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390B1 -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390B1
KR102265390B1 KR1020200144297A KR20200144297A KR102265390B1 KR 102265390 B1 KR102265390 B1 KR 102265390B1 KR 1020200144297 A KR1020200144297 A KR 1020200144297A KR 20200144297 A KR20200144297 A KR 20200144297A KR 102265390 B1 KR102265390 B1 KR 102265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sulator
clamp
win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덕
Original Assignee
(주)삼덕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덕기술단 filed Critical (주)삼덕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14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완철(10)과, 가공배전선지지기구(20)와, 고정용권취기구(30)와, 인장기(40)와, 클램프고정기구(50)와, 낙하용권취기구(60)와, 낙하용가이드기구(70)와, 피뢰기구(80)와, 클램프고정기구(90)와, 램프(100)를 포함하며, 제3와이어(91)를 매개로 클램프(23)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어, 애자 교체시에도 가공배전선(L1) 및 점퍼선(L2)이 설치된 클램프(23)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FIXING EQUIPMENT OF AERIAL POWER DISTRIBUTION LINE USING A CLAMP}
본 발명은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가 전주에 가설되고, 가설된 가공배전선로를 통해 전력의 배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애자는 전주에 설치된 완철을 매개로 가공배전선의 배전선 및 점퍼선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애자는 배전선 및 점퍼선을 고정시키지만, 전주 사이에 설치된 가공배전선의 장력에 의해 애자의 고장이 빈번히 발생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의 문제에 대응하여 가공배전선에 설치된 애자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애자는 작업자가 애자를 교체할 시, 일방향으로 다른 전주와 연결된 가공배전선과 클램프 및 점퍼선이 하방으로 내려가는 문제점이 있어, 애자의 교체작업 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클램프는 작업자가 별도로 작업자의 손 또는 다른 기구를 통해서 위치를 유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애자를 가공배전선에서 분리한 후, 교체할 애자를 낙하시키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어, 애자의 교체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전주로 낙뢰가 칠 시 낙뢰로부터 전주에 설치되는 구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99150호{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사고 없이 애자를 손쉽고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교체 작업 중에 애자로부터 분리된 가공배전선의 낙하로 인한 이차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가공배전선을 제 위치로 손쉽게 복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는,
전주에 설치되는 완철(10)과;
완철(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부(21a)와, 고정부(21a)와 체결되어 고정부(21a)가 완철(10)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애자체결부(21b)와, 고정부(21a)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완철(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애자연결부(21c)를 지닌 애자고정체(21); 애자연결부(21c)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22a)와, 회전부(22a)의 전방에 구비되는 애자몸 체부(22b)와, 애자몸체부(22b)의 전방에 구비되는 클램프연결부(22c)를 지닌 애자(22); 클램프연결부(22c)와 연결되고, 가공배전선(L1) 및 점퍼선(L2)을 연결시키는 클램프본체(23a)와, 클램프연결부(22c)가 클램프본체(23a)에 착탈되도록 형성되는 클램프체결부(23b)와, 클램프본체(23a)의 상측에 구비되는 인장기고리부(23c)와, 클램프본체(23a)의 좌측에 구비되는 클램프고리부(23d)를 지닌 클램프(23);를 갖춘 가공배전선지지기구(20)와;
완철(10)의 상단에 설치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권취홀(31a)이 형성된 권취케이스(31); 권취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어 권취홀(31a)에 삽입된 제1와이어(51)를 권취시키는 보빈부(33); 보빈부(33)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제1와이어(51)가 권취케이스(31)에 권취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32);을 갖춘 고정용권취기구(30)와;
후방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와이어삽입홀(41a)과, 전방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2와이어삽입홀(41b)과, 상방에 관통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버튼이동홀(41c)이 형성되는 인장케이스(41); 인장케이스(41)의 내부에 원형으로 설치되는 래칫휠(42a)과, 래칫휠(42a)의 측면에 설치되며 겉표면에 다수의 볼록이 형성되는 회동축(42b)을 지닌 래칫(42); 래칫(42)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유도시키는 폴(43); 상단이 버튼이동홀(41c)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인장케이스(41) 내부에 빠지지 않도록 중앙에 인장케이스체결부(44a)가 설치되고, 하단이 얇은 판으로 형성되면서 인장케이스(41) 내측면에 접촉되며, 상단의 이동에 따라 폴(43)이 래칫휠(42a)에 접촉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래치버튼(44); 래칫(42)과 동축으로 연결되고 인장케이스(41)의 우측에 설치되며 래칫(42)을 회전시키는 레버(45);를 갖춘 인장기(40)와;
