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999A -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 - Google Patents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999A
KR20130091999A KR1020120013419A KR20120013419A KR20130091999A KR 20130091999 A KR20130091999 A KR 20130091999A KR 1020120013419 A KR1020120013419 A KR 1020120013419A KR 20120013419 A KR20120013419 A KR 20120013419A KR 20130091999 A KR20130091999 A KR 20130091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door
moving
moving membe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1999A/ko
Publication of KR2013009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는, 내부에 길이 방향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부재와, 일단은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도어와 연결되는 이동바를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제1방향으로 외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제2방향으로 외력을 부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Damper for Door Having Elastic Member}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시 도어의 닫힘 속도를 조절하는 도어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도어의 닫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도어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각종 도어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어를 연 후 다시 이를 닫는 과정까지의 노력을 감소시키고, 편의성 및 안전도의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타입의 도어용 댐퍼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어용 댐퍼로는, 유체에 의한 댐핑이 이루어지는 타입과, 별도의 동작 메커니즘이 삽입되는 타입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체를 이용하는 타입의 경우, 온도, 습도 그리고 노후에 따른 누설 등의 다양한 환경 조건에 대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으므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의 동작 메커니즘이 삽입되는 타입의 경우, 시스템이 복잡해짐은 물론이며, 동작 메커니즘 자체의 제작 단가가 높은 편으로 전체 제조비용이 상승되며, 고장의 위험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어떤 상황에도 꾸준한 안정성이 요구되는 군수업 분야에 있어서, 군수시설 또는 군수장비 등에 구비되는 도어에 상기와 같은 타입의 도어용 댐퍼를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특히 별도의 동작 메커니즘이 삽입되는 타입은 전자전 등의 상황에서 무력화될 수 있어 그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도어용 댐퍼가 다양한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아 특수 상황에서 정상 작동이 어렵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기존의 도어용 댐퍼는 고장의 위험성이 높으며, 그 제조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는, 내부에 길이 방향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부재와, 일단은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도어와 연결되는 이동바를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제1방향으로 외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제2방향으로 외력을 부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보다 작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각 제2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와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르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제2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가까울수록 작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제2방향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제1방향 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제1방향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체 또는 전자장비의 실장 없이 기계장치로만 구성되며 그 구성 자체가 단순하므로, 어떠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단순한 구성으로 인해 그 제조비용이 크게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고장의 위험이 적으며, 고장 시에도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가 적용된 도어를 개방시킨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가 적용된 도어를 폐쇄시킨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 시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에 있어서, 도어가 폐쇄되는 도중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에 있어서, 도어가 폐쇄된 이후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100)가 적용된 도어(10)를 개방시킨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는 연결링크(20)에 의해 벽 등의 고정물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용 댐퍼(100)의 일측은 고정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연결링크(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도어용 댐퍼(100)는 도어(10)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자유도를 가진다.
다음으로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100)가 적용된 도어(10)를 폐쇄시킨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가 폐쇄됨으로 인해 도어용 댐퍼(100)는 도어(10)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회전되고, 그 길이가 축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어용 댐퍼(100)의 내부에는 도어(10)의 폐쇄 시 그 폐쇄 속도를 감쇠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100)의 전체 모습 및 내부의 모습이 각각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100)는 하우징(120)과, 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되는 이동부재(114) 및 일단은 이동부재(114)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120)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이동바(110)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의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이동부재(114)는 상기 수용공간(S) 내에서 수용공간(S)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및 도 4을 기준으로 도면의 아래쪽 방향을 제1방향이라 칭하며, 위쪽 방향을 제2방향이라 칭하도록 한다. 즉, 이동부재(114)는 수용공간(S) 내에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동바(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이동부재(114)에 연결되며, 타단은 하우징(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도어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바(110)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 시 도어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이동부재(114)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 및 도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이동바(110)와 이동부재(114)는 도어를 개방 시 제2방향으로 이동되며, 도어를 폐쇄 시 제1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이동바(110)의 타단에는 이동바(110)가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도어측 연결구(112)가 형성되며, 반대측의 하우징(120) 끝단에는 하우징(120)이 벽 등의 고정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물측 연결구(1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도어측 연결구(112)와 고정물측 연결구(122)의 위치 및 형상은 본 실시예와 같은 형태 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하우징(120)의 수용공간(S) 내에는 제1탄성부재(130) 및 제2탄성부재(140)가 각각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탄성부재(130)는 이동부재(114)에 제1방향으로 외력을 부가하도록 구비되며, 제2탄성부재(140)는 이동부재(114)에 제2방향으로 외력을 부가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탄성부재(130)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이동부재(114)의 제2방향 측에 위치되며, 제2탄성부재(140) 역시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이동부재(114)의 제1방향 측에 위치된다. 즉, 제1탄성부재(130) 및 제2탄성부재(140)는 이동부재(114)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되어 이동부재(114)에 서로 반대 방향의 외력을 부가한다.
