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905B1 -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905B1
KR102265905B1 KR1020177013402A KR20177013402A KR102265905B1 KR 102265905 B1 KR102265905 B1 KR 102265905B1 KR 1020177013402 A KR1020177013402 A KR 1020177013402A KR 20177013402 A KR20177013402 A KR 20177013402A KR 102265905 B1 KR102265905 B1 KR 102265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evice
user interface
flexible display
display unit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485A (ko
Inventor
김종호
박시화
이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0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04L51/2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중첩되는 듀얼 터치 영역을 디텍트하고,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응하느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텍트된 듀얼 터치 영역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본 개시물은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및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디바이스가 널리 보급되었다. 휴대용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서, 더 큰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더 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익스텐더블(extendible) 디지털 디바이스가 연구되고 있다. 또한, 휴대성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를 확장하기 위하여,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연구되고 있다.
도 1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예시이다.
도 1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한손으로 잡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유저는 한 손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들고있는 채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어렵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손으로 들고있는 지점으로부터 먼 지점을 터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유저의 듀얼(dual)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유저의 듀얼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제어가 용이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유닛;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한 제1 터치 영역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대한 제2 터치 입력 기초한 제2 터치 영역을 센싱하는 터치 입력 수신 유닛;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입력 수신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가 디텍트되는 경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터치 영역과 제2 터치 영역의 중첩에 기초하여 듀얼(dual) 터치 영역을 디텍트하고, 제1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면, 이벤트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텍트된 듀얼 터치 영역과 인접한 위치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가 디텍트되는 경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한 제1 터치 영역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대한 제2 터치 입력에 기초한 제2 터치 영역을 디지털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수신 유닛을 이용하여 센싱하는 단계; 제1 터치 영역과 제2 터치 영역의 중첩에 기초하여 듀얼(dual) 터치 영역을 디텍트하는 단계; 및 제1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면, 이벤트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텍트된 듀얼 터치 영역과 인접한 위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저에게 개선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저의 듀얼 터치 영역과 인접하게 이벤트에 대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저의 듀얼 터치 영역과 인접하게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디바이스를 한손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예시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 영역의 디텍트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 터치 입력 수신 유닛(130) 및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하우징으로부터 롤(roll) 아웃 또는 연장되는 것일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수신 유닛(1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전면 및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수신 유닛(1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 수신 유닛(1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전면 및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의 위치를 디텍트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수신 유닛(130)은 슬라이드 터치 입력, 멀티 터치 입력, 롱-프레스 터치 입력, 숏-프레스 터치 입력, 드래그 터치 입력, 호버링(hovering) 입력 또는 플리킹(flicking) 터치 입력 등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도 있다. 나아가, 터치 입력 수신 유닛(130)은 터치 펜, 스타일러스 펜 등 다양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 또한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수신 유닛(130)은 센싱된 터치 입력을 프로세서(11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터치 입력 수신 유닛(13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명령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 및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구성도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하드웨어적인 구성 유닛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구성 유닛들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도 2에 미도시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와 중복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센싱 유닛(1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싱 유닛(140)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싱 유닛(140)의 카메라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앞면 및/또는 뒷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싱 유닛(140)은 적외선,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은 외부 디바이스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은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은 다양한 프로토콜에 기반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은 외부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통신,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or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유닛(16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유닛(160)을 통하여 음성 입력을 수신하거나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유닛(160)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및/또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 유닛(170)은, 예를 들어, GPS 센서,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모션 센서, 심박 센서, 지문 센서, 소리 센서 터치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7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컨텍스트 정보를 센싱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토리지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80)은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시스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스토리지 유닛(180) 상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80)은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정보 저장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전력원(19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원(190)은 일회용 배터리, 재충전 가능 배터리 및/또는 에너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외부의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구성도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하드웨어적인 구성 유닛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구성 유닛들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하우징(housing)과 같은 도 3에 미도시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벤딩을 센싱하는 벤딩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벤딩 센싱 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의 압력, 전하, 저항 및/또는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벤딩 여부 및 벤딩된 축을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들 및 도 3에 미도시된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유저 입력의 센싱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센싱된 유저 입력에 따라 신호가 생성되어 수신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유저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110)가 디지털 디바이스(100)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프로세서(110)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 영역의 디텍트를 도시한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대한 이벤트가 디텍트되는 경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1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는 인커밍 메시지 이벤트가 디텍트된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인커밍 메시지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는 디텍트된 이벤트에 대한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이자, 이벤트에 대한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인커밍 이벤트에 대응하여, 편지 형상을 갖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는 아이콘 및/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에 대한 입력을 통하여 이벤트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를 터치할 수 있고,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메시지의 확인, 답장 및 제1 인터페이스(201)의 종료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좌측 하단을 왼손을 이용하여 잡고 있다. 반면,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우측 상단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유저는 자신의 왼손을 이용하여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를 터치하기 어렵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를 다른 손으로 터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유저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잡고 있는 부분과 가까운 부분에 디텍트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다.
