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806B1 - 2차 코일 모듈 - Google Patents

2차 코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806B1
KR102266806B1 KR1020140169691A KR20140169691A KR102266806B1 KR 102266806 B1 KR102266806 B1 KR 102266806B1 KR 1020140169691 A KR1020140169691 A KR 1020140169691A KR 20140169691 A KR20140169691 A KR 20140169691A KR 102266806 B1 KR102266806 B1 KR 102266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attery
secondary coil
core
control circuit
coi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710A (ko
Inventor
히로시 에마
후미오 오오타
에이지 사토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쪽 유니트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소형의 2차 코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2차 코일 모듈(20)은, 무접점 급전방식으로 축전지(30)를 충전하는 전력이 1차 코일을 개재하여 급전되며, 축전지(30)와, 당해 축전지(30)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회로와, 축전지(30) 및 충전제어회로의 적어도 한쪽의 외주면을 덮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통형상의 코어(21)와, 충전제어회로에 접속되어 코어(21)의 외주면에 감기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권선(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차 코일 모듈{SECONDARY COIL MODULE}
본 발명은, 무접점 급전방식으로 축전지를 충전하는 전력이 1차 코일을 개재하여 급전되는 2차 코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말에 내장되는 축전지에, 단말과 충전대를 단자로 접속하지 않고 급전하는 무접점 급전(미접촉 급전)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접점 급전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전자유도방식, 전파방식, 전자계공명방식이 있다. 전자유도방식에서는, 단말 쪽에 2차 코일이 구비되고, 충전대 쪽에 1차 코일이 구비된다. 충전대로부터 단말에 급전하는 경우에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대향하도록 충전대와 단말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1차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여 당해 1차 코일에 자속을 발생시키며, 당해 자속에 의해 2차 코일에 전자유도에 의한 기전력을 발생시켜서 축전지에 급전한다. 이와 같은 전자유도방식에 관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2차 전지 모듈은, 2차 전지와, 충전제어회로와, 제어기판과, 이들의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 몸체와, 케이스 몸체의 외부면에 노출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충전제어회로에는 공진회로가 형성되며, 당해 공진회로는 충전기의 급전 코일에 대응하여 형성된 수전 코일과, 당해 수전 코일과 병렬로 접속되는 공진 콘덴서를 가지고 구성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비접촉충전식 전자기기는, 통형상의 외부 프레임과, 당해 외부 프레임의 한쪽의 개구를 막는 백커버와, 당해 백커버의 안쪽에 배치되고, 외부 프레임의 중심축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가 당해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축 치수보다 작으며, 외부 전원이 구비되는 1차 코일의 전자유도에 의해서 발전하는 2차 코일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3-19688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20628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수전 코일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2차 코일은, 절연성 재료로 피복된 선재(線材)를 동일 평면 위에 감아서 형성한 평면코일이 이용되며, 축전지가 내장된 단말을 축전지의 직각 윗방향에서 본 경우에, 평면코일이 축전지의 직각 아랫방향 쪽에 배치된다. 1차 코일로부터 평면 코일에 효율적으로 급전하기 위해서는, 축전지의 충전 시에 1차 코일과 평면 코일과의 사이에 축전지를 배치하지 않도록, 단말의 직각 아랫방향 쪽의 면을 충전대 쪽을 향하여 재치하는 것이 좋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충전 시에 있어서의 단말의 재치방향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충전대로부터 단말에 급전되는 전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평면 코일의 권선 수를 많게 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당해 권선 수의 증가에 따라 평면 코일의 외경이 커지게 되므로, 평면 코일을 배치함에 있어서 제약이 발생하거나, 평면 코일을 내장하는 단말의 사이즈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단말 쪽 유니트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소형의 2차 