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555B1 -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4555B1 KR101814555B1 KR1020150163735A KR20150163735A KR101814555B1 KR 101814555 B1 KR101814555 B1 KR 101814555B1 KR 1020150163735 A KR1020150163735 A KR 1020150163735A KR 20150163735 A KR20150163735 A KR 20150163735A KR 101814555 B1 KR101814555 B1 KR 1018145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operation pattern
- door lock
- digital door
- authentication resu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디지털 도어락은 이동 단말이 디지털 도어락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해당 이동 단말의 인증을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에 요청한다.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는 인증 요청을 받은 시점에서의 이동 단말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의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여 기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과 비교한다.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는 최근 동작 패턴과 기본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하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한다.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는 인증 결과를 디지털 도어락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디지털 도어락은 인증 결과에 다라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 없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은 이동 단말이 디지털 도어락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해당 이동 단말의 인증을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에 요청한다.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는 인증 요청을 받은 시점에서의 이동 단말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의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여 기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과 비교한다.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는 최근 동작 패턴과 기본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하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한다.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는 인증 결과를 디지털 도어락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디지털 도어락은 인증 결과에 다라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 없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한 동작 패턴 정보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이 수행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주택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디지털 신호 감응에 의하여 도어의 잠금 해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 도어락은 문의 내부측에 통상적으로 개폐 버튼, 강제 잠금 버튼, 수동 레버, 전원 공급부, 내측 레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문의 외부측에는 보안을 위하여 문을 열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만이 마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이 장착된 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 문의 외부에 장착된 디지털 도어락에 전자키를 접촉시키거나,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누름으로써 문을 열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도어락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비밀번호 입력 장치에서는 숫자 키버튼이 일정하게 배치되어 있어, 타인이 사용자의 숫자 키버튼을 누르는 모습, 특히 손가락의 이동을 주의 깊게 본다면 비밀 번호를 추측해 내는 것이 어렵지 않다. 또한,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숫자에 해당하는 몇 개의 키버튼만을 계속적으로 누르기 때문에, 동일한 비밀번호를 장기간 사용하면 사용자의 지문이 남게 되어 가루 분산 방식 등을 사용하여 비밀번호의 조합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을 숫자로 구성된 비밀번호를 누르게 되면 사용자가 많은 짐을 가지고 있을 시 문을 여는데 번거로움이 있다. 그렇기에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을 작동시키지 않더라고 편리하게 디지털 도어락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디지털 도어락에 이동 단말이 디지털 도어락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에서 이동 단말의 인증을 통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 방법을 제공합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이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상기 이동 단말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인증 요청 시점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미리 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상기 이동 단말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인증 요청 시점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미리 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동작 패턴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미리 생성하거나,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미리 생성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기본 동작 패턴을 수신하며,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이면 ‘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이면 ‘불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이동 단말이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이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및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상기 이동 단말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인증 요청 시점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미리 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기본 동작 패턴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미리 생성하며,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이면 ‘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이면 ‘불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이동 단말이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이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및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상기 이동 단말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인증 요청 시점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미리 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동작 패턴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미리 생성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기본 동작 패턴을 수신하며,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이면 ‘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이면 ‘불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이동 단말이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인증 요청 시점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이동 단말은 미리 생성된 상기 이동 단말의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요청 시점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미리 생성되거나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이면 ‘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이면 ‘불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요청 시점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의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이면 ‘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이면 ‘불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에 이동 단말이 근접함에 따라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에서 이동 단말의 인증을 통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락에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 이동 단말의 근접만으로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이동 단말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이동 단말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도어락 제어 시스템(1)은 디지털 도어락(100), 이동 단말(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통상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도어 잠금 및 잠금 해제 장치로서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100)에 구비된 번호판에 번호를 입력하거나, 무선 태그를 접촉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도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기능을 요청하였을 때 입력되는 번호가 비밀번호와 일치하거나, 무선 태그가 미리 정해진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대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인증을 통해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이동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과 통신함에 따라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에 해당 이동 단말(200)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200)의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여 기본 동작 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과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른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수신한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이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본 동작 패턴은 관리 서버(300)가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생성하거나, 관리 서버(300)가 이동 단말(200)로부터 기본 동작 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는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실행중인 앱 목록, 통화 및 메시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에서 주기적으로 재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최근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인증 요청을 받은 시점에서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체적으로 생성하거나, 관리 서버(300)가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인증 요청을 받은 시점에서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하는 이동 단말(200)의 인증 요청을 2회에 걸쳐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에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하는 이동 단말(200)의 1차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은 해당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과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른 이동 단말(200)의 1차 인증 결과를 산출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의 1차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 서버(300)에 이동 단말(200)의 2차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해당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과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른 이동 단말(200)의 2차 인증 결과를 산출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의 2차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100)은 1차 인증 결과 또는 2차 인증 결과가 ‘불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100)은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하는 이동 단말(200)의 인증 요청을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에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하는 이동 단말(200)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해당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과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른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100)은 인증 결과가 ‘불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은 디지털 도어락 통신부(110), 디지털 도어락 메모리부(120), 디지털 도어락 입력부(130),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 및 디지털 도어락 전원부(150)를 포함한다.
