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032A -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 Google Patents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032A
KR20240047032A KR1020220126162A KR20220126162A KR20240047032A KR 20240047032 A KR20240047032 A KR 20240047032A KR 1020220126162 A KR1020220126162 A KR 1020220126162A KR 20220126162 A KR20220126162 A KR 20220126162A KR 20240047032 A KR20240047032 A KR 20240047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abdominal cavity
ascites
drain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26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032A/ko
Publication of KR20240047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61M2025/0076Unidirectional valves
    • A61M2025/0078Unidirectional valves for fluid inflow from the body into the catheter lu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5Blad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복강과 방광 사이 구역을 나누는 기준인 방광벽을 통과하여 양단이 각각 복강과 방광에 위치되고, 내측에 유체이동이 가능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도관부와, 상기 메인 도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방광벽을 통과하여 복강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복강에 있는 복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복강측 앵커링부와, 상기 메인 도관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방광 측에 위치되는 방광측 앵커링부를 포함하는 배액관; 및,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의 후단 관통공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관형 본체부와, 상기 관형 본체부의 후단에 유체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관형 본체부의 유체 이동로를 한정하는 내주면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되어서, 복강측과 방광측의 압력 및 간격의 차이로 인하여 방광 측으로의 유체 이동은 가능하게 하고 그 역방향 이동은 방지시키는 역류 방지부를 포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Duckbill type catheter unit for intraperitoneal ascites drain}
본 발명은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강 내 복수를 방광으로 배출되게 하고, 방광 내부의 유체가 복강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에 관한 것이다.
간경변증(liver cirrhosis) 혹은 복막 파종성 질환 (암의 복막전이, peritoneal carcinomatosis : 위/대장/췌장암/난소암 등에서 복막으로 암의 전이가 발생한 경우)에서는 복강 (peritoneal cavity) 내부에 물이 차는 복수(Ascites) 증상이 발생한다. 복수 증상이 악화되면 환자는 복부 팽만(distension) 에 의해서 불편감 및 통증, 거동 장애 등의 증상을 가지게 된다.
이런 경우,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증상 호전을 목적으로 반복적인 복수 천자 시술(바늘로 반복적으로 배를 찔러서 배 외부로 복수를 빼주는 시술)을 받아야 하지만, 증상 호전의 지속 시간이 길지 않아서 환자는 일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복수 천자를 시행 받게 된다(1회 시술시 약 2~3리터의 복수를 배액). 이러한 시술은 복부를 두꺼운 바늘로 복막 내부까지 찔러야 하므로 통증과 같은 많은 불편함을 야기시킨다. 또한 반복적인 천자는 횟수가 누적될수록 장을 찔러서 장 천공을 유발하거나 시술로 인한 출혈 및 감염 등의 많은 합병증을 동반하게 된다.
복수 배액을 위한 방법 중, 장벽을 통한 카테터 삽입술(PCD :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은, 카테터를 복벽 외부에 거치하는 방법으로 거치 상태를 수일간 유지하기 힘들고 시간이 지날수록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외부 배액술인 만큼 환자의 거동에 제한이 생기고 생기고 일상 생활에 많은 불편감을 유발시킨다.
