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031B1 -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031B1
KR102267031B1 KR1020190086382A KR20190086382A KR102267031B1 KR 102267031 B1 KR102267031 B1 KR 102267031B1 KR 1020190086382 A KR1020190086382 A KR 1020190086382A KR 20190086382 A KR20190086382 A KR 20190086382A KR 102267031 B1 KR102267031 B1 KR 102267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ock
security code
user terminal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619A (ko
Inventor
김호건
Original Assignee
진흥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흥기계(주) filed Critical 진흥기계(주)
Priority to KR102019008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03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23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 G07C2009/0024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periodically, e.g. after a time peri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 및 조작되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 가능한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근거리 통신 채널을 자동 형성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보안 코드를 수신 및 저장하는 보안 코드 수신부; 캐빈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획득 및 출력하는 키패드; 도어락 제어 동작에 이용할 보안 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전 획득 및 저장하고, 상기 보안 코드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보안 코드와 상기 키패드에 의해 입력된 비밀 번호를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는 도어락 제어부; 및 상기 도어락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캐빈 도어를 개방시키는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Door-lock apparatus for cabin of heavy equipment vehicles}
본 발명은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장비 차량의 캐빈에 적용 가능하며, 차량 리모콘 없이도 캐빈 도어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소유자는 순정 리모콘을 소유하고 있다가 차량과 떨어진 위치에서 순정리모콘의 버튼을 눌러 차량의 도어를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킬 수 있다.
순정리모콘에는 도어록킹버튼, 도어언록킹버튼, 트렁크언록킹버튼을 일반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제품종류에 따라서는, 차량에서 경고음이 송출되어 차량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경고음버튼 등이 더 구비된 것이 있다.
사용자는 마트 등의 대형주차장에서 자신의 차량의 주차위치를 인지하지 못할 경우, 순정리모콘의 경고음버튼을 눌러, 차량에서 경고음이 출력되게 함으로써 자신의 차량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순정리모콘을 통한 차량도어개폐는 순정리모콘이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차량과의 거리가 제한적이었으며,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의 소지품 외에도 순정리모콘을 가지고 다녀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국내공개번호 제10-2010-0097510호 (공개일자 : 2010.09.03)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 리모콘 없이도 캐빈 도어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트랙터와 같은 중장비 차량의 캐빈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휴대 및 조작되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 가능한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근거리 통신 채널을 자동 형성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보안 코드를 수신 및 저장하는 보안 코드 수신부; 캐빈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획득 및 출력하는 키패드; 도어락 제어 동작에 이용할 보안 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전 획득 및 저장하고, 상기 보안 코드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보안 코드와 상기 키패드에 의해 입력된 비밀 번호를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는 도어락 제어부; 및 상기 도어락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캐빈 도어를 개방시키는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제어부는 상기 보안 코드를 우선 이용하되, 상기 보안 코드 이용이 불가능하면 상기 키패드를 동작 활성화시켜 상기 비밀번호를 추가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원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제어부는 도어 개방 시도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도어 개방 시도 횟수가 기 설정 회수 이상이면, 비정상적인 도어 개방 시도를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는 중장비 차량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후, 위치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위치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안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 사용자 전화 번호, 사용자 전화 번호, 지문 이미지, 비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암호화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패드는 박막 필름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보안 코드를 이용하여 도어 개방 동작을 수행하거나, 캐빈 도어 설치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도어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차량 리모콘 또는 열쇠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다니지 않고도, 보다 안전하게 도어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의 비정상적인 개방 시도, 차량 현재 위치를 메시지 기반으로 통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격지에서도 차량 상황을 손쉽게 인지하고, 관련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도어락 매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에 의해 휴대 및 조작되는 사용자 단말(100)과 캐빈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20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원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이다.
특히,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은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와의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도어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한다. 도어락 어플리케이션은 자신과 연동될 도어락 장치(200)를 인식 및 등록하고, 이에 제공될 보안 코드를 획득 및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이 도어락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의 보안 코드를 암호화한 후 도어락 장치(200)에 자동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보안 코드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장치 번호)와 사용자 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암호화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비밀 번호를 추가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비밀번호는 번호 조합, 드래그 패턴, 및 사용자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어락 장치(200)는 자신에 접근된 사용자 단말(100)이 자동 전송하는 보안 코드를 수신 및 분석하여 캐빈 도어의 개방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원활히 수행될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캐빈 도어에 부착되는 키패드를 추가 구비하고, 이를 통해 수동 입력되는 비밀 번호에 기반해서도 캐빈 도어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도어락의 보안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보안 코드와 키패드 비밀 번호를 중복 이용하여 캐빈 도어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보안 코드와 키패드 비밀 번호의 이용 순서를 사전 설정한 후, 사용자가 해당 순서로 코드와 키패드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한하여 캐빈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보안 코드와 키패드 비밀 번호의 이용 순서라는 무형의 정보를 추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사전 인지하고 있는 캐빈 도어락의 정당한 사용자만이 캐빈 도어락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이 도어락 장치(200)는 통신부(210), 보안 코드 수신부(220), 키패드(230), 도어락 제어부(240), 잠금 장치(250) 및 위치 안내부(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기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마다 사용자 단말(100)과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자동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원거리 통신 모듈을 추가 구비하여, 중장치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신까지 지원하도록 한다.