디지털 도어락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와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 통신부(110)가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와 통신하는 기술로는 근거리 통신 기술, 무선 인터넷 기술, 사물 인터넷(IoT) 기기에 적용되는 통신 기술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200)과 통신하여 이동 단말(200)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에 이동 단말(200)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200)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 메모리부(120)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디지털 도어락 입력부(130)는 키 패드, 터치 패드, 지문 인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른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술이나, 디지털 도어락 입력부(130)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200)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하여 디지털 도어락(100)과 이동 단말(200)이 통신함에 따라 이동 단말(200)에 이동 단말(200)의 1차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200)로부터 1차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200)의 1차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관리 서버(300)에 이동 단말(200)의 2차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200)의 2차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는 1차 인증 결과 또는 2차 인증 결과가 ‘불일치’에 해당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200)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하여 디지털 도어락(100)과 이동 단말(200)이 통신함에 따라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에 이동 단말(200)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가 ‘불일치’에 해당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디지털 도어락 전원부(150)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및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이동 단말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 통신부(210), 이동 단말 입력부(220), 이동 단말 센싱부(230), 이동 단말 인터페이스부(240), 이동 단말 메모리부(250), 이동 단말 출력부(260), 이동 단말 제어부(270) 및 이동 단말 전원부(28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 통신부(210)는 디지털 도어락(100) 또는 관리 서버(300)와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 통신부(210)가 디지털 도어락(100) 또는 관리 서버(300)와 통신하는 기술로는 근거리 통신 기술, 무선 인터넷 기술, 사물 인터넷(IoT) 기기에 적용되는 통신 기술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 통신부(210)는 디지털 도어락(1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 통신부(210)는 디지털 도어락(100)과 통신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이동 단말(200)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 통신부(210)는 디지털 도어락(100)에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 통신부(210)는 관리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 통신부(210)는 관리 서버(300)와 통신하여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입력부(22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동 단말 입력부(220)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 센싱부(230)는 이동 단말(2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200)의 방위, 이동 단말(200)의 가소/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생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 센싱부(230)는 이동 단말(200)이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에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 센싱부(230)는 이동 단말 전원부(280)의 전원 공급 여부 및 후술하는 이동 단말 인터페이스부(24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인터페이스부(240)는 이동 단말(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2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 가입자 인증 모듈,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는 스마트 카드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메모리부(250)는 이동 단말 제어부(2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출력부(26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 단말 출력부(260)는 디스플레이부 및 음향 출력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콘텐츠 수신 모드 등에서 이동 단말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이동 단말 메모리부(250)에서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이에 따른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200)의 인증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과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기본 동작 패턴과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일 경우,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일 경우,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불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산출된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이동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 또는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 또는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을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인증 요청을 받은 시점에서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200)의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는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실행중인 앱 목록, 통화 및 메시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기본 동작 패턴 또는 최근 동작 패턴을 이동 단말(200)의 각각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 또는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동작 패턴은 제1 내지 제4 기본 동작 패턴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1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제2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실행중인 앱 목록을 분석하여 생성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제3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통화 기록 및 연락처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제4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메시지 기록을 분석하여 생성된 패턴일 수 있다. 기본 동작 패턴은 제1 내지 제4 기본 동작 패턴 외에 추가적으로 더 설정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기본 동작 패턴들은 일정 주기마다 재생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관리 서버(300)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이동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전원부(280)는 이동 단말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및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관리 서버 통신부(310), 관리 서버 메모리부(320), 관리 서버 제어부(330) 및 관리 서버 전원부(340)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 통신부(310)는 디지털 도어락(100) 또는 이동 단말(200)과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 통신부(310)가 디지털 도어락(100) 또는 이동 단말(200)과 통신하는 기술로는 근거리 통신 기술, 무선 인터넷 기술, 사물 인터넷(IoT) 기기에 적용되는 통신 기술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관리 서버 통신부(310)는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이동 단말(200)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 통신부(310)는 이에 따른 이동 단말(200) 인증 결과를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 통신부(310)는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 또는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이동 단말(200)에 요청할 수 있다. 