초래하여 이들 만성적 비전염성 질환을 발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세계 보건 기구에서는 보고하고 있다. 200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19세 이상 성인 중 비만 유병률은 1998년 26.0%에서 2001년 30.6%, 2005년 30.8%, 2009년 31.3%로 우리나라 비만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세계 인구의 거의 2/3가 운동 부족 상태라고 알려져 있다. 미국의 경우 성인의 약 40%는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을 전혀 하지 않고 있고, 단지 약 15%에서 권장량의 육체적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로 앉아서 지내는 (sedentary) 생활 양상에 의한 사망이 미국에서 매년 약 200,000명 정도에 이르며 주로 관상동맥질환, 당뇨병, 대장암으로 사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신체적 운동 정도에 따라 5분위 군으로 나누었을 때, 만명당 사망률은 남성에서는 5분위 중 가장 높은 군에서 18.6명이었고, 가장 낮은 군에서는 64명, 여성에서는 가장 높은 군에서 8.5명이었고, 가장 낮은 군에서는 39.5명으로 신체적 운동 정도가 낮을 수록 사망률이 높았다.
인간에게서 비만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로는 POMC, MC4R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561656 등은 유전적 특징을 이용하여 비만 유병률을 예측할 수 있는 유전적 지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어, 유전적 특징을 이용하여 비만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비만을 치료 또는 개선하기 위한 지침으로서, 유전적 특징을 이용하여 비만 치료시에 치료 또는 개선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유전적 지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일 양상은 운동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운동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개체의 운동 민감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운동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운동 민감도는 체중 조절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운동에 따른 체중 조절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사용된다. 단일염기다형성은 유전체 상에서 단일 염기 또는 뉴클레오티드(A, T, C 또는 G, 뉴클레오티드 A는 아데닌, 뉴클레오티드 T는 티민, 뉴클레오티드 C는 시토신, 뉴클레오티드 G는 구아닌을 의미함)가 종의 멤버들 간 또는 집단 내 게놈에 존재하는 염기 또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다양성 또는 다형을 의미한다. 단일염기다형성는 인간 유전체 상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유전적 다형성으로, 유전학적으로 단일염기다형성에 따라 각 개체에 큰 차이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은 단일뉴클레오티드변이(single nucleotide variant: SNV)와 혼용될 수 있다. 상기 단일뉴클레오티드변이는 유전체 상에서 하나의 염기 또는 뉴클레오티드의 차이를 보이는 서열의 변경을 의미한다.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5745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118961738번째 염기가 A 또는 G(rs965932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350721),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A 또는 C(rs10929925),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13384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00635683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709422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50094148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158320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51008),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80743819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2517906),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180686235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528435),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212449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2646911),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54724348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391576), 인간의 13번째 염색체의 2610151번째 염기가 C 또는 T(rs9595908),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44892362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07565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49832684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0875976),
인간의 6번째 염색체의 2181898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770102),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64101590번째 염기가 C 또는 T(rs2845885),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95540202번째 염기가 G 또는 T(rs6465468),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8893156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40650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350721),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703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370983),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A 또는 C(rs10929925),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51008),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109471709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850219),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19296909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0401969),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3111번째 염기가 C 또는 T(rs7141420),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13384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985368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138803), 인간의 15번째 염색체의 40032280번째 염기가 C 또는 T(rs4432245), 인간의 16번째 염색체의 3988386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444217),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6410번째 염기가 A 또는 C(rs4836133),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482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86404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2646911),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57452),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2124499), ,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하나의 단일가닥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운동 민감도 또는 운동에 따른 체중 조절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일가닥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도 당연히 운동 민감도 또는 운동에 따른 체중 조절과 연관되어 있는 것을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의 특정한 서열을 가진 운동에 따른 체중 조절과 연관되어 있는 단일가닥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그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인간의 1번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A" 또는 "G"이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은 인간의 1번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A" 또는 "G"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1번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단일염기다형성 마커)에 대응되는 위치에 "T" 또는 "C" 뉴클레오티드를 갖는 상보적인 단일가닥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인간의 1번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성물은 인간의 1번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단일염기다형성 마커)에서 A>G를 검출할 수 있다.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다른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비만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중에서도, 현재 운동 여부 또는 운동 강도에 따른 체중 조절 또는 체질량지수가 변화하는 정도와 특이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운동은 현재 운동 여부 또는 운동 강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운동은 몸을 단련하거나 건강을 위하여 몸을 움직이는 활동을 의미한다. 상기 현재 운동 여부는 설문에 대한 응답 시점의 전후로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것인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운동 강도는 단위시간당 운동량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운동 강도에 대한 민감도는, 높은 강도의 운동에 대한 민감도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규칙적으로 몸에 땀이날 정도의 운동을 하는 것에 대한 민감도인 것일 수 있다.
