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748B1 - 피복 탈피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피복 탈피 방법 - Google Patents

피복 탈피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피복 탈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748B1
KR102267748B1 KR1020197026589A KR20197026589A KR102267748B1 KR 102267748 B1 KR102267748 B1 KR 102267748B1 KR 1020197026589 A KR1020197026589 A KR 1020197026589A KR 20197026589 A KR20197026589 A KR 20197026589A KR 102267748 B1 KR102267748 B1 KR 10226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coating
holding member
wire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715A (ko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키
다모쯔 이와마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2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24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0Making cuts of other than simple rectilinear form
    • B26D3/11Making cuts of other than simple rectilinear form to obtain pieces of spiral or hel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26D3/169Hand held tube cut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26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helical c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 H02G1/1243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the cutting element being a wire or fila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Knives (AREA)

Abstract

지상 혹은 작업차 위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안전하게, 게다가, 작업 효율 좋게, 공중에 가선된 전선 등의 절연 피복을 벗겨낼 수 있는 피복 탈피 장치를 제공한다.
회전 구동구의 상기 회전반은, 돌출부를 가지는 제1 회전반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피복 탈피구의 상기 제2 유지 부재는,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해방 상태의 상기 피복 탈피구가 상기 제2 회전반에 부착되고, 상기 제1 회전반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돌출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유지 상태로 되고, 상기 피복 탈피구가 상기 유지 상태일 때에, 상기 제1 회전반이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돌출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해방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탈피 장치.

Description

피복 탈피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피복 탈피 방법
본 발명은, 고압 가선 등에 이용되는 전선의 절연 피복을 벗겨내는 피복 탈피(剝取, stripping)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피복 탈피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선 공사, 예를 들면 절연 재료에 의해 피복된 전선의 단부나 중간부를 다른 전선과 접속하는 공사에 있어서는, 전선의 접속 대상 개소의 절연 피복을 벗겨내어 하지(下地)의 심선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전선의 절연 피복을 벗겨내는 작업은, 전선간의 접속, 전기 회로의 분리, 전선에의 기기의 접속 등을 목적으로 한 공사 중에서 필요로 되는 작업이며, 정전을 피해, 원칙적으로 활선 상태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피복 탈피 장치를 절연 조작봉에 부착해서 지상으로부터 원격 조작하여 작업을 행하게 되지만, 이와 같은 작업에서,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피복 탈피 장치가 이용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피복 탈피 장치(100)에서는, 피복 탈피구(110)가,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의해 전선 유지부(保持部)(113)가 형성되고, 전선 A의 중심축과 직행하는 2방향으로부터 전선 A를 전선 유지부(113)에 수용하는 1쌍의 유지 부재(111), (112)와, 전선 유지부(113)에 수용된 전선 A에 대해서 소정의 전진각을 갖고 전선 유지부(113) 내로 돌출하는 껍질 박리칼날(皮剝刃)(118)을 구비함과 동시에, 회전 구동구(120)가, 외주의 일부를 절결(notch)해서, 중앙부에 전선 A를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전선 수용 공간(121a)이 형성되고, 절결한 부분에 전선 삽입 이탈구(12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회전반(回轉盤)(121)과, 회전반(12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스(127)와, 케이스(127)를 지지함과 동시에, 원격 조작봉(2)의 선단에 부착되고, 또한, 원격 조작봉(2)의 회동축의 회전을 회전반(121)의 회전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수단(130)과, 피복 탈피구(110)를 회전반(121)에 부착하는 피복 탈피구 유지부(140)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격 조작봉(2)의 회동 조작에 의한 회전력이 회전 구동구(120)를 거쳐 피복 탈피구(110)에 전달되고, 피복 탈피구(110)를 전선 A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전선 A의 절연 피복(도시하지 않음)을 껍질 박리칼날(118)의 칼날폭으로 벗겨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피복 탈피 장치(100)의 피복 탈피구(110)는, 조작 링(115)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유지 부재(111), (112)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쌍방의 유지 부재(111), (112) 사이의 대향 간격을 좁힐 수 있고, 거꾸로,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유지 부재(111), (112)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쌍방의 유지 부재(111), (112) 사이의 대향 간격을 넓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8-136299호
그런데, 가선된 전선의 중간부의 피복 탈피(벗겨냄) 작업은, 전선간의 접속, 전기 회로의 분리, 전선에의 기기의 접속 등을 목적으로 한 공사 중에서 필요한 작업이며, 정전을 피해, 원칙적으로 활선 상태에서 행해진다.