관리 서버 통신부(310)는 이동 단말(2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 메모리부(320)는 관리 서버 제어부(3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이에 따른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의 인증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200)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200)의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과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과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일 경우,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일 경우,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불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산출된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관리 서버 통신부(310)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 또는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 또는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과 통신하여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을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인증 요청을 받은 시점에서 이동 단말(200)에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여 받을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의 인증 요청을 받은 시점에서의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200)의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는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실행중인 앱 목록, 통화 및 메시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기본 동작 패턴 또는 최근 동작 패턴을 이동 단말(200)의 각각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 또는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동작 패턴은 제1 내지 제4 기본 동작 패턴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1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제2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실행중인 앱 목록을 분석하여 생성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제3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통화 기록 및 연락처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제4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메시지 기록을 분석하여 생성된 패턴일 수 있다. 기본 동작 패턴은 제1 내지 제4 기본 동작 패턴 외에 추가적으로 더 설정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기본 동작 패턴들은 일정 주기마다 재생성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200)에서 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제어부(330)는 수신한 기본 동작 패턴과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하여 이에 따른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리 서버 전원부(340)는 관리 서버 제어부(33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및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경우,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이 디지털 도어락(100)에 근접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본 동작 패턴을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음을 미리 언급한다.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을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과 통신하여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는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실행중인 앱 목록, 통화 및 메시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기본 동작 패턴을 이동 단말(200)의 각각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기본 동작 패턴을 제1 내지 제4 기본 동작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실행중인 앱 목록을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통화 기록 및 연락처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기본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메시지 기록을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디지털 도어락(100)의 인증 요청에 따라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디지털 도어락(100)의 인증 요청을 받은 시점에서의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200)의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디지털 도어락(100)의 인증 요청을 받은 시점에서 이동 단말(200)에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200)의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는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실행중인 앱 목록, 통화 및 메시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최근 동작 패턴을 이동 단말(200)의 각각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최근 동작 패턴을 제1 내지 제4 최근 동작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최근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최근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실행중인 앱 목록을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최근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통화 기록 및 연락처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최근 동작 패턴은 이동 단말(200)의 메시지 기록을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은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한 이동 단말(200)에 대해 2회에 걸친 인증을 진행하는 경우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이동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100)과 이동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나, 이는 디지털 도어락(100)과 이동 단말(200)이 통신하는 방법으로 공지된 모든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100)과 통신하는 이동 단말(200)은 기설정될 수 있으나, 이는 기설정된 이동 단말로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과 통신함에 따라 이동 단말(200)에 1차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은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1차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1차 인증 요청을 수신한 시점에서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최근 동작 패턴과 미리 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200)은 각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과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00)은 제1 내지 제4 기본 동작 패턴과 제1 내지 제4 최근 동작 패턴을 대응되는 각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작 패턴끼리 비교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기본 동작 패턴과 제1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실행중인 앱 목록을 기반으로 생성된 제2 기본 동작 패턴과 제2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통화 기록 및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3 기본 동작 패턴과 제3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메시지 기록을 기반으로 생성된 제4 기본 동작 패턴과 제4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과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과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연산된 각각의 일치율을 평균 계산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연산된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1차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인 