현재 운동 여부에 대한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의 경우,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AGBL4, TBX15, ELAVL4, DOCK1, ADRB2, ADCY5, GLRA3, PDS5B, TOMM40, BCDIN3D-AS1 또는 이들의 조합의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분석하기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현재 운동 여부에 대한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의 경우,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5745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118961738번째 염기가 A 또는 G(rs965932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350721),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A 또는 C(rs10929925),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 또는 C(rs1013384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00635683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709422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50094148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158320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51008),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80743819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2517906),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180686235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528435),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212449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2646911),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54724348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391576), 인간의 13번째 염색체의 2610151번째 염기가 C 또는 T(rs9595908),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44892362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07565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49832684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0875976), 또는 이들의 조합을 분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운동 강도에 대한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의 경우,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CASC15, MACROD1, ASB4, ZNF804B, NRXN3, DOCK1, KCTD10, SUGP1, NRXN3, EIF2AK4, ADCY9, GLRA3, AGBL4, ADCY5 또는 이들의 조합의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분석하기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운동 강도에 대한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의 경우,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인간의 6번째 염색체의 2181898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770102),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64101590번째 염기가 C 또는 T(rs2845885),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95540202번째 염기가 G 또는 T(rs6465468),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8893156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40650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350721),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703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370983),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A 또는 C(rs10929925),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51008),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109471709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850219),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19296909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0401969),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3111번째 염기가 C 또는 T(rs7141420),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13384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985368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138803), 인간의 15번째 염색체의 40032280번째 염기가 C 또는 T(rs4432245), 인간의 16번째 염색체의 3988386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444217),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6410번째 염기가 A 또는 C(rs4836133),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482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86404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2646911),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57452),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2124499), , 또는 이들의 조합을 분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용어 "유전자"는 유전 정보를 결정하는 구조 단위를 의미하며,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기능 RNA(tRNA, rRNA 등)의 염기 배열을 결정하는 정보를 가지는 구조 유전자, 및/또는 구조 유전자의 발현을 제어하는 조절 유전자, 예를 들면, 프로모터, 억제자(repressor), 작동유전자(operator)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전자"는 유전자의 산물을 생성하기 위해 전사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단일 가닥 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 등록번호를 이용하여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서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UCSC genome browser 또는 GenBank에 등록되어 있는 번호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서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변경된 서열에도 미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임의의 길이를 지닌 뉴클레오티드 폴리머를 의미하며,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핵산,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표적 영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특이적 결합 특성을 이용하여, 혼합물로로부터 표적 영역을 포함하는 표적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인 것일 수 있고,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의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또한, 상보적인 뉴클레오티드와 수소 결합에 의하여 혼성화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것이면, 천연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것뿐만 아니라, 천연 뉴클레오티드, 천연 뉴클레오티드의 유사체, 천연 뉴클레오티드의 당, 염기 또는 인산 부위가 변형되어 있는 뉴클레오티드 및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Scheit, Nucleotide Analogs, John Wiley, New York(1980); Uhlman 및 Peyman, Chemical Reviews, 90:543-584(1990)).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DNA 또는 RNA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포함하는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용어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은 인접한 2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의미한다.
용어 "상보적(complementary)"은 어떤 특정한 혼성화(hybridization) 또는 어닐링 조건하에서 상기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선택적으로 혼성화할 수 있을 정도의 상보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크기는 5 내지 200nt(nucleotide : nt)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길이가 10 내지 150 nt, 10 내지 100 nt, 또는 15 내지 100 nt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표적 영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완전하게(perfectly) 상보적인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이적으로 혼성화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상보적인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표적 영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혼성화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용어 "프라이머(primer)"는 중합효소에 의한 뉴클레오티드의 중합 반응에서, 개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단일 가닥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라이머는 적합한 온도 및 적합한 완충액 내에서 적합한 조건, 즉, 4종의 다른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중합효소의 존재 하에서 주형-지시(template-directed) DNA 합성의 개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단일 가닥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프라이머의 적합한 길이는 다양한 인자, 예를 들면, 온도와 프라이머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길이가 5 내지 100nt, 5 내지 70nt, 10 내지 50nt, 또는 15 내지 30nt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라이머의 길이가 짧을수록, 낮은 어닐링(annealing) 온도에서 주형과 충분히 안정된 혼성화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의 길이가 5nt 미만의 크기를 가질 경우 표적 영역을 캡처하기 위한 정확도가 낮으며, 100nt 초과의 크기를 가질 경우 합성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프라이머는 경제적이면서 유전자 다형성 또는 변이 검출에 최적화된 크기를 갖는다. 