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594A -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 Google Patents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594A
KR20220056594A KR1020200141312A KR20200141312A KR20220056594A KR 20220056594 A KR20220056594 A KR 20220056594A KR 1020200141312 A KR1020200141312 A KR 1020200141312A KR 20200141312 A KR20200141312 A KR 20200141312A KR 20220056594 A KR20220056594 A KR 20220056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abdominal cavity
flow path
memory material
abdo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980B1 (ko
Inventor
김일환
강명주
박봉수
박시형
고정해
이유진
최준혁
박강민
이성숙
김예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980B1/ko
Priority to PCT/KR2020/014817 priority patent/WO2022092342A1/ko
Publication of KR20220056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66Shape memor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17Peritone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5Blad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강 내 복수를 방광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고,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하여 인체 내 삽입은 용이하고 삽입 이후에는 고정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Anchor fixation type peritoneum-bladder shunt catheter utilizing shape momory material}
본 발명은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강 내 복수를 방광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고,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하여 인체 내 삽입은 용이하고 삽입 이후에는 고정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간경변증(liver cirrhosis) 혹은 복막 파종성 질환 (암의 복막전이, peritoneal carcinomatosis : 위/대장/췌장암/난소암 등에서 복막으로 암의 전이가 발생한 경우)에서는 복강 (peritoneal cavity) 내부에 물이 차는 복수(Ascites) 증상이 발생한다. 복수 증상이 악화되면 환자는 복부 팽만(distension) 에 의해서 불편감 및 통증, 거동 장애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이런 경우,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증상 호전을 목적으로 반복적인 복수 천자 시술(바늘로 반복적으로 배를 찔러서 배 외부로 복수를 빼주는 시술)을 받아야 하지만, 증상 호전의 지속 시간이 길지 않아서 환자는 일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복수 천자를 시행 받게 된다(1회 시술시 약 2~3리터의 복수를 배양) 이러한 시술은 복부를 두꺼운 바늘로 복막 내부까지 찔러야 하므로 통증과 같은 많은 불편함을 야기시키며 반복되는 복수 천자는 횟수가 누적될수록 장을 찔러서 장 천공을 유발한다던지 혹은 시술로 인한 출혈 및 감염 등의 많은 합병증을 동반하게 된다.
장벽을 통한 카테터 삽입술도 있지만(PCD :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이 또한 카테터를 복벽 외부에 거치하는 방법으로 거치 상태를 수일간 유지하기 힘들고 시간이 지날수록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외부 배액술인 만큼 환자의 거동에 제한이 생기고 일상 생활에 많은 불편감을 유발시킨다.
예컨대, 샤워처럼 몸을 씻는 행위를 하는 경우 물이 카테터의 피부삽입 부위를 통해서 복부 안으로 들어갈 수 있어서 씻는데 불편하고 종종 옷을 갈아 입는 과정에서 뽑혀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왔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71612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382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1회 시술로 내부 장기인 방광을 통해서 복강내 복수를 소변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반복적인 시술에 의한 통증 및 거동의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게 하고, 방광벽에 대한 설치를 원활하게 하며, 설치 이후 방광벽에 대한 고정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는, 복강과 방광 사이 구역을 나누는 기준인 방광벽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강측에 위치되고, 복수가 내측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강위치부; 상기 복강위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방광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강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방광 측에 위치되며, 상기 복강위치부의 내부로 유입된 복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강위치부와 함께 환형의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방광위치부; 상온에서는 축소되어 있고 인체 내부에 위치한 방광벽의 온도 조건에서는 반경방향 신장이 가능하도록 형상기억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복강위치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온도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복강측 앵커링부; 및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가 상기 방광벽을 통과한 이후 상기 방광위치부가 방광벽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와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형상기억소재로 이루어져서 일측은 상기 방광위치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온도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방광측 앵커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와 방광측 앵커링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요소들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망형 앵커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의 내측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 복수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유로를 형성시키되 상기 방광위치부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가지는 유로형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형성부에는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형성부는, 내경이 동일한 제1유로부, 상기 제1유로부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방광위치부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상기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제2유로부 및 상기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유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상기 