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852A -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852A
KR20120052852A KR1020110074650A KR20110074650A KR20120052852A KR 20120052852 A KR20120052852 A KR 20120052852A KR 1020110074650 A KR1020110074650 A KR 1020110074650A KR 20110074650 A KR20110074650 A KR 20110074650A KR 20120052852 A KR20120052852 A KR 20120052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xtension
guide
hinge
slid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준
임두영
김중규
박정민
한동희
Original Assignee
(주) 세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11364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117593A/ko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이텍 filed Critical (주) 세이텍
Publication of KR20120052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0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888Reciprocating to or from oscillating
    • Y10T74/18896Snap action
    • Y10T74/18904Plate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힌지용 탄성구동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키패드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가로형 스마트 폰 등에서 탄성구동체를 키패드가 설치되는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휴대폰의 전체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힌지용 탄성구동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Elastic Driving Device for Sliding Hinge}
본 발명은 휴대폰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힌지용 탄성구동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키패드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가로형 스마트 폰 등에서 탄성구동체를 키패드가 설치되는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휴대폰의 전체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힌지용 탄성구동체에 관한 것이다.
탄성력이 필요한 기구 또는 장치에는 다양한 구성의 탄성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는 주로 슬라이딩 모듈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 모듈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예로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전화가 있다.
무선 통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휴대 전화는 사람들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이러한 휴대 전화는 사람들의 기호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바 타입, 플립형 및, 폴더형 등) 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바 타입 휴대 전화는 키 패드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키 패드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플립형 휴대 전화에서는 플립으로 키 패드를 덮어서 보호함으로써 바 타입 휴대 전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지만, 이러한 플립형 휴대 전화의 경우 본체의 길이가 매우 길어서 휴대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바 타입 및 플립형 휴대 전화가 갖는 긴 본체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제안된 것이 폴더형 휴대 전화인데, 폴더형 휴대 전화는 통화나 휴대시 폴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폴더와 하부 폴더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이 쉽게 손상되었다.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 전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전화가 제안되었고,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전화는 액정 화면이 설치되어 있는 수화부와, 키 패드가 설치되어 있는 통화부 사이에 슬라이딩 모듈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 은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전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전화는 액정 화면이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 (1) 와 휴대 전화의 키 패드가 설치되어 있는 키패드부 (5)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전화는 액정 화면이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 (1) 를 슬라이딩하기 위하여, 내부에 나선형으로 복수 회 감겨진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는 슬라이딩 모듈의 경우 스프링의 텐션에 의해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방식으로, 스프링이 나선형으로 복수 회 감겨져 있어 코일 스프링의 두께의 길이만큼 디스플레이부 (1) 와 키패드부 (5) 사이의 간격이 요구되어 슬라이딩 모듈이 두꺼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는 슬라이딩 모듈의 경우, 토션 스프링을 가공하는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복적인 슬라이딩 동작으로 인해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고, 토션 스프링의 내구성이 떨어져 끊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모듈에 사용되는 토션 스프링은 전도성 물질인 금속으로 형성되므로, 휴대 전화 내부에 구성되는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과 접촉하게 되면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하여 휴대 전화의 고장 등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 부재의 경우, 그 형태에 따라 탄성력이 제한되므로 용도에 따라 각기 다른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탄성력을 높이기 위하여는 탄성 부재의 크기 (길이 및 폭) 를 늘여야 하므로, 탄성 부재가 장착될 공간이 제한적이면서 높은 탄성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탄성 부재의 선택 및 사용에 곤란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키패드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가로형 스마트 폰 등에서 탄성구동체를 키패드가 설치되는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휴대폰의 전체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탄성구동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상하로 스프링지지대 (32) 가 연장되게 설치되고, 가운데부분에는 스프링지지대 (32) 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 (34) 를 포함하는 제 1 바디 (30); 및
상기 제 1 바디 (30) 의 스프링지지대 (32) 에 스프링 (50) 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34) 가 끼워져 이동하는 경로인 가이드홈 (44) 을 포함하는 제 2 바디 (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바디 (40) 의 끝단부에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연장대 (60) 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바디 (30) 는 박막의 금속판의 재질로 에칭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 의 힌지결합부 (39) 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대 (32) 의 에지부 (33) 를 연마에 의해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가이드이동홈 (132) 이 설치되고 스프링지지대 (32) 가 결합되는 제 1 바디 (30); 및
상기 스프링지지대 (32) 에 스프링 (50) 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지지대 (32) 가 관통되는 구멍인 레일홈 (42) 이 구성되어 있는 제 2 바디 (40) 를 포함하고,
일직선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대 (160) 및 상기 연장대 (160) 와 동일선상에 구성된 가이드 (134)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134) 는 상기 연장대 (160)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134) 는 상기 제 2 바디 (40) 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134) 의 앞부분은 상기 제 1 바디 (30) 의 상기 가이드이동홈 (132) 에 끼워져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바디 (30) 에는 힌지결합부 (38) 가 구성되고,
상기 힌지결합부 (38) 는 상기 제 2 바디 (40) 와 근접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바디 (30) 의 가이드이동홈 (132) 에는 돌출부 (136) 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134) 는 돌출부 (164) 가 형성되어, 상기 두 돌출부 (136, 164) 가 서로 맞물리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바디 (30) 의 가이드이동홈 (132) 위에는 후크홈 (31) 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134) 에는 후크돌기 (168) 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돌기 (168) 가 후크홈 (31) 속에서 이동하면서 이동경로와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 (134) 에는 엠보 (135) 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장대 (160) 에는 엠보 (161) 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장대 (160) 와 상기 가이드 (134) 의 연결부위에는 보강대 (163) 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대 (32) 는 상기 제 1 바디 (30) 와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대 (32) 는 상기 제 2 바디 (40) 와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 1 바디 (30);