일단부가 보빈부(33)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제1와이어삽입홀(41a)에 삽입되어 회동축(42b)을 한바퀴 감고 제2와이어삽입홀(41b)을 관통하되, 하측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고정돌기(51a)가 회동축(42b)에 형성된 다수의 블록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와이어(51); 제1와이어(51)의 타단에 연결되고, 인장기고리부(23c)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제1갈고리(52);를 갖춘 클램프고정기구(50)와;
제2와이어(61); 완철(10)의 타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2와이어(61)가 전동식으로 권취되도록 형성된 애자권취부(62); 제2와이어(61)의 일측에 연결되고, 애자(22)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2갈고리(63); 애자권취부(62)가 제2와이어(61)를 권취하거나 풀도록 애자권취부(62)에 신호를 입력하는 애자권취버튼(64)를 갖춘 낙하용권취기구(60)와;
애자권취부(62)의 상측 전방에 설치되는 와이어가이드체(71)와, 와이어가이드체(7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가이드롤러(72)를 갖추며, 제2와이어(61)및 제2갈고리(63)가 애자(22)에 연결 시 제2와이어(61)가 정하방으로 내려가도록 가이드하는 낙하용가이드기구(70)와;
낙뢰가 접지선(L3)을 타고 지상으로 방전시키도록 와이어가이드체(71)의 상단에 설치되는 피뢰기구(80)와;
제3와이어(91); 완철(10)의 하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3와이어(31)가 권취되도록 형성된 클램프권취부(92); 제3와이어(91)의 일측에 연결되고, 클램프고리부(23d)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3갈고리(93);를 갖춘 클램프고정기구(90)와;
외부의 신호를 받고 구동되는 램프(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3와이어(91)를 매개로 클램프(23)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어, 애자 교체시에도 가공배전선(L1) 및 점퍼선(L2)가 설치된 클램프(23)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천재지변으로 인해 어두운 상황이나, 상대적으로 밝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때, 램프(100)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뢰기구(80)를 구비하여 낙뢰로 인해 발생된 고전압의 전류가 접지선(L3)을 타고 대지로 흘려보낼 수 있어, 본 발명의 구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기(40) 및 클램프고정기구(50)를 이용해 가공배전선(L1) 및 점퍼선(L2)와 연결된 클램프(23)가 종래보다 하방으로 덜 내려감으로써, 작업자가 별도의 클램프(23)를 상방으로 올리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가공배전선(L1) 및 점퍼선(L2)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용권취기구(60)가 전동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애자(22)의 교체 작업 시 애자(22)의 승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와이어(51)에 설치된 고정돌기(51a)가 회동축(42b)에 형성된 돌기에 맞물려 있어, 인장케이스(41)가 제1와이어(51)를 매개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레버(45)에서 회전되는 회전력을 매개로 제1와이어(51)가 회동축(42b)을 한바퀴 회전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L1)의 무게 또는 외부압력으로 클램프(23) 및 애자(22)가 하방으로 내려갈 때, 작업자가 제1갈고리(52)를 인장기고리부(23c)에 걸고, 작업자가 래치버튼(44)을 매개로 랫치(42)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작업자가 래버(45)를 회전시켜 애자(22) 및 클램프(23)를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가공배전선(L1)과 직접적으로의 접촉을 차단하여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애자(22) 및 클램프(23)가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손쉽게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1번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2번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고정용권취기구, 인장기, 클램프고정기구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래칫과 제1와이어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1번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2번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고정용권취기구, 인장기, 클램프고정기구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래칫과 제1와이어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 완철(10)을 기준으로 가공배전선지지기구(20)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인장기(40)를 기준으로 레버(45)가 설치된 방향을 좌측으로 하며, 레버(45)가 설치된 반대방향을 우측으로 하여, 본 발명에서의 구성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는 완철(10)과, 가공배전선지지기구(20)와, 고정용권취기구(30)와, 인장기(40)와, 클램프고정기구(50)와, 낙하용권취기구(60)와, 낙하용가이드기구(70)와, 피뢰기구(80)와, 클램프고정기구(90)와, 램프(100)를 포함한다.