제3유로부에 배치되어서 유체의 상기 복강위치부에서 방광위치부로 향한 순방향 흐름시에는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서 상기 제2유로부와 제3유로부 사이의 소통구를 개방시키고, 역방향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승되어서 상기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 사이의 소통구를 폐쇄시키는 부력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는, 인체 내 방광벽에 설치되기 이전에는 압축된 상태로 존재하고 방광벽에 대한 설치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원래의 형상으로 팽창되는 복강측 앵커링부와 방광측 앵커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러한 앵커링부들이 복수 배액을 위한 유로를 형성시키는 복강위치부 및 방광위치부에 유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1회 시술에 의해서도 반복적인 복수 배액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복수 배액을 위한 별도의 배액 기구가 요구되지 않게 됨에 따라 거동의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복강측 앵커링부와 방광측 앵커링부가 컴팩트한 규격 상태에서 인체 내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시술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삽입 이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에 의해 방광벽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여 시술 이후 임의탈거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복수 배출 시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의 시술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Ⅳ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방광벽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기구가 방광벽을 천공시킨 상태와 그 천공된 부분에 본 실시예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가 제거되고,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방광측 앵커링부와 복강층 앵커링부가 펼쳐져서 방광벽에 걸린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Ⅸ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ⅩⅠ부분 확대도.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의 시술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Ⅳ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방광벽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기구가 방광벽을 천공시킨 상태와 그 천공된 부분에 본 실시예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가 제거되고,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방광측 앵커링부와 복강층 앵커링부가 펼쳐져서 방광벽에 걸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Ⅸ 부분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는, 복강(A)과 방광(B)을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복강(A) 내 복수를 방광(B)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복강위치부(5)와 방광위치부(6)와 복강측 앵커링부(51)와 방광측 앵커링부(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강위치부(5)는, 복강(A)과 방광(B) 사이 구역을 나누는 기준인 방광벽(C)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강(A)측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복수가 내측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5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방광벽(C)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강(A)과 방광(B) 사이를 구획시키는 것으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W)에 의해 천공이 가능한 근육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방광(B) 내부를 관찰하고 시술할 수 있게 하는 방광(B)경을 통해 상기 방광벽(C)까지 접근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광(B)경에 의해 안내되어 방광(B) 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방광벽(C)에 천공된 구멍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강(A) 측에 위치되는 복강위치부(5)와, 상기 방광벽(C)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강위치부(5)와 반대측에 존재하는 방광(B) 내에 위치되는 방광위치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강위치부(5)는 막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내측에 외부와 폐쇄된 내측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 7 및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공간과 복강(A)을 유체 이동 가능하게 소통시키기 위한 유입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광위치부(6)는, 상기 복강위치부(5)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방광벽(C)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강(A)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방광(B) 측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강위치부(5)의 내부로 유입된 복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강위치부(5)와 함께 상기 폐쇄된 내측공간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복강위치부(5)와 방광위치부(6)는 인체 내 기관이나 조직에 삽입되는 의료용 카테터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51)는, 상온에서는 도 5와 같이 축소되어 있고 인체 내부에 위치한 방광벽(C)의 온도 조건에서는 도 6과 같이 반경방향 신장이 가능하도록 형상기억소재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51)는 형상기억소재로 이루어져서, 상온에서 압축된 상태로 존재하고, 인체의 온도에 해당하는 36.5도에 도달하게 되면, 팽창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러한 복강측 앵커링부(51)는, 일측이 상기 복강위치부(5)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도 5와 같이 상기 방광벽(C)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복강위치부(5)의 외면에 밀착되고 통과 이후에는 도 7과 같이 타측이 상기 일측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펼쳐지게 된다.