힌지결합부 (38) 가 구성되어 있는 제 2 바디 (40);
상기 제 1 바디 (30) 및 상기 제 2 바디 (40) 에 각각의 끝단부가 연결되는 인장스프링 (51);
상기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제 1 바디 (30) 와 고정결합하는 가이드 (134) 및
상기 가이드 (134) 와 동일선상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134) 보다 높게 형성되는 연장대 (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키패드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가로형 스마트 폰 등에서 탄성구동체를 키패드가 설치되는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휴대폰의 전체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전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휴대폰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각 상태를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가로방향의 절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세로방향의 절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휴대폰에 설치되는 모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궤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 은 슬라이더가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각각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 는 슬라이더가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각각의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2 (a) 의 절단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가로방향의 절단면도 및 내부의 투영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휴대폰에 설치되는 모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0 내지 도 3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궤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 는 슬라이더가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각각의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33 은 도 32 (a) 의 절단면도이다.
도 34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스프링지지대가 제 2 바디와 일체로 제조된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5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연장대가 제 2 바디와 일체로 구성되고 스프링지지대는 제 1 바디에 설치되는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6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연장대가 제 2 바디와 일체로 구성되고 스프링지지대가 제 2 바디에 설치되는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7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연장대가 제 2 바디와 일체로 구성되고, 스프링지지대가 제 2 바디와 일체로 구성되는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8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연장대, 가이드 및 연장대에 엠보가 구성되고, 가이드 연결하는 연결부위에 보강대가 설치된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9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제1 바디의 힌지결합부가 연장대의 힌지결합부와 가장 가까운 직선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된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0 은 도 39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변형예의 결합된 평면도이다.
도 41 은 도 39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변형예가 슬라이딩 힌지에 장착된 경우의 이동에 따른 궤적과 제 1 바디의 힌지결합부와 연장대의 힌지결합부의 직선거리가 더 먼 경우의 궤적의 비교도이다.
도 42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3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키패드바디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44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액정디스화면이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45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6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키패드바디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47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액정디스화면이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48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9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키패드바디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50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액정디스화면이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51 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52 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제 2 바디 (40) 의 끝부분에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길게 연장된 연장대 (60) 가 결합하는 구성을 한다.
제 2 바디 (40) 의 가운데 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제 1 바디 (30) 의 가이드 (34) 가 삽입되어 움직이는 가이드홈 (44) 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바디 (30) 의 가이드 (34) 는 가이드삽입구 (43) 를 통하여 삽입된다.
가이드홈 (44) 에는 가이드삽입구 (43) 에 가까운 곳에 훅크돌기 (46) 가 형성되어 제 1 바디 (30) 의 가이드 (34) 의 가운데가 개방된 훅크홈 (35) 이 끼워져 제 1 바디 (30) 가 제 2 바디 (40) 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는 각각 프레임 (10) 과 슬라이더 (20) 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힌지결합부 (38, 68) 가 형성되어 있고, 리벳 (39, 69) 에 의해 결합한다. 그리고, 스프링지지대 (32) 에는 스프링 (50) 이 끼워진다.
도 4 (a)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장대 (60) 는 제 1 및 제 2 바디 (30, 40) 보다 높게 구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휴대폰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각 상태를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슬라이더 (20) 가 프레임 (10) 에 대하여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고, 도 6 을 참조하면 슬라이더 (20) 가 프레임 (10) 을 기준으로 1/2 정도 위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 있고, 도 7 을 참조하면, 슬라이더 (20) 가 상방향으로 완전히 슬라이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이 때의 본 발명에 따른 탄성구동체가 위치한 모양이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더 (20) 에는 탄성구동체의 연장대 (22) 가 움직이는 공간인 연장대 궤적부 (22) 가 볼록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탄성구동체는 프레임 (10) 과 슬라이더 (2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연장대 (60) 가 제 1 및 제 2 바디 (30, 40) 보다 약간 더 높게 구성되기 때문에 연장대궤적부 (22) 가 슬라이더 (20) 에 대해 약간 볼록하게 구성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장대 (60) 를 제외한 나머지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 로 구성된 탄성구동체가 프레임 (10) 부분에만 위치하고 또한 움직이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의 키버튼들이 위치하는 키패드부 (5) 에는 탄성구동체가 위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대폰의 전체두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도이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일직선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 (134) 와 가이드 (134) 보다 높이가 약간 더 높게 형성된 연장대 (160) 가 일체로 구성되고, 연장대 (160) 의 일측면에는 제 2 바디 (40) 와의 체결력을 강화해주는 체결력 강화돌기 (162)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바디 (30) 에는 샤프트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스프링지지대 (32) 가 고정되게 구성하고, 각각의 스프링지지대 (32) 에 코일스프링 (50) 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 2 바디 (40) 의 각각의 레일홈 (42) 에 각각의 스프링지지대 (32) 가 삽입된다.
