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831B1 -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 Google Patents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831B1
KR102266831B1 KR1020190049513A KR20190049513A KR102266831B1 KR 102266831 B1 KR102266831 B1 KR 102266831B1 KR 1020190049513 A KR1020190049513 A KR 1020190049513A KR 20190049513 A KR20190049513 A KR 20190049513A KR 102266831 B1 KR102266831 B1 KR 10226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abdominal cavity
location
abdominal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046A (ko
Inventor
김일환
강명주
박봉수
박시형
이유진
박진한
이재하
박강민
박진세
김예진
정소영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8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61M2025/0076Unidirectional valves
    • A61M2025/0078Unidirectional valves for fluid inflow from the body into the catheter lu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93Catheter, guide wire or the like with means for holding, centering, anchoring or frictionally engaging the device within an artificial lumen, e.g.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5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29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middle part of the catheter, e.g. slots, flaps, valves, cuffs, apertures, notches, grooves or rapid exchange 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는, 복강과 방광 사이 구역을 나누는 기준인 방광벽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강측에 위치되고, 복수가 내측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공간을 감싸는 막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강위치부; 상기 복강위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방광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강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방광 측에 위치되며, 상기 복강위치부의 내부로 유입된 복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강위치부와 함께 환형의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방광위치부; 상기 복강위치부에 마련되고 탄성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광벽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방광벽에 의해 가압되고, 통과 이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방광벽에 걸리는 복강측 걸림부; 및 상기 복강위치부의 복강측 걸림부가 상기 방광벽을 통과한 이후 상기 방광위치부가 방광벽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복강측 걸림부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방광측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Anchor fixation type peritoneum-bladder shunt catheter for intraperitoneal ascites drain to bladder}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강 내 복수를 방광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고, 앵커 타입의 구조를 이용한 위치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간경변증(liver cirrhosis) 혹은 복막 파종성 질환 (암의 복막전이, peritoneal carcinomatosis : 위/대장/췌장암/난소암 등에서 복막으로 암의 전이가 발생한 경우)에서는 복강 (peritoneal cavity) 내부에 물이 차는 복수(Ascites) 증상이 발생한다. 복수 증상이 악화되면 환자는 복부 팽만(distension) 에 의해서 불편감 및 통증, 거동 장애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이런 경우,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증상 호전을 목적으로 반복적인 복수 천자 시술(바늘로 반복적으로 배를 찔러서 배 외부로 복수를 빼주는 시술)을 받아야 하지만, 증상 호전의 지속 시간이 길지 않아서 환자는 일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복수 천자를 시행 받게 된다(1회 시술시 약 2~3리터의 복수를 배양) 이러한 시술은 복부를 두꺼운 바늘로 복막 내부까지 찔러야 하므로 통증과 같은 많은 불편함을 야기시키며 반복되는 복수 천자는 횟수가 누적될수록 장을 찔러서 장 천공을 유발한다던지 혹은 시술로 인한 출혈 및 감염 등의 많은 합병증을 동반하게 된다.
장벽을 통한 카테터 삽입술도 있지만(PCD :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이 또한 카테터를 복벽 외부에 거치하는 방법으로 거치 상태를 수일간 유지하기 힘들고 시간이 지날수록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외부 배액술인 만큼 환자의 거동에 제한이 생기고 일상 생활에 많은 불편감을 유발시킨다.