활선 상태의 전선을 대상으로 한 피복 탈피 작업을 행하려면, 공중에 가선된 전선에 접근할 필요가 있지만, 작업자가 공중의 전선에 접근해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높은 곳에서의 작업으로 위험을 수반하며, 작업 효율도 나쁘다. 한편, 지상 혹은 작업차 위로부터 피복 탈피 장치(100)를 원격 조작해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특히, 별도로, 개폐 조작봉을 준비하고, 개폐 조작봉의 선단 훅을 조작 링(115)에 메달아서, 이것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진퇴축을 회전시키고, 유지 부재(111), (112)를 전선 유지부를 향해 전진시키는 조작이, 2개의 봉을 조작할 필요가 있어 번잡하고 어려우며, 그 때문에 작업 효율도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지상 혹은 작업차 위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안전하게, 게다가, 작업 효율 좋게, 공중에 가선된 전선 등의 절연 피복을 벗겨낼 수 있는 피복 탈피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피복 탈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된 피복 탈피 장치는, 작업자에게 파지(把持)되는 원격 조작봉의 선단에 부착되는 회전 구동구와, 상기 회전 구동구에 부착되는 피복 탈피구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조작봉의 회전 조작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회전 구동구를 거쳐 상기 피복 탈피구에 전달되고, 상기 피복 탈피구를 전선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절연 피복을 벗겨내는 피복 탈피 장치로서, 상기 피복 탈피구는, 전선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된 전선의 절연 피복에 대해서 돌출하는 껍질 박리칼날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구동구는, 외주의 일부가 절결되어 전선 삽입 이탈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삽입 이탈구로부터 전선이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전선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외주의 일부가 절결되어 전선 삽입 이탈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삽입 이탈구로부터 전선이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전선 수용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회전반과, 상기 케이스에 유지되고, 상기 원격 조작봉의 회동축의 회전을 상기 회전반의 회전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제1 유지 부재와, 당해 제1 유지 부재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제2 유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전선이 상기 제1 유지 부재와 상기 제2 유지 부재 사이에 끼워서 유지되는 유지 상태와, 전선 삽입 이탈구가 형성되고 당해 전선 삽입 이탈구로부터 전선이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되는 해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구동구의 상기 회전반은, 제1 봉체와, 당해 제1 봉체와 평행한 제2 봉체를 가지는 제2 회전반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피복 탈피구의 상기 제1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봉체가 삽입되는 제1 구멍과, 상기 제2 봉체가 삽입되는 제2 구멍을 가지고, 상기 회전 구동구의 상기 회전반은, 돌출부를 가지는 제1 회전반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피복 탈피구의 상기 제2 유지 부재는,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해방 상태의 상기 피복 탈피구가 상기 제2 회전반에 부착되고, 상기 제1 회전반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돌출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유지 상태로 되고, 상기 피복 탈피구가 상기 유지 상태일 때에, 상기 제1 회전반이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돌출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해방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해방 상태의 피복 탈피구의 제1 유지 부재를 제2 회전반에 부착하고, 원격 조작봉의 회동 조작에 의해 제1 회전반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1 회전반의 돌출부가, 제2 유지 부재의 날개부에 접촉해서, 제2 유지 부재도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피복 탈피구가 유지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전선이 유지 부재에 유지됨과 동시에, 회전반의 전선 수용 공간에 그의 회전 축심을 따라 수용된다. 전선이 전선 수용 공간에 수용 유지된 상태에서 제1 회전반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유지 상태의 피복 탈피구가 전선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하고, 전선의 절연 피복이 껍질 박리칼날로 벗겨내어진다. 그 후, 피복 탈피구가 유지 상태일 때에, 원격 조작봉의 회동 조작에 의해 제1 회전반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1 회전반의 돌출부가, 제2 유지 부재의 날개부에 접촉해서, 제2 유지 부재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피복 탈피구가 해방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전선이 유지 부재로부터 해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격 조작봉에 연결된 피복 탈피 장치를 공중에 가선된 전선에 지상 혹은 작업차 위로부터 접근시킨 후, 원격 조작봉의 원격 회동 조작에 의해 회전반을 회전시키는 조작만에 의해서, 전선을 유지하여 전선의 절연 피복을 껍질 박리칼날로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 종료 후에 전선을 해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피복 탈피 장치에서는 필요했던, 개폐 조작봉의 선단 훅을 조작 링에 메달아서, 이것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진퇴축을 회전시키고, 유지 부재를 전선 유지부를 향해 전진시키는 조작을 거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봉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지 부재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 가능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계된 피복 탈피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피복 탈피 장치를 이용해서 전선의 절연 피복을 벗겨내는 피복 탈피 방법으로서, 해방 상태의 피복 탈피구를 제2 회전반에 부착하고, 회전 구동구를 원격 조작봉에 부착하는 부착 공정과, 공중에 가선된 전선을, 전선 수용 공간에 수용하는 수용 공정과, 원격 조작봉을 이용해서 제1 회전반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날개부를 돌출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유지 상태로 하는 유지 공정과, 원격 조작봉을 이용해서 제1 