제 2 바디 (40) 의 가이드고정부 (143) 에 가이드 (134) 가 끼워진 상태에서 조립 또는 인서트사출로서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체결력 강화돌기 (162) 는 연장대 (160) 와 사출물인 제 2 바디 (40) 의 결합력을 강화시킨다. 가이드 (134) 의 일측면에는 돌출된 돌출부 (164) 가 구성되어 있고, 제 1 바디 (30) 속에 가이드이동홈 (132) 을 통과하도록 삽입된 가이드 (134) 의 돌출부 (164) 는 제 1 바디 (30) 속의 돌출부 (136) 와 서로 걸리게 되어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가로방향의 절단면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제 1 바디 (30) 의 가이드이동홈 (132) 의 내부 속에 돌출부 (136) 가 구성되어 있어 가이드 (134) 의 돌출부 (164) 와 맞물리게 되어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가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세로방향의 절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 를 참조하면, 제 1 바디 (30) 의 가이드이동홈 (132) 의 윗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방된 훅크홈 (31) 이 구성되어 있고, 가이드 (134) 에는 돌출된 훅크돌기 (168) 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134) 가 제 2 바디 (40) 와 결합되게 구성된 후 가이드 (134) 가 제 1 바디 (30) 의 가이드이동홈 (132) 에 삽입되면 훅크돌기 (168) 가 훅크홈 (31) 에 끼워지고 훅크홈 (31) 을 따라 이동하고, 또한 훅크홈 (31) 에 걸려져서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가 서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성을 한다.
도 15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도이다.
도 15 를 참조하면, 가이드 (134) 의 표면에는 가이드 (134) 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볼록 튀어나온 엠보 (135) 가 구성되어 있고, 가이드 (134) 와 연장대 (160) 의 연결부분에는 체결력을 강화하는 보강대 (163) 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대 (163) 와 엠보 (135) 의 설치에 의해 동일한 직선상에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 (134) 와 연장대 (160) 가 길이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휴대폰에 설치되는 모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 을 참조하면, 프레임안착부 (6) 에 프레임 (10) 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연장대 (160) 가 제 1 및 제 2 바디 (30, 40) 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 탄성구동체가 프레임 (10) 위에 위치하고, 연결홈 (12) 과 탄성구동체의 힌지결합부 (38) 가 회전할 수 있도록 리벳 (73) 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액정 등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부 (1) 와 결합되는 슬라이더 (20) 가 탄성구동체 위에 위치하고 양변리 프레임 (10) 의 양변에 끼워지게 설치되고, 탄성구동체의 연장대 (160) 쪽의 힌지결합부 (68) 와 회전할 수 있도록 리벳 (73) 에 의해 연결된다.
프레임 (10) 의 가운데 부분은 연장대 (160) 의 높이만큼 아래로 들어간 안착부 (11) 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17 내지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궤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을 참조하면, 프레임 (10) 을 기준으로 슬라이더 (미도시됨) 가 상부로 움직이면서 탄성구동체의 움직이는 궤적이 도시되어 있다. 탄성구동체가 이동하는 궤적부 (70) 는 프레임 (10) 의 상하부를 벗어나지 않고 프레임안에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탄성구동체가 숫자키들의 버튼들이 설치되는 키패트부 (5) 로는 이동하지 않아서 키패드부 (5) 에 탄성구동체가 움직일 공간까지 확보할 필요가 없어서 휴대폰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8 을 참조하면, 슬라이더 (20) 를 기준으로 프레임 (10) 이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에 슬라이더 (20) 의 아래부분에 위치한 탄성구동체의 움직임을 도시한다. 슬라이더 (20) 상에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공간인 궤적부 (80) 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 내지 도 21 은 슬라이더가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각각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는 프레임 (10) 내에서만 움직이고, 오직 두께가 얇은 연장대 (160) 만이 프레임 (10) 부분을 이탈하여 움직인다.
도 22 는 슬라이더가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각각의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2 (a) 의 절단면도이다.
도 23 을 참조하면, 프레임 (10) 의 가운데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안착부 (11) 가 구성되어 탄성구동체의 제 1 및 제 2 바디 (30, 40) 의 두께는 안착부 (11) 속에서 잠기게 되고 연장대 (160) 는 제 1 및 제 2 바디 (30, 40) 보다 높게 형성되어 안착부 (11) 의 높이보다 위에 위치하게 된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일직선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 (134) 와 가이드 (134) 보다 높이가 약간 더 높게 형성된 연장대 (160) 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바디 (30) 에는 샤프트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스프링지지대 (32) 가 구성되지 않고, 다수개의 인장스프링 (51) 의 끝부분이 각각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에 연결된다.