상기 완철(10)은 전주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의 완철(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완철로써 이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공배전선지지기구(20)는 애자고정체(21), 애자(22) 및 클램프(23)를 갖춘다.
상기 애자고정체(21)는 고정부(21a), 애자체결부(21b) 및 애자연결부(21c)를 지닌다.
상기 고정부(21a)는 완철(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고정부(21a)는 완철(10)에 형성된 홀(미인출)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완철(10) 내측에 삽입된 부분이 볼트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애자체결부(21b)는 고정부(21a)와 체결되어 고정부(21a)가 완철(10)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애자체결부(21b)는 너트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애자연결부(21c)는 고정부(21a)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완철(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애자연결부(21c)는 'ㄷ'자 형상을 이루고, 후술할 회전부(22a)가 상하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애자(22)는 회전부(22a), 애자몸체부(22b) 및 클램프연결부(22c)를 지닌다.
상기 회전부(22a)는 애자연결부(21c)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회전부(22a)는 애자연결부(21c)의 'ㄷ'자 형상의 중앙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연결부(21c) 및 회전부(22a)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애자용회전축(미인출)이 구비되고, 애자연결부(21c)에서 돌출된 일단에 너트로 나사산 체결시킨다.
상기 애자몸체부(22b)는 회전부(22a)의 전방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의 애자몸체부(22b)는 다수의 애자날개가 형성된 현수애자의 몸체이므로,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클램프연결부(22c)는 애자몸체부(22b)의 전방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램프연결부(22c)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바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23)는 클램프본체(23a), 클램프체결부(23b), 인장기고리부(23c)를 지닌다. 본 발명의 클램프(23)는 애자몸체부(22b)의 전방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공배전선(L1)과 점퍼선(L2)의 전기적 연결은, 클램프본체(23a)를 이용한 통상의 기술이 적용된다.
상기 클램프본체(23a)는 클램프연결부(22c)와 연결되고, 가공배전선(L1) 및 점퍼선(L2)을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클램프본체(23a)는 후방이 'ㄷ'자 형상을 이루고, 클램프연결부(22c)가 'ㄷ'자 형상의 중앙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클램프체결부(23b)는 클램프연결부(22c)가 클램프본체(23a)에 착탈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애자연결부(21c) 및 회전부(22a)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관통되는 부분에 볼트 및 너트로 형성된 클램프체결부(23b)가 삽입관통하고 나사산 체결되어, 클램프연결부(22c)와 클램프본체(23a)가 회전가능하면서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인장기고리부(23c)는 클램프본체(23a)의 상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인장기고리부(23c)는 후술할 제1갈고리(52)가 착탈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에 원통형 홀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고리부(23d)는 클램프본체(23a)의 우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클램프고리부(23d)는 후술할 제3갈고리(93)가 착탈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에 원통형 홀이 형성되며, 클램프본체(23a)의 우측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2가공배전선지지기구(20')는 가공배전선지지기구(20)의 좌측에 설치되고, 내용구조물이 가공배전선지지기구(20)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용권취기구(30)는 권취케이스(31), 토션스프링(32) 및 보빈부(33)를 갖춘다.