프라이머의 설계는 주어진 증폭하고자 하는 표적 영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참조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프라이머 설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프라이머 설계용 프로그램의 예는 PRIMER 3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상기 프라이머는 포스포로티오에이트(phosphorothioate), 알킬포스포로티오에이트와 같은 뉴클레오티드 유사체(analogue), 펩티드 핵산(peptide nucleic acid) 또는 삽입 물질(intercalating agent)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형광, 인광 또는 방사성을 발하는 표지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형광 표지 물질은 VIC, NED, FAM, PET,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지 물질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5' 말단에 표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방사성 표지 물질은, 32P 또는 35S와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가 첨가된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의 반응액을 이용한 PCR 반응을 통해 증폭 산물에 혼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대립유전자 특이적인 PCR(allele specific PCR), PCR 연장 분석, PCR 단일 가닥 고차 구조 다형성(PCR-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PCR-SSCP), TaqMan 방법 및 시퀀싱 등을 이용한 방법에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용어 "프로브(probe)"는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가닥에 서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상기 프로브는 길이가 5 내지 100nt, 10 내지 90nt, 15 내지 80nt, 20 내지 70nt, 또는 30 내지 50nt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브의 길이가 10nt 미만의 크기를 가질 경우 표적 영역을 캡처하기 위한 정확도가 낮으며, 100nt 초과의 크기를 가질 경우 합성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프로브는 경제적이면서 유전자 다형성 또는 변이 검출에 최적화된 크기를 갖는다. 상기 프로브는, 예를 들면, 표적 영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완전 상보적인 서열로 이루어진 완전 매치 프로브(perfect match probe) 및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제외한 모든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대하여 완전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혼성화 방법, 예를 들면,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서던 블로팅, 다이나믹 대립유전자 혼성화(dynamic allele-specific hybridization) 및 DNA 칩 등을 이용한 방법에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마이크로어레이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의미로 사용되며, 예를 들면, 기판 상의 복수 개의 구분된 영역에 프로브 또는 프로브의 집단이 고정화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적합한 견고성 또는 반-견고성 지지체로서, 예를 들면, 막, 필터, 칩, 슬라이드, 웨이퍼(wafer), 파이버(fiber), 자기성 비드 또는 비자기성 비드, 겔, 튜빙, 플레이트, 고분자, 미소입자 및 모세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브 또는 그에 상보적인 프로브는 개체로부터 수득된 핵산과 혼성화되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혼성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체중 조절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감소하는 정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비만관 관련된 일반적인 신체적 특징 중에서도, 체질량지수가 변화하는 정도와 특이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체중 조절은 상대적으로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체중 조절은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가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을 갖지 않는 군 또는 참조 유전체의 유전형과 동일한 유전형을 갖는 군에 비하여, 증가되어 있는지 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중 조절은 특정 대립인자 또는 유전형을 갖는 개체가 다른 특정 대립인자 또는 유전형을 갖는 개체에 비하여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가 증가되어 있는지 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예측 또는 진단은 척추동물, 포유동물, 또는 인간(Homo sapiens)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예측 또는 진단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예측 또는 진단은 약 40 세 내지 약 70 세의 한국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운동 민감도 또는 운동에 따른 체중 조절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현재 운동 여부 또는 운동 강도에 따른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운동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운동에 따른 체중 조절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키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키트는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키트는, 예를 들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와 그의 특정 용도에 필요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함께 그의 사용 방법에 필요한 시약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핵산과 혼성화하는데 요구되는 알려진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키트는 표적 영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특이적으로 증폭하고, 증폭 산물의 존재 유무를 통하여, 개체의 체중 조절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키트인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프로브를 시료 중의 핵산과 혼성화시키고, 그 혼성화 결과로부터 개체의 체중 조절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키트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핵산의 혼성화에 필요한 시약, 버퍼, 보조인자, 및/또는 기질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가 PCR 증폭 과정에 적용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PCR 증폭에 필요한 시약, 예를 들면, 완충액, DNA 중합효소, DNA 중합효소보조인자 및 dNTPs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는 표적 영역을 증폭하기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설명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시약 성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별도 패키징 또는 컴파트먼트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사용 설명서는 예를 들면, 상기 특이적 프라이머를 사용한 증폭 반응에서 표적 영역이 증폭되고, 상기 비특이적 프라이머를 사용한 증폭 반응에서 표적 영역이 증폭되지 않는 경우, 증폭에 사용된 시료 중에서 체중 조절과 연관된 표적 영역, 다형성 또는 변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결과로부터 개체의 운동에 따른 체중 조절 정도를 결정하는 것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 결과 판정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개체의 운동 민감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개체의 운동에 따른 체중 조절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핵산 시료를 수득하는 단계; 및 수득된 핵산 시료로부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유전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5745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118961738번째 염기가 A 또는 G(rs965932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350721),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A 또는 C(rs10929925),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13384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00635683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709422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50094148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158320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51008), ,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80743819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2517906),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180686235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528435),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212449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2646911),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54724348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391576), 인간의 13번째 염색체의 2610151번째 염기가 C 또는 T(rs9595908),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44892362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07565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49832684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0875976),