제 2 바디 (40) 의 가이드고정부 (143) 는 개방된 홈으로서 가이드 (134) 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의 앞부분이 제 1 바디 (30) 고정된 후, 제 2 바디 (40) 의 가이드고정부 (143) 에 가이드 (134) 가 끼워진 상태에서 제 2 바디 (40) 가 가이드 (134) 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한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탄성구동체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인장스프링 (51) 을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에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토퍼의 구성은 필요하지 않다.
도 2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가로방향의 절단면도 및 내부의 투영도이다.
도 27 을 참조하면, 가이드 (134) 의 앞부분만이 제 1 바디 (30) 와 고정되게 결합한다. 가이드 (134) 는 제 2 바디 (40) 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 2 바디 (40) 가 인장스프링 (51) 이 늘어났다 줄어들면서 가이드 (134) 를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사이에 2 군데의 독립된 공간에 인장스프링 (51) 이 설치된다.
프레임 (10) 또는 슬라이더 (20) 와 결합하는 힌지결합부 (38) 는 제 2 바디 (40) 에 형성된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휴대폰에 설치되는 모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9 를 참조하면, 프레임안착부 (6) 에 프레임 (10) 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연장대 (160) 가 제 1 및 제 2 바디 (30, 40) 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 탄성구동체가 프레임 (10) 위에 위치하고, 연결홈 (12) 과 탄성구동체의 힌지결합부 (38) 가 회전할 수 있도록 리벳 (73) 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액정 등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부 (1) 와 결합되는 슬라이더 (20) 가 탄성구동체 위에 위치하고 양 변이 프레임 (10) 의 양 변에 끼워지게 설치되고, 탄성구동체의 연장대 (160) 쪽의 힌지결합부 (68) 와 회전할 수 있도록 리벳 (73) 에 의해 연결된다.
프레임 (10) 의 가운데 부분은 연장대 (160) 의 높이만큼 아래로 들어간 안착부 (11) 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30 내지 도 3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궤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 을 참조하면, 프레임 (10) 을 기준으로 슬라이더 (미도시됨) 가 상부로 움직이면서 탄성구동체의 움직이는 궤적이 도시되어 있다. 탄성구동체가 이동하는 궤적부 (70) 는 프레임 (10) 의 상하부 폭을 벗어나지 않고 프레임안에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탄성구동체가 숫자키들의 버튼들이 설치되는 키패트부 (5) 로는 이동하지 않아서 키패드부 (5) 에 탄성구동체가 움직일 공간까지 확보할 필요가 없어서 휴대폰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1 를 참조하면, 슬라이더 (20) 를 기준으로 프레임 (10) 이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에 슬라이더 (20) 의 아래부분에 위치한 탄성구동체의 움직임을 도시한다. 슬라이더 (20) 상에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공간인 궤적부 (80) 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제 2 바디 (40) 의 힌지결합부 (38) 는 프레임 (10) 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연장대 (160) 의 힌지결합부 (68) 는 슬라이더 (10) 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도 32 는 슬라이더가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각각의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3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는 프레임 (10) 내에서만 움직이고, 오직 두께가 얇은 연장대 (160) 만이 프레임 (10) 부분을 이탈하여 움직인다.
도 33 은 도 32 (a) 의 절단면도이다.
도 33 을 참조하면, 프레임 (10) 의 가운데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안착부 (11) 가 구성되어 탄성구동체의 제 1 및 제 2 바디 (30, 40) 의 두께는 안착부 (11) 속에서 잠기게 되고 연장대 (160) 는 제 1 및 제 2 바디 (30, 40) 보다 높게 형성되어 안착부 (11) 의 높이보다 위에 위치하게 된다.
도 34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스프링지지대가 제 2 바디와 일체로 제조된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4 를 참조하면, 스프링지지대 (32) 가 제 2 바디 (40) 와 일체로 구성된 탄성구동체의 변형예이다. 이 경우 스프링지지대 (32) 가 끼워져 지나가는 레일홈 (42) 은 제 2 바디 (40) 에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도 35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연장대가 제 2 바디와 일체로 구성되고 스프링지지대는 제 1 바디에 설치되는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5 를 참조하면, 연장대 (160), 가이드 (134) 가 일체로 설치된 일체형 제 2 바디 (200) 가 구성되어 있는 탄성구동체의 변형예이다. 도 35의 경우에는 스프링지지대 (32) 는 제 1 바디 (30) 와 연결되게 고정설치된다.
도 36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연장대가 제 2 바디와 일체로 구성되고 스프링지지대가 제 2 바디에 설치되는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6 을 참조하면, 연장대 (160), 가이드 (134) 가 일체로 설치된 일체형 제 2 바디 (200) 가 구성되어 있는 탄성구동체의 변형예이다. 도 36의 경우에는 스프링지지대 (32) 는 제 2 바디 (30) 와 연결되게 고정설치된다.