상기 권취케이스(31)는 완철(10)의 상단에 설치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권취홀(31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권취케이스(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배전선지지기구(20)의 상단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부(33)는 권취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어 권취홀(31a)에 삽입된 제1와이어(51)를 권취시킨다. 본 발명의 보빈부(33)는 후술할 제1와이어(51)가 감겨져 설치되어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스프링(32)은 보빈부(33)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제1와이어(51)가 권취케이스(31)에 권취되도록 탄성 지지한다. 본 발명의 토션스프링(32)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토션스프링으로써,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삭제
한편, 상기 제2고정용권취기구(30')는 고정용권취기구(30)의 좌측에 설치되고, 내용구조물이 고정용권취기구(30)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인장기(40)는 인장케이스(41), 래칫(42), 폴(43), 래치버튼(44) 및 레버(45)를 갖춘다.
상기 인장케이스(41)는 후방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와이어삽입홀(41a)과, 전방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2와이어삽입홀(41b)과, 상방에 관통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버튼이동홀(41c)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인장케이스(41)는 작업자가 손쉽게 다룰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인장케이스(41)는 후술할 제1와이어(51)가 제1와이어삽입홀(41a) 및 제2와이어삽입홀(41b)을 매개로 관통되며, 제1와이어(51)를 매개로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래칫(42)은 인장케이스(41)의 내부에 원형으로 설치되는 래칫휠(42a)과, 래칫휠(42a)의 측면에 설치되며 겉표면에 다수의 볼록이 형성되는 회동축(42b)을 지닌다. 본 발명에서 래칫휠(42a) 및 회동축(42b)는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래칫휠(42a)은 후술할 제1와이어(51)의 고정돌기(51a)와 볼록이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폴(43)은 래칫(42)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유도시킨다. 본 발명의 폴(43)은 후술할 래치버튼(44)에 의해 동작되어 래칫(42)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Pawl)(43)은 래칫(42)의 걸리는 외치(外齒)형태이며,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래치버튼(44)은 상단이 버튼이동홀(41c)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인장케이스(41) 내부에 빠지지 않도록 중앙에 인장케이스체결부(44a)가 설치되고, 하단이 얇은 판으로 형성되면서 인장케이스(41) 내측면에 접촉되며, 상단의 이동에 따라 폴(43)이 래칫휠(42a)에 접촉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래치버튼(44)은 작업자가 상단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기둥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래치버튼(44)은 하단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인장케이스(41)에서 빠지지 않도록 버튼이동홀(41c)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래치버튼(44)은 작업자가 래칫(42)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변경할 때 래치버튼(44)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래칫(42)을 양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변경할 때 래치버튼(44)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레버(45)는 래칫(42)과 동축으로 연결되고 인장케이스(41)의 우측에 설치되며 래칫(42)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레버(45)는 래칫(42)와 동축으로 연결됨으로써, 작업자가 래칫(42)을 회전시킬 수 있는 매개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인장기(40')는 인장기(40)의 좌측에 설치되고, 내용구조물이 인장기(40)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클램프고정기구(50)는 제1와이어(51) 및 제1갈고리(52)를 갖춘다.
상기 제1와이어(51)는 일단부가 보빈부(33)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제1와이어삽입홀(41a)에 삽입되어 회동축(42b)을 한바퀴 감고 제2와이어삽입홀(41b)을 관통하되, 하측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고정돌기(51a)가 회동축(42b)에 형성된 다수의 블록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와이어(51)는 하측에 고정돌기(51a)가 회동축(42b)의 볼록에 접촉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도 6 참조) 인장케이스(41)가 제1와이어(51)를 매개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제1와이어(51)가 토션스프링(32)을 매개로 권취되도록 형성되며, 작업자가 인장케이스(41)를 매개로 인장기고리부(23c)에 제1갈고리(52)가 걸리도록 잡아당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로, 장시간 클램프(23)가 고정되면, 비 또는 외부의 영향으로 클램프(23)가 쳐지고, 작업자가 보수할 때, 클램프(23)와 연결된 제1와이어(51)를 매개로 작업자가 레버(45)를 회전시킴으로써, 구조적인 고정작업을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갈고리(52)는 제1와이어(51)의 타단에 연결되고, 인장기고리부(23c)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갈고리(52)는 제1와이어(51)가 클램프(23)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클램프고정기구(50')는 클램프고정기구(50)의 좌측에 설치되고, 내용구조물이 클램프고정기구(50)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낙하용권취기구(60)는 제2와이어(61), 애자권취부(62), 제2갈고리(63) 및 애자권취버튼(64)를 갖춘다. 본 발명의 낙하용권취기구(60)는 완철(10)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애자권취부(62)는 완철(10)의 타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내부에 제2와이어(61)가 전동식으로 권취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애자권취부(62)는 내부에 제2와이어(61)가 설치되어 있고, 제2와이어(61)를 전동식으로 감거나 풀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부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갈고리(63)는 제2와이어(61)의 일측에 연결되고, 애자(22)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갈고리(63)는 제2와이어(61)가 애자(22)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애자(22)의 바에 걸린다.