회전반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피복 탈피구를 전선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껍질 박리칼날이 절연 피복을 벗겨내는 탈피 공정과, 원격 조작봉을 이용해서 제1 회전반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날개부를 상기 돌출부에 접촉시킴으로써, 해방 상태로 하는 해방 공정과, 공중에 가선된 전선을, 전선 수용 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피복 탈피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피복 탈피 방법에 의하면, 원격 조작봉에 연결된 피복 탈피 장치를 공중에 가선된 전선에 지상 혹은 작업차 위로부터 접근시킨 후, 원격 조작봉의 원격 회동 조작에 의해 회전반을 회전시키는 조작만에 의해서, 전선을 유지하여 전선의 절연 피복을 껍질 박리칼날로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 종료 후에 전선을 해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된 피복 탈피 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피복 탈피 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피복 탈피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피복 탈피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피복 탈피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회전 구동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회전 구동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피복 탈피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피복 탈피 장치에 관계된 최선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 개시되는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형태에서 개시된 내용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며, 또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된 피복 탈피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된 피복 탈피 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피복 탈피 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피복 탈피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피복 탈피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도 4는, 전선 삽입 이탈구가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연직 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Z방향에 수직인 한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Z방향 및 X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Y방향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복 탈피 장치(1)는, 회전 구동구(20)에 피복 탈피구(10)가 부착되어 구성되고, 회전 구동구(20)에 연결되는 원격 조작봉(2)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서, 피복 탈피구(10)를 전선 A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켜, 피복 탈피구(10)의 껍질 박리칼날(18)에 의해 공중에 가선된 전선 A의 중간부 혹은 단부의 절연 피복을 껍질 박리칼날(18)로 나선모양으로 벗겨내는 것이다.
<피복 탈피구>
도 5는, 피복 탈피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피복 탈피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하는 피복 탈피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피복 탈피구(10)는, 손잡이부(19)를 가지는 제1 유지 부재(11)와, 껍질 박리칼날(18) 및 날개부(17)를 가지는 제2 유지 부재(12) 구비한다.
제1 유지 부재(11)에는, X방향으로 신장한 원기둥 형상의 제1 구멍(11b)과, X방향으로 신장한 원기둥 형상의 제2 구멍(11c)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회전 구동구(20)의 제1 봉체(26b)가 제1 구멍(11b) 내에 삽입되고, 제2 봉체(26c)가 제2 구멍(11c)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1 유지 부재(11)가 회전 구동구(20)에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봉체(26b)가 제1 구멍(11b)으로부터 빠지고, 제2 봉체(26c)가 제2 구멍(11c)으로부터 빠짐으로서, 제1 유지 부재(11)가 회전 구동구(20)로부터 떼어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유지 부재(11)는, 회전 구동구(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부(19)는, 제1 구멍(11b)과 연결되고, Y방향으로 신장한 원기둥 형상의 구멍 내를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봉체(26b)가 제1 구멍(11b) 내로 소정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에, 후술하는 제1 봉체(26b)에 형성된 오목부(26d) 내로 작업자 등에게 파지되어 Y방향으로 이동시켜짐으로써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유지 부재(11)가,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X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유지 부재(11)의 내주면(상면)에는, X방향에 중심축을 가지는 반원기둥 형상의 전선 유지 오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유지 부재(12)는, 제1 유지 부재(11)에 대해서 X방향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 가능(개폐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제2 유지 부재(12)는, Y방향(외측)으로 돌출하는 삼각형 판모양의 날개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선 A가 제1 유지 부재(11)와 제2 유지 부재(12) 사이에 끼워유지되는 유지 상태(도 7 참조)와, 전선 삽입 이탈구가 형성되고 당해 전선 삽입 이탈구로부터 전선 A가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되는 해방 상태(도 5 참조)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유지 상태와 해방 상태의 전환은, 날개부(17)가 후술하는 회전 구동구(20)의 돌출부(21c)에 접촉함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날개부(17)는 삼각형 판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날개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판이어도 좋고, 원호를 포함하는 형상이어도 좋다.
그리고, 제2 유지 부재(12)의 내주면(하면)에는, X방향에 중심축을 가지는 반원기둥 형상의 전선 유지 오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유지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전선 유지 오목부(11a), (12a)에 의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공간에 전선 A의 중간부를 수용 유지할 수 있다.
