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624B1 -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624B1
KR101466624B1 KR20130141651A KR20130141651A KR101466624B1 KR 101466624 B1 KR101466624 B1 KR 101466624B1 KR 20130141651 A KR20130141651 A KR 20130141651A KR 20130141651 A KR20130141651 A KR 20130141651A KR 101466624 B1 KR101466624 B1 KR 101466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information
mobile terminal
server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식
홍은기
김정수
김현주
김형유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4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로의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 등록을 수행하고, 입력되는 음성정보 비교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며, 도어락 오픈권한 요청을 수행하는 이동단말과, 서버로의 도어락정보 등록을 수행하고, 이동단말에서의 음성 인증에 따라 OTP를 생성하여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도어락과 이동단말의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와 매칭된 도어락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도어락 오픈권한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별로 등록된 도어락 리스트정보를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인식으로 사용자를 인식하고, 2차적으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물리적으로 직접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y Speech Recognition And One Time Password}
본 발명은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차 음성을 통한 인증과 2차 OTP를 통한 인증을 수행하여 도어를 오픈하는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안을 필요로 하는 장소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가정, 기업 등에서는 설치비용 및 관리비용의 문제로 인해, 중요한 장소 이외에는 열쇠, 카드 등의 기존 구식의 방식을 이용하여 보안을 수행하고 있다.
결국, 보안 장소 개수가 감소함으로써 이로 인해 야기되는 기밀 누출, 도난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한편, 최근 많이 설치되고 있는 디지털 도어락은 다양한 방식으로 출입을 제안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도어락 역시 비밀번호만 알고 있으면 해당 도어락 해정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밀번호를 자주 변경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망각하여 어려움에 처하기도 한다.
이에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OTP(One Time Password)가 제안된 바 있으며, OTP 단말기를 통해 출력된 OTP를 입력함으로써 도어락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OTP 기술은 OTP 단말기를 필요로 하거나, 이동단말(스마트폰)을 통해 OTP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현재 사회에서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동단말(스마트폰)과 OTP를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기존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3618호(공개일 2009.02.0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9368호(공개일 2012.04.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수품인 이동단말(스마트폰)을 이용해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인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인증을 수행하고, 이 음성 인증에 근거하여 2차 인증으로서 OTP를 생성하여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은, 서버로의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 등록을 수행하고, 입력되는 음성정보 비교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며, 도어락 오픈권한 요청을 수행하는 이동단말; 상기 서버로의 도어락정보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단말에서의 음성 인증에 따라 OTP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도어락; 및 상기 이동단말의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와 매칭된 도어락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도어락 오픈권한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별로 등록된 도어락 리스트정보를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도어락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정보와 상기 이동단말에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음성인증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락은, 도어의 오픈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부; 상기 도어락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이동단말 및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음성정보의 인증으로부터 상기 OTP를 생성하는 OTP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전송된 도어락정보로부터 상기 도어락을 인증하는 도어락 인증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방법은, 도어락에서 도어락정보를 생성하는 서버에 등록하고, 이동단말에서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에서 도어락 오프권한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정보와 매칭된 도어락정보로부터 생성된 도어락 리스트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에서 오픈하고자 하는 도어락의 선택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택정보로부터 해당 도어락의 음성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해당 도어락의 음성정보를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에서 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정보와 이동단말에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비교하여 음성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인증되면, 상기 이동단말에서 인증결과정보를 상기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어락에서는 OTP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OTP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에서 상기 OTP의 입력에 대응하여 도어를 오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음성인식으로 사용자를 인식하고, 2차적으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물리적으로 직접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결국, 고정된 비밀번호가 아니므로 비밀번호가 누출되어도 도어락 제어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음성인식을 이용하므로 이동단말을 습득한 자의 음성이 동일하지 않는 한 도어락 제어가 불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성정보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성정보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개폐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은, 서버로의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 등록을 수행하고, 입력되는 음성정보 비교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며, 도어락 오픈권한 요청을 수행하는 이동단말(1)과, 서버로의 도어락정보 등록을 수행하고, 이동단말(1)에서의 음성 인증에 따라 OTP를 생성하여 이동단말(1)로 전송하는 도어락(2)과, 이동단말(1)의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와 매칭된 도어락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도어락 오픈권한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별로 등록된 도어락 리스트정보를 이동단말(1)로 전송하는 서버(3)를 포함한다.
이동단말(1)은, 도어락(2)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와, 서버(3)로부터 전송된 음성정보와 이동단말(1)에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음성 인증부(12)를 포함한다.
