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616B1 - 도어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616B1
KR102267616B1 KR1020190178527A KR20190178527A KR102267616B1 KR 102267616 B1 KR102267616 B1 KR 102267616B1 KR 1020190178527 A KR1020190178527 A KR 1020190178527A KR 20190178527 A KR20190178527 A KR 20190178527A KR 102267616 B1 KR102267616 B1 KR 102267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ving
door
hou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관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8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과, 하우징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및 이동부에 접촉가능하고, 이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이동부와 영구자석의 상대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이동부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완충 장치{Door damp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도어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덮개, 뚜껑 등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회전력을 제어하여 도어나 덮개 등이 급격하게 닫히지 않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 클로저(door closer)를 사용하고 있다.
도어 클로저는 도어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직선 운동에 의해 압축 및 신장되는 스프링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오일이 충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도어 클로저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선형적으로 가변되므로 도어의 닫힘 속도를 느리게 하기 위하여 오일의 유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오일이 인화물질로 작용하여 화재 진압을 어렵게 하고, 오일의 점성이 시간이 지날수록 저하됨에 따라, 오일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며,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었으며, 이러한 오일의 유압을 작동시키는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0761호(2010.12.14. 공개, 발명의 명칭: 도어 클로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부와 영구자석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와전류로써, 별도의 유압 완충 구조 필요 없이 도어부의 열림 또는 닫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도어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상기 하우징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접촉가능하고, 상기 이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와 상기 영구자석의 상대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마주보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영구자석 사이를 통과하며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영구자석은 미리 설정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접촉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부가 설치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상기 하우징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도어프레임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에 접촉가능하며, 상기 이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와 상기 영구자석의 상대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마주보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영구자석 사이를 통과하며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영구자석은 미리 설정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접촉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장치는, 이동부와 영구자석의 상대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전류에 의해 이동부의 열림 이동 또는 닫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어 별도의 유압 제동 장치 없이도 효과적으로 도어부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부의 갑작스런 이동으로 인하여 도어부와 도어프레임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돌 및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B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C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어부가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도 6b는 도어부가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B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C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어부가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도 6b는 도어부가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장치(1)는 도어프레임(10), 도어부(50), 하우징부(100), 영구자석(200), 이동부(300), 동력전달부(400), 접촉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10)은 도어부(50)가 설치될 수 있는 벽 등 설치 대상체에 위치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도어부(50)가 미리 설정되는 이동축을 기준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10)에는 하우징부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50)는 도어프레임(10)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열림 또는 닫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50)에는 동력전달부(400)가 결합되고, 도어부(50)가 이동됨에 따라 동력전달부(400)가 함께 이동되며, 뒤에 설명할 이동부, 구체적으로 돌출부(331)와 접촉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도어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볼트 등 체결부재에 의하여 도어프레임(10)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체결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에는 가이드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01)에는 뒤에 설명할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롤러부(350)가 구름접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동부(300)가 하우징부(100) 상에서 상대 이동되며, 뒤에 설명할 영구자석(200)과 이동부(300)의 상대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이동부(300) 및 이동부(300)와 접촉되는 접촉부(500), 동력전달부(400)가 설치되는 도어부(50)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어부(50)의 이동 속도가 저감됨에 따라 도어부(50)가 도어프레임(10) 상에서 이동하여 닫힐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장치(1)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도어부(50)가 빠르게 이동하는 것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도어부(50) 끼임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에는 영구자석(200)이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영구자석(200) 사이로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이동본체(310)가 미리 설정되는 이동축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내부에는 영구자석(20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영구자석(20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영구자석(200)이 서로 마주보며 하우징부(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영구자석(200) 사이로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이동본체(310)가 통과할 수 있고, 이동본체(310)와 영구자석(200)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와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와류는 와전류(eddy current)를 의미하며, 영구자석(200)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부(300)의 이동을 방해하게 되고, 이동부(300)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500), 동력전달부(400)가 설치되는 도어부(50)의 열림 이동 또는 닫힘 이동을 방해하며, 별도의 유압 등의 완충 장치 없이 도어부(50)의 열림 이동 또는 닫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어부(50)가 도어프레임(10) 상에서 닫히게 되는 경우, 도어부(50)가 도어프레임(10)에 도달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20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이러한 영구자석(200)은 이동부(300)의 이동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서로 마주보며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200) 사이로 이동부(300)가 이동되며 발생하는 와전류를 증가시키고, 이동부(300)의 이동 속도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0)는 하우징부(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본체(310), 이동베이스(330), 롤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본체(310)는 영구자석(20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마주보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200) 사이를 통과하며 미리 설정된 이동축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본체(31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며 길이 방향(도 4 기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0)는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본체(310)가 도체로 형성됨에 따라 도체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200) 사이를 통과하며 와전류가 발생되고, 이동부(300)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0)의 이동 속도가 저감됨에 따라, 이동부(300)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500), 동력전달부(400) 및 동력전달부(400)가 결합되는 도어부(50)의 이동 속도가 저감될 수 있다.