전선 유지 오목부(11a), (12a)의 내주면에는, 전선 유지 오목부(11a), (12a) 사이에 연속하도록 나선모양의 송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복 탈피구(10)가 전선 A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했을 때에는, 수용 유지된 전선 A가 소정 방향으로 내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유지 부재(12)에는, 껍질 박리칼날(18)을 배치하기 위한 부착 개구(18b)가 마련되고, 껍질 박리칼날(18)은, 칼끝이 부착 개구(18b)로부터 소정 치수만큼 전선 유지 오목부(11a), (12a)에 의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공간 내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또한, 송출 돌기의 나선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 각도(소정의 전진각)를 갖고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껍질 박리칼날(18)에 의해 벗겨내어진 절연 피복은, 부착 개구(18b)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회전 구동구>
도 6은, 회전 구동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회전 구동구(20)는, 제1 회전반(21)과 제2 회전반(26)을 가지는 회전반(28)과, 회전반(28)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스(27)와, 원격 조작봉(2)의 회전축의 회전을 회전반(28)의 회전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30)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회전 구동구의 제1 회전반>
제1 회전반(2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후술하는 피니언(37)에 맞물리는 톱니(齒)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단면이 원형인 공간이 전선 A를 수용 가능한 전선 수용 공간(21a)으로서 한쪽에 개구해서 형성된 측면에서 보았을 때 C자 형상의 평판이다. 전선 수용 공간(21a)의 직경 및 개구부의 폭은 전선 A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전선 수용 공간(21a)은 전선 A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며, 개구부는 전선 A를 전선 수용 공간(21a)에 삽입하거나, 전선 A를 전선 수용 공간(21a)으로부터 이탈시키거나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선 삽입 이탈구(21b)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 회전반(2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스(27)에도, 전선 삽입 이탈구(21b)와 마찬가지 형상을 가지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고, 케이스(27)의 개구부에 전선 삽입 이탈구(21b)가 위치했을 때에, 전선 삽입 이탈구(21b)를 거친 전선 A의 삽입 또는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
제1 회전반(21)에는, 요동축(23)이 마련되고, 개폐 톱니바퀴편(齒車片)(22)이 요동축(23)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개폐 톱니바퀴편(22)은, 제1 회전반(21)의 외경과 동일지름의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외주면을 가지고, 그 외주면에 제1 회전반(21)과 동일 형상의 톱니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회전반(21)에 있어서의 개폐 톱니바퀴편(22)의 부착 부분에는, 개폐 톱니바퀴편(22)의 부착과 요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 회전반(21)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고, 또, 제1 회전반(21)에 있어서의 개폐 톱니바퀴편(22)의 선단을 받아들이고, 걸어맞춰지는 부분에는, 개폐 톱니바퀴편(22)을 받아들이기 위해, 제1 회전반(21)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개폐 톱니바퀴편(22)이 제1 회전반(21)에 걸어맞춰진 상태(전선 삽입 이탈구(21b)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 회전반(21)과 개폐 톱니바퀴편(22)이 일체의 톱니바퀴로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축(23) 측과, 요동축(23)과는 반대측의 전선 삽입 이탈구(21b)에 근접한 제1 회전반(21)의 측면(전술한 절결된 부분)에, 유지 수단으로서 각각 볼 플런저 기구(24a), (24b)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 톱니바퀴편(22)을 케이스(27)의 개구부로부터 인출해서 전선 삽입 이탈구(21b)를 열린 상태로 했을 때에는, 볼 플런저 기구(24a)가 작동해서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전선 삽입 이탈구(21b)가 열린 상태에서, 전선 삽입 이탈구(21b)가 케이스(27)의 개구와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선 A를 전선 수용 공간(21a)에 삽입하고, 수용 유지할 수 있다. 또, 개폐 톱니바퀴편(22)이 전선 삽입 이탈구(21b) 방향으로 눌려지면, 볼 플런저 기구(24a)가 해제되고, 개폐 톱니바퀴편(22)이 제1 회전반(21)이 절결된 부분에 걸어맞춰지고, 볼 플런저 기구(24b)가 작동해서, 전선 삽입 이탈구(21b)를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 탈피구(10)에 의한 절연 피복의 탈피(벗겨냄) 작업을 끝낸 후에, 원격 조작봉(2)에 의해 제1 회전반(21)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도 3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소정 위치(초기 위치)로 오면, 볼 플런저 기구(24b)가 해제되고, 개폐 톱니바퀴편(22)을 요동시켜 제1 회전반(21)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전선 삽입 이탈구(21b)를 열린 상태로 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전선 수용 공간(21a)으로부터 전선 A를 이탈시킬 수 있다.
또, 제1 회전반(21)에는, X방향에 중심축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회전반(21)이 소정 방향(도 3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회전반(21)과 함께 돌출부(21c)가 소정 방향(도 3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거꾸로 제1 회전반(21)이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도 3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돌출부(21c)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도 3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피복 탈피구(10)가 부착되어 있으면, 돌출부(21c)가 소정 방향(도 3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서 삼각형 판모양의 날개부(17)의 한변과 접촉해서, 제2 유지 부재(12)를 소정 방향(도 3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거꾸로 돌출부(21c)가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도 3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서 삼각형 판모양의 날개부(17)의 다른 한변과 접촉하면, 제2 유지 부재(12)를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도 3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21c)는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돌출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각기둥이어도 좋고, 타원기둥이어도 좋다.