이와 같이 복수배액을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터는 배액된 복수를 포함한 방광 내부의 유체를 복강으로 역유입시킬 수 있고, 인체에 고정시키기 어려우며, 환자에게 통증과 합병증을 유발시킬뿐만 아니라 불편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71612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강 내부의 복수를 방광으로 배출되게 하고, 자체 구조에 기인하여 방광 내부의 유체가 복강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복수 배액을 위한 반복적인 시술로 인한 통증과 합병증을 방지하는,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은 복강과 방광 사이 구역을 나누는 기준인 방광벽을 통과하여 양단이 각각 복강과 방광에 위치되고, 내측에 유체이동이 가능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도관부와, 상기 메인 도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방광벽을 통과하여 복강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복강에 있는 복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복강측 앵커링부와, 상기 메인 도관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방광 측에 위치되는 방광측 앵커링부를 포함하는 배액관; 및,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의 후단 관통공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관형 본체부와, 상기 관형 본체부의 후단에 유체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관형 본체부의 유체 이동로를 한정하는 내주면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되어서, 복강측과 방광측의 압력 및 간격의 차이로 인하여 방광 측으로의 유체 이동은 가능하게 하고 그 역방향 이동은 방지시키는 역류 방지부를 포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형 본체부는, 제1내경부와, 상기 제1내경부와 역류 방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내경부에서 역류 방지부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제2내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류 방지부에는, 상기 작은 간격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배출구멍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서, 변형에 의해 상기 메인 도관부와 동일한 축선을 따라 길게 배치된 상태로 복강경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방광벽에 접근되고, 접근 이후 복강경 내부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링 형상으로 권취되어서 상기 복강벽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액관은,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가 복강 측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링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방광측에 위치한 방광측 앵커링부를 감싸고, 상기 방광벽에 걸리는 걸림턱을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에 형성시키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은, 배액관의 메인 도관부 일단에 마련된 복강측 앵커링부가 복강에 위치되고, 그 메인 도관부의 타단에 마련된 방광측 앵커링부가 방광에 위치되며,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의 후단에 체크밸브의 관형 본체부가 결합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역류 방지부가 관형 본체부의 후단에 마련되며 유체 이동로의 간격이 그 관형 본체부의 유체 이동로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복강측과 방광측의 압력과 간격의 차이로 인하여 방광 측으로의 유체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방광 측의 유체가 배액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복강 내부의 복수를 방광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고, 자체 구조에 기인하여 방광 내부의 유체가 복강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 배액을 위한 반복적인 시술로 인한 통증과 합병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복수 배액을 위한 시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이 복강경에 의해 방광벽에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복강 측의 유체가 방광 측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체크밸브의 구조 및 복강측과 방광측의 압력에 의해 방광 측 유체가 체크밸브로 유입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체크밸브의 변형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이 복강경에 의해 방광벽에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복강 측의 유체가 방광 측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체크밸브의 구조 및 복강측과 방광측의 압력에 의해 방광 측 유체가 체크밸브로 유입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체크밸브의 변형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은 배액관(100) 및 체크밸브(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액관(100)은 복강과 방광 사이 구역을 나누는 기준인 방광벽(10)을 통과하여 양단이 각각 상기 복강(B)과 방광(A)에 위치된다. 상기 배액관(100)은 복수를 포함한 유체를 복강에서 방광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메인 도관부(110), 복강측 앵커링부(120) 및 방광측 앵커링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액관(100)의 메인 도관부(1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유체 이동을 위한 유로가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복강과 방광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메인 도관부(110)는 형상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고 플렉시블(flexible)하며 내부식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단이 각각 복강측 앵커링부(120) 및 방광측 앵커링부(13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액관(100)의 복강측 앵커링부(120)는 상기 메인 도관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방광벽(10)을 통과하여 복강(B) 측에 위치된다.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120)는 복강(B)과 메인 도관부(110)의 유로를 소통시키는 유입구(121)들을 구비하고, 그 유입구(121)로 유입된 유체(복강에 있는 복수)가 상기 유로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120)는 관 구조를 가지고 형상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도관부(1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120)는 복강경에 의해 형태 변형된 상태에서 복강(B)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복강(B) 내부에 위치된 이후 형태 복원되어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액관(100)의 방광측 앵커링부(130)는 상기 메인 도관부(1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방광(A) 측에 위치된다.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는,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120)의 유입구(121)로 유입되어서 메인 도관부(110)의 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방광(A)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방광(A)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체크밸브(200)와 연결된다.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는 복강측 앵커링부와 같이 관 구조를 가지고 형상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도관부(1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는 복강경에 의해 형태 변형된 상태에서 방광(A) 내부에 위치되고, 방광 내부에 위치된 이후에 형태 복원되어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의 후단에 연결되고 그 방광측 앵커링부(130)의 유로를 경유한 유체가 방광(A)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관형 본체부(210) 및 역류 방지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크밸브(200)의 관형 본체부(210)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의 후단 관통공을 감싸는 형태로 그 후단에 결합된다. 상기 관형 본체부(210)의 내부는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의 내부와 소통되어서 메인 도관부(110)의 유로와 소통된다. 상기 체크밸브(200)의 관형 본체부(210)는, 방광측 앵커링부의 후단과 반대되는 쪽이 상기 역류 방지부(22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크밸브(200)의 역류 방지부(220)는, 상기 관형 본체부(210)의 후단에 유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그 관형 본체부(210)의 유체 이동로를 한정하는 내주면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되어서 복강측과 방광측의 압력 및 간격의 차이로 인하여 방광 측으로의 유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220)는 상기 압력 및 간격의 차이로 인하여 방광 측의 유체가 상기 관형 본체부(210)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유체가 복강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킨다(도 8 참조).