도 37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연장대가 제 2 바디와 일체로 구성되고, 스프링지지대가 제 2 바디와 일체로 구성되는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7 을 참조하면, 연장대 (160), 가이드 (134) 가 일체로 설치된 일체형 제 2 바디 (200) 가 구성되어 있는 탄성구동체의 변형예이다. 도 37 의 경우에는 스프링지지대 (32) 가 제 2 바디 (40) 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도 38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연장대, 가이드 및 연장대에 엠보가 구성되고, 가이드 연결하는 연결부위에 보강대가 설치된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8 을 참조하면, 강도를 보강하는 비드인 엠보 (135, 161) 가 가이드 (134) 및 연장대 (160) 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134) 와 보강대 (160) 가 연결되는 부분에 보강대 (163)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9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에서 제1 바디의 힌지결합부가 연장대의 힌지결합부와 가장 가까운 직선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된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0 은 도 39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변형예의 결합된 평면도이다.
도 39 내지 도 40 을 참조하면, 도 8 에서는 힌지결합부 (38) 가 제 1 바디 (30) 의 앞쪽에 형성되었지만, 도 39 내지 도 40 에서는 힌지결합부 (37) 가 제 1 바디 (30) 에서 제 2 바디 (40) 에 근접한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연장대 (160) 의 힌지결합부 (68) 와의 직선거리 (A) 가 최대한 짧아지게 구성한다.
도 41 는 도 39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변형예가 슬라이딩 힌지에 장착된 경우의 이동에 따른 궤적과 제 1 바디의 힌지결합부와 연장대의 힌지결합부의 직선거리가 더 먼 경우의 궤적의 비교도이다.
도 41(a) 를 참조하면, 제 1 바디 (30) 의 힌지결합부 (37) 가 제 2 바디 (40) 에 최대로 근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연장대 (160) 의 힌지결합부 (68) 와의 직선거리 (A) 가 짧아졌기 때문에 슬라이딩 힌지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른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궤적범위 (71) 가 프레임 (10) 내에 국한되면서 최소화된다.
도 41(b) 를 참조하면, 도 8 과 같이 힌지결합부 (38) 가 제 2 바디 (40) 와 먼곳에 위치한다면 연장대 힌지결합부 (68) 와의 직선거리 (A') 가 더 멀어져서 탄성구동체가 움직이는 궤적범위 (70) 는 더 커져서 프레임 (10) 의 영역내로 정하는데 설계상에 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도 42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ㄷ' 자 모양의 제 1 바디 (30), 제 1 바디 (30) 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스프링지지대 (32), 각각의 스프링지지대 (32) 에 끼워져 삽입되는 코일스프링 (50), 코일스프링 (50) 이 끼워진 스프링지지대 (32) 가 레일홈 (42) 에 삽입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제 2 바디 (40), 제 2 바디 (40) 와 결합하고 길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연장대 (160) 및 제 1 바디 (30) 와 결합하여 제 2 바디 (40) 가 제 1 바디 (30) 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바디 (31) 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바디 (30) 에는 프레임 (10) 과 회전가능하도록 리벳 등에 의해 결합하는 힌지결합부 (38) 가 구성되고, 길게 연장된 두께가 얇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연장대 (160) 에는 길이방향으로 강도를 보강하는 비드인 엠보 (161) 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연장대 (160) 의 끝단부에는 슬라이더 (20) 와 리벳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 (68) 가 구성된다.
도 43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키패드바디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44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액정디스화면이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4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제 1 바디 (30) 의 힌지결합부 (38) 가 키패드바디 (5) 의 프레임 (10) 에 리벳 등의 수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44 의 슬라이더 (20) 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연장대 (160) 의 힌지결합부 (68) 가 액정패널이 설치되는 슬라이더 (20) 에 리벳 등의 수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탄성구동체가 프레임 (10) 과 슬라이더 (20) 사이에 배치되어 각 단계별로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실제로는 슬라이더 (20) 의 뒷면부분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연장대 (160) 의 두께를 0.1 내지 0.5 mm 정도로 매우 얇기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연장대 (160) 가 키패드바디 (5) 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연장대 (160) 가 움직일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설계할 필요가 없어서 핸드폰의 두께를 더 두껍게 제조할 필요가 없다. 슬라이딩 핸드폰에 있어서 캐패드가 설치되는 하부패널과 액정패널 등이 설치되는 상부패널 사이에 0.5 mm 정도의 공간이 있기 때문에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에서 연장대 (160) 는 별도로 확보된 공간이 없어서 충분히 움직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핸드폰의 두께를 별도로 더 두껍게 할 필요가 없다.