상기 애자권취버튼(64)는 애자권취부(62)가 제2와이어(61) 및 제2갈고리(63)를 감거나 풀도록 애자권취부(62)에 권취신호를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애자권취부(62)는 상기 권취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면 다양한 입력수단이 적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낙하용권취기구(60')는 낙하용권취기구(60)의 좌측에 설치되고, 내용구조물이 낙하용권취기구(60)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낙하용가이드기구(70)는 애자권취부(62)의 상측 전방에 설치되는 와이어가이드체(71)와, 와이어가이드체(7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가이드롤러(72)를 갖추며, 제2와이어(61) 및 제2갈고리(63)가 애자(22)에 연결 시 제2와이어(61)가 정하방으로 내려가도록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낙하용가이드기구(70)는 낙하용권취기구(60)의 상단 전방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낙하용가이드기구(70')는 낙하용가이드기구(70)의 좌측에 설치되고, 내용구조물이 낙하용가이드기구(70)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피뢰기구(80)는 낙뢰가 접지선(L3)을 타고 지상으로 방전시키도록 와이어가이드체(71)의 상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피뢰기구(80)는 낙뢰로 인한 고전압의 전류를 지면으로 접지하는 통상의 피뢰기가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피뢰기구(80)가 접지선(L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선(L3)이 완철(10)의 내부에 관통되고, 전주를 따라 지상으로 연결되어 지상으로 고전압 전류의 접지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피뢰기구(80')는 피뢰기구(80)의 좌측에 설치되고, 내용구조물이 피뢰기구(80)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클램프고정기구(90)는 제3와이어(91), 클램프권취부(92) 및 제3갈고리(93)를 갖춘다.
상기 클램프권취부(92)는 완철(10)의 하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3와이어(31)가 권취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클램프권취부(92)는 내부에 제3와이어(91)가 설치되어 있고, 제3와이어(91)를 권취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부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갈고리(93)는 제3와이어(91)의 일측에 연결되고, 클램프고리부(23d)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3갈고리(93)는 클램프고리부(23d)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램프(100)는 외부의 신호를 받고 구동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램프(100)는 작업자가 작업시 불시에 어두어지거나 또는 자세하게 작업할 시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활용되며, 통상의 램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내용에서는, 도 7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은 하단에서 설명하는 작업자가 애자(22)를 교체하도록 공중에서 작업하는 사람임을 나타내며,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는 작업자는 공중에서 작업하는 사람을 언급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주변으로 낙뢰가 발생하면, 와이어가이드체(71)의 상단에 설치된 피뢰기구(80)에 낙뢰가 집중되고, 낙뢰로 인해 발생된 고전압의 전류가 접지선(L3)을 타고 대지로 흘려보낼 수 있어, 본 발명의 구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도 7 참조)
한편,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22)가 설치된 상태에서, 가공배전선지지기구(20)의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 가설 상황에 따라 애자(2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애자(22) 교체 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인장기(40)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제1갈고리(52)를 인장기고리부(23c)에 건다.(도 8 참조) 이후, 작업자는 인장기(40)를 잡고 후방으로 이동시킨다.(도 9 참조) 이때, 본 발명은 제1와이어(51)에 설치된 고정돌기(51a)가 회동축(42b)에 형성된 돌기에 맞물려 있어, 인장케이스(41)가 제1와이어(51)를 매개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후, 작업자는 래치버튼(44)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폴(43)이 래칫휠(42a)에 접촉시켜 래칫(4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도 10의 확대화면 참조) 이후, 작업자는 제2갈고리(63)를 전방으로 잡아당긴다.