예컨대, 샤워처럼 몸을 씻는 행위를 하는 경우 물이 카테터의 피부삽입 부위를 통해서 복부 안으로 들어갈 수 있어서 씻는데 불편하고 종종 옷을 갈아 입는 과정에서 뽑혀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왔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71612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382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1회 시술로 내부 장기인 방광을 통해서 복강내 복수를 소변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반복적인 시술에 의한 통증 및 거동의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게 하고, 구성의 간소화를 통해 제조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며, 앵커 타입 구조를 이용하여 오랜 시간동안 방광벽에 위치고정될 수 있게 하는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는, 복강과 방광 사이 구역을 나누는 기준인 방광벽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강측에 위치되고, 복수가 내측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공간을 감싸는 막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강위치부; 상기 복강위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방광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강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방광 측에 위치되며, 상기 복강위치부의 내부로 유입된 복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강위치부와 함께 환형의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방광위치부; 상기 복강위치부에 마련되고 탄성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광벽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방광벽에 의해 가압되고, 통과 이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방광벽에 걸리는 복강측 걸림부; 및 상기 복강위치부의 복강측 걸림부가 상기 방광벽을 통과한 이후 상기 방광위치부가 방광벽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복강측 걸림부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방광측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 유입된 복수가 복강측으로 역유입되지 않도록, 그 내측공간에 마련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강 위치부와 방광위치부는, 중심부에 상기 내측공간과 구별되고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복수가 복강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는, 각각 내관부와 그 내관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서 내관부와의 사이에 상기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외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는, 복강위치부가 방광경에 의해 안내되어 방광벽을 뚫고 복강 내 위치되게 하고 그 복강위치부와 함께 폐쇄된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방광위치부가 방광 내 잔류되게 한 상태에서, 복강위치부에 형성된 유입구와 방광위치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복강 내 복수가 방광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1회 시술에 의해서도 반복적인 복수 배액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복수 배액을 위한 별도의 배액 기구가 요구되지 않게 됨에 따라 거동의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복수 배출 시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의 시술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Ⅳ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방광벽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기구가 방광벽을천공시킨 상태와 그 천공된 부분에 본 실시예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가 제거되고,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앵커타입 구조를 가진 복강측 걸림부와 방광측 걸림부가 펼쳐져서 방광벽에 걸린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복수가 방광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의 단면도.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의 시술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Ⅳ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방광벽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기구가 방광벽을천공시킨 상태와 그 천공된 부분에 본 실시예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가 제거되고,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앵커타입 구조를 가진 복강측 걸림부와 방광측 걸림부가 펼쳐져서 방광벽에 걸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복수가 방광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는, 복강(A)과 방광(B)을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복강(A) 내 복수를 방광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복강위치부(1)와 방광위치부(2)와 복강측 걸림부(11)와 방광측 걸림부(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강위치부(1)는, 복강(A)과 방광(B) 사이에 위치하는 방광벽(C)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강(A) 측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복수가 내측공간(D)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도 7 참조; 1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공간(D)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방광벽(C)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강(A)과 방광(B) 사이를 구획시키는 것으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W)에 의해 천공이 가능한 근육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방광(B) 내부를 관찰하고 시술할 수 있게 하는 방광경을 통해 상기 방광벽(C)까지 접근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광경에 의해 안내되어 방광(B) 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방광벽(C)에 천공된 구멍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강(A) 측에 위치되는 복강위치부(1)와, 상기 