도 4에서, 유저의 엄지 손가락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행한다. 전면 터치로 인한 터치 영역은 제1 터치 영역(212)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유저의 나머지 손가락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행한다. 후면 터치로 인한 터치 영역은 제2 터치 영역(211)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1 터치 영역(212)과 제2 터치 영역(211)의 중첩에 기초하여 듀얼 터치 영역(213)을 디텍트할 수 있다. 듀얼 터치 영역(213)은 유저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들고 있다고 추정될 수 있는 영역이다. 도 5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듀얼 터치 영역(213)은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의 전환에 대한 기준점이 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1 터치 영역(212)과 제2 터치 영역(211)의 중첩 영역은 빗금친 부분으로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위 중첩 영역에 기초하여 듀얼 터치 영역(213)을 디텍트한다. 듀얼 터치 영역(213)은 중첩 영역을 가장 많이 포함할 수 있는 기설정된 형태의 영역일 수도 있다. 그러나, 듀얼 터치 영역(213_은 중첩 영역과 동일하게 디텍트될 수도 있다. 아울러, 듀얼 터치 영역(213) 중첩 영역에 대한 확률론적 해석에 기초하여 디텍트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4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대한 이벤트가 디텍트되고, 이벤트에 대한 제1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며, 듀얼 터치 영역이 디텍트되었다. 도 4에 후속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듀얼 터치 입력 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면, 디텍트된 이벤트에 대한 제어를 제공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를 디텍트된 듀얼 터치 영역(213)과 인접한 위치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를 디텍트된 듀얼 터치 영역(213)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를 듀얼 터치 영역(213)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맞대고 있던 엄지 손가락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으로부터 들어올림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벤트에 대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대신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는 유저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들고 있다고 추정되는 듀얼 터치 영역(213)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저는 들어 올렸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를 터치함으로써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는 인커밍 메시지의 메시지의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x"표시를 터치함으로써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를 종료할 수도 있다. 또한, 유저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의 편지 형상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유저는 화살표 모양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인커밍 메시지 이벤트를 예시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인커밍 콜 이벤트에 대하여도 비슷한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커밍 콜 이벤트가 디텍트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인커밍 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듀얼 터치 영역(213)이 디텍트되면, 듀얼 터치 영역(213)과 인접한 영역에 인커밍 콜 이벤트에 대한 제어를 포함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인커밍 콜 이벤트에 대한 응답, 거절 및 기설정된 메시지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서로 상이한 유형의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이벤트에 대한 단순 액세스 만을 제공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터치함으로써 이벤트에 대한 확인만이 가능할 수도 있다. 반면, 예를 들어,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이벤트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터치함으로써 이벤트에 대한 응답 및/또는 이벤트의 종료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하위 단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이고,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노티피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더욱 심화된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이벤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인증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인터페이스는 지문, 비밀번호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저를 인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일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패턴 입력의 인증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인커밍 콜 이벤트와 인커밍 메시지 이벤트에 대응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실시예는 위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텍트된 이벤트는 디지털 디바이스(100) 상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 상에서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디텍트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웹 페이지의 스크롤링(scrolling)을 위한 스크롤 바(bar)를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6의 제1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후, 유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대한 듀얼 터치 입력을 수행한다. 도 8에서, 유저의 듀얼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 좌측 하단의 듀얼 터치 영역(213)이 디텍트된다. 듀얼 터치 영역(213)이 디텍트된 후, 유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비활성화한다.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듀얼 터치 영역(213)에 인접하게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유저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 내부의 원을 상하좌우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웹페이지를 상하좌우로 스크롤링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유사항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크기, 색상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제어(예를 들어, 스크롤링)를 제공하더라도 그 배열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공이 종료된 후 제2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그러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듀얼 터치 입력 중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더라도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유지할 수도 있다. 유저는 디스플레이된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벤트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유지함으로서,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들고 있는 손이 아닌 다른 손으로도 이벤트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8에서,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제1 유저 인터페이스(201)가 제공된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듀얼 터치 영역(213)이 디텍트된 후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면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를 듀얼 터치 영역(213)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한다. 도 4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동작들이 도 8의 실시예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도 8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벤딩축(250)을 따라 폴딩된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벤딩을 센싱하는 벤딩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폴딩되었는지 디텍트할 수도 있다.