인간의 6번째 염색체의 2181898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770102),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64101590번째 염기가 C 또는 T(rs2845885),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95540202번째 염기가 G 또는 T(rs6465468),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8893156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40650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350721),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703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370983),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A 또는 C(rs10929925),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51008),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109471709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850219),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19296909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0401969),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3111번째 염기가 C 또는 T(rs7141420),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13384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985368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138803), 인간의 15번째 염색체의 40032280번째 염기가 C 또는 T(rs4432245), 인간의 16번째 염색체의 3988386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444217),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6410번째 염기가 A 또는 C(rs4836133),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482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86404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2646911),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57452),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2124499),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운동 민감도는 체중 조절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핵산 시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체는 운동에 따른 체중 조절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대상을 의미한다. 상기 개체는 척추동물, 포유동물, 인간(Homo sapiens), 마우스, 래트, 소, 말, 돼지, 양, 염소, 개, 고양이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간은 아시아계 인, 한국인, 또는 약 40 세 내지 약 70 세의 한국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생물로부터 수득된 시료를 말한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예를 들면 혈액, 조직, 소변, 점액, 타액, 눈물, 혈장, 혈청, 객담, 척수액, 흉수, 유두 흡인물, 림프액, 기도액, 장액, 비뇨생식관액, 모유, 림프계 체액, 정액, 뇌척수액, 기관계내 체액, 복수, 낭성 종양 체액, 양수액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생물학적 시료는 순수하게 분리된 핵산, 조 분리된 핵산, 핵산을 포함하는 세포 파쇄물, 또는 세포 유리 핵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유전체 핵산을 분리하는 방법은 통상의 핵산 분리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적 핵산을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리가제 연쇄 반응(ligase chain reaction: LCR), 전사 증폭(transcription amplification), 또는 실시간-핵산 서열 기초 증폭(realtime-nucleic acid sequence based amplification: NASBA)을 통하여 증폭하고 이를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수득된 핵산 시료로부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유전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서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유전형을 분석하는 단계는 염색체 내 표적 영역 또는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각 위치에서의 뉴클레오티드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알려진 핵산의 뉴클레오티드 시퀀싱 방법(sequencing method)에 의하여 염색체 내 표적 영역 또는 각 위치에서의 뉴클레오티드를 직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뉴클레오티드 서열 결정 방법은 생거(또는 디데옥시) 시퀀싱 방법 또는 막삼-길버트(화학 절단) 방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프로브를 대상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혼성화시키고, 혼성화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표적 영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결정할 수 있다. 혼성화 정도는 예를 들면, 검출 가능한 표지를 대상 핵산에 표지하고, 혼성화된 대상 핵산을 검출함으로써 확인되거나, 전기적 방법 등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단일 염기 연장(single base primer extension: SBE)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뉴클레오티드 서열 결정 방법은 또한, 차세대 염기 시퀀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용어 "차세대 염기시퀀싱(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은 칩(Chip)기반 그리고 PCR 기반 쌍-말단(paired end) 형식으로 전장 유전체를 조각내고, 상기 조각을 화학적인 반응(hybridization)에 기초하여 초고속으로 시퀀싱을 수행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차세대 염기시퀀싱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분석 대상이 되는 시료에 대해 대량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유전형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에서의 특정 대립유전자의 유무 또는 특정 유전형의 유무에 근거하여, 개체 또는 피검체가 운동에 따른 현저한 체중 조절 효과를 보일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운동은 현재 운동 여부 또는 운동 강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체중 조절은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G(rs65745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118961738번째 염기가 A(rs965932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rs7350721),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C(rs10929925),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rs1013384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00635683번째 염기가 T(rs1709422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50094148번째 염기가 T(rs1158320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G(rs751008),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80743819번째 염기가 T(rs12517906),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180686235번째 염기가 C(rs1528435),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rs212449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G(rs12646911),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54724348번째 염기가 T(rs1391576), 인간의 13번째 염색체의 2610151번째 염기가 C(rs9595908),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44892362번째 염기가 G(rs207565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49832684번째 염기가 A(rs10875976), 인간의 6번째 염색체의 21818985번째 염기가 G(rs2770102),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64101590번째 염기가 C(rs2845885),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95540202번째 염기가 G(rs6465468),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88931564번째 염기가 G(rs140650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rs7350721),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7033번째 염기가 G(rs2370983),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C(rs10929925),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G(rs751008),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109471709번째 염기가 G(rs10850219),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19296909번째 염기가 T(rs10401969),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3111번째 염기가 C(rs7141420),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rs1013384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9853685번째 염기가 A(rs7138803), 인간의 15번째 염색체의 40032280번째 염기가 T(rs4432245), 인간의 16번째 염색체의 3988386번째 염기가 