코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2차 코일 모듈의 특징 구성은, 무접점 급전방식으로 축전지를 충전하는 전력이 1차 코일을 개재하여 급전되며, 상기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회로와, 상기 축전지 및 상기 충전제어회로의 적어도 한쪽의 외주면을 덮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통형상의 코어와, 상기 충전제어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감기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권선을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의 코어는, 상기 축전지의 충전 시에, 축방향 양쪽 단부 중, 적어도 상기 1차 코일 쪽을 향하여 배치되는 쪽의 단부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덮개 부재로 닫혀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 구성으로 하면, 축전지 및 충전제어회로의 적어도 한쪽이 코어에 내포되므로, 2차 코일 모듈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축전지 나 충전제어회로의 크기에 따라, 2차 코일의 사이즈를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2차 코일 모듈을 단말 쪽 유니트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상기 통형상의 코어는, 상기 축전지의 충전 시에, 축방향 양쪽 단부 중, 적어도 상기 1차 코일 쪽을 향하여 배치되는 쪽의 단부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덮개 부재로 닫혀있으면 호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게 되면, 1차 코일로부터의 자속을 효율적으로 코어의 내부에 도달시킬 수 있으므로, 2차 코일 모듈에 의한 집자(集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어의 축방향 양쪽 단부를 덮개 부재로 닫은 경우에는, 코어 안쪽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으므로, 코어에 내포되는 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충전제어회로가 상기 코어의 통 안에 형성되고, 상기 충전제어회로가 탑재된 기판이 상기 축전지에 재치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충전제어회로가 탑재된 기판을, 코어 안에서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 지지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충전제어회로에 기인하여 2차 코일모듈이 사이즈 업 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충전제어회로의 단자가, 상기 축전지의 전극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상기 축전지의 전극이 도전성 테이프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충전제어회로와 축전지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축전지의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축전지에 충전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단자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축전지에 충전된 전력을 용이하게 출력하여, 당해 전력을 사용하는 부품의 단자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코일 모듈의 이용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 쪽 유니트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소형의 2차 코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2차 코일 모듈이 가지는 2차 코일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코어의 직경방향 바깥쪽에서 본 2차 코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축전지의 충전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축전지의 충전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축전지의 충전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2차 코일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2차 코일 모듈은, 충전대 쪽 유니트와 단말 쪽 유니트를 가지고 구성되는 무접점 급전방식의 충전시스템 중, 단말 쪽 유니트에 설치되며, 당해 단말 쪽 유니트에 있어서, 배치상의 자유도를 높이고자 콤팩트하게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2차 코일 모듈(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2차 코일 모듈(20)은, 무접점 급전방식으로 축전지를 충전하는 전력이 충전대 쪽 유니트에 형성되는 1차 코일을 개재하여 급전된다. 무접점 충전방식이란, 충전대 쪽 유니트에 설치되는 1차 코일 모듈(10)과 단말 쪽 유니트에 설치되는 2차 코일 모듈(20)을 단자로 접속하지 않고, 충전대 쪽 유니트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충전대 쪽 유니트에 형성된 1차 코일(1)을 개재하여, 2차 코일(2)에 전달하여서, 축전지(30)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1차 코일(1)과 2차 코일(2)과의 전력의 송수신은 전자유도에 의해 실행된다. 2차 코일 모듈(20)에는 이와 같은 2차 코일(2)이 구비된다.