<회전 구동구의 제2 회전반>
제2 회전반(26)은, 중앙부에, 단면이 원형인 공간이 전선 A를 수용 가능한 전선 수용 공간(26a(21a))으로서 한쪽에 개구해서 형성되고, 제1 회전반(21)보다 약간 작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C자 형상체이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正面視) 제1 회전반(21)의 내주면 및 양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회전반(26)의 둘레면(周面)의 바깥쪽(제1 회전반(21)에 부착하는 면의 반대측) 근처에는 고리모양의 플랜지부(鍔部)(26e)가 설정되고, 제1 회전반(21)의 측면과 제2 회전반(26)의 플랜지부(26e) 사이에 고리모양의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리모양의 오목부에 케이스(27)의 가장자리부가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제1 회전반(21) 및 제2 회전반(26)이 케이스(27)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움부착(嵌着)되어 있다.
또, 제2 회전반(26)에는, X방향에 중심축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제1 봉체(26b)와, X방향에 중심축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제2 봉체(26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봉체(26b)의 외주면에는, 오목부(26d)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회전반(26)이 소정 방향(도 3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회전반(26)과 함께 제1 봉체(26b) 및 제2 봉체(26c)도 소정 방향(도 3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반(26)이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도 3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봉체(26b) 및 제2 봉체(26c)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도 3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 구동구의 케이스>
케이스(27)는, 제1 회전반(21)과 피니언(37)을 덮음과 동시에, 제1 회전반(21) 및 제2 회전반(26)의 전선 삽입 이탈구(26b)에 대응해서 절결되고, 개구부에 제1 회전반(21) 및 제2 회전반(26)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회전 구동구의 회전 전달부>
회전 전달부(30)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L자 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31)와, 지지대(31)의 밑변부(31a) 아래쪽에 부착된 지지통(32)과, 서로 직교해서 맞물리는 제1 베벨 기어(33) 및 제2 베벨 기어(34)와, 제1 베벨 기어(33)의 축심에 접속되는 연결 회전축(35)과, 이들 구성부품을 덮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직각 삼각 형상의 커버(36)를 구비하고, 또한, 케이스(27)의 내부에, 제2 베벨 기어(34)와 동일축에 마련된 피니언(37)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지지통(32)은, 통모양체의 내부에 원격 조작봉(2)의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것에 의해, 피복 탈피 장치(1)를 원격 조작봉(2)에 의해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베벨 기어(33)는, 지지대(31)의 밑변부(31a)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기어부(33a)가 지지대(31)의 밑변부(31a)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베벨 기어(34)는, 지지대(31)의 측변부(31b)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기어부(34a)가 지지대(31)의 측변부(31b) 측방에 배치되어 제1 베벨 기어(33)의 기어부(33a)에 맞물림과 동시에, 기어부(34a)와는 반대측의 축심부(34b)가 지지대(31)의 측변부(31b)로부터 돌출해서 케이스(27) 내를 삽입통과(揷通)하고, 그 축심부(34b)에 피니언(37)이 부착되어 있다. 연결 회전축(35)은, 지지통(32)의 중심축 상에 위치해서 배치되고, 상단이 제1 베벨 기어(33)의 축심부(33b)에 접합됨과 동시에, 하단에는 원격 조작봉(2)의 회동축과 걸어맞추기 위해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육각 형상의 머리부(35b)가 마련되어 있다.
<원격 조작봉>
원격 조작봉(2)으로서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모양의 통체 내부에 회동축을 구비하고, 손잡이의 핸들(2a)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핸들(2a)의 회전이 베벨 기어를 거쳐 회동축에 전달되는, 주지의 원격 조작봉이 이용된다. 지지통(32)에 원격 조작봉(2)의 선단을 찔러넣는 것에 의해, 연결 회전축(35)(머리부(35b))에 원격 조작봉(2)의 회동축의 선단부를 연결시키고, 피복 탈피 장치(1)를 원격 조작봉(2)의 선단에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원격 조작봉(2)의 손잡이의 핸들(2a)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연결 회전축(35)을 회전시키고, 연결 회전축(35)에 접합된 제1 베벨 기어(33)와 이것에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34)를 회전시키고, 또한 제2 베벨 기어(34)와 동일축에 부착된 피니언(37)을 회전시키고, 피니언(37)에 맞물리는 회전반(28)을 거쳐 부착된 피복 탈피구(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원격 조작봉(2)의 핸들(2a)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연결 회전축(35)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연결 회전축(35)에 접합된 제1 베벨 기어(33)와 이것에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34)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제2 베벨 기어(34)와 동일축에 부착된 피니언(37)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피니언(37)에 맞물리는 회전반(28)을 거쳐 부착된 피복 탈피구(10)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거꾸로, 원격 조작봉(2)의 핸들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연결 회전축(35)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연결 회전축(35)에 접합된 제1 베벨 기어(33)와 이것에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34)를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제2 베벨 기어(34)와 동일축에 부착된 피니언(37)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피니언(37)에 맞물리는 제1 회전반(21)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전선의 피복 탈피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피복 탈피 장치(1)를 이용한 전선 A의 피복 탈피 방법에 대해서, 이상의 기재와 중복되는 부분도 있으며, 여기에서는 간단하게 설명한다.