경우, 이동 단말(200)의 1차 인증 결과를 ‘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인 경우, 이동 단말(200)의 1차 인증 결과를 ‘불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산출된 이동 단말(200)의 1차 인증 결과를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 디지털 도어락(100)은 수신한 1차 인증 결과가 ‘불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더 이상의 디지털 도어락(100) 잠금 해제 과정은 진행하지 않는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수신한 1차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 서버(300)에 이동 단말(200)의 2차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2차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2차 인증 요청을 수신한 시점에서 이동 단말(200)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관리 서버(300)에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최근 동작 패턴과 미리 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과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제1 내지 제4 기본 동작 패턴과 제1 내지 제4 최근 동작 패턴을 대응되는 각각의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작 패턴끼리 비교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기본 동작 패턴과 제1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실행중인 앱 목록을 기반으로 생성된 제2 기본 동작 패턴과 제2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통화 기록 및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3 기본 동작 패턴과 제3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메시지 기록을 기반으로 생성된 제4 기본 동작 패턴과 제4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과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과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연산된 각각의 일치율을 평균 계산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연산된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2차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인 경우, 이동 단말(200)의 2차 인증 결과를 ‘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인 경우, 이동 단말(200)의 2차 인증 결과를 ‘불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산출된 이동 단말(200)의 2차 인증 결과를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수신한 2차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도어락(100)은 1차 인증 결과 또는 2차 인증 결과가 ‘불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은 관리 서버(300)에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한 이동 단말(200)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이동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100)과 이동 단말(200)이 통신하는 방법으로 근거리 통신 기술을 적용하였으나, 이는 디지털 도어락(100)과 이동 단말(200)이 통신하는 방법으로 공지된 모든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100)과 통신하는 이동 단말(200)은 기설정될 수 있으나, 이는 기설정된 이동 단말로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과 디지털 도어락(100)이 통신함에 따라 관리 서버(300)에 이동 단말(200)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인증 요청을 수신한 시점에서 이동 단말(200)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관리 서버(300)에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최근 동작 패턴과 미리 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과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제1 내지 제4 기본 동작 패턴과 제1 내지 제4 최근 동작 패턴을 대응되는 각각의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작 패턴끼리 비교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기본 동작 패턴과 제1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실행중인 앱 목록을 기반으로 생성된 제2 기본 동작 패턴과 제2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통화 기록 및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3 기본 동작 패턴과 제3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메시지 기록을 기반으로 생성된 제4 기본 동작 패턴과 제4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과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과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연산된 각각의 일치율을 평균 계산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연산된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인 경우,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인 경우,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불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산출된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수신한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도어락(100)은 인증 결과가 ‘불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에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한 이동 단말(200)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이동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100)과 이동 단말(200)이 통신하는 방법으로 근거리 통신 기술을 적용하였으나, 이는 디지털 도어락(100)과 이동 단말(200)이 통신하는 방법으로 공지된 모든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100)과 통신하는 이동 단말(200)은 기설정될 수 있으나, 이는 기설정된 이동 단말로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동 단말(200)과 통신함에 따라 이동 단말(200)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은 디지털 도어락(100)으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인증 요청을 수신한 시점에서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최근 동작 패턴과 미리 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각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과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00)은 제1 내지 제4 기본 동작 패턴과 제1 내지 제4 최근 동작 패턴을 대응되는 각각의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작 패턴끼리 비교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기본 동작 패턴과 제1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실행중인 앱 목록을 기반으로 생성된 제2 기본 동작 패턴과 제2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통화 기록 및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3 기본 동작 패턴과 제3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메시지 기록을 기반으로 생성된 제4 기본 동작 패턴과 제4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과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각각의 기본 동작 패턴과 각각의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연산된 각각의 일치율을 평균 계산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연산된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인 경우,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200)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인 경우,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불일치’로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산출된 이동 단말(200)의 인증 결과를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수신한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도어락(100)은 인증 결과가 ‘불일치’에 해당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기본 동작 패턴 및 최근 동작 패턴을 제1 내지 제4 기본 동작 패턴으로 생성하거나 제1 내지 제4 최근 동작 패턴으로 분석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데이터 종류에 따른 동작 패턴 또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관리 서버(300)가 이동 단말(2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동 단말(2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을 생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기본 동작 패턴을 이동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이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한 동작 패턴 정보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디지털 도어락