도어부(50)의 이동 속도가 저감됨에 따라 도어부(50)가 도어프레임(10) 상에서 갑작스럽게 닫히면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갑작스런 도어부(50)의 닫힘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마주보며 배치되고, 일렬로 배치되는 영구자석(200) 사이를 통과하며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베이스(330)는 이동본체(310)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우징부(100)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본체(310)는 도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본체(310)와 이동베이스(330)가 별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동베이스(330) 또한 이동본체(310)와 동일하게 도체 재질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이동베이스(330)는 하우징부(100) 내에서 이동되며, 이동베이스(330)가 하우징부(100) 내에서 이동됨에 따라 이동베이스(330)에 결합되는 이동본체(310) 또한 영구자석(20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이동본체(310)가 영구자석(200) 사이를 이동하며 도체 재질로 형성되는 이동본체(310)와 영구자석(200)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해 와전류가 발생되고, 와전류로 인하여 하우징부(100) 내에서 이동부(300)의 이동 속도가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베이스(330)의 일측에는 돌출부(331)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31)가 이동베이스(330)의 일측(도 3 기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됨으로 인하여 하우징부(100)의 외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돌출부(331)에는 뒤에 설명할 접촉부(500)가 설치되며, 동력전달부(40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400)에도 돌출부(331)에 설치되는 접촉부(500)와 접촉가능하게 접촉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350)는 이동베이스(3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01)에 구름 접촉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롤러부(350)가 가이드부(101) 상에서 구름 접촉됨으로 인하여 이동베이스(330)가 직접 하우징부(100)의 내면과 접촉되며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고, 롤러부(350)가 가이드부(101) 상에서 이동되며, 이동본체(310)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켜 이동본체(310)와 영구자석(200) 간의 상대 이동으로 발생되는 와전류가 효율적으로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400)는 이동부(300)에 접촉 가능한 것으로, 이동부(3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부(3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은, 하우징부(100) 상에서 일 지점에 있는 이동부(30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이동부(30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400)는 도어부(50)에 결합되고,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돌출부(331) 및 돌출부(331)에 결합되는 접촉부(50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도어부(50)를 이동시켜 도어프레임(10) 상에서 도어부(50)가 이동될 때, 도어부(5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400) 및 동력전달부(400)에 결합되는 접촉부(500)가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돌출부(331) 및 돌출부(331)에 결합되는 접촉부(500)와 접촉되며 함께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서로 비접촉된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동력전달부(400)와 이동부(300)가 접촉하면서 이동본체(310)가 영구자석(200) 사이에서 이동하게 되고 이동본체(310)와 영구자석(200)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와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동본체(310)와 영구자석(200)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발생되는 와전류로 인하여 도어부(50)의 이동 속도가 저감될 수 있고, 도어부(50)와 도어프레임(10) 사이에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500)는 이동부(300) 및 동력전달부(40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서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500)는 한 쌍이 구비되며 한 쌍의 접촉부(500) 중 어느 하나는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돌출부(331)에 설치되고, 한 쌍의 접촉부(500) 중 다른 하나는 동력전달부(4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접촉부(50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접촉부(500)는 자기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어부(50)가 도어프레임(10) 상에서 이동할 때 동력전달부(400)에 설치되는 접촉부(500)와,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돌출부(331)에 설치되는 접촉부(500)가 서로 접촉 결합된 상태로 도어부(50)가 도어프레임(10) 상에서 이동하며 개방되는 영역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한 쌍의 접촉부(500)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자기력에 의해 결합됨으로 인하여, 도어부(50)를 도어프레임(10) 상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하우징부(100)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부(300)가 정위치(도 6b 참조)까지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5a 내지 도 5c,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장치(1)는 도어프레임(10), 도어부(50), 하우징부(100), 영구자석(200), 이동부(300), 동력전달부(400), 접촉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장치(1)가 도어프레임(10)에 설치되고, 도어부(50)와 도어프레임(10)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 영역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00)는 도어 설계에 따라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도어프레임(10) 상에서 일 지점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하우징부(100)의 내측에는 영구자석(20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20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이동본체(310)는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영구자석(200) 사이를 이동하게 되고, 영구자석(200)과 도체 재질로 형성되는 이동본체(310)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와전류가 발생된다.