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61)는,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51)와 동일한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강위치부(5)와 방광위치부(6)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51)와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서,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51)가 상기 방광벽(C)을 통과한 이후 상기 방광위치부(6)가 방광벽(C)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A)-방광(B) 연결 카테터는, 인체 내 방광벽(C)에 설치되기 이전에는 압축된 상태로 존재하고 방광벽(C)에 대한 설치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원래의 형상으로 팽창되는 복강측 앵커링부(51)와 방광측 앵커링부(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러한 앵커링부들이 복수 배액을 위한 유로를 형성시키는 복강위치부(5) 및 방광위치부(6)에 유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1회 시술에 의해서도 반복적인 복수 배액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복수 배액을 위한 별도의 배액 기구가 요구되지 않게 됨에 따라 거동의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강측 앵커링부(51)와 방광측 앵커링부(61)가 컴팩트한 규격 상태에서 인체 내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시술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과, 삽입 이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에 의해 방광벽(C)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여 시술 이후 임의탈거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채용된 복강측 앵커링부(51)와 방광측 앵커링부(61)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요소들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망형 앵커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망형 앵커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복강(A)벽에 대한 걸림면적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고, 각 망형 앵커들이 서로 교차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복강위치부(5)와 방광위치부(6)의 내측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 복수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유로를 형성시키되 상기 방광위치부(6)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가지는 유로형성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로형성부(7)는, 복강(A) 측에서 방광(B)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복강(A) 측에서 방광(B) 측으로의 순방향 유체 흐름은 원활하게 이루지게 하고, 반대로 역방향 유체 흐름은 원활하지 않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역방향 유체 흐름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로형성부(7)에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7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ⅩⅠ부분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유로형성부(8)가 제1유로부(81)와 제2유로부(82)와 제3유로부(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유로부(83)에 배치되는 부력체(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유로부(81)는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부(82)는 상기 제1유로부(81)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방광위치부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상기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3유로부(83)는 상기 제1유로부(81)와 제2유로부(8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부력체(9)는 상기 제3유로부(83)에 배치되어서, 도 11의 (a)와 같이 유체의 상기 복강위치부에서 방광위치부로 향한 순방향 흐름시에는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서 상기 제2유로부(82)와 제3유로부(83) 사이의 소통구를 개방시키고, 도 11의 (b)와 같이 역방향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승되어서 상기 제1유로부(81)와 제2유로부(82) 사이의 소통구를 폐쇄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1차적으로 역류를 차단할 수 있게 하고, 그 체크밸브가 제대로 기능이 발휘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부력체(9)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역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방광 측에서 복강 측으로 향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5:복강위치부 50:유입구
51:복강측 앵커링부 6:방광위치부
60:배출구 61:방광측 앵커링부
7:유로형성부 71:체크밸브
A:복강 B:방광
C:방광벽 W:가이드 와이어

Claims (5)

  1. 복강과 방광 사이 구역을 나누는 기준인 방광벽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강측에 위치되고, 복수가 내측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강위치부;
    상기 복강위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방광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강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방광 측에 위치되며, 상기 복강위치부의 내부로 유입된 복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강위치부와 함께 환형의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방광위치부;
    상온에서는 축소되어 있고 인체 내부에 위치한 방광벽의 온도 조건에서는 반경방향 신장이 가능하도록 형상기억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복강위치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온도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복강측 앵커링부; 및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가 상기 방광벽을 통과한 이후 상기 방광위치부가 방광벽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와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형상기억소재로 이루어져서 일측은 상기 방광위치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온도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방광측 앵커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와 방광측 앵커링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요소들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망형 앵커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강위치부와 방광위치부의 내측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 복수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유로를 형성시키되 상기 방광위치부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가지는 유로형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에는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는, 내경이 동일한 제1유로부, 상기 