도 8에서, 유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대한 듀얼 터치 입력을 수행한다. 그러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폴딩되었기 때문에, 유저의 터치 입력은 모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전면에 대하여 입력된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폴딩이 센싱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유저를 향하는 면을 전면으로, 그와 반대되는 면을 후면으로서 정의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폴딩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벤딩축(250)과 센싱된 터치 입력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듀얼 터치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유저를 향하는 면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얼굴, 머리, 코, 입, 눈 및/또는 귀를 센싱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유저를 향하는 면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
아울러,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듀얼 터치 입력 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유저를 향하는 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유저를 향하는 면에 제2 유저 인터페이스(202)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가 디텍트되는 경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901)할 수 있다. 다양한 이벤트가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음은 도 4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한 제1 터치 영역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대한 제2 터치 입력에 기초한 제2 터치 영역을 입력 수신 유닛을 이용하여 센싱(902)한다. 입력 센싱 유닛이 압력, 전하, 저항 및/또는 전압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음은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벤딩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과 후면은 유저를 향하는 면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음은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1 터치 영역과 제2 터치 영역의 중첩에 기초하여 듀얼 터치 영역을 디텍트(903)한다.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듀얼 터치 영역은 확률적 유사성에 기반하여 디텍트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1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 이벤트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텍트된 듀얼 터치 영역과 인접한 위치에 제공(904)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서로 상이한 제어, 형상 및/또는 유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2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동작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술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으로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디지털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고 반복 가능성이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20)

  1.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한 제1 터치 영역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대한 제2 터치 입력 기초한 제2 터치 영역을 센싱하는 터치 입력 수신 유닛;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입력 수신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가 디텍트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터치 영역과 상기 제2 터치 영역의 중첩에 기초하여 듀얼(dual) 터치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이벤트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텍트된 듀얼 터치 영역과 인접한 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벤트의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인커밍(incoming) 메시지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커밍 메시지 이벤트의 메시지의 확인, 응답 및 닫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인커밍 콜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커밍 콜 이벤트에 대한 응답, 거절 및 기설정된 메시지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크기, 색상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디지털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의 배열이 상이한, 디지털 디바이스.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벤트로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인증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인터페이스는, 지문, 비밀번호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저를 인증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양단 모두에 상기 듀얼 터치 영역이 디텍트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더라도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벤딩(bending)을 센싱하는 벤딩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벤딩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폴딩(folding)되었는지 디텍트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폴딩된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유저를 향하는 면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전면으로써, 그와 반대되는 면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후면으로써 정의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를 향하는 면을 디텍트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저를 향하는 면 상의 상기 듀얼 터치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수신 유닛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터치 입력에 의한 압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듀얼 터치 영역을 디텍트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수신 유닛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압력 및 전하량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압력을 디텍트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7.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가 디텍트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한 제1 터치 영역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대한 제2 터치 입력에 기초한 제2 터치 영역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수신 유닛을 이용하여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영역과 상기 제2 터치 영역의 중첩에 기초하여 듀얼(dual) 터치 영역을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이벤트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텍트된 듀얼 터치 영역과 인접한 위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벤트의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벤트로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인증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인터페이스는, 지문, 비밀번호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저를 인증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77013402A 2014-12-30 2014-12-30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5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3060 WO2016108308A1 (ko) 2014-12-30 2014-12-30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485A KR20170100485A (ko) 2017-09-04