방광벽(C)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강위치부(1)와 반대측에 존재하는 방광(B) 내에 위치되는 방광위치부(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강위치부(1)는 막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내측에 외부와 폐쇄된 내측공간(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공간(D)과 복강(A)을 유체 이동 가능하게 소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입구(1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광위치부(2)는, 상기 복강위치부(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방광벽(C)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강(A)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방광(B) 측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강위치부(1)의 내부로 유입된 복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2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강위치부(1)와 함께 상기 폐쇄된 내측공간(D)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복강위치부(1)와 방광위치부(2)는 인체 내 기관이나 조직에 삽입되는 의료용 카테터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복강측 걸림부(11)는, 상기 복강위치부(1)에 마련되고 탄성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6의 확대부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광벽(C)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방광벽(C)에 의해 가압되고, 통과 이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방광벽(C)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광측 걸림부(21)는, 상기 복강위치부(1)와 방광위치부(2)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복강측 걸림부(11)와 대칭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복강위치부(1)의 복강측 걸림부(11)가 상기 방광벽(C)을 통과한 이후 방광위치부(2)가 방광벽(C)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가 방광벽에 삽입되는 과정 및 복수 배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와이어(W)에 의해 안내되어 도 5와 같이 상기 방광벽(C)의 천공된 구멍에 삽입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강측 걸림부(11)와 방광측 걸림부(21)가 본 실시예를 방광벽(C)에 견고히 지지시켜 준 다음, 상기 가이드 와이어(W)를 방광벽(C)으로부터 제거시켜 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가 방광벽(C)에 견고히 지지된 이후에는 반복적인 복수 배출을 위한 천자 시술을 하지 않더라도, 도 7과 같이 상기 복강(A) 내에 존재하는 복수를 상기 복강위치부(1) 및 방광위치부(2)를 통해 방광(B)으로 자연적으로 빠져 나와 결국 소변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는, 복강위치부(1)가 방광경에 의해 안내되어 방광벽(C)을 뚫고 복강(A) 내 위치되게 하고 그 복강위치부(1)와 함께 폐쇄된 내측공간(D)을 형성시키는 방광위치부(2)가 방광(B) 내 잔류되게 하고, 도 7의 확대부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복강위치부(1)에 형성된 유입구(12)와 방광위치부(2)에 형성된 배출구(22)를 통해 복강(A) 내 복수가 방광(B)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1회 시술에 의해서도 반복적인 복수 배액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복수 배액을 위한 별도의 배액 기구가 요구되지 않게 됨에 따라 거동의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복강위치부(1)와 방광위치부(2)를 비교적 성형이 용이한 튜브형 관 구조로 형성하고, 그 외면에 복강측 걸림부(11)와 방광측 걸림부(21)를 형상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여 방광벽(C)에 삽입된 이후 탄성력에 의한 위치고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비교적 구성이 간소하고 성형이 용이하여 제조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복강위치부(1)와 방광위치부(2)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D)에는 역류방지부(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역류방지부(3)는, 상기 복강위치부(1)와 방광위치부(2)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D) 유입된 복수가 복강(A) 측으로 역유입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복강 위치부(1)와 방광위치부(2)는, 중심부에 상기 내측공간(D)과 구별되고 가이드 와이어(W)가 통과되는 관통공(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0)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복수가 상기 관통공(10)을 통해 복강(A) 측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의 단면도.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할 실시예와는 달리, 복강위치부(101)와 방광위치(102)부의 구조가 내관부(101a)(102a)와 외관부(101b)(102b)로 이루어진 이중도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내관부(101a)(102a)와 외관부(101b)(102b) 사이의 내측공간(D)을 통해 복강측 복수가 방광 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고, 그 내측공간(D)에 설치된 역류방지부(201)에 의해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교적 제작이 용이한 도관 형태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원가의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복강위치부 10:관통공
11:복강측 걸림부 12:유입구
2:방광위치부 21:방광측 걸림부
22:배출구 3:역류방지부
4:체크밸브 A:복강
B:방광 C:방광벽
D:내측공간 W:가이드 와이어

Claims (5)

  1. 복강과 방광 사이 구역을 나누는 기준인 방광벽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강측에 위치되고, 복수가 내측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공간을 감싸는 막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강위치부;
    상기 복강위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방광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강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방광 측에 위치되며, 상기 복강위치부의 내부로 유입된 복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강위치부와 함께 환형의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방광위치부;