G(rs2444217),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6410번째 염기가 A(rs4836133),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4829번째 염기가 G(rs686404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G(rs12646911),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G(rs657452),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rs2124499),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경우, 운동 민감도가 대조군(다른 개체)에 비하여 큰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현재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또는 높은 강도의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감소하는 정도가 대조군(다른 개체)에 비하여 큰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G(rs65745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118961738번째 염기가 A(rs965932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rs7350721),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C(rs10929925),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rs1013384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00635683번째 염기가 T(rs1709422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50094148번째 염기가 T(rs1158320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G(rs751008),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80743819번째 염기가 T(rs12517906),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180686235번째 염기가 C(rs1528435),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rs212449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G(rs12646911),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54724348번째 염기가 T(rs1391576), 인간의 13번째 염색체의 2610151번째 염기가 C(rs9595908),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44892362번째 염기가 G(rs207565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49832684번째 염기가 A(rs10875976), 인간의 6번째 염색체의 21818985번째 염기가 G(rs2770102),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경우, 현재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가 대조군(다른 개체)에 비하여 큰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을 갖는 경우, 현재 운동 여부에 대한 민감도가 대조군(다른 개체)에 비하여 큰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64101590번째 염기가 C(rs2845885),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95540202번째 염기가 G 또는 T(rs6465468),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88931564번째 염기가 G(rs140650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rs7350721),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7033번째 염기가 G(rs2370983),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C(rs10929925),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G(rs751008),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109471709번째 염기가 G(rs10850219),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19296909번째 염기가 T(rs10401969),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3111번째 염기가 C(rs7141420),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rs1013384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9853685번째 염기가 A(rs7138803), 인간의 15번째 염색체의 40032280번째 염기가 T(rs4432245), 인간의 16번째 염색체의 3988386번째 염기가 G(rs2444217),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6410번째 염기가 A(rs4836133),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4829번째 염기가 G(rs686404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G(rs12646911),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G(rs657452),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rs2124499),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경우, 높은 강도의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가 대조군(다른 개체)에 비하여 큰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을 갖는 경우, 운동 강도에 대한 민감도가 대조군(다른 개체)에 비하여 큰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체의 운동에 따른 체중 조절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운동에 따라 상대적으로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치는 참조 유전체 서열을 갖고 있는 군 또는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을 갖지 않는 군에 비하여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가 증가되어 있는지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용어 "참조 유전체 서열(reference genome sequence)"은 다형성 또는 변이 확인을 위해 참조가 되는, 인간 유전체 서열인 것일 수 있다. 참조 유전체 서열은, 참조 유전체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예를 들면,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생물공학정보연구소의 데이터베이스에 게시된 인간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구체적으로, NCBI37.1 또는 UCSC hg19(GRCh37)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체의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참조 유전체 서열 간의 비교는 공지된 다양한 서열 비교 분석프로그램, 예를 들면 Maq, Bowtie, SOAP, GSNAP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에서 다형성의 수가, 1개 이상,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이상, 5개 이상, 6개 이상, 7개 이상, 8개 이상, 9개 이상, 10개 이상, 11개 이상, 12개 이상, 13개 이상, 14개 이상, 15개 이상, 16개 이상, 17개 이상, 또는 18개 이상인 경우, 운동에 따른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가 증가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예측 또는 진단에 대한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유전형을 분석하는 단계는 시퀀싱, 마이크로어레이에 의한 혼성화, 대립유전자 특이적인 PCR(allele specific PCR), 다이나믹 대립유전자 혼성화(dynamic allele-specific hybridization), PCR 연장 분석, PCR-SSCP(PCR-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TaqMan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시퀀싱 분석은 염기서열 결정을 위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유전자 분석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대립유전자 특이적 PCR은 단일염기다형성 마커가 위치하는 염기를 3' 말단으로 하여 고안한 프라이머를 포함한 프라이머 세트로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가 위치하는 DNA 단편을 증폭하는 PCR 방법을 의미한다. PCR 연장 분석은 먼저 단일염기다형성 마커가 위치하는 염기를 포함하는 DNA 단편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한 다음, 반응에 첨가된 모든 뉴클레오티드를 탈인산화시킴으로써 불활성화시키고, 여기에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에 특이적인 연장 프라이머, dNTP 혼합물,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 반응 완충액 및 DNA 중합효소를 첨가하여 프라이머 연장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TaqMan 방법은 원하는 DNA 단편을 증폭할 수 있도록 프라이머 및 TaqMan 탐침을 설계 및 제작하고, 서로 다른 대립유전자의 탐침을 FAM 및 VIC로 표지(Applied Biosystems)하여, 증폭 및 분석하는 단계로 수행된다.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운동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및 개체의 운동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개체의 운동에 따른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를 예측 또는 측정할 수 있다. 예측 또는 측정된 개체의 운동에 따른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정도는 개인 맞춤의학적 비만 치료에 적용하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운동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감소와 단일염기다형성과의 연관성 분석
1. 연구 대상 선정
코호트 연구(Cohort study)는 어떤 특성을 공유하는 집단 구성원들에 대하여 장기간 추적조사를 통해 건강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위험 요인들과 질병 발생 간의 원인적 연관성을 밝혀내는 의학 연구방법이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역학과에서 수행 중인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내 지역사회기반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전향성 코호트 연구라는 방법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 대상자의 추적관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지역사회기반 코호트는 2001년 내지 2002년 경기도 안산과 안성 지역에 거주하는 40 내지 69세 성인을 대상으로 기반조사를 시작하여, 이후 매 2년마다 반복 추적조사를 수행하였다. 초기 8840명을 검사 대상으로 하였다. 매 조사 시 건강 및 생활습관 정보 등의 역학 자료와 함께 혈액, 소변 등의 생체시료를 수집하였다.