이와 같은 제1탄성부재(130)와 제2탄성부재(140)의 상호 작용에 의해 본 발명의 도어용 댐퍼(100)는 도어 폐쇄 시 폐쇄 속도를 감쇠시킬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 시 단계에 따른 도어용 댐퍼(100)의 작동 모습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사용자가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였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6은 사용자가 개방된 도어에 외력을 제거하였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7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함에 따라 이동바(110)와 이동부재(114)를 포함하는 이동부는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부재(114)의 제2방향 측에 위치된 제1탄성부재(130)는 이동부재(114)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방한 도어에 외력을 제거함에 따라 압축되었던 제1탄성부재(130)가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며, 이동바(110)와 이동부재(114)를 포함하는 이동부는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즉, 사용자가 도어를 직접 조작하여 폐쇄시키지 않더라도 제1탄성부재(130)에 의해 도어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탄성부재(130)에 의해 도어가 폐쇄되는 도중, 이동부재(114)는 제2탄성부재(140)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2탄성부재(140)는 압축되는 동시에 도어에는 제2탄성부재(140)의 압축 저항력에 의한 부하가 인가되어, 폐쇄 속도가 감쇠된다.
즉, 이동부재(114)가 제2탄성부재(140)에 접촉되기 전까지는 도어가 빠른 속도로 닫히게 되며, 이동부재(114)가 제2탄성부재(140)에 접촉된 이후부터는 제2탄성부재(140)의 압축 저항력에 의해 도어의 폐쇄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어 이동바(110)와 이동부재(114)를 포함하는 이동부는 제2방향 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탄성부재(140)는 제1탄성부재(130)보다 작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제2탄성부재(140)의 탄성이 제1탄성부재(130)의 탄성보다 클 경우 제2탄성부재(140)의 압축 저항력에 의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2탄성부재(140)는 이동부재(140)에 제2방향의 외력을 제공하되, 그 탄성력은 제1탄성부재(130)의 압축 저항력에 의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정도의 수준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어용 댐퍼(100)는 탄성부재만을 사용하여 기계적인 작동 메커니즘으로 도어의 폐쇄 속도를 감쇠시키므로, 어떠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크게 감소하고 고장의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10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200)의 내부 모습이 도시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된 하우징(220), 이동바(210) 및 이동부재(214)를 포함하는 이동부, 도어측 연결구(212), 고정물측 연결구(222), 제1탄성부재(230)는 모두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제2탄성부재(240, 250)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2탄성부재(240, 250)는 총 2개가 구비되며, 각 제2탄성부재(240, 250)는 이동부재(214)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르게 위치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되고 이동부재(214)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보다 가까운 제2탄성부재(250)를 내측 제2탄성부재(250)라 칭하며, 외측에 위치되고 이동부재(214)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보다 먼 제2탄성부재(240)를 외측 제2탄성부재(240)라 칭하도록 한다.
즉, 도어 폐쇄 시 이동부재(214)는 먼저 그 이격 거리가 보다 가까운 내측 제2탄성부재(250)에 의해 1차적으로 저항력을 인가받으며, 잠시 후 외측 제2탄성부재(240)에 의해 2차적으로 저항력을 인가받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도어의 폐쇄 시 이중으로 폐쇄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230)에 의해 도어가 빠른 속도로 닫힐 경우 각 제2탄성부재(240, 25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분산시킬 수 있어 장치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내측 제2탄성부재(250)는 외측 제2탄성부재(240)보다 작은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도어의 감쇠 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제2탄성부재(240, 250)는 2개 구비되나, 이와 달리 제2탄성부재가 3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이동부재(214)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가까운 제2탄성부재일수록 작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 제2탄성부재(240, 25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측 제2탄성부재(250)가 외측 제2탄성부재(240)의 내측에 위치되나, 이 역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2탄성부재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300)의 내부 모습이 도시된다.