    상기 복강위치부에 마련되고 탄성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광벽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방광벽에 의해 가압되고, 통과 이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방광벽에 걸리는 복강측 걸림부;
    상기 복강위치부의 복강측 걸림부가 상기 방광벽을 통과한 이후 상기 방광위치부가 방광벽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복강측 걸림부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방광측 걸림부; 및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 유입된 복수가 복강측으로 역유입되지 않도록, 그 내측공간에 마련되는 역류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는, 중심부에 상기 내측공간과 구별되고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는, 내측에 외부와 폐쇄되며 상기 관통공과 별개로 이루어진 내측공간을 함께 형성시키고, 상기 내측공간에서 복수의 유체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관통공과 별개로 이루어진 상기 내측공간은, 상기 와이어 통과를 위한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가 복강측으로 역유입되지 않도록 역류방지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방광벽을 사이에 두고 복강측에서 방광측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통해 복수가 복강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는, 각각 내관부와 그 내관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서 내관부와의 사이에 상기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외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1020190049513A 2019-04-29 2019-04-29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10226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513A KR102266831B1 (ko) 2019-04-29 2019-04-29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513A KR102266831B1 (ko) 2019-04-29 2019-04-29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046A KR20200126046A (ko) 2020-11-06
KR102266831B1 true KR102266831B1 (ko) 2021-06-17

Family

ID=7357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513A KR102266831B1 (ko) 2019-04-29 2019-04-29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980B1 (ko) * 2020-10-28 2023-01-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102560845B1 (ko) 2021-01-15 2023-07-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방광 연결 배액관 전달 장치
KR102605951B1 (ko) * 2021-06-07 2023-11-24 주식회사 웨이브트리 복수배액용 내부배액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409Y1 (ko) * 2006-08-01 2006-10-20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복수 배출용 카테터
JP2010527247A (ja) 2006-10-31 2010-08-12 ノバスフント エージー 過剰流体を除去するための埋込型流体管理装置
US20140012180A1 (en) * 2012-05-01 2014-01-09 Nidus Medical, Llc Peritoneal drain and infusion
US20160331947A1 (en) 2002-02-25 2016-11-17 Sequana Medical Ag Implantable fluid management system for the removal of excess flui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612B1 (ko) 2015-01-12 2016-1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기 적출 수술용 복강 내 장기관류장치
KR101638284B1 (ko) 2015-03-03 2016-07-08 김동준 복수천자용 배액 체크장치
CA3030185C (en) * 2016-09-19 2021-06-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nastomotic drainage st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31947A1 (en) 2002-02-25 2016-11-17 Sequana Medical Ag Implantable fluid management system for the removal of excess fluid
KR200429409Y1 (ko) * 2006-08-01 2006-10-20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복수 배출용 카테터
JP2010527247A (ja) 2006-10-31 2010-08-12 ノバスフント エージー 過剰流体を除去するための埋込型流体管理装置
US20140012180A1 (en) * 2012-05-01 2014-01-09 Nidus Medical, Llc Peritoneal drain and infu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046A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831B1 (ko)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102224302B1 (ko) 복수 배액을 위한 벌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US7963950B2 (en) Self flushing luer activated blood sampling devices
TWI595855B (zh) 直腸吻合保護裝置
JP2014014677A (ja) 弁付先端カテーテル
US9861734B2 (en) Bifurcated peritoneal catheter
CN110013377A (zh) 造口转向器装置
KR102161349B1 (ko) 복수 배액을 위한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CN106039527A (zh) 骨科大流量防堵可冲洗引流导管
WO2018191193A1 (en) Catheter for guiding body fluid
JP2008018007A (ja) 腹膜透析用カテーテル
CN104667416A (zh) 导尿引流管
KR20220056594A (ko)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CN106163604A (zh) 输尿管支架
KR20120087641A (ko) 복강경 수술용 싱글포트
CN103055405A (zh) 深部多功能组合引流器
KR20240015767A (ko)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20240047053A (ko) 트렁크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102605951B1 (ko) 복수배액용 내부배액관
KR20240015768A (ko)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20240015769A (ko)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102560845B1 (ko) 복강-방광 연결 배액관 전달 장치
KR20240047032A (ko)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CN206167588U (zh) 骨科大流量防堵可冲洗引流导管
JPH034566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