KR102265905B1 true KR102265905B1 (ko) 2021-06-16

Family

ID=5628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402A KR102265905B1 (ko) 2014-12-30 2014-12-30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35037B2 (ko)
KR (1) KR102265905B1 (ko)
WO (1) WO2016108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655B1 (ko) * 2015-07-07 202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446349B2 (ja) * 2015-10-06 2018-1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KR102370169B1 (ko) * 2015-10-13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557963B (zh) * 2016-11-24 2023-04-07 希迪普公司 可检测适用显示噪声补偿的压力的触摸输入装置
US20190012000A1 (en) * 2017-07-05 2019-01-10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with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the Deformed User Interface
CN111752464A (zh) * 2019-03-29 2020-10-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手势操作的响应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20010995A (ko) * 2020-07-20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097996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08239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2108003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40028164A (ko) * 2022-08-24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89642A1 (en) 2013-02-28 2014-09-25 Roy Varada Prasad Method of single-handed software operation of large form fact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140375596A1 (en) * 2013-06-20 2014-12-25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4484B2 (en) * 2008-07-18 2012-09-25 Microsoft Corporation Tracking input in a screen-reflective interface environment
KR101737829B1 (ko) * 2008-11-10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모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44364B1 (ko) * 2009-01-23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컨텐츠 제어방법
US8810524B1 (en) * 2009-11-20 2014-08-19 Amazon Technologies, Inc. Two-sided touch sensor
KR20110081040A (ko) * 2010-01-06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단말에서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224029B1 (ko) * 2010-12-24 2013-01-21 이경신 듀얼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단말기 및 이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US9514669B2 (en) * 2012-03-26 2016-12-06 Beijing Lenovo Software Ltd.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978206B1 (ko) * 2012-06-29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070244B1 (ko) 2012-08-01 2020-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3810B1 (ko) * 2012-08-20 201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4085946A (ja) * 2012-10-25 2014-05-1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動作制御方法
KR102060155B1 (ko) 2013-01-11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EP2972663A4 (en) * 2013-03-13 2016-10-1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PLAYED CONTENT ON ELECTRONIC DEVICES
KR102103720B1 (ko) * 2013-06-20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33751B1 (ko) 2013-06-21 2014-08-27 한국과학기술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양면 인터랙션 장치
US11030784B2 (en) * 2014-06-03 2021-06-08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 digital information related to a real obje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89642A1 (en) 2013-02-28 2014-09-25 Roy Varada Prasad Method of single-handed software operation of large form fact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140375596A1 (en) * 2013-06-20 2014-12-25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8308A1 (ko) 2016-07-07
US10235037B2 (en) 2019-03-19
KR20170100485A (ko) 2017-09-04
US20170351351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905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U2020201096B2 (en) Quick screen splitting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display UI, and storage medium
US101144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39498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358749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16376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965033B2 (en) User input method and portable device
EP295019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50378557A1 (en)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EP3136214A1 (en) Touch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KR201801346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838352A (zh) 在多表面装置中的动作初始化
KR102422793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글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KR20170059815A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KR20140124499A (ko) 터치 디바이스의 문서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352390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50325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EP3528103B1 (en) Screen locking method, terminal and screen locking device
US20150370523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KR10221063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EP345726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ne-handed operation
US999858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4822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18216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241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