와전류가 발생됨에 따라 이동본체(310)의 이동속도가 저감되게 되며, 이동부(300)와 접촉되며 이동부(300)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400) 및 동력전달부(400)가 설치되는 도어부(50)의 이동 속도가 저감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별도의 유압 완충 장치가 요구되지 않고, 영구자석(200)과 도체 재질의 이동본체(310) 사이에 발생되는 와전류를 이용하여 이동부(300), 이동부(300)의 이동과 연동되는 도어부(50)의 열림 이동 또는 닫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어부(50)의 열림 이동 또는 닫힘 이동 속도가 저감됨으로 인하여 도어부(50)가 도어프레임(10)에 도달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도어프레임(10)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빠른 속도로 인하여 사용자에 가해지는 충돌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0)는 이동본체(310), 이동베이스(330), 롤러부(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롤러부(350)는 이동베이스(3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부(35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01) 상에 구름 접촉됨으로 인하여 이동부(300)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이동베이스(330)가 하우징부(100)의 내면과 직접 접촉, 마찰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 이동부(300)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베이스(330)에는 돌출부(3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331)에는 접촉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접촉부(500)는 한 쌍이 구비되며 돌출부(331)와 마주보며, 도어부(50)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4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촉부(500)는 자성을 가지며 자기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장치(1)를 도시한 것으로, 도어부(50)가 도어프레임(10) 상에서 닫히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어부(50)를 잡고 도어프레임(10) 상에 개구되는 영역을 닫기 위해 도어부(50)를 이도시킬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어부(50)에 위치 고정되며 설치되는 동력전달부(400)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부(300)를 향해 이동되고, 접촉되게 된다. 이때 동력전달부(400)에 설치되는 접촉부(500)와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돌출부(331)에 설치되는 접촉부(500)가 접촉되며 자기력 결합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도어부(50)가 도어프레임(10) 상에서 닫힘 이동되며 도어프레임(1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폐쇄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이동부(30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일렬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영구자석(200) 사이를 통과하며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이동본체(310)가 영구자석(200) 사이를 통과하며 이동됨에 따라 와전류가 발생되고 와전류에 의해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이동본체(310)의 이동 속도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0)의 닫힘 이동 속도가 저감됨에 따라 이동부(300)와 접촉되는 접촉부(500) 및 접촉부(500)가 결합되는 동력전달부(400)가 설치되는 도어부(50)의 이동 속도도 저감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어부(50)가 도어프레임(10) 상에서 빠른 속도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부(50)가 도어프레임(10)에 도달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손 끼임 등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 시 사용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장치(1)가 설치되는 도어프레임(10), 도어부(50) 간에 도어부(50)가 열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어부(50)를 잡고 도어부(50)를 열림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부(50)를 좌측에서 우측 방향(도 6a 기준)으로 열림 이동시키면 도어부(5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400) 및 동력전달부(400)에 설치되는 접촉부(500)와 자기력 결합되는 돌출부(331) 상에 설치되는 접촉부(500)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이동부(300), 구체적으로 돌출부(331)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 이동부(300)가 도달하게 되면, 이동부(300)는 더 이상 도어부(5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이동부(300), 돌출부(331)에 설치되는 접촉부(500)와, 동력전달부(400)에 설치되는 접촉부(500) 사이에 결합력보다 도어부(50)의 이동 방향(도 6b 기준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힘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마주보는 한 쌍의 접촉부(500) 간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한 쌍의 접촉부(500)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자기력 결합됨으로 인하여 이동부(300)의 이동으로 인해 와전류를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는 정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에 더하여 접촉부(500)가 자기력 결합으로 이동부(300)를 정위치로 복귀시키고, 이동부(300)와 동력전달부(400)의 결합이 해제되며 서로 이격됨으로써, 이동부(300)를 도어부(50)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도어부(50)의 이동 거리만큼 하우징부(100)의 길이를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 도어 완충 장치(1)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장치(1)는, 이동부(300)와 영구자석(200)의 상대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이동부(300)의 열림 이동 또는 닫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어 별도의 유압 제동 장치 없이도 효과적으로 도어부(50)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부(50)의 갑작스런 이동으로 인하여 도어부(50)와 도어프레임(10)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돌 및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도어 완충 장치 10: 도어프레임