1. 2차 코일
도 1에는, 2차 코일(2)의 모식도가 도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차 코일(2)은, 코어(21), 권선(22), 덮개부재(2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코어(21)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축전지(30)의 외주면을 덮는다. 코어(21)를 구성하는 자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판형상의 아몰퍼스 자성체나 자성체를 함유한 수지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판형상의 아몰퍼스 자성체나 자성체를 함유한 수지제 시트 등을 통형상으로 하고, 단부를 봉합하여 코어(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봉합은, 접착재를 이용하여 실시해도 되고, 테이프를 이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 세라믹 계의 소프트 페라이트를 이용하여 코어(2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자성재의 분말을 고농도로 함유한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하여도 된다. 이로써, 두께가 1mm 이하인 원통형상의 코어(21)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세라믹 계의 소프트 페라이트를 이용하여 코어(21)를 구성할 경우에는, 2차 코일(2)의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 또는, 수지 계의 페라이트를 이용하여 코어(21)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코어(21)를 경량화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코어(2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축전지(30)는 2차 코일 모듈(20)에 구비되어, 무접점 급전방식에 의한 충전 대상이 되는, 예를 들면, 리튬폴리머 배터리이다. 축전지(30)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으로 구성된다. 코어(21)는, 내경이 축전지(30)의 외경보다 크도록 구성되며, 축전지(30)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된다. 또, 코어(21)는, 축방향의 길이가 축전지(30)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된다.
권선(22)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며, 코어(21)의 외주면에 감긴다. 권선(22)을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는, 예를 들면, 에나멜선이 이용된다. 권선(22)은, 이와 같은 에나멜선이 코어(21)의 외주면에 복수회 감긴다. 이로써, 공심 코일이 구성된다. 물론, 권선(22)을 복수회 감아서 공심 코일을 구성하고, 당해 공심 코일의 직경방향 안쪽에 코어(21)를 끼워 통과시켜서 구성하여도 된다. 공심 코일은, 축방향의 길이가 축전지(30) 축방향의 길이 이하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선(22)이 코어(21)의 축방향 한쪽의 단부 쪽으로 바싹 근접되어 감긴다.
덮개부재(23)는, 자성 재료로 구성되며, 축전지의 충전 시에, 통형상 코어(21)의 축방향 양쪽 단부 중, 적어도 1차 코일(1) 쪽을 향하여 배치되는 쪽의 단부를 닫는다. 도 1에는 덮개부재(23)가 코어(21)의 축방향 양쪽 단부를 닫는 예가 도시된다. 덮개부재(23)는, 통형상으로 구성된 코어(21)의 축방향 양쪽의 개구부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판형상의 것이 이용된다. 이로써, 코어(21)의 축방향 양쪽의 개구부에 덮개를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덮개부재(23)를 구성하는 자성 재료는, 코어(21)와 같은 자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2차 코일(2)이 축전지(30)를 내포하여 구성되므로, 2차 코일 모듈(20)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코어(21)에 권선(22)을 감아서 구성되는 공심 코일을 낮은 높이로 할 수 있으므로, 축전지(30)나 코어(21)를 높이가 낮은 것을 사용하면, 2차 코일 모듈(20)을 매우 얇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 쪽 유니트에 2차 코일 모듈(20)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축전지(30), 코어(21), 권선(22) 및 덮개부재(23)의 각각의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하여 접착하여도 된다.
2. 2차 코일 모듈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2차 코일 모듈(20)에 대하여 설명한다. 2차 코일 모듈(2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시스템의 단말 쪽 유니트에 설치된다. 이러한 2차 코일 모듈(20)은, 위에서 설명한 2차 코일(2)과, 축전지(30)와, 충전제어회로(40)가 탑재된 기판(41)을 가지고 구성된다. 2차 코일(2) 및 축전지(30)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곳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충전제어회로(40)는, 권선(22)에 접속되어 코어(21)의 통 안에 형성되며, 축전지(30)의 충전을 제어한다. 권선(22)에는, 전자유도에 의해 전력이 발생된다. 충전제어회로(40)에는 이 전력이 전달된다. 충전제어회로(40)는, 이러한 전력을, 축전지(30)를 충전하는 데 적합한 소정의 전압치로 이루어지는 직류전력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충전제어회로(40)는 기판(41)에 탑재된다. 기판(41)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s)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기판(41)은 축전지(30)에 재치되며, 코어(21) 및 덮개부재(23)에 의해 형성되는 기둥형상의 공간 내부에 설치된다.