도어락(2)은, 도어의 오픈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부(21)와, 도어락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2)와, 이동단말(1) 및 서버(3)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3)와, 음성정보의 인증으로부터 OTP를 생성하는 OTP 생성부(24)를 포함한다.
통신부(23)는 이동단말(1)과 서버(3)의 통신방식을 달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이동단말(1)과 서버(3)에 접속하는 각각의 통신부(2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단말(1)과의 통신은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버(3)와의 통신은 유무선 TCP/IP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3)는,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31)와, 도어락(2)으로부터 전송된 도어락정보로부터 도어락(2)을 인증하는 도어락 인증부(32)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락(2)과 서버(3)를 분리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이를 일체화하여 도어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 일례로서, 사용자가 도어락(2)을 접근을 시도하면 서버(3)에서 사용자에게 음성 응답을 요구하고, 도어락(2)에서는 Pass-Pharse에 대한 검수후 OTP를 생성하고, 이에 사용자에게 OTP를 제공한다. 이에 사용자는 OTP를 입력하여 도어락(2)(오드로이드 기기)에 신호를 보내고 도어락(2)과 연결된 아두이노 보드에 시리얼 통신으로 신호를 보내 도어락(2)을 오픈시킨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락(2)에서는 서버(3)로 도어락(2) 등록을 요청한다(S1).
이에 서버(3)에서는 도어락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S2).
사용자에 의해 도어락(2)을 통해 도어락정보가 생성되면(S3), 도어락(2)은 생성된 도어락정보를 서버(3)로 전송한다(S4). 이 때, 도어락정보는 도어락(2)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거나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서버(3)에서는 도어락정보를 통해 해당 도어락(2)을 등록하고,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S5).
이어서 서버(3)에서는 등록 확인메시지를 도어락(2)으로 전송한다(S6).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락(2)을 이용하여 도어락 등록 과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동단말(1)을 이용하여 도어락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이동단말(1)과 도어락(2)간의 도어락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성정보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단말(1)에서 서버(3)로 사용자 및 음성 등록을 요청한다(S11).
이에 서버(3)에서는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S12).
사용자에 의해 이동단말(1)을 통해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가 생성되면(S13), 이동단말(1)은 생성된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서버(3)로 전송한다. 이 때, 이동단말(1)에서는 해당 도어락(2)과의 매칭을 위해 도어락정보도 함께 서버(3)로 전송한다(S14).
이에 서버(3)에서는 도어락정보 확인을 통해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도어락정보와 매칭시켜 등록하고,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S15).
이어서 서버(3)에서는 등록 확인메시지를 이동단말(1)로 전송한다(S16).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개폐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단말(1)에서 도어락 오프권한 요청메시지를 서버(3)로 전송하면(S21), 서버(3)에서는 사용자정보를 확인하고(S22), 사용자정보에 매칭된 정보를 검색한다(S23). 여기서, 사용자정보는 이동단말(스마트폰)(1)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서버(3)에서 사용자정보에 매칭된 정보, 예를 들어 도어락정보로부터 생성된 도어락 리스트를 이동단말(1)로 전송한다(S24).
이에 이동단말(1)에서는 오픈하고자 하는 도어락(2)을 선택하면(S25), 선택정보가 서버(3)로 전송된다(S26).
이에 서버(3)에서는 선택정보로부터 해당 도어락(2)의 음성정보를 검출하고(S27), 해당 도어락(2)의 음성정보를 이동단말(1)로 전송한다(S28).
이동단말(1)에서는 서버(3)로부터 전송된 음성정보와 이동단말(1)에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비교하여 음성 인증을 수행한다(S29).
인증이 완료되면(S30), 이어서 이동단말(1)은 인증결과정보를 도어락(2)으로 전송한다(S31).
이에 도어락(2)에서는 OTP를 생성하고(S32), 생성된 OTP를 이동단말(1)로 전송한다(S33).