도 45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제 1 바디 (30), 제 2 바디,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에 양측의 단부가 결합되는 인장스프링 (51) 및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고 제 1 바디 (30) 와 결착하는 연장대 (160) 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장스프링 (51) 은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에 인서트사출로서 결합되는 부분인 결합대 (151) 의 외경이 나머지 부분의 외경보다 작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인장스프링 (51) 의 결합부 (151) 의 외경이 작기 때문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인장스프링 (51) 의 결합대 (151) 가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에 결합한 경우, 본 발명의 인장스프링 (51) 이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 로부터 이탈되기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인장스프링 (51) 의 양 끝단부는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 함께 인서트 사출하지 않고,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 의 외부에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 와 인서트사출시 인장스프링 (51) 내부로 사출물이 스며들어기자 않도록 막는 별도의 슬라이드코어가 필요없다.
본 발명의 연장대 (160) 는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제 1 바디 (30) 와 연장대 (160) 의 결착홈 (162) 에 의해 고정되게 결착된다.
본 발명의 제 1 바디 (30) 에는 프레임 (10) 과 회전가능하도록 리벳 등에 의해 결합하는 힌지결합부 (38) 가 구성되고, 길게 연장된 두께가 얇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연장대 (160) 의 끝단부에는 슬라이더 (20) 와 리벳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 (68) 가 구성된다.
도 46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키패드바디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47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액정디스화면이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4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제 1 바디 (30) 의 힌지결합부 (38) 가 키패드바디 (5) 의 프레임 (10) 에 리벳 등의 수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47 의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슬라이더 (20) 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7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연장대 (160) 의 힌지결합부 (68) 가 액정패널이 설치되는 슬라이더 (20) 에 리벳 등의 수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탄성구동체가 프레임 (10) 과 슬라이더 (20) 사이에 배치되어 각 단계별로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실제로는 슬라이더 (20) 의 뒷면부분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47 과는 달리 탄성구동체는 슬라이더 (20) 의 뒷면에 위치하여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연장대 (160) 의 두께를 0.1 내지 0.5 mm 정도로 매우 얇기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연장대 (160) 가 키패드바디 (5) 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연장대 (160) 가 움직일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설계할 필요가 없어서 핸드폰의 두께를 더 두껍게 제조할 필요가 없다. 슬라이딩 핸드폰에 있어서 캐패드가 설치되는 하부패널과 액정패널 등이 설치되는 상부패널 사이에 0.5 mm 정도의 공간이 있기 때문에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에서 연장대 (160) 는 별도로 확보된 공간이 없어서 충분히 움직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핸드폰의 두께를 별도로 더 두껍게 할 필요가 없다.
도 48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제 1 바디 (30), 제 2 바디,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에 양측의 단부가 결합되는 인장스프링 (51) 및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고 제 1 바디 (30) 와 결합하는 연장대 (160) 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장스프링 (51) 은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에 인서트사출로서 결합되는 부분인 결합대 (151) 의 외경이 나머지 부분의 외경보다 작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인장스프링 (51) 의 결합부 (151) 의 외경이 작기 때문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인장스프링 (51) 의 결합대 (151) 가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에 결합한 경우, 본 발명의 인장스프링 (51) 이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 로부터 이탈되기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인장스프링 (51) 의 양 끝단부는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 함께 인서트 사출하지 않고,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 의 외부에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 와 인서트사출시 인장스프링 (51) 내부로 사출물이 스며들어기자 않도록 막는 별도의 슬라이드 코어가 필요없다.
본 발명의 연장대 (160) 는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제 1 바디 (30) 와 연장대 (160) 의 끝단부가 리벳 등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본 발명의 제 2 바디 (40) 에는 프레임 (10) 과 회전가능하도록 리벳 등에 의해 결합하는 힌지결합부 (38) 가 구성되고, 길게 연장된 두께가 얇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연장대 (160) 의 끝단부에는 슬라이더 (20) 와 리벳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 (68) 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연장대 (160) 에는 리벳가이드홈 (260) 이 구성되어, 리벳가이드홈 (260) 이 제 2 바디 (40) 에 관통되게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힌지결합부 (38) 에 리벳 등의 수단이 삽입되어 탄성구동체가 프레임 (10) 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탄성구동체는 힌지결합부 (38) 의 위치가 연장대 (160) 의 리벳가이드홈 (260)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45 의 제 7 실시예의 힌지결합부 (38) 보다 제 2 바디 (40) 의 좀 더 안쪽부분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힌지결합부 (38) 가 제 2 바디 (40) 가 리벳가이드홈 (260) 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인장스프링 (51) 의 탄성력이 더 크게 슬라이드 구동시 프레임 (10) 과 슬라이더 (20) 에 전달된다.