200: 이동 단말
300: 관리 서버
200: 이동 단말
300: 관리 서버
Claims (20)
-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이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또는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상기 이동 단말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인증 요청 시점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미리 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상기 이동 단말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인증 요청 시점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미리 생성된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동작 패턴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미리 생성하거나,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미리 생성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기본 동작 패턴을 수신하며,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이면 ‘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이면 ‘불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이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이동 단말이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인증 요청 시점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이동 단말은 미리 생성된 상기 이동 단말의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요청 시점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미리 생성되거나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기본 동작 패턴과 상기 최근 동작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을 연산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이상이면 ‘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패턴 일치율이 기설정된 일치율 미만이면 ‘불일치’라는 인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의 인증 결과가 ‘일치’에 해당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3735A KR101814555B1 (ko) | 2015-11-23 | 2015-11-23 |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3735A KR101814555B1 (ko) | 2015-11-23 | 2015-11-23 |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9603A KR20170059603A (ko) | 2017-05-31 |
KR101814555B1 true KR101814555B1 (ko) | 2018-01-04 |
Family
ID=5905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3735A KR101814555B1 (ko) | 2015-11-23 | 2015-11-23 |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455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9342B1 (ko) | 2018-03-19 | 2019-09-06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디지털 도어락 관리서버 및 개폐제어 시스템, 이동단말기와 통신하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7865B1 (ko) | 2017-05-12 | 2023-12-2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CN107103227B (zh) * | 2017-06-02 | 2019-12-03 | 广东汇泰龙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云锁的图案解锁验证的方法及其系统 |
CN108183968B (zh) * | 2018-01-17 | 2024-03-19 | 昆明港玄科技有限公司 | 一种机场无动力设备管理系统及方法 |
KR102199091B1 (ko) * | 2020-05-25 | 2021-01-06 |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SE2151422A1 (en) * | 2021-11-23 | 2023-05-24 | Amido Ab Publ | A method for determining entry behavi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44421A (ja) * | 2004-11-22 | 2006-06-08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認証システム |
JP5603763B2 (ja) * | 2010-12-21 | 2014-10-0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位置履歴認証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
KR101564716B1 (ko) * | 2015-04-16 | 2015-11-02 | 주식회사 브릴링스 | 보관함 개폐 관리 장치 |
-
2015
- 2015-11-23 KR KR1020150163735A patent/KR1018145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44421A (ja) * | 2004-11-22 | 2006-06-08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認証システム |
JP5603763B2 (ja) * | 2010-12-21 | 2014-10-0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位置履歴認証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
KR101564716B1 (ko) * | 2015-04-16 | 2015-11-02 | 주식회사 브릴링스 | 보관함 개폐 관리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9342B1 (ko) | 2018-03-19 | 2019-09-06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디지털 도어락 관리서버 및 개폐제어 시스템, 이동단말기와 통신하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9603A (ko) | 2017-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4555B1 (ko) |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US11947649B2 (en) | Locking device biometric access | |
US1106916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using biometric recognition coupled with tag authentication | |
EP3839774A1 (en) | Continuous authenti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 |
US20170337758A1 (en) | Automatic unlock device and method | |
US20070057763A1 (en) | Wireless handheld device with local biometric authentication | |
US20090249478A1 (en) |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 |
JP2017504137A (ja) | 管理権限のロック解除方法、認証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CN104093119B (zh) | 解锁方法及装置 | |
US20160360020A1 (en) | Control System Cooperating with a Mobile Device | |
US20210294886A1 (en) | Control device and system | |
CN106100845A (zh) | 一种利用声波通信的身份认证方法及其系统 | |
KR101978232B1 (ko) | 인체통신을 기반한 스마트 키를 이용한 차량 도어락 록킹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어락 록킹 제어 시스템 | |
KR101765080B1 (ko) |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10223430A (zh) | 一种电子门锁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门锁 | |
KR101465201B1 (ko) | 휴대폰을 이용한 신분 인증 및 출입 통제 시스템과 그 방법 | |
KR20180009278A (ko) | 디지털 도어락의 개방 인증 방법 | |
JP5178249B2 (ja) | 鍵認証システム | |
CN112425116B (zh) | 智能门锁无线通信方法、智能门锁、网关及通信设备 | |
KR20180062692A (ko) |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 |
EP3503044A1 (en) | Method of getting access to a vehicle | |
US20230169809A1 (en) | User authentication-based electronic key using external terminal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 |
EP4145410A1 (en) | User authentication-based electronic key using external terminal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 |
KR101265659B1 (ko) |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시스템 | |
CN112652098A (zh) | 一种人脸识别电子锁权限控制方法与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