지역사회기반 코호트에서 두가지 변수인 현재 운동 여부/강도 높은 운동 여부에 대하여 다음에 해당하는 4830명/5482명은 해당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①? 추적조사에 한 번도 참여하지 않거나, BMI값이 하나만 있어서 변화량 측정이 불가한 경우(1708명/2283명), ② 운동여부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3122명/3199명)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4010명/335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2. 운동 여부 및 강도 변화에 따른 체질량지수 변화와 단일염기다형성과의 연관성 분석
4010명의 검사 대상자에 대하여, 현재 운동을 수행함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감소 정도 및 3358명의 검사 대상자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높은 강도의 운동을 수행함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감소 정도를 측정하였다.
운동과 관련하여, 현재 운동 수행 여부 및 높은 강도의 운동 수행 여부는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요즘 운동을 하고 계십니까?" 문항에 1=아니오, 2=예 중에서, 2이라고 응답한 경우, 현재 운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류하고, 1이라고 응답한 경우, 현재 운동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몸에 땀이 날 정도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십니까?" 문항에 1=아니오, 2=예 중에서, 2이라고 응답한 경우, 높은 강도의 운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류하고, 1이라고 응답한 경우, 높은 강도의 운동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체중(kg)을 신장의 제곱(m2)으로 나누어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를 계산하고, 혈액을 채취하여 일반적인 신체적 특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운동 습관의 변화에의해 유도된 체질량지수 변화에 대하여 선형 모델(linear model)을 이용한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Figure 112018120895019-pat00001
그 결과, 비만과 관련된 다형성이라고 알려진 7248종의 다형성들 중, 19종의 다형성은 현재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유도된 체질량지수 감소와 현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P=(0.004464476)-(0.0497512)).
비만과 관련된 다형성이라고 알려진 7248종의 다형성들 중, 21종의 다형성은 규칙적으로 높은 강도의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유도된 체질량지수 감소와 현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P=(0.00181895)-(0.047626011)).
현재 운동 여부와 관련된 단일염기다형성
rs# p-value
rs657452 0.004464476
rs9659323 0.004644507
rs7350721 0.007345218
rs10929925 0.00749526
rs10133840 0.009412532
rs17094222 0.011413936
rs11583200 0.011971177
rs751008 0.023125784
rs12408810 0.024030751
rs12517906 0.024198182
rs1528435 0.026708247
rs1042713 0.027799436
rs2124499 0.03049092
rs12646911 0.034644609
rs16867321 0.040463813
rs1391576 0.043394569
rs9595908 0.045362424
rs2075650 0.046106725
rs10875976 0.0497512
운동 강도와 관련된 단일염기다형성
rs# p-value
rs2770102 0.00181895
rs2845885 0.010720666
rs6465468 0.013047507
rs1406503 0.013610966
rs7350721 0.015194869
rs2370983 0.017875683
rs10929925 0.023935699
rs751008 0.024084145
rs10850219 0.025171861
rs10401969 0.029473646
rs7141420 0.029842432
rs10133840 0.029985008
rs7138803 0.030775628
rs4432245 0.030877948
rs2444217 0.032500361
rs4836133 0.033551937
rs6864049 0.03672944
rs12408810 0.038824086
rs12646911 0.04380778
rs657452 0.045815353
rs2124499 0.047626011

Claims (10)

  1.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운동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5745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118961738번째 염기가 A 또는 G(rs965932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350721),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A 또는 C(rs10929925),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13384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00635683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709422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50094148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158320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51008),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80743819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2517906),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180686235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528435),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212449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2646911),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54724348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391576),
    인간의 13번째 염색체의 32610151번째 염기가 C 또는 T(rs9595908),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44892362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075650), 및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49832684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0875976)인 경우, 현재 운동 여부에 대한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것이고,
    인간의 6번째 염색체의 2181898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770102),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64101590번째 염기가 C 또는 T(rs2845885),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95540202번째 염기가 G 또는 T(rs6465468),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8893156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40650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350721),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703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370983),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A 또는 C(rs10929925),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51008),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109471709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850219),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19296909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0401969),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3111번째 염기가 C 또는 T(rs7141420),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13384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4985368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138803),
    인간의 15번째 염색체의 40032280번째 염기가 C 또는 T(rs4432245),
    인간의 16번째 염색체의 3988386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444217),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6410번째 염기가 A 또는 C(rs4836133),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482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86404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2646911),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57452), 및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2124499)인 경우, 운동 강도에 대한 민감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것이며,
    상기 운동 민감도는 체중 조절로 표현되는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중 조절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감소하는 정도인 것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측 또는 진단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인 조성물.