도 49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키패드바디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50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가 액정디스화면이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 4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제 2 바디 (430) 의 힌지결합부 (38) 가 키패드바디 (5) 의 프레임 (10) 에 리벳 등의 수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50 의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슬라이더 (20) 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구동하는 각 단계별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연장대 (160) 의 힌지결합부 (68) 가 액정패널이 설치되는 슬라이더 (20) 에 리벳 등의 수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탄성구동체가 프레임 (10) 과 슬라이더 (20) 사이에 배치되어 각 단계별로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실제로는 슬라이더 (20) 의 뒷면부분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50 과는 달리 탄성구동체는 슬라이더 (20) 의 뒷면에 위치하여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연장대 (160) 의 두께를 0.1 내지 0.5 mm 정도로 매우 얇기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연장대 (160) 가 키패드바디 (5) 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연장대 (160) 가 움직일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설계할 필요가 없어서 핸드폰의 두께를 더 두껍게 제조할 필요가 없다. 슬라이딩 핸드폰에 있어서 캐패드가 설치되는 하부패널과 액정패널 등이 설치되는 상부패널 사이에 0.5 mm 정도의 공간이 있기 때문에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사이에서 연장대 (160) 는 별도로 확보된 공간이 없어서 충분히 움직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핸드폰의 두께를 별도로 더 두껍게 할 필요가 없다.
도 51 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52 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1 내지 도 5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는 인장스프링 (50) 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인장스프링 (50) 의 양끝단부에 둥근모양의 고리 (153)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에 인장스프링 (50) 의 고리 (153) 가 삽입되는 홈이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인장스프링 (50) 의 고리 (153) 가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의 인장스프링 (50) 의 고리 (153) 가 삽입되는 홈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프링고정봉 (250) 이 제 1 및 제 2 바디 (30, 40) 에 삽입되면서 각각의 고리 (153) 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인장스프링 (50) 은 제 1 바디 (30) 및 제 2 바디 (40) 로부터 이탈되기 쉽지 않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장대 (160) 는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제 1 바디 (30) 와 연장대 (160) 의 끝단부가 서로 고정되게 결합한다.
본 발명의 제 2 바디 (40) 에는 프레임 (10) 과 회전가능하도록 리벳 등에 의해 결합하는 힌지결합부 (38) 가 구성되고, 길게 연장된 두께가 얇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연장대 (160) 의 끝단부에는 슬라이더 (20) 와 리벳 (73) 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 (68) 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연장대 (160) 에는 리벳가이드홈 (260) 이 구성되어, 리벳가이드홈 (260) 이 제 2 바디 (40) 에 관통되게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힌지결합부 (38) 에 리벳 등의 수단이 삽입되어 탄성구동체가 프레임 (10) 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탄성구동체는 힌지결합부 (38) 의 위치가 제 2 바디 (40) 의 중앙부분에 위치하고, 연장대 (160) 의 리벳가이드홈 (260) 상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힌지결합부 (38) 가 제 2 바디 (40) 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또한, 리벳가이드홈 (260) 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인장스프링 (51) 의 탄성력이 더 크게 슬라이드 구동시 프레임 (10) 과 슬라이더 (20) 에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구동체에 의하면, 키패드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가로형 스마트 폰 등에서 프레임과 슬라이더로 구성된 슬라이딩 힌지가 상하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동안에 탄성구동체의 이동범위를 프레임이 설치된 영역에 국한시키고 키패드가 설치되는 영역에는 탄성구동체가 이동하지 않게 하여 키패드가 설치되는 영역에 탄성구동체의 이동을 위해 별도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서 휴대폰의 전체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1: 디스플레이부 5: 키패드부
30, 31: 제 1 바디 32: 스프링지지대
34: 가이드 36: 후크
37: 잔공 38: 힌지결합부
39: 리벳조립부 40: 제 2 바디
42: 레일홈 44: 가이드홈
51: 인장스프링
70: 궤적부
134: 가이드 160: 연장대
168: 후크돌기

Claims (15)

  1. 상하로 스프링지지대 (32) 가 연장되게 설치되고, 가운데부분에는 스프링지지대 (32) 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 (34) 를 포함하는 제 1 바디 (30); 및
    상기 제 1 바디 (30) 의 스프링지지대 (32) 에 스프링 (50) 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34) 가 끼워져 이동하는 경로인 가이드홈 (44) 을 포함하는 제 2 바디 (40)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 (40) 의 끝단부에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연장대 (60) 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2. 가이드이동홈 (132) 이 설치되고 스프링지지대 (32) 가 결합되는 제 1 바디 (30); 및
    상기 스프링지지대 (32) 에 스프링 (50) 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지지대 (32) 가 관통되는 구멍인 레일홈 (42) 이 구성되어 있는 제 2 바디 (40) 를 포함하고,
    일직선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대 (160) 및 상기 연장대 (160) 와 동일선상에 구성된 가이드 (134)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134) 는 상기 연장대 (160)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134) 는 상기 제 2 바디 (40) 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134) 의 앞부분은 상기 제 1 바디 (30) 의 상기 가이드이동홈 (132) 에 끼워져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 (30) 에는 힌지결합부 (38) 가 구성되고,
    상기 힌지결합부 (38) 는 상기 제 2 바디 (40) 와 근접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 (30) 의 가이드이동홈 (132) 에는 돌출부 (136) 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134) 는 돌출부 (164) 가 형성되어, 상기 두 돌출부 (136, 164) 가 서로 맞물리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 (30) 의 가이드이동홈 (132) 위에는 후크홈 (31) 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134) 에는 후크돌기 (168) 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돌기 (168) 가 후크홈 (31) 속에서 이동하면서 이동경로와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134) 에는 엠보 (135) 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 (160) 에는 엠보 (161) 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 (160) 와 상기 가이드 (134) 의 연결부위에는 보강대 (163) 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지지대 (32) 는 상기 제 1 바디 (30) 와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지지대 (32) 는 상기 제 2 바디 (40) 와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11. 제 1 바디 (30);