충전제어회로(40)의 단자는, 축전지(30)의 전극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을 개재하여 접속되며, 당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과 축전지(30)의 전극이 도전성 테이프(60)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충전제어회로(40)의 단자는 기판(41)에 설치되며, 전자유도에 의해 2차 코일(2)에 발생하는 전력이 전달된다. 축전지(30)의 전극이란, 축전지(30)가 가지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이다. 축전지(30)의 단자에는, 도전성 테이프(60)에 의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의 전극이 접속된다. 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은 기판(41)에 설치된 충전제어회로(40)의 단자하고도 접속된다. 이로써, 충전제어회로(40)의 단자와 축전지(30)의 전극이 접속된다.
또, 코어(21)의 외주면에는, 축전지(30)의 전극에 접속되며, 축전지(30)에 충전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단자(70)가 설치된다. 즉, 코어(21)의 외주면에는, 축전지(30)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출력단자(70)가 설치된다. 이로써, 축전지(30)에 충전된 전력을 용이하게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기존의 전지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비무접점 급전방식으로 급전되는 축전지를, 위에서 설명한 2차 코일 모듈(20)로 치환함으로써, 급전방식을 비무접점 급전방식에서 무접점 급전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충전 형태
도 3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2차 코일 모듈(20)에 설치되는 축전지(30)를 충전할 때의 형태가 도시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대 쪽 유니트에 형성되는 1차 코일 모듈(10)이, 코어의 원기둥형상부(11)에 권선(12)을 감아 형성된 1차 코일(1)을 가질 경우에는, 1차 코일(1)과 도통된 경우에, 원기둥형상부(11)의 축방향을 따라 자속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당해 자속이 2차 코일(2)의 직경방향 안쪽을 관통하도록 2차 코일 모듈(20)을 배치하면, 효율적으로 2차 코일(2)에 전자유도에 의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의 원기둥형상부(11)에 권선(12)을 감아 1차 코일(1)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2차 코일 모듈(20)은, 2차 코일(2)이 1차 코일(1)의 축심 위에 위치하도록 1차 코일 모듈(10)에 배치된다. 이로써, 축전지(30)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2차 코일 모듈(2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차 코일(2)이 1차 코일(1)의 축심 위에 위치하고, 권선(22)이 감긴 쪽이 1차 코일 쪽과는 반대쪽을 향하도록 2차 코일 모듈(20)을 1차 코일 모듈(10)에 재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축전지(30)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차 코일 모듈(10)이, 원주방향의 일부에 갭(gap)(13)을 가진 C자 형상의 코어(14)에 권선(12)을 감아 형성된 1차 코일(1)을 가진 경우에는, 1차 코일(1)이 도통되었을 때에, 갭(13)에 있어서 코어(14)의 원주방향을 따라 자속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당해 자속이 2차 코일(2)의 직경방향 안쪽을 관통하도록 2차 코일 모듈(20)을 배치하면, 효율적으로 2차 코일(2)에 전자유도에 의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C자 형상의 코어(14)를 이용하여 1차 코일(1)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2차 코일 모듈(20)은, 갭(13)에 발생된 자속이 2차 코일(2)의 직경방향 안쪽을 관통하도록 1차 코일 모듈(10)에 재치된다. 이로써, 효율적으로 축전지(30)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갭(13)에 발생되는 자속이 2차 코일(2)의 직경방향 안쪽을 관통하도록 하면, 권선(22)이 감긴 쪽이 갭(13)에 있어서의 코어(14)의 원주방향 단부의 어느 쪽을 향해 있어도 된다.