50: 도어부 100: 하우징부
101: 가이드부 200: 영구자석
300: 이동부 310: 이동본체
330: 이동베이스 331: 돌출부
350: 롤러부 400: 동력전달부
500: 접촉부

Claims (10)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상기 하우징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접촉가능하고, 상기 이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와 상기 영구자석의 상대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에 구름 접촉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롤러부를 통해 이동되는 도어 완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마주보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영구자석 사이를 통과하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영구자석은 미리 설정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접촉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 장치.
  6. 하우징부가 설치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상기 하우징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도어프레임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에 접촉가능하며, 상기 이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와 상기 영구자석의 상대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에 구름 접촉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롤러부를 통해 이동되는 도어 완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주보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마주보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영구자석 사이를 통과하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영구자석은 미리 설정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며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접촉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완충 장치.
KR1020190178527A 2019-12-30 2019-12-30 도어 완충 장치 KR10226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27A KR102267616B1 (ko) 2019-12-30 2019-12-30 도어 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27A KR102267616B1 (ko) 2019-12-30 2019-12-30 도어 완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616B1 true KR102267616B1 (ko) 2021-06-21

Family

ID=7660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527A KR102267616B1 (ko) 2019-12-30 2019-12-30 도어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6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305A (ja) * 1994-12-21 1996-07-09 Sanwa Shutter Corp 自閉式吊戸における衝撃緩衝装置
KR20120102787A (ko) * 2009-12-22 2012-09-1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자기 제동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70046282A (ko) * 2015-10-21 2017-05-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영구자석을 이용한 도어 완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305A (ja) * 1994-12-21 1996-07-09 Sanwa Shutter Corp 自閉式吊戸における衝撃緩衝装置
KR20120102787A (ko) * 2009-12-22 2012-09-1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자기 제동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70046282A (ko) * 2015-10-21 2017-05-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영구자석을 이용한 도어 완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14025A (ja) 磁気式フロア・ヒンジ
US9995078B2 (en) Rebound suppression system for sliding door
CN103489708A (zh) 磁开关装置
US9688290B2 (en) Electric rail car door structure
KR20170043932A (ko) 직류 릴레이
KR102267616B1 (ko) 도어 완충 장치
CN103240638A (zh) 机床的盖结构
WO2013186582A1 (en) Damper for hinges
KR20080034776A (ko) 액츄에이터
CN105187041B (zh) 一种磁力反馈的无触点开关
WO2019167103A1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開閉器およびスイッチギア
KR101501824B1 (ko) 도어 완충 장치
JP4483645B2 (ja) 開閉装置
KR20210085472A (ko) 도어 완충 장치
JP2002124165A (ja) 開閉装置
KR100657496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및 이격기구
CN105142461A (zh) 导向装置
KR101498102B1 (ko) 소음 방지형 솔레노이드 장치
KR20170055258A (ko) 도어 완충 장치
KR101030087B1 (ko) 완충유닛이 구비된 리니어모터 스테이지
CN214403305U (zh) 一种基于缓冲组件的推拉式高阻燃钢质防火窗
CN105937340B (zh) 弹簧件和/或阻尼件
KR20130091999A (ko)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
KR101795856B1 (ko) 가구 힌지용 버퍼
CN210086118U (zh) 一种防撞型智能摆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