    힌지결합부 (38) 가 구성되어 있는 제 2 바디 (40);
    상기 제 1 바디 (30) 및 상기 제 2 바디 (40) 에 각각의 끝단부가 연결되는 인장스프링 (51);
    상기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제 1 바디 (30) 와 고정결합하는 가이드 (134) 및
    상기 가이드 (134) 와 동일선상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134) 보다 높게 형성되는 연장대 (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12. 제 1 바디 (30),
    상기 제 1 바디 (30) 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스프링지지대 (32);
    상기 각각의 스프링지지대 (32) 에 끼워져 삽입되는 코일스프링 (50);
    상기 코일스프링 (50) 이 끼워진 스프링지지대 (32) 가 레일홈 (42) 에 삽입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제 2 바디 (40);
    상기 제 2 바디 (40) 와 결합하고 길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연장대 (160) 및,
    상기 제 1 바디 (30) 와 결합하여 제 2 바디 (40) 가 제 1 바디 (30) 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바디 (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13. 제 1 바디 (30), 제 2 바디
    상기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에 양측의 단부가 결합되는 인장스프링 (51) 및
    상기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고 상기 제 1 바디 (30) 와 결착하는 연장대 (160) 를 포함하고,
    상기 인장스프링 (51) 은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에 인서트사출로서 결합되는 부분인 결합대 (151) 의 외경이 나머지 부분의 외경보다 작은 구성을 가지고,
    상기 인장스프링 (51) 의 결합대 (151) 의 외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14. 제 1 바디 (30), 제 2 바디,
    상기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에 양측의 단부가 결합되는 인장스프링 (51) 및,
    상기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고 제 1 바디 (30) 와 결합하는 연장대 (160)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대 (160) 는 상기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 (30) 와 상기 연장대 (160) 의 끝단부가 리벳 등에 고정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15. 제 1 바디 (30), 제 2 바디,
    상기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에 양측의 단부가 결합되는 인장스프링 (51) 및,
    상기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고 제 1 바디 (30) 와 결합하는 연장대 (160)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대 (160) 는 상기 제 2 바디 (40) 를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 (30) 와 상기 연장대 (160) 의 끝단부가 리벳 등에 고정되게 결합하고,
    상기 인장스프링 (50) 의 양끝단부에는 둥근모양의 고리 (153) 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에 인장스프링 (50) 의 고리 (153) 가 삽입되는 홈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인장스프링 (50) 의 고리 (153) 가 상기 제 1 바디 (30) 와 제 2 바디 (40) 의 인장스프링 (50) 의 고리 (153) 가 삽입되는 홈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프링고정봉 (250) 이 제 1 및 제 2 바디 (30, 40) 에 삽입되면서 각각의 고리 (153) 에 끼워지게 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1020110074650A 2010-11-16 2011-07-27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20120052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645A KR20110117593A (ko) 2010-04-21 2010-11-16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1020100113645 2010-11-16
KR1020100119266 2010-11-29
KR1020100119266 2010-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852A true KR20120052852A (ko) 2012-05-24

Family

ID=4626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650A KR20120052852A (ko) 2010-11-16 2011-07-27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285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378A (ko) * 2006-12-05 200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090131839A (ko) * 2008-06-19 2009-12-30 삼광공업(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KR20100008660A (ko) * 2008-07-16 2010-01-26 이수진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100008694U (ko) * 2009-02-24 2010-09-02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378A (ko) * 2006-12-05 200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090131839A (ko) * 2008-06-19 2009-12-30 삼광공업(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스프링모듈
KR20100008660A (ko) * 2008-07-16 2010-01-26 이수진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100008694U (ko) * 2009-02-24 2010-09-02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939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JP4731587B2 (ja) 移動通信端末機
KR101733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200408500Y1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00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120058389A (ko)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WO2009038371A2 (en) Spring device, sliding module therewith and mobile device therewith
KR20120052852A (ko)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100950259B1 (ko) 휴대폰용 힌지 스프링 모듈
KR20070040136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장치
KR101033478B1 (ko)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 부재
KR1008536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KR200419226Y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41880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20110117593A (ko)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101218129B1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에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탄성구동체
KR101043599B1 (ko)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구동체
KR101156627B1 (ko) 탄성 모듈
KR100912632B1 (ko) 이동통신기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KR20110078094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19819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20100138238A (ko) 휴대폰용 힌지 스프링
KR101103084B1 (ko)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장치
KR20090108571A (ko) 탄성 부재가 설치된 슬라이딩 모듈
KR101533845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