피복 탈피 방법은, 부착 공정(A)과, 수용 공정(B)과, 유지 공정(C)과, 탈피 공정(D)과, 해방 공정(E)과, 이탈 공정(F)을 포함한다.
(A) 부착 공정
먼저, 피복 탈피구(10)를 해방 상태로 해서, 회전 구동구(20)의 제1 봉체(26b)를 제1 구멍(11b) 내에 삽입하고, 제2 봉체(26c)를 제2 구멍(11c) 내에 삽입함으로써, 피복 탈피구(10)를 회전 구동구(20)에 부착한다. 그리고, 제1 봉체(26b)가 제1 구멍(11b) 내의 소정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에, 손잡이부(19)를 제1 봉체(26b)에 형성된 오목부(26d) 내에 삽입한다.
다음에, 회전 구동구(20)의 지지통(32)에 원격 조작봉(2)의 선단을 삽입하고, 피복 탈피 장치(1)를 지지함과 동시에, 원격 조작봉(2)의 회동 조작 수단의 선단부를 연결 회전축(35)에 연결한다.
(B) 수용 공정
회전 구동구(20)의 제1 회전반(21)의 전선 삽입 이탈구(21b)를 열린 상태(볼 플런저 기구(24)에 의해 열린 상태를 유지)로 해서, 피복 탈피 장치(1)를 공중에 가선된 전선 A의 중간부에 접근시키고, 전선 수용 공간(21a)에 전선 A의 중간부를 수용한다.
(C) 유지 공정
원격 조작봉(2)의 회동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연결 회전축(35)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을 회전 전달부(30)를 거쳐 제1 회전반(21)에 전달하고, 제1 회전반(21)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돌출부(21c)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해서 날개부(17)와 접촉하면, 제2 유지 부재(12)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수반해서, 피복 탈피구(10)가 유지 상태로 되고, 전선 A가 제1 유지 부재(11)와 제2 유지 부재(12) 사이에 끼워유지되고, 껍질 박리칼날(18)이 절연 피복 B에 파고든다(도 7 참조). 또한, 케이스(27)의 개구부와 제2 회전반(26)의 개구부가 일치하고 있을 때에, 케이스(27)와 제2 회전반(26)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며, 그 결과, 마찰 저항이 커지고, 제2 회전반(26)이 케이스(27)에 대해서 회전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D) 탈피 공정
원격 조작봉(2)의 회동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연결 회전축(35)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을 회전 전달부(30)를 거쳐 제1 회전반(21)에 전달하고, 제1 회전반(21)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돌출부(21c)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해서 날개부(17)와 접촉하면, 유지 상태의 피복 탈피구(10)가 제2 회전반(26)과 함께, 전선 A의 중심축 둘레로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껍질 박리칼날(18)이 그 칼날폭으로 절연 피복 B를 벗겨내게 된다.
(E) 해방 공정
케이스(27)에 대해서 제2 회전반(26)을 소정 위치(초기 위치)에 배치한다. 다시 말해, 전선 삽입 이탈구(26b)가 케이스(27)의 개구와 일치한다.
그리고, 원격 조작봉(2)의 회동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연결 회전축(35)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을 회전 전달부(30)를 거쳐 제1 회전반(21)에 전달하고, 제1 회전반(21)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돌출부(21c)가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해서 날개부(17)와 접촉하면, 제2 유지 부재(12)가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피복 탈피구(10)가 해방 상태로 된다. 또, 전선 삽입 이탈구(21b)가 열리고, 피복 탈피 장치(1)를 전선 A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F) 이탈 공정
피복 탈피 장치(1)를 공중에 가선된 전선 A의 중간부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상과 같은 피복 탈피 장치(1) 및 이것을 이용한 피복 탈피 방법에 의하면, 원격 조작봉(2)에 연결된 피복 탈피 장치(1)를 공중에 가선된 전선 A에 지상 혹은 작업차 위로부터 접근시킨 후, 원격 조작봉(2)의 원격 회동 조작에 의해 회전반(28)을 회전시키는 조작만에 의해서, 전선 A를 유지해서 전선 A의 절연 피복을 껍질 박리칼날(18)로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 종료후에 전선 A를 해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압 가선 등에 이용되는 전선의 절연 피복을 벗겨내는 피복 탈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 피복 탈피 장치
2: 원격 조작봉
10: 피복 탈피구
11: 제1 유지 부재
12: 제2 유지 부재
17: 날개부
18: 껍질 박리칼날
20: 회전 구동구
21: 제1 회전반
21c: 돌출부
26 : 제2 회전반
27: 케이스

Claims (3)

  1. 작업자에게 파지(把持)되는 원격 조작봉의 선단에 부착되는 회전 구동구와,
    상기 회전 구동구에 부착되는 피복 탈피구(剝取具)를 구비하며,
    상기 원격 조작봉의 회전 조작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회전 구동구를 거쳐 상기 피복 탈피구에 전달되고, 상기 피복 탈피구를 전선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절연 피복을 벗겨내는 피복 탈피 장치로서,
    상기 피복 탈피구는, 전선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된 전선의 절연 피복에 대해서 돌출하는 껍질 박리칼날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구동구는, 외주의 일부가 절결되어 전선 삽입 이탈구가 형성되고, 당해 전선 삽입 이탈구로부터 전선이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전선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외주의 일부가 절결되어 전선 삽입 이탈구가 형성되고, 당해 전선 삽입 이탈구로부터 전선이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전선 수용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회전반과,
