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839A -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839A
KR20090131839A KR1020080057792A KR20080057792A KR20090131839A KR 20090131839 A KR20090131839 A KR 20090131839A KR 1020080057792 A KR1020080057792 A KR 1020080057792A KR 20080057792 A KR20080057792 A KR 20080057792A KR 20090131839 A KR20090131839 A KR 20090131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ider
rivet
moving
spr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구
하갑승
박현서
이강성
권순욱
Original Assignee
삼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공업(주) filed Critical 삼광공업(주)
Priority to KR1020080057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839A/ko
Publication of KR2009013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은 단일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압축 이완되며, 플레이트들에 연결된 리벳을 간섭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중앙부에 상기 제1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리벳을 구비하며 가로로 길게 형성된 제1가로부와, 상기 제1리벳의 연장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가로부의 세로로 연장된 이동부로 구성된 제1슬라이더; 중앙부에 상기 제2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리벳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가로부와 대향되는 제2가로부와, 상기 제2리벳의 연장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가로부의 세로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부를 슬라이딩 되도록 수납하는 이동가이드부로 구성된 제2슬라이더; 및 상기 이동부 및 이동가이드부의 양측에서 상기 제1가로부와 제2가로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양측이 상기 제1가로부와 제2가로부를 각각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축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 상기 이동부와 이동가이드부의 단부가 각각 상기 제2리벳과 제1리벳까지 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슬라이드, 힌지, 스프링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Spring module for slide hinge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에 조립되는 스프링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상이 심플하면서도 슬라이드 플레이트들에 간섭되지 않는 작동 구조를 갖는 스프링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전자수첩,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폴더(Folder) 방식, 슬라이드(Slide) 방식 등으로 개폐된다. 특히,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단말기는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별도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이 장착된다.
종래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은 적어도 두개의 플레이트들이 서로 슬라이딩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들의 사이에 스프링모듈이 조립된다. 상기 스프링모듈은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들을 반자동으로 슬라이딩되게 한다.
이러한 스프링모듈은 코일스프링, 선스프링,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의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스프링들은 단일로 플레이트들 사이에 조립되기도 하며, 다수개가 하나의 모듈을 이루어 플레이트들 사이에 조립 되기도 한다.
최근에, 스프링모듈은 점차 경박단소화되는 휴대단말기에 적용되기 위해, 그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얇게 설계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동시에, 수백만 내지 수천만 단위로 반복되는 동작에 대해 높은 내구성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 힌지 모듈도 역시 다양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조립되기 위해, 스프링모듈은 각각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작동에 적합한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스프링모듈은 큰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모듈은 스프링의 압축 또는 인장 작동시 스프링모듈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플레이트들의 작동에 간섭을 주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구조가 극히 단순하면서도 슬라이드 개폐 작동시 플레이트들에 간섭을 주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2단으로 슬라이드 되는 휴대단말기처럼 특정한 구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를 제1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 되도록하는 스프링모듈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기 제1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리벳을 구비하며 가로로 길게 형성된 제1가로부와, 상기 제1리벳의 연장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가로부의 세로로 연장된 이동부로 구성된 제1슬라이더; 중앙부에 상기 제2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리벳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가로부와 대향되는 제2가로부와, 상기 제2리벳의 연장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가로부의 세로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부를 슬라이딩 되도록 수납하는 이동가이드부로 구성된 제2슬라이더; 및 상기 이동부 및 이동가이 드부의 양측에서 상기 제1가로부와 제2가로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양측이 상기 제1가로부와 제2가로부를 각각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축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 상기 이동부와 이동가이드부의 단부가 각각 상기 제2리벳과 제1리벳까지 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은 단일 축으로 지지되어 압축 및 이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구성이 간소하고, 스프링모듈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은 슬라이드 개폐 작동시 플레이트들과 스프링모듈의 연결수단인 리벳을 간섭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슬라이드 힌지의 작동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은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를 제1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모듈은 슬라이딩 작동시 플레이트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외부의 힘이 가해져 개폐 작동이 시작되면 추가적인 외부의 힘 제공없이 플레이트들이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는 서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이며, 휴대단말기의 외부케이스에 설치되거나 그 자체로 외부케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다른 플레이트가 위치되거나 제3플레이트, 제4플레이트... 로 플레이트 개수를 늘려 구현되는 2단, 3단 등의 슬라이드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100)은 제1슬라이더(10)와, 제2슬라이더(20) 및 탄성부(30)를 구비한다.