보안 코드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00)이 보안 코드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면, 이를 수신 및 복호화한 후 도어락 제어부(240)에 제공하도록 한다.
키패드(230)는 캐빈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이를 통해 비밀번호를 수동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키패드(230)는 부피 최소화를 위해 폴리에스터 전자 회로 기판(PET PCB)을 기반으로 한 박막 필름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의 구체적 실시예는 장치 구현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 당연하다.
도어락 제어부(240)는 도어락 초기화 과정을 통해 도어락 제어 동작에 이용할 보안 코드 및 비밀번호를 획득 및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하는 보안 코드, 키패드(230)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저장된 정보과 비교 분석한 후, 도어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도어락 제어부(240)는 보안 코드를 우선 이용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되, 보안 코드 이용이 불가능할 때에만 키패드를 동작 활성화시켜 비밀번호를 추가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도어락 제어부(240)는 사용자에 의해 도어 개방 시도 횟수를 카운팅하고, 만약 도어 개방 시도 횟수가 기 설정 횟수 이상이면, 캐빈 도어 개방이 비정상적으로 시도되고 있음을 통보하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경고 메시지는 근거리 통신 모듈 뿐 아니라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해서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는 사용자 단말이 중장치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캐빈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방 시도를 확인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잠금 장치(250)는 도어락 제어부(240)의 제어하에 캐빈 도어의 잠금 동작, 개방 동작을 실제 수행하도록 한다.
위치 안내부(260)는 GPS 장치와 같은 위치 안내부를 구비하고, 도어락 장치(200)가 설치된 중장비 차량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후, 원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안내하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위치 안내 동작은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한 경우에만 수행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중장치 차량의 현재 위치를 모르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위치 추적을 요청하고, 도어락 장치(200)는 위치 안내부(260)를 통해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도어락 매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과 도어락 장치(200)가 서로 인접 위치되어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S1), 사용자 단말(100)의 도어락 어플리케이션은 도어락 장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 즉 도어락 장치가 근거리 통신 대상 장치로 기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S2).
만약, 도어락 장치가 미등록 상태이면(S2), 도어락 장치를 근거리 통신 대상 장치로 등록한 후(S3), 도어락 장치에 대응되는 보안 코드를 생성하도록 한다(S4).
S4 단계에서, 도어락 어플리케이션은 보안 코드 생성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보안 코드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암호화하여 보안 코드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때, 보안 코드 생성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 사용자 전화 번호, 지문 이미지, 비밀 번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S4를 통해 생성된 보안 코드를 도어락 장치(200)에 전송하고(S5), 이를 수신한 도어락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을 근거리 통신 대상으로 등록한 후, 이에 보안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6).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과 도어락 장치(200)가 서로 인접 위치되어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S11), 사용자 단말(100)은 도어락 장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 즉 도어락 장치가 근거리 통신 대상 장치로 기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S12).
만약, 사용자 단말(100)에 도어락 장치가 등록된 상태이면(S12), 해당 도어락 장치(200)에 대응되는 보안 코드를 획득하여 도어락 장치(200)에 즉각 전송하도록 한다(S13).
그러면 도어락 장치(200)는 이를 수신한 후,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던 보안 코드와 비교 분석하여, 일치시에만 캐빈 도어를 개방하도록 한다(S14).
만약, 보안 코드에 기반한 도어락 제어 동작이 실패하면(S15), 키패드(230)를 동작 활성화하여 사용자에게 키패드를 이용한 비밀 번호 입력을 요청하도록 한다(S16).
이에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 현재 입력된 비밀 번호와 사용자가 기 등록한 비밀 번호와 비교 분석하여, 일치시에만 캐빈 도어를 개방하도록 한다(S17).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휴대한 상태에서 도어락 장치(200)에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100)과 도어락 장치(200)가 자동으로 보안 코드에 기반한 도어락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락 제어를 위한 별도의 정보 입력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그리고 보안 코드에 기반한 도어락 제어 동작이 실패할 때에는 키패드(230) 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기반한 도어락 제어 동작을 추가 수행함으로써, 도어락 제어 동작이 보다 다양한 정보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보안 코드와 비밀 정보를 기반으로 도어 개방 여부를 2중 확인한 후 모두 성공한 경우에 한해서만 캐빈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도어 개방 동작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과 도어락 장치(200)가 서로 인접 위치되어 사용자 단말(100)과 도어락 장치(200)간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되고(S21), 사용자 단말(100)에 도어락 장치가 등록된 상태이면(S22),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도어락 장치(200)에 대응되는 보안 코드를 획득하여 도어락 장치(200)에 즉각 전송하도록 한다(S23).