  5.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운동 민감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핵산 시료를 수득하는 단계; 및
    수득된 핵산 시료로부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유전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5745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118961738번째 염기가 A 또는 G(rs965932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350721),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A 또는 C(rs10929925),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13384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00635683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709422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50094148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158320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51008),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80743819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2517906),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180686235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528435),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212449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2646911),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54724348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391576),
    인간의 13번째 염색체의 32610151번째 염기가 C 또는 T(rs9595908),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44892362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075650), 및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49832684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0875976)인 경우, 현재 운동 여부에 대한 민감도를 진단 또는 예측하기 위한 것이고,
    인간의 6번째 염색체의 2181898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770102),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64101590번째 염기가 C 또는 T(rs2845885),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95540202번째 염기가 G 또는 T(rs6465468),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8893156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40650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350721),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703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370983),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A 또는 C(rs10929925),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51008),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109471709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850219),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19296909번째 염기가 C 또는 T(rs10401969),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3111번째 염기가 C 또는 T(rs7141420),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 또는 G(rs1013384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4985368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7138803),
    인간의 15번째 염색체의 40032280번째 염기가 C 또는 T(rs4432245),
    인간의 16번째 염색체의 3988386번째 염기가 A 또는 G(rs2444217),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6410번째 염기가 A 또는 C(rs4836133),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482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86404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A 또는 G(rs12646911),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 또는 G(rs2124499), 및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A 또는 G(rs657452)인 경우, 운동 강도에 대한 민감도를 진단 또는 예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운동 민감도는 체중 조절로 표현되는 것인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중 조절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감소하는 정도인 것인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G(rs65745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118961738번째 염기가 A(rs965932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rs7350721),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C(rs10929925),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rs1013384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00635683번째 염기가 T(rs17094222),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50094148번째 염기가 T(rs11583200),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G(rs751008),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80743819번째 염기가 T(rs12517906),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180686235번째 염기가 C(rs1528435),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rs212449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G(rs12646911),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54724348번째 염기가 T(rs1391576),
    인간의 13번째 염색체의 32610151번째 염기가 C(rs9595908),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44892362번째 염기가 G(rs2075650), 및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49832684번째 염기가 A(rs10875976)인 경우, 현재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운동 민감도가 다른 개체에 비하여 큰 것으로 결정하고,
    인간의 6번째 염색체의 21818985번째 염기가 G(rs2770102),
    인간의 11번째 염색체의 64101590번째 염기가 C(rs2845885),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95540202번째 염기가 G(rs6465468),
    인간의 7번째 염색체의 88931564번째 염기가 G(rs1406503),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55866795번째 염기가 A(rs7350721),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7033번째 염기가 G(rs2370983),
    인간의 2번째 염색체의 6015425번째 염기가 C(rs10929925),
    인간의 10번째 염색체의 127344153번째 염기가 G(rs751008),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109471709번째 염기가 G(rs10850219),