(도 10 참조) 이때, 작업자는 제2와이어(61)가 와이어가이드체(71)에 설치된 와이어가이드롤러(72)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여, 와이어가이드체롤러(72)를 매개로 제2와이어(61)가 하방으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는 제2갈고리(63)를 애자몸체부(22b)의 바(bar)에 걸고, 제2와이어(61)를 애자(22)의 주변에 감아 제2와이어(61)가 애자(22)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도 11 참조) 또한, 작업자는 제3갈고리(93)을 잡고 클램프(23)가 설치된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작업자는 제3갈고리(93)을 클램프고정부(23d)의 홀에 삽입시킨다.(도 11 참조) 이때, 본 발명은 제3와이어(91)를 매개로 클램프(23)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어, 애자 교체시에도 가공배전선(L1) 및 점퍼선(L2)가 설치된 클램프(23)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후, 작업자는 클램프체결부(23b)를 탈착하고, 클램프연결부(22c)를 클램프본체(23a)로부터 분리한다.(도 11 참조) 이때, 클램프연결부(22c)로부터 분리된 클램프(23)는 다른 전주와 연결된 가공배전선(L1)의 무게로 인해 발생되는 중력이 제1와이어(51)의 지지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되어 하방으로 내려간다.(도 12 참조) 이때, 작업자가 클램프(23)로부터 분리시킨 애자(22)는 중력에 의해 회전부(22a)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향하도록 위치가 변경된다.(도 12 참조)
이어서, 작업자는 애자연결부(21c)와 회전부(22a)와 나사산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애자용회전축(미인출) 및 너트(미인출)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애자(22)가 하방으로 정확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애자권취버튼(64)을 누른다.(도 13 참조)
그러면, 본 발명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22)가 지상으로 낙하한다. 이후, 지상에 있는 작업자는 하방으로 내려온 애자(22)를 제2갈고리(63) 및 제2와이어(61)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애자(22)가 제2갈고리(63)를 애자몸체부(22b)의 바(bar)에 걸려지고, 제2와이어(61)를 애자(22)의 주변에 감기도록 작업한다.
이어서, 지상에 있는 작업자가 애자(22)를 교체한 것을 확인한 작업자는 애자권취버튼(64)을 눌러 애자(22)가 완철(10)까지 승강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작업자는 래버(45)를 회전시켜 제1와이어(51)를 매개로 클램프(23)가 도 1에 설치된 위치에 근접하도록 설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와이어(51)에 설치된 고정돌기(51a)가 회동축(42b)에 형성된 돌기에 맞물려 있고, 레버(45)에서 회전되는 회전력을 매개로 제1와이어(51)가 회동축(42b)을 한바퀴 회전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신규 애자(22)를 이용하여, 기존 애자(22) 분리 작업의 역순으로 신규 애자(22)를 설치한다. (도 15 및 16 참조)
이어서, 작업자는 제2갈고리(64)를 해제시키면, 애자권취부(62) 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미도시)를 매개로 제2와이어(61) 및 제2갈고리(63)가 자동으로 애좌권취부(62)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클램프고정부(23d)에 걸린 제3갈고리(93)을 해제하면, 클램프권취부(92)의 내부에 설치된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제3와이어(91) 및 제3갈고리(93)가 권취되도록 한다.(도 16 참조)
이어서, 작업자는 래치버튼(44)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폴(43)이 래칫(42)의 접촉을 해제시켜 래칫(42)이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도 17의 확대된 도면 참조) 이때,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제1갈고리(52)를 인장기고리부(23c)로부터 해제시키면, 권취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된 토션스프링(32)에 의해 제1갈고리(52) 및 제1와이어(51)가 후방으로 권취된다.(도 17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위의 과정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천재지변으로 인한 어둠과, 작업자가 밝은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시, 완철(10)의 상단에 설치된 램프(100)를 구동하여, 본 발명의 애자교체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3와이어(91)를 매개로 클램프(23)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어, 애자 교체시에도 가공배전선(L1) 및 점퍼선(L2)가 설치된 클램프(23)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천재지변으로 인해 어두운 상황이나, 상대적으로 밝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때, 램프(100)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뢰기구(80)를 