상기 역류 방지부(220)는 관형 본체부(210)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되면 족하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역류 방지부(220)는 그 관형 본체부(210)에 비해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채택하였다. 이로 인해 상기 역류 방지부(220)는 유체 이동로의 간격이 상기 관형 본체부의 유체 이동로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220)는 방광 내부를 향하고 유체가 배출되는 단부 측의 출구(221) 간격이 상기 유체 이동로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방광 측 유체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은, 배액관(100)의 메인 도관부(110) 일단에 마련된 복강측 앵커링부(120)가 복강에 위치되고, 그 메인 도관부(110)의 타단에 마련된 방광측 앵커링(130)부가 방광(A)에 위치되며,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의 후단에 체크밸브(200)의 관형 본체부(210)가 결합되며, 상기 체크밸브(200)의 역류 방지부(220)가 관형 본체부(210)의 후단에 마련되며 유체 이동로의 간격이 그 관형 본체부의 유체 이동로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복강측과 방광측의 압력과 간격의 차이로 인하여 방광 측으로의 유체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방광 측의 유체가 배액관(1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복강 내부의 복수를 방광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고, 자체 구조에 기인하여 방광 내부의 유체가 복강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 배액을 위한 반복적인 시술로 인한 통증과 합병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체크밸브(200)의 관형 본체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경부(211)와 제2내경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형 본체부(210)의 제1내경부(211)는 배액관(100)의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에 체결되고 그 방광측 앵커링부의 유체 이동로와 소통되는 유체 이동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2내경부(212)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형 본체부(210)의 제2내경부(212)는, 제1내경부(211)와 역류 방지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내경부(211)에서 역류 방지부(220)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L1>L2)됨으로써, 복강측 앵커링부(120)의 유입구(121)로 유입된 후 메인 도관부(110)를 경유하며 방광측 앵커링부(130)를 거쳐 제1내경부(211)를 통과하는 유체가 상기 역류 방지부(220)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2내경부(212)는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내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역류 방지부와 함께 상기 유체의 이동 시 압력을 높일 수 있고 그 압력에 의해 방광 측의 유체가 체크밸브(200)의 내부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상기 체크밸브(200)의 역류 방지부(220)는 복수의 배출구멍들(2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멍들(222)은 역류 방지부(220)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며 그 역류 방지부의 유체 이동로(유체 이동유로)와 방광 내부를 소통시킴으로써, 역류 방지부의 유체 이동로를 한정하는 내주면 사이의 상기 작은 간격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그 유체에 함유될 수 있는 물질 등에 의해 상기 유체 이동로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된 체크밸브(200)의 역류방지부(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멍들(222)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부(2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경우, 상기 관형 본체부(210)를 통과하는 유체를 방광(A) 측에 보다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도 9의 (b) 참조).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1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서, 변형에 의해 상기 메인 도관부(110)와 동일한 축선을 따라 길게 배치된 상태로 복강경(20)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방광벽(10)에 접근되고, 접근 이후 복강경(20) 내부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링 형상으로 권취되어서 상기 복강벽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120)는 돼지 꼬리(Pig tail)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액관(100)의 방광측 앵커링부(1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서 변형에 의해 상기 메인 도관부(110)와 동일한 축선을 따라 길게 배치된 상태로 복강경(20)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방광벽(10)에 접근되고, 접근 이후 복강경(20) 내부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링 형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방광(A)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는 돼지 꼬리(Pig tail)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방광측에서 방광벽에 걸림으로써,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가 방광벽을 통과하여 복강 측으로 위치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배액관(100)의 복강측 앵커링부(120)가 복강(B)에 위치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링 형상으로 권취되어서 방광벽(10)에 걸리며, 방광측 앵커링부(13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링 형상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방광(A)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방광벽(10)에서 배액관(100)의 이탈을 억제시킬 수 있음으로써, 복강과 방광 사이 구역을 나누는 기준인 방광벽에 대한 고정력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복수 배액을 위한 반복적인 시술로 인한 통증과 합병증을 방지하고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걸림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재(300)는 방광 측에 위치하는 방광측 앵커링부(130)에 마련되는 것으로, 링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의 외부를 감싸고 그 방광측 앵커링부(130)에 걸림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가 방광벽을 통과하려고 할 때 그 방광벽에 걸리면서 방광측 앵커링부가 복강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림부재(300)는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130)의 외부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져서, 그 방광측 앵커링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걸림부재(300)는 상기 배액관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배액관과 분리형으로 구현되며 고무링 형태와 같이 형성되어서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에 끼워져서 위치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방광벽 A: 방광