제1슬라이더(10)는 제1가로부(15)와 이동부(16)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가로부(15)는 중앙부에 제1리벳(11)을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홀(12)이 천공된다. 상기 제1리벳(11)은 제1슬라이더(10)를 제1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플레이트 및 제1가로부(15)에 결합된다. 상기 제1가로부(15)는 가로로 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가로부(15)의 측면에는 제1가로부(15)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1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4)은 후술할 샤프트(31)를 통과되게 한다.
상기 이동부(16)는 제1리벳(11)의 연장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가로부(15)의 세로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부(16)는 상기 제1가로부(15)와 직교되게 상기 제1가로부(15)의 측면 중앙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연장된다. 결 국, 상기 제1가로부(15)는 상기 이동부(16)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1가로부(15)와 이동부(16)는 "T"자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이 제1슬라이더(10)의 구조는 형상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상기 이동부(16)가 제1가로부(15)의 중앙 단일 지점을 지지하여 작동시 충분히 큰 강도를 기대할 수 있다.
제2슬라이더(20)는 제2가로부(25)와 이동가이드부(26)로 구성된다.
상기 제2가로부(25)는 중앙부에 제2리벳(21)을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홀(22)이 천공된다. 상기 제2리벳(21)은 제2슬라이더(20)를 제2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플레이트 및 제2가로부(25)에 결합된다. 상기 제2가로부(25)는 가로로 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가로부(25)는 제1가로부(15)와 대향되어, 상기 제1가로부(15)와 제2가로부(25)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가이드부(26)는 제2리벳(21)의 연장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가로부(25)의 세로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가이드부(26)는 상기 제2가로부(25)와 직교되게 상기 제2가로부(25)의 측면 중앙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연장된다. 결국, 상기 제2가로부(25)는 상기 이동가이드부(26)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2가로부(25)와 이동가이드부(26)는 "T"자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이, 제2슬라이더(20)의 구조는 상기 제1슬라이더(10)와 마찬가지로 형상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상기 이동가이드부(26)가 제2가로부(25)의 중앙 단일 지 점을 지지하여 형상이 간소하면서도 작동시 충분히 큰 강도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가이드부(26)는 상기 이동부(16)를 슬라이딩 되도록 수납한다. 따라서, 상기 제1슬라이더(10)는 제2슬라이더(20)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해진다.
탄성부(30)는 복수의 샤프트(31)와 압축스프링(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31)는 상기 이동부(16) 및 이동가이드부(26)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가로부(15)와 제2가로부(25)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샤프트(31)의 일단은 상기 제2가로부(2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가로부(15)에 형성된 관통홀(14)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슬라이더(10)가 제2슬라이더(20) 측으로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샤프트(31)의 타단은 상기 관통홀(14)을 통과하여 상기 제1가로부(15)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압축스프링(32)은 상기 샤프트(31)에 끼워진다. 상기 압축스프링(32)의 일 측은 상기 제1가로부(15)를 지지하고, 타 측은 상기 제2가로부(25)를 지지한다. 상기 압축스프링(32)은 코일형 압축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1슬라이더(10)가 제2슬라이더(20)와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 될 때 압축된다. 상기 압축스프링(32)은 압축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복원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10)가 제2슬라이더(20)와 멀어지도록 힘이 작용된다.
특히, 상기 압축스프링(32)이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 상기 이동부(16)와 이동가이드부(26)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2리벳(21)과 제1리벳(11)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레이트들의 슬라이딩 개폐 시 이루어지는 스프링모듈의 압축 또는 이완 동작에서, 스프링모듈의 몸체 또는 스프링이 리벳(21)(11)들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가이드부(26)는 가이드홈(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9)은 상기 이동부(16)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제1슬라이더(10)와 제2슬라이더(20)의 슬라이딩 작동이 더욱 원활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16)는 단부에 스토퍼(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9)은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라이더(10)가 제2슬라이더(20)에 대해 멀어지도록 슬아이딩 될 때, 상기 스토퍼(17)가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1슬라이더(10)는 제2슬라이더(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이상 슬라이딩 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1슬라이더(10)는 제2슬라이더(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3은 상기 도1의 작동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더(10)가 제2슬라이더(20) 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압축스프링(32)이 최대로 압축될 때까지 상기 제1슬라이더(10)가 제2슬라이더(20)에 가까워지면, 상기 제1슬라이더(10)의 단부는 상기 제2가로부(25)에 결합된 제2리벳(21)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그 앞에 멈추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슬라이더(20)의 단부는 상기 제1가로부(15)에 결합된 제1리벳(11)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그 앞에 멈춘다.