제1유로부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방광위치부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상기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제2유로부 및 상기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유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유로부에 배치되어서 유체의 상기 복강위치부에서 방광위치부로 향한 순방향 흐름시에는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서 상기 제2유로부와 제3유로부 사이의 소통구를 개방시키고, 역방향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승되어서 상기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 사이의 소통구를 폐쇄시키는 부력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1020200141312A 2020-10-28 2020-10-28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102485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12A KR102485980B1 (ko) 2020-10-28 2020-10-28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PCT/KR2020/014817 WO2022092342A1 (ko) 2020-10-28 2020-10-28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및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12A KR102485980B1 (ko) 2020-10-28 2020-10-28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94A true KR20220056594A (ko) 2022-05-06
KR102485980B1 KR102485980B1 (ko) 2023-01-05

Family

ID=8138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312A KR102485980B1 (ko) 2020-10-28 2020-10-28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5980B1 (ko)
WO (1) WO2022092342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2180A1 (en) * 2012-05-01 2014-01-09 Nidus Medical, Llc Peritoneal drain and infusion
US20150142127A1 (en) * 2012-06-08 2015-05-21 University Hospitals Health System, Inc. Ureteral stent for placement in a kidney and bladder
KR101638284B1 (ko) 2015-03-03 2016-07-08 김동준 복수천자용 배액 체크장치
KR101671612B1 (ko) 2015-01-12 2016-1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기 적출 수술용 복강 내 장기관류장치
KR20180051042A (ko) * 2016-11-08 2018-05-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채집용 자동 잠금 장치
JP2018527974A (ja) * 2015-07-20 2018-09-27 ストラタカ 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 患者の膀胱において負圧を誘発するためのカテーテル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190056395A (ko) * 2016-09-19 2019-05-24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문합 배액 스텐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068A (ja) * 1983-08-11 1985-03-02 テルモ株式会社 腹腔内留置カテーテル
KR200429409Y1 (ko) * 2006-08-01 2006-10-20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복수 배출용 카테터
KR101872509B1 (ko) * 2015-05-04 2018-08-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증 조절용 카테터 장치
KR102266831B1 (ko) * 2019-04-29 2021-06-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2180A1 (en) * 2012-05-01 2014-01-09 Nidus Medical, Llc Peritoneal drain and infusion
US20150142127A1 (en) * 2012-06-08 2015-05-21 University Hospitals Health System, Inc. Ureteral stent for placement in a kidney and bladder
KR101671612B1 (ko) 2015-01-12 2016-1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기 적출 수술용 복강 내 장기관류장치
KR101638284B1 (ko) 2015-03-03 2016-07-08 김동준 복수천자용 배액 체크장치
JP2018527974A (ja) * 2015-07-20 2018-09-27 ストラタカ 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 患者の膀胱において負圧を誘発するためのカテーテル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190056395A (ko) * 2016-09-19 2019-05-24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문합 배액 스텐트
KR20180051042A (ko) * 2016-11-08 2018-05-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채집용 자동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342A1 (ko) 2022-05-05
KR102485980B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831B1 (ko)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102224302B1 (ko) 복수 배액을 위한 벌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CN105358207B (zh) 用于分流流体的系统和方法
US11969568B2 (en) Ureteral stent
KR101109675B1 (ko)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EP3508178A2 (en) Stomal diverter device
KR20220056594A (ko)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CN109675177A (zh) 可视化前列腺扩裂器
US9861734B2 (en) Bifurcated peritoneal catheter
KR102161349B1 (ko) 복수 배액을 위한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CN106039527A (zh) 骨科大流量防堵可冲洗引流导管
KR20240047053A (ko) 트렁크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102605951B1 (ko) 복수배액용 내부배액관
CN204158773U (zh) 内固定防脱落的腹腔引流管
KR20240015767A (ko)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20240015768A (ko)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20240015769A (ko)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CN211024676U (zh) 尿管系统及尿管连接装置
KR20240047032A (ko)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102560845B1 (ko) 복강-방광 연결 배액관 전달 장치
Deaver Hepatic drainage
US94337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yeloplasty internal-external stent
RU186128U1 (ru) Дренаж для дренирования полостей с вязким неоднородным содержимым и газа
CN113599671B (zh) 手术用可引导式导尿管
CN216061638U (zh) 导尿套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