이에 이동단말(1) 사용자는 OTP를 확인하고(S34), 도어락(2)에 해당 OTP를 입력함으로써(S35) 도어락(2)을 오픈할 수 있게 된다(S36).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단말(스마트폰)(1)의 여러 API중 하나인 음성인식을 이용해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사용자에게 OTP를 생성해 전송해 OTP를 입력하면 도어락(2)을 오픈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OTP와 음성인식을 이용한 중앙 관리식 보안 도어락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즉, 사용되었던 비밀번호로부터 다음 사용 비밀번호를 유추할 수 없는 특징 때문에 보안 서비스에 자주 사용하는 암호학적 Pseudo Random Code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음성인식으로 사용자를 인식하고, 2차적으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물리적으로 직접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결국, 고정된 비밀번호가 아니므로 비밀번호가 누출되어도 도어락(2) 제어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음성인식을 이용하므로 이동단말(1)을 습득한 자의 음성이 동일하지 않는 한 도어락(2) 제어가 불가능하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 : 이동단말 11 : 통신부
12 : 음성인증부 2 : 도어락
21 : 도어락 제어부 22 : 저장부
23 : 통신부 24 : OTP 생성부
3 : 서버 31 : 데이터베이스
32 : 도어락 인증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도어락에서 도어락정보를 생성하는 서버에 등록하고, 이동단말에서 사용자정보 및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에서 도어락 오프권한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정보와 매칭된 도어락정보로부터 생성된 도어락 리스트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에서 오픈하고자 하는 도어락의 선택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택정보로부터 해당 도어락의 음성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해당 도어락의 음성정보를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에서 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정보와 이동단말에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비교하여 음성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인증되면, 상기 이동단말에서 인증결과정보를 상기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어락에서는 OTP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OTP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에서 상기 OTP의 입력에 대응하여 도어를 오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방법.
KR20130141651A 2013-11-20 2013-11-20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66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1651A KR101466624B1 (ko) 2013-11-20 2013-11-20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1651A KR101466624B1 (ko) 2013-11-20 2013-11-20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624B1 true KR101466624B1 (ko) 2014-11-28

Family

ID=5229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1651A KR101466624B1 (ko) 2013-11-20 2013-11-20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6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041B1 (ko) * 2015-09-21 2017-02-14 천지민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 및 그의 도어락 장치
KR20170078316A (ko)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마크애니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230499A (zh) * 2017-12-21 2018-06-29 合肥长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信息传递的门禁智能调控系统
CN110164009A (zh) * 2019-05-29 2019-08-23 华翔翔能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二维码门禁系统
CN111622616A (zh) * 2020-04-15 2020-09-04 阜阳万瑞斯电子锁业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锁的个人语音识别开锁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348A (ja) * 2003-07-30 2005-02-24 Ntt Docomo Inc 発信装置、移動端末、認証サーバ、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KR20090013618A (ko)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제이디씨텍 일회용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시스템
KR20120011932A (ko) * 2010-07-28 2012-02-09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자동금전입출기를 위한 온라인 도어락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348A (ja) * 2003-07-30 2005-02-24 Ntt Docomo Inc 発信装置、移動端末、認証サーバ、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KR20090013618A (ko)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제이디씨텍 일회용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시스템
KR20120011932A (ko) * 2010-07-28 2012-02-09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자동금전입출기를 위한 온라인 도어락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041B1 (ko) * 2015-09-21 2017-02-14 천지민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 및 그의 도어락 장치
KR20170078316A (ko)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마크애니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230499A (zh) * 2017-12-21 2018-06-29 合肥长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信息传递的门禁智能调控系统
CN110164009A (zh) * 2019-05-29 2019-08-23 华翔翔能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二维码门禁系统
CN111622616A (zh) * 2020-04-15 2020-09-04 阜阳万瑞斯电子锁业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锁的个人语音识别开锁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8525B2 (en) Vehicle digital key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10580240B2 (en) Use of mobile device to configure a lock
KR101259546B1 (ko)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66624B1 (ko)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57589A1 (en) Access control using an electronic lock employ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mobile device
WO2011147204A1 (zh) 门禁控制方法及门禁控制系统
US95802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el dispenser security
US11522709B2 (en) Access control system
KR20140127987A (ko) 공용 단말 장치 보안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6091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el dispenser security
US91394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el dispenser security
CN111868726A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数字钥匙供应方法
KR101873828B1 (ko) 신뢰된 실행 환경 기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무선 도어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6999474B2 (ja) 電気錠システムおよび錠制御端末
KR101599055B1 (ko) 암호화 잠금 제어 장치
KR102112975B1 (ko) 하이브리드 보안환경 기반의 스마트 키를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출입관리시스템
Theuermann et al. Mobile-only solution for server-based qualified electronic signatures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101664888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제어기와 단말기의 인증 방법
KR101912743B1 (ko)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1078839B1 (ko) 이동단말에 대한 사용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JP2004120257A (ja) 錠管理システム及び錠管理方法
KR1011556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관리 방법
KR20150081387A (ko)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339318B1 (ko) 공개키 기반 구조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