따라서, 상기 제1슬라이더(10)와 제2슬라이더(20)가 서로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제1슬라이더(10)와 제2슬라이더(20)는 각각의 몸체 안에서만 슬라이딩이 이루 어지며 외부로 몸체의 일부가 돌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스프링모듈(100)의 구조는 상기 제1리벳(11) 또는 제2리벳(21)이 비교적 긴 장축 형태로 이루어져 플레이트들에 형성된 슬릿을 관통하는 경우 또는 플레이트들에 다른 부속물이 설치된 경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100)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플레이트들에 적용이 가능하고, 플레이트들에 설치된 다른 부속물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트들의 공간 활용을 좋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바람직한 사용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100)은 제1플레이트(50)와 제2플레이트(70)에 각각 회동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50)와 제2플레이트(70)는 사이에 중간플레이트(60)를 더 구비한다. 즉, 상기 중간플레이트(60)는 일면에 상기 제1플레이트(50)가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연결되고, 타면에 상기 제2플레이트(70)가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모듈(100)은 중간플레이트(60)와 제2플레이트(70)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제1리벳(11)은 상기 제2플레이트(70)에 형성된 슬릿(71)과, 제1결합홀(12)과, 중간플레이트(60)에 형성된 슬릿(61)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50)에 형성된 홀(51)에 결합된다. 또한, 제2리벳(21)은 제2결합홀(22)을 관통하여 상기 제2플레이트(70)에 결합된다.
상기 실시 예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2단 슬라이드 개폐되는 휴대단말기에 적용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설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100)은 2단 슬라이드 방식 등처럼 다양한 구조의 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어 그 사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1의 작동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슬라이더 11 : 제1리벳
15 : 제1가로부 16 : 이동부
17 : 스토퍼 20 : 제2슬라이더
21 : 제2리벳 25 : 제2가로부
26 : 이동가이드부 29 : 가이드홈
30 : 탄성부 31 : 샤프트
32 : 압축스프링 100 : 스프링모듈

Claims (3)

  1.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를 제1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 되도록하는 스프링모듈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기 제1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리벳을 구비하며 가로로 길게 형성된 제1가로부와, 상기 제1리벳의 연장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가로부의 세로로 연장된 이동부로 구성된 제1슬라이더;
    중앙부에 상기 제2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리벳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가로부와 대향되는 제2가로부와, 상기 제2리벳의 연장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가로부의 세로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부를 슬라이딩 되도록 수납하는 이동가이드부로 구성된 제2슬라이더; 및
    상기 이동부 및 이동가이드부의 양측에서 상기 제1가로부와 제2가로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양측이 상기 제1가로부와 제2가로부를 각각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축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 상기 이동부와 이동가이드부의 단부가 각각 상기 제2리벳과 제1리벳까지 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이동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단부에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스토퍼에 걸려 상기 제1슬라이더가 제2슬라이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KR1020080057792A 2008-06-19 2008-06-19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KR20090131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792A KR20090131839A (ko) 2008-06-19 2008-06-19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792A KR20090131839A (ko) 2008-06-19 2008-06-19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839A true KR20090131839A (ko) 2009-12-30

Family

ID=4169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792A KR20090131839A (ko) 2008-06-19 2008-06-19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18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83B1 (ko) * 2011-06-29 2012-01-06 (주) 세이텍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20120052852A (ko) * 2010-11-16 2012-05-24 (주) 세이텍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WO2022054970A1 (ko) * 2020-09-08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852A (ko) * 2010-11-16 2012-05-24 (주) 세이텍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101103083B1 (ko) * 2011-06-29 2012-01-06 (주) 세이텍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WO2022054970A1 (ko) * 2020-09-08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632451B2 (en) 2020-09-08 2023-04-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display that slides and extends the screen siz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3321B2 (en) Slid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00022286A1 (en) Slid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50095455A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US8265720B2 (en) Slid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US7755892B2 (en) Slide mechanism and slide-type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KR101250791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20090131839A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US841146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cover
KR20070056782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KR100782446B1 (ko)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신축가능한 링크 조립체 및 그링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KR200403709Y1 (ko)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US20110095461A1 (en) Elastic assembly and slide mechanism using the same
KR101006261B1 (ko) 슬라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단말기
US8059427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70113702A (ko) 이통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1294296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20035335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100970983B1 (ko) 슬라이드 장치용 스프링 모듈
KR20037681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모듈
KR20050105683A (ko) 슬라이딩 개폐장치 및 이를 채용한 무선통신 단말기
KR200353355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US20120162927A1 (en) Sliding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KR20100083053A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개폐기구
KR20100026521A (ko) 환형스프링과 밴드스프링을 가진 휴대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액추에이터 조립체
KR20039851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