4.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권선(22)이 코어(21)의 축방향의 한쪽 방향 쪽의 단부에 바싹 근접되어 감겨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코어(21)의 축방향에 대해서 권선(22)을 균일하게 감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차 코일 모듈(20)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의 코어(21)의 축방향 양쪽 단부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덮개부재(23)로 닫혀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축전지의 충전 시에, 통형상의 코어(21)의 축방향 양쪽 단부 중, 1차 코일(1) 쪽을 향하여 배치되는 쪽의 단부만 덮개부재(23)로 닫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코어(21)의 축방향 양쪽을 덮개부재(23)로 닫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어(21)는, 축전지(30) 및 충전제어회로(40)의 외주면을 덮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코어(21)가 축전지(30) 및 충전제어회로(40)의 한쪽의 외주면을 덮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코어(21)가 축전지(30)만의 외주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전제어회로(40)가 탑재된 기판(41)이 코어(21)의 통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판(41)이 축전지(30)에 재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축전지(30)로부터 뜬 상태로 통 안에 기판(41)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충전제어회로(40)의 단자가, 축전지(30)의 전극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선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50)과 축전지(30)의 전극이 도전성 테이프(60)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소켓 등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어(21)의 외주면에, 축전지(30)와 접속되며, 축전지(30)에 충전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단자(7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출력단자(70)를 다른 부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무접점 급전방식으로서 전자유도방식에 적용한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자계공명방식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2차 코일(2)을 안테나부품의 코일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안테나부품이 가지는 축전지의 외주면을 덮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통형상 코어와, 당해 코어의 외주면에 감기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권선을 구비한 코일로서 기재할 수 있다. 물론, 통형상 코어의 축방향의 양쪽 단부를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덮개부재에 의해 닫아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무접점 급전방식에서 이용되는 부품은, 소정의 규격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당해 규격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당해 규격에 의존하지 않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무접점 급전방식으로 축전지를 충전하는 전력이 1차 코일을 개재하여 급전되는 2차 코일 모듈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차코일
20: 2차 코일 모듈
21: 코어
22: 권선
23: 덮개부재
30: 축전지
40: 충전제어회로
41: 기판
50: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60: 도전성 테이프
70: 출력단자

Claims (5)

  1. 무접점 급전방식으로 축전지를 충전하는 전력이 1차 코일을 개재하여 급전되는 2차 코일 모듈로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회로와,
    상기 축전지 및 상기 충전제어회로의 적어도 한쪽의 외주면을 덮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통형상의 코어와,
    상기 충전제어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감기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권선을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의 코어는, 상기 축전지의 충전 시에, 축방향 양쪽 단부 중, 적어도 상기 1차 코일 쪽을 향하여 배치되는 쪽의 단부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덮개 부재로 닫혀있는 2차 코일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회로가 상기 코어의 통 안에 형성되며,
    상기 충전제어회로가 탑재된 기판이 상기 축전지에 재치되어 있는 2차 코일 모듈.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회로의 단자가, 상기 축전지의 전극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개재하여 접속되며,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상기 축전지의 전극이 도전성 테이프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2차 코일 모듈.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의 전극과 접속되며, 상기 축전지에 충전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단자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2차 코일 모듈.