    상기 케이스에 유지되고, 상기 원격 조작봉의 회동축의 회전을 상기 회전반의 회전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제1 유지 부재와, 당해 제1 유지 부재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제2 유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전선이 상기 제1 유지 부재와 상기 제2 유지 부재 사이에 끼워 유지되는 유지 상태와, 전선 삽입 이탈구가 형성되고 당해 전선 삽입 이탈구로부터 전선이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되는 해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구동구의 상기 회전반은, 제1 봉체와, 당해 제1 봉체와 평행한 제2 봉체를 가지는 제2 회전반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피복 탈피구의 상기 제1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봉체가 삽입되는 제1 구멍과, 상기 제2 봉체가 삽입되는 제2 구멍을 가지고,
    상기 회전 구동구의 상기 회전반은, 돌출부를 가지는 제1 회전반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피복 탈피구의 상기 제2 유지 부재는,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해방 상태의 상기 피복 탈피구가 상기 제2 회전반에 부착되고, 상기 제1 회전반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돌출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유지 상태로 되고,
    상기 피복 탈피구가 상기 유지 상태일 때에, 상기 제1 회전반이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돌출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해방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탈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지 부재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 가능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탈피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피복 탈피 장치를 이용해서 전선의 절연 피복을 벗겨내는 피복 탈피 방법으로서,
    해방 상태의 피복 탈피구를 제2 회전반에 부착하고, 회전 구동구를 원격 조작봉에 부착하는 부착 공정과,
    공중에 가선된 전선을, 전선 수용 공간에 수용하는 수용 공정과,
    원격 조작봉을 이용해서 제1 회전반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날개부를 돌출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유지 상태로 하는 유지 공정과,
    원격 조작봉을 이용해서 제1 회전반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피복 탈피구를 전선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껍질 박리칼날이 절연 피복을 벗겨내는 탈피 공정과,
    원격 조작봉을 이용해서 제1 회전반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날개부를 상기 돌출부에 접촉시킴으로써, 해방 상태로 하는 해방 공정과,
    공중에 가선된 전선을, 전선 수용 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피복 탈피 방법.
KR1020197026589A 2018-04-19 2019-04-15 피복 탈피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피복 탈피 방법 KR102267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80907 2018-04-19
JP2018080907 2018-04-19
PCT/JP2019/016219 WO2019203202A1 (ja) 2018-04-19 2019-04-15 被覆剥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被覆剥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715A KR20190122715A (ko) 2019-10-30
KR102267748B1 true KR102267748B1 (ko) 2021-06-21

Family

ID=6823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589A KR102267748B1 (ko) 2018-04-19 2019-04-15 피복 탈피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피복 탈피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62490B2 (ko)
EP (1) EP3588709B1 (ko)
JP (1) JP6995303B2 (ko)
KR (1) KR102267748B1 (ko)
CN (1) CN110622375B (ko)
AU (1) AU2019236735B2 (ko)
PH (1) PH12020551626A1 (ko)
TW (1) TWI688178B (ko)
WO (1) WO2019203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9068A (zh) * 2019-12-31 2020-04-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阳谷县供电公司 一种多功能控制电缆剥皮器
CN112186625B (zh) * 2020-10-12 2021-04-20 华中科技大学 一种架空导线带电接火装置
CN113922287B (zh) * 2021-08-23 2023-02-03 国网浙江桐乡市供电有限公司 电缆用转动式剥皮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872A (ja) 2005-12-16 2007-06-28 Toshin Denki Kk 電線中間部の皮剥ぎ工具
JP2008136299A (ja) 2006-11-28 2008-06-1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被覆剥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覆剥取方法
JP2009060753A (ja) 2007-09-03 2009-03-19 Nagaki Seiki Co Ltd 被覆剥取装置
JP2011015510A (ja) 2009-07-01 2011-01-20 Daito Denzai Co Ltd 電線の皮剥工具