도어락 장치(200)는 보안 코드를 수신 및 저장함과 동시에, 키패드(230)를 동작 활성화하여 사용자에게 키패드를 이용한 비밀 번호 입력을 추가 요청하도록 한다(S24).
이에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 현재 입력된 보안 코드와 비밀 번호를 기 등록된 정보들과 비교 분석하여, 모두 일치할 경우에만 캐빈 도어를 개방하도록 한다(S25).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사용자에 의해 휴대 및 조작되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 가능한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근거리 통신 채널을 자동 형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보안 코드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보안 코드를 수신 및 저장하는 보안 코드 수신부;
    캐빈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획득 및 출력하는 키패드;
    도어락 제어 동작에 이용할 보안 코드와 비밀번호, 보안 코드와 키패드 비밀 번호의 입력 순서를 사전 획득 및 저장하고, 상기 보안 코드 수신부와 상기 키패드가 사전 획득 및 저장된 입력 순서와 정보를 가지는 보안 코드 및 비밀번호를 순차 입력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는 도어락 제어부; 및
    상기 도어락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캐빈 도어를 개방시키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코드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 사용자 전화 번호, 및 비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암호화하여 생성되며, 상기 비밀 번호는 번호 조합, 드래그 패턴, 및 사용자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상기 보안 코드를 우선 이용하되, 상기 보안 코드 이용이 불가능하면 상기 키패드를 동작 활성화시켜 상기 비밀번호를 추가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원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도어 개방 시도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도어 개방 시도 횟수가 기 설정 회수 이상이면, 비정상적인 도어 개방 시도를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중장비 차량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후, 위치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위치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 사용자 전화 번호, 사용자 전화 번호, 지문 이미지, 비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암호화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박막 필름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 캐빈용 도어락 장치.
KR1020190086382A 2019-07-17 2019-07-17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 KR102267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382A KR102267031B1 (ko) 2019-07-17 2019-07-17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382A KR102267031B1 (ko) 2019-07-17 2019-07-17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619A KR20210009619A (ko) 2021-01-27
KR102267031B1 true KR102267031B1 (ko) 2021-06-22

Family

ID=7423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382A KR102267031B1 (ko) 2019-07-17 2019-07-17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0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629B1 (ko) * 2008-03-31 2011-03-07 고시환 이동통신 단말을 사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165A (ko) * 2002-08-16 200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개폐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092811B1 (ko) 2009-02-26 2011-1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모콘 장치
KR101692993B1 (ko) * 2015-05-06 2017-01-12 (주)아이엘비에스 스마트 도어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629B1 (ko) * 2008-03-31 2011-03-07 고시환 이동통신 단말을 사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619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5578B2 (en) System for using mobile terminals as keys for vehicles
US11330429B2 (en) Vehicle digital key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CA2632770C (en) Mobile based identification in security and asset management
KR101710065B1 (ko)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CN108632745A (zh) 安全设备
US20110291798A1 (en) Wireless Encrypted Control of Physical Access Systems
KR101259546B1 (ko)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00176919A1 (en) One-time access for electronic locking devices
US10964141B2 (en) Internet-of-things (IoT) enabled lock with management platform processing
CN103295341A (zh) Pos安全认证装置、系统及pos装置安全认证方法
US10706650B2 (en) Key unit,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KR101814555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5080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78232B1 (ko) 인체통신을 기반한 스마트 키를 이용한 차량 도어락 록킹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어락 록킹 제어 시스템
US20190210562A1 (en) Access and driving authorization system with increased security against relay attacks on the transponding interface
KR101466624B1 (ko)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5064431A1 (ja) 認証デバイスを利用した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599055B1 (ko) 암호화 잠금 제어 장치
KR102267031B1 (ko) 중장비 차량용 캐빈 도어락 장치
JP7074108B2 (ja) 施解錠監視方法
KR20210069276A (ko) 스마트 금고의 보안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6244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제어기와 단말기의 인증 방법
CN111179481A (zh) 智能家居平台、智能家居锁匙控制方法及系统
CN210924713U (zh) 基于iBeacon技术的门禁系统
US20180330071A1 (en) Entry system with a portable authoriz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