KR1020140169691A 2014-01-24 2014-12-01 2차 코일 모듈 KR102266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1452A JP6246001B2 (ja) 2014-01-24 2014-01-24 二次コイルモジュール
JPJP-P-2014-011452 2014-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710A KR20150088710A (ko) 2015-08-03
KR102266806B1 true KR102266806B1 (ko) 2021-06-17

Family

ID=5244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691A KR102266806B1 (ko) 2014-01-24 2014-12-01 2차 코일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67089B2 (ko)
EP (1) EP2899830B1 (ko)
JP (1) JP6246001B2 (ko)
KR (1) KR102266806B1 (ko)
CN (1) CN104810904B (ko)
DK (1) DK2899830T3 (ko)
TW (1) TWI6375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5730B2 (ja) 2015-04-30 2019-04-03 ホシデン株式会社 二次コイルモジュール
KR102450606B1 (ko) * 2015-09-25 2022-10-05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
CN205141843U (zh) * 2015-10-26 2016-04-0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无线电力传输装置和电气设备
JP6725002B2 (ja) * 2016-11-01 2020-07-15 Tdk株式会社 携帯用電子機器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DE102017219973A1 (de) 2017-11-09 2018-09-20 Sivantos Pte. Ltd. Batteriemodul für ein Hörgerät
CN108281258B (zh) * 2018-01-16 2019-05-17 哈尔滨工业大学 基于集中磁场的非对称磁耦合结构
DE102019215843A1 (de) * 2019-10-15 2021-04-15 Sivantos Pte. Ltd. Hörinstru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036A (ja) * 1998-10-16 2000-04-28 Ngk Spark Plug Co Ltd 放電装置の高圧トランス
JP2005525705A (ja) * 2002-05-13 2005-08-25 スプラッシュパワー リミテッド 非接触式電力伝送に関する改良
JP2012142170A (ja) * 2010-12-28 2012-07-26 Hitachi Maxell Energy Ltd 電池ユニット
JP2012252981A (ja) 2011-06-07 2012-12-20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6495B2 (en) * 2002-05-13 2005-06-14 Splashpower Limited Contact-less power transfer
WO2007080820A1 (ja) * 2006-01-12 2007-07-19 Kabushiki Kaisha Toshiba 受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非接触充電装置
JP5231993B2 (ja) * 2006-03-24 2013-07-10 株式会社東芝 非接触充電装置用受電装置
JP4737109B2 (ja) 2007-02-20 2011-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非接触充電式電子機器
US8460816B2 (en) * 2009-10-08 2013-06-11 Etymotic Research, Inc. Rechargeable battery assemblie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rechargeable battery assemblies
JP5717090B2 (ja) * 2011-01-28 2015-05-1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受電ユニット、該受電ユニットを備えた充電システム及び電気機器
JP5937387B2 (ja) 2012-03-19 2016-06-2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2次電池モジュール
US9509167B2 (en) 2012-09-10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Miniature wireless power receiver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036A (ja) * 1998-10-16 2000-04-28 Ngk Spark Plug Co Ltd 放電装置の高圧トランス
JP2005525705A (ja) * 2002-05-13 2005-08-25 スプラッシュパワー リミテッド 非接触式電力伝送に関する改良
JP2012142170A (ja) * 2010-12-28 2012-07-26 Hitachi Maxell Energy Ltd 電池ユニット
JP2012252981A (ja) 2011-06-07 2012-12-20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9830A3 (en) 2015-09-09
TW201541787A (zh) 2015-11-01
US20150214774A1 (en) 2015-07-30
KR20150088710A (ko) 2015-08-03
CN104810904A (zh) 2015-07-29
JP6246001B2 (ja) 2017-12-13
CN104810904B (zh) 2018-10-26
DK2899830T3 (da) 2017-11-06
JP2015139348A (ja) 2015-07-30
TWI637575B (zh) 2018-10-01
EP2899830A2 (en) 2015-07-29
US9667089B2 (en) 2017-05-30
EP2899830B1 (en)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806B1 (ko) 2차 코일 모듈
KR102633474B1 (ko) 이차 코일 모듈
US8421574B2 (en)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side thereof
JP4508266B2 (ja) コイル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717090B2 (ja) 受電ユニット、該受電ユニットを備えた充電システム及び電気機器
WO2011093438A1 (ja) 電力受電装置及び電力送電装置
EP2992776B1 (en) Case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528722B1 (ko) 수급전 장치 및 휴대 기기
US20150115724A1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7800197B (zh) 无线电力传输模块及具有该无线电力传输模块的电子设备
US11349346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10978900B2 (en) Auxiliary batter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WO2011024621A1 (ja) 電池パック
JP2012221572A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
JP2017183476A (ja) コイルユニット、ワイヤレス給電装置、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KR101963261B1 (ko) 무선 충전 장치
KR10143410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KR20180093686A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