    인간의 19번째 염색체의 19296909번째 염기가 T(rs10401969),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79433111번째 염기가 C(rs7141420),
    인간의 14번째 염색체의 94944192번째 염기가 C(rs10133840),
    인간의 12번째 염색체의 49853685번째 염기가 A(rs7138803),
    인간의 15번째 염색체의 40032280번째 염기가 T(rs4432245),
    인간의 16번째 염색체의 3988386번째 염기가 G(rs2444217),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6410번째 염기가 A(rs4836133),
    인간의 5번째 염색체의 124994829번째 염기가 G(rs6864049),
    인간의 4번째 염색체의 174701439번째 염기가 G(rs12646911),
    인간의 1번째 염색체의 49124175번째 염기가 G(rs657452), 및
    인간의 3번째 염색체의 123374694번째 염기가 C(rs2124499)인 경우, 높은 강도의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운동 민감도가 다른 개체에 비하여 큰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임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예측 또는 진단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인 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전형을 분석하는 단계는 시퀀싱, 마이크로어레이에 의한 혼성화, 대립유전자 특이적인 PCR(allele specific PCR), 다이나믹 대립유전자 혼성화(dynamic allele-specific hybridization), PCR 연장 분석, PCR-SSCP(PCR-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TaqMan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KR1020180153713A 2018-12-03 2018-12-03 운동 민감도 예측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268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13A KR102268059B1 (ko) 2018-12-03 2018-12-03 운동 민감도 예측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CT/KR2019/016250 WO2020116838A1 (ko) 2018-12-03 2019-11-25 운동 민감도 예측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13A KR102268059B1 (ko) 2018-12-03 2018-12-03 운동 민감도 예측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944A KR20200066944A (ko) 2020-06-11
KR102268059B1 true KR102268059B1 (ko) 2021-06-22

Family

ID=7097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713A KR102268059B1 (ko) 2018-12-03 2018-12-03 운동 민감도 예측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8059B1 (ko)
WO (1) WO20201168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808A (ko) 2022-03-02 2023-09-11 주식회사 엔젠바이오 유전자 검사 기반의 운동 능력 특성 정보 산출 방법 및 분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5412A1 (en) 2008-09-05 2011-08-11 James Timmons Predictive Biomarkers for Response to Exercise
KR101545258B1 (ko) 2014-08-14 2015-08-24 주식회사 대웅제약 운동 민감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CN105821136A (zh) * 2016-04-29 2016-08-03 上海弥健生物科技有限公司 个性化基因分型指导健身减肥的方法及其设备应用
KR101881806B1 (ko) 2017-01-25 2018-07-25 주식회사 대웅제약 운동 반응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5412A1 (en) 2008-09-05 2011-08-11 James Timmons Predictive Biomarkers for Response to Exercise
KR101545258B1 (ko) 2014-08-14 2015-08-24 주식회사 대웅제약 운동 민감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CN105821136A (zh) * 2016-04-29 2016-08-03 上海弥健生物科技有限公司 个性化基因分型指导健身减肥的方法及其设备应用
KR101881806B1 (ko) 2017-01-25 2018-07-25 주식회사 대웅제약 운동 반응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utrients (2018) 10:266*
Obesity (2010) 18(3):641-64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808A (ko) 2022-03-02 2023-09-11 주식회사 엔젠바이오 유전자 검사 기반의 운동 능력 특성 정보 산출 방법 및 분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6838A1 (ko) 2020-06-11
KR20200066944A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213B1 (ko) 복부비만 예측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268059B1 (ko) 운동 민감도 예측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646189B1 (ko) 내인성 아토피 피부염 진단용 마커 및 그의 용도
KR101532308B1 (ko) 복부비만 예측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479605B1 (ko) 위암 발병의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00066946A (ko) 식습관 민감도 예측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346186B1 (ko) 피부 민감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346184B1 (ko) 피부 보습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992952B1 (ko) 콜레스테롤 유출능과 관련된 심혈관질환의 발병 위험을 예측하기 위한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00066945A (ko) 미각 선호도에 대한 민감도 예측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RU2805861C1 (ru) Способ генотипирования гена TLR2 по полиморфизму rs5743708 и набор олигонуклеотидных праймеров и зондов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2346185B1 (ko) 피부 색소 침착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511596B1 (ko) 단일염기다형성을 이용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억제제 이상반응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RU2749465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генетических маркеров для оценки полигенного риска развития рака молочной железы (гормон-негативного и гормон-позитивного подтипов)
KR102348688B1 (ko) 냉증 진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297562B1 (ko) 피부 유분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663171B1 (ko) 다운증후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및 그의 용도
RU2753002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генетических маркеров для оценки полигенного риска развития гормон-позитивного подтипа рака молочной железы
KR102297561B1 (ko) 피부 주름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JP6245796B2 (ja) 原発性胆汁性肝硬変の発症リスク予測マーカー、プローブ、プライマー及びキット並びに原発性胆汁性肝硬変の発症リスク予測方法
KR102193657B1 (ko) 사상체질 중 태음인 진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881817B1 (ko) 운동 반응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KR101772448B1 (ko) 성격 특성 판단용 조성물
KR20240057772A (ko) 우울증 진단용 단일염기다형성 및 이의 용도
KR20230101467A (ko) 식습관에 따른 비만 위험도 예측용 단일 염기 다형성 바이오마커 및 이의 이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