구비하여 낙뢰로 인해 발생된 고전압의 전류가 접지선(L3)을 타고 대지로 흘려보낼 수 있어, 본 발명의 구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기(40) 및 클램프고정기구(50)를 이용해 가공배전선(L1) 및 점퍼선(L2)와 연결된 클램프(23)가 종래보다 하방으로 덜 내려감으로써, 작업자가 별도의 클램프(23)를 상방으로 올리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가공배전선(L1) 및 점퍼선(L2)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용권취기구(60)가 전동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애자(22)의 교체 작업 시 애자(22)의 승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와이어(51)에 설치된 고정돌기(51a)가 회동축(42b)에 형성된 돌기에 맞물려 있어, 인장케이스(41)가 제1와이어(51)를 매개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레버(45)에서 회전되는 회전력을 매개로 제1와이어(51)가 회동축(42b)을 한바퀴 회전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L1)의 무게 또는 외부압력으로 클램프(23) 및 애자(22)가 하방으로 내려갈 때, 작업자가 제1갈고리(52)를 인장기고리부(23c)에 걸고, 작업자가 래치버튼(44)을 매개로 랫치(42)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작업자가 래버(45)를 회전시켜 애자(22) 및 클램프(23)를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가공배전선(L1)과 직접적으로의 접촉을 차단하여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애자(22) 및 클램프(23)가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손쉽게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주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가공배전선 설치를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로 정의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완철 20: 가공배전선지지기구
30: 고정용권취기구 40: 인장기
50: 클램프고정기구 60: 낙하용권취기구
70: 낙하용가이드기구 80: 피뢰기구
90: 클램프고정기구 100: 램프

Claims (1)

  1. 전주에 설치되는 완철(10)과;
    완철(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부(21a)와, 고정부(21a)와 체결되어 고정부(21a)가 완철(10)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애자체결부(21b)와, 고정부(21a)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완철(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애자연결부(21c)를 지닌 애자고정체(21); 애자연결부(21c)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22a)와, 회전부(22a)의 전방에 구비되는 애자몸 체부(22b)와, 애자몸체부(22b)의 전방에 구비되는 클램프연결부(22c)를 지닌 애자(22); 클램프연결부(22c)와 연결되고, 가공배전선(L1) 및 점퍼선(L2)을 연결시키는 클램프본체(23a)와, 클램프연결부(22c)가 클램프본체(23a)에 착탈되도록 형성되는 클램프체결부(23b)와, 클램프본체(23a)의 상측에 구비되는 인장기고리부(23c)와, 클램프본체(23a)의 좌측에 구비되는 클램프고리부(23d)를 지닌 클램프(23);를 갖춘 가공배전선지지기구(20)와;
    완철(10)의 상단에 설치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권취홀(31a)이 형성된 권취케이스(31); 권취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어 권취홀(31a)에 삽입된 제1와이어(51)를 권취시키는 보빈부(33); 보빈부(33)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제1와이어(51)가 권취케이스(31)에 권취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32);을 갖춘 고정용권취기구(30)와;
    후방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와이어삽입홀(41a)과, 전방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2와이어삽입홀(41b)과, 상방에 관통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버튼이동홀(41c)이 형성되는 인장케이스(41); 인장케이스(41)의 내부에 원형으로 설치되는 래칫휠(42a)과, 래칫휠(42a)의 측면에 설치되며 겉표면에 다수의 볼록이 형성되는 회동축(42b)을 지닌 래칫(42); 래칫(42)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유도시키는 폴(43); 상단이 버튼이동홀(41c)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인장케이스(41) 내부에 빠지지 않도록 중앙에 인장케이스체결부(44a)가 설치되고, 하단이 얇은 판으로 형성되면서 인장케이스(41) 내측면에 접촉되며, 상단의 이동에 따라 폴(43)이 래칫휠(42a)에 접촉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래치버튼(44); 래칫(42)과 동축으로 연결되고 인장케이스(41)의 우측에 설치되며 래칫(42)을 회전시키는 레버(45);를 갖춘 인장기(40)와;