B: 복강 20: 복강경
100: 배액관 110: 메인 도관부
120: 복강측 앵커링부 121: 유입구
130: 방광측 앵커링부 200: 체크밸브
210: 관형 본체부 211: 제1내경부
212: 제2내경부 220: 역류 방지부
221: 출구 222: 배출구멍들

Claims (5)

  1. 복강과 방광 사이 구역을 나누는 기준인 방광벽을 통과하여 양단이 각각 복강과 방광에 위치되고, 내측에 유체이동이 가능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도관부와, 상기 메인 도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방광벽을 통과하여 복강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복강에 있는 복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복강측 앵커링부와, 상기 메인 도관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방광 측에 위치되는 방광측 앵커링부를 포함하는 배액관; 및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의 후단 관통공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관형 본체부와, 상기 관형 본체부의 후단에 유체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관형 본체부의 유체 이동로를 한정하는 내주면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되어서, 복강측과 방광측의 압력 및 간격의 차이로 인하여 방광 측으로의 유체 이동은 가능하게 하고 그 역방향 이동은 방지시키는 역류 방지부를 포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부는, 제1내경부와, 상기 제1내경부와 역류 방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내경부에서 역류 방지부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제2내경부를 포함하는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부에는, 상기 작은 간격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배출구멍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강측 앵커링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서, 변형에 의해 상기 메인 도관부와 동일한 축선을 따라 길게 배치된 상태로 복강경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방광벽에 접근되고, 접근 이후 복강경 내부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링 형상으로 권취되어서 상기 복강벽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관은,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가 복강 측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링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방광측에 위치한 방광측 앵커링부를 감싸고, 상기 방광벽에 걸리는 걸림턱을 상기 방광측 앵커링부에 형성시키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1020220126162A 2022-10-04 2022-10-04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20240047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62A KR20240047032A (ko) 2022-10-04 2022-10-04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62A KR20240047032A (ko) 2022-10-04 2022-10-04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032A true KR20240047032A (ko) 2024-04-12

Family

ID=9068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162A KR20240047032A (ko) 2022-10-04 2022-10-04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0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03054B (zh) 压力启动的近端阀
US4382445A (en) Physiological fluid shunt system and improvements therefor
TWI595855B (zh) 直腸吻合保護裝置
US20050038381A1 (en) Catheter having a balloon member recessedly attached thereto
US20040106901A1 (en) Catheter having a balloon member invertedly attached thereto
KR20200126046A (ko) 복수 배액을 위한 앵커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102224302B1 (ko) 복수 배액을 위한 벌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JP5907746B2 (ja) ロープロファイルg−jフィーディング装置
KR20240047032A (ko) 덕빌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BRPI0611601A2 (pt) cateter residente anticoagulante
KR102605951B1 (ko) 복수배액용 내부배액관
JP6094262B2 (ja) 胃瘻用カテーテル
KR20240015768A (ko)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20240047053A (ko) 트렁크 타입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WO2020091306A1 (ko) 복수 배액을 위한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20240015767A (ko)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KR20240015769A (ko) 복수배액용 배액관 유닛
JP4021421B2 (ja) 身体アクセスポート
US20150005737A1 (en) Withdrawal catheter and method
KR102485980B1 (ko)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메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US11446476B1 (en) Nephrostomy tube
CN113599671B (zh) 手术用可引导式导尿管
KR102560845B1 (ko) 복강-방광 연결 배액관 전달 장치
GB2617163A (en) Catheter
CN116531262A (zh) 具有溃缩区的消化道造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