제3실시예의 경우,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된 하우징(320), 이동바(310) 및 이동부재(314)를 포함하는 이동부, 도어측 연결구(312), 고정물측 연결구(322), 제2탄성부재(340)는 모두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제1탄성부재(330)의 위치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탄성부재(330)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달리 인장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이동부재(314)의 제1방향 측에 위치된다.
즉, 본 실시예 역시 제1탄성부재(330)가 이동부재(314)에 제1방향으로 외력을 부가하는 것은 동일하나, 제1탄성부재(330)는 인장스프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제2탄성부재(340)와 동일한 방향에 설치되며, 이동부재(314)에 직접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탄성부재(330) 및 제2탄성부재(340)는 모두 이동부재(314)의 제1방향 측에 위치되므로, 이동부재(314)의 제2방향 측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하우징(320)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도어 20: 연결링크
30: 고정물 100: 도어용 댐퍼
110: 이동바 112: 도어측 연결구
114: 이동부재 120: 하우징
122: 고정물측 연결구 130: 제1탄성부재
140: 제2탄성부재 S: 수용공간

Claims (6)

  1. 내부에 길이 방향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부재와, 일단은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도어와 연결되는 이동바를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제1방향으로 외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제2방향으로 외력을 부가하는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보다 작은 탄성을 가지는 도어용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각 제2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와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르게 위치되는 도어용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가까울수록 작은 탄성을 가지는 도어용 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제2방향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제1방향 측에 위치되는 도어용 댐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제1방향 측에 위치되는 도어용 댐퍼.
KR1020120013419A 2012-02-09 2012-02-09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 KR20130091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419A KR20130091999A (ko) 2012-02-09 2012-02-09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419A KR20130091999A (ko) 2012-02-09 2012-02-09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999A true KR20130091999A (ko) 2013-08-20

Family

ID=4921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419A KR20130091999A (ko) 2012-02-09 2012-02-09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19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9423A (ja) * 2016-07-15 2018-01-18 株式会社Tok 自動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の制動装置
CN107732687A (zh) * 2016-07-07 2018-02-23 周丽玲 一种移动速度可调的电气开关柜
CN113889365A (zh) * 2020-07-02 2022-01-04 陕西新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开关防冲击中空动铁芯及其制作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2687A (zh) * 2016-07-07 2018-02-23 周丽玲 一种移动速度可调的电气开关柜
CN107732687B (zh) * 2016-07-07 2020-06-09 东营市奥能电器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速度可调的电气开关柜
JP2018009423A (ja) * 2016-07-15 2018-01-18 株式会社Tok 自動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の制動装置
CN113889365A (zh) * 2020-07-02 2022-01-04 陕西新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开关防冲击中空动铁芯及其制作方法
CN113889365B (zh) * 2020-07-02 2024-05-14 陕西新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开关防冲击中空动铁芯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22705A1 (en) Door closer provided with unit for adding door-closing force
US11021901B2 (en) Multi-joint hinge
NZ785206A (en) Hinge
KR20130041273A (ko) 가구용 댐퍼
KR102615040B1 (ko) 힌지, 수납 장치, 및 냉장고
BR112016026589A2 (pt) Dobradiça
KR101127639B1 (ko) 개폐구용 완충장치
US20150267452A1 (en) Snap hinge with damped closing
US9521710B2 (en) Door opening structure for microwave oven
KR20130091999A (ko)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
TW201719035A (zh) 鉸鏈及其緩衝裝置
US20130312221A1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cylinder alignment shoulder bushing
MY190443A (en) Bidirectional damper and movable door thereof
US8911036B2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hinge keeper
US20130312220A1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damper alignment spacer bushings
KR101204349B1 (ko) 오븐기용 도어 힌지 장치
KR20170041061A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101193477B1 (ko) 오븐기용 도어 힌지 장치
CN105937340B (zh) 弹簧件和/或阻尼件
EP2527577A2 (en) A household appliance with shock absorbing hinge
KR101138014B1 (ko) 가스 스프링
KR20090131839A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CA2532516A1 (en) Vehicle closure slam test fixture
KR20140108507A (ko)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KR20150003577U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