JP2014230428A (ja) 2013-05-24 2014-12-08 株式会社関電工 電線被覆の皮剥工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線被覆の皮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3106A (en) * 1967-07-13 1969-03-18 James J Matthews Apparatus for removing insulation
US3826001A (en) * 1973-04-30 1974-07-30 Speed Syst Inc Cable stripping tool
JPS5936095Y2 (ja) * 1974-07-24 1984-10-05 カブシキガイシヤ イズミセイキセイサクシヨ 電線の被覆剥離工具
US4028800A (en) * 1975-10-02 1977-06-14 Utility Tools Corporation Cable shaving tool
JP3012177B2 (ja) * 1995-06-06 2000-02-21 株式会社フジクラ 電線皮剥ぎ工具
US6599269B1 (en) * 1999-12-03 2003-07-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ingle-use syringe
TW582656U (en) * 2002-03-19 2004-04-01 Liang-Sheng Gau Stripper for out layer of cable
WO2005106129A1 (ja) * 2004-04-30 2005-11-10 Kesanori Watanabe 水中穿刺杆装置
US20080078087A1 (en) * 2006-09-28 2008-04-03 Raymond Allard Stripping device for bundled cable
TWM334551U (en) * 2007-09-07 2008-06-11 Chu Lun Machinery Ind Corp Lead-wire processing machine with automatic wire cutting and peeling
US9136677B2 (en) * 2009-05-20 2015-09-15 Lucien C. Ducret Flush cut tool
JP2011223875A (ja) * 2011-07-11 2011-11-04 Toshin Denki Kk 電線中間部の皮剥ぎ工具
CN104253398B (zh) * 2013-06-28 2016-08-24 国家电网公司 绝缘导线剥皮装置
CN205282863U (zh) * 2016-01-08 2016-06-01 武汉里得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导线剥皮器
KR200487829Y1 (ko) * 2016-04-22 2018-11-08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원격 조작용 괘지구
EP4016769A1 (de) * 2016-11-15 2022-06-22 Schleunig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einer umhüllung elektrischer leiter
CN206237065U (zh) * 2016-11-28 2017-06-0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佛山供电局 导线剥皮装置
TWM557908U (zh) * 2017-09-29 2018-04-01 Scientech Corp 載具的搬運設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872A (ja) 2005-12-16 2007-06-28 Toshin Denki Kk 電線中間部の皮剥ぎ工具
JP2008136299A (ja) 2006-11-28 2008-06-1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被覆剥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覆剥取方法
JP2009060753A (ja) 2007-09-03 2009-03-19 Nagaki Seiki Co Ltd 被覆剥取装置
JP2011015510A (ja) 2009-07-01 2011-01-20 Daito Denzai Co Ltd 電線の皮剥工具
JP2014230428A (ja) 2013-05-24 2014-12-08 株式会社関電工 電線被覆の皮剥工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線被覆の皮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8709A4 (en) 2020-10-28
EP3588709A1 (en) 2020-01-01
WO2019203202A1 (ja) 2019-10-24
US11362490B2 (en) 2022-06-14
AU2019236735B2 (en) 2021-05-20
US20210336427A1 (en) 2021-10-28
JP6995303B2 (ja) 2022-01-14
TW201944672A (zh) 2019-11-16
EP3588709B1 (en) 2023-10-04
PH12020551626A1 (en) 2021-07-12
JPWO2019203202A1 (ja) 2021-05-20
CN110622375A (zh) 2019-12-27
CN110622375B (zh) 2021-06-04
AU2019236735A1 (en) 2019-11-07
TWI688178B (zh) 2020-03-11
KR20190122715A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7748B1 (ko) 피복 탈피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피복 탈피 방법
JP4903538B2 (ja) 被覆剥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覆剥取方法
TWI716582B (zh) 遠程操作用鉤止具
JP5063263B2 (ja) 被覆剥取装置
US9393639B2 (en) Spot welding cap changer
EP2818261A1 (en) Electric riveter
JP2007185085A (ja) 被覆電線被覆剥ぎ器
JP2017038418A (ja) 架線の被覆剥取器具
US2734573A (en) Bailey
JP3734527B2 (ja) 被覆剥離工具
JP2007028730A (ja) テープ巻用治具及びテープの巻き付け方法
JP2012161169A (ja) 電線被覆剥取器用操作道具および電線被覆剥取器用操作道具先端具
JP2007168945A (ja) 線条体巻取装置
JP3212576B2 (ja) 電線被覆除去機
CN212304505U (zh) 一种自动剥皮器、剥皮回转单元和转动部应急解锁装置
JP2000166038A (ja) 遠隔操作式圧縮ペンチ
CN205834461U (zh) 一种焊枪自动剪焊丝装置
JP2010226896A (ja) 架線拡幅工具および架線拡幅保持方法
JP2020201613A (ja) 回転操作棒
JP2003031106A (ja) カットアウト操作工具及びその操作方法
JPH1198632A (ja) バインド線処理工具
JP2001146298A (ja) 栓抜き装置
JP2015047011A (ja) 間接活線作業用の先端工具
JPS63186563U (ko)
JP2011155729A (ja) ケーブル(芯線)のより戻し用治具と、このケーブル(芯線)のより戻し用治具を使用したケーブル(芯線)のより戻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