    일단부가 보빈부(33)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제1와이어삽입홀(41a)에 삽입되어 회동축(42b)을 한바퀴 감고 제2와이어삽입홀(41b)을 관통하되, 하측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고정돌기(51a)가 회동축(42b)에 형성된 다수의 블록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와이어(51); 제1와이어(51)의 타단에 연결되고, 인장기고리부(23c)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제1갈고리(52);를 갖춘 클램프고정기구(50)와;
    제2와이어(61); 완철(10)의 타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2와이어(61)가 전동식으로 권취되도록 형성된 애자권취부(62); 제2와이어(61)의 일측에 연결되고, 애자(22)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2갈고리(63); 애자권취부(62)가 제2와이어(61)를 권취하거나 풀도록 애자권취부(62)에 신호를 입력하는 애자권취버튼(64)를 갖춘 낙하용권취기구(60)와;
    애자권취부(62)의 상측 전방에 설치되는 와이어가이드체(71)와, 와이어가이드체(7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가이드롤러(72)를 갖추며, 제2와이어(61)및 제2갈고리(63)가 애자(22)에 연결 시 제2와이어(61)가 정하방으로 내려가도록 가이드하는 낙하용가이드기구(70)와;
    낙뢰가 접지선(L3)을 타고 지상으로 방전시키도록 와이어가이드체(71)의 상단에 설치되는 피뢰기구(80)와;
    제3와이어(91); 완철(10)의 하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3와이어(31)가 권취되도록 형성된 클램프권취부(92); 제3와이어(91)의 일측에 연결되고, 클램프고리부(23d)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3갈고리(93);를 갖춘 클램프고정기구(90)와;
    외부의 신호를 받고 구동되는 램프(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

KR1020200144297A 2020-11-02 2020-11-02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 KR102265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97A KR102265390B1 (ko) 2020-11-02 2020-11-02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97A KR102265390B1 (ko) 2020-11-02 2020-11-02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390B1 true KR102265390B1 (ko) 2021-06-15

Family

ID=7641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297A KR102265390B1 (ko) 2020-11-02 2020-11-02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3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256B1 (ko) * 2021-12-30 2022-09-30 (주)제이티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 지지를 위한 애자 장착형 고정기구
KR102456675B1 (ko) * 2021-12-29 2022-10-20 안성감리설계(주) 분기기능을 마련한 가공배전라인 지지용 스트랍장치
CN115450482A (zh) * 2022-08-11 2022-12-09 江西腾泽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瓷横担绝缘子金属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50B1 (ko) 2004-11-01 2009-05-2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KR101335928B1 (ko) * 2013-08-08 2013-12-05 (주) 나우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422739B1 (ko) * 2014-04-11 2014-07-24 (주)부영이엔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2112807B1 (ko) * 2020-02-26 2020-05-19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50B1 (ko) 2004-11-01 2009-05-2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KR101335928B1 (ko) * 2013-08-08 2013-12-05 (주) 나우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422739B1 (ko) * 2014-04-11 2014-07-24 (주)부영이엔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2112807B1 (ko) * 2020-02-26 2020-05-19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675B1 (ko) * 2021-12-29 2022-10-20 안성감리설계(주) 분기기능을 마련한 가공배전라인 지지용 스트랍장치
KR102449256B1 (ko) * 2021-12-30 2022-09-30 (주)제이티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 지지를 위한 애자 장착형 고정기구
CN115450482A (zh) * 2022-08-11 2022-12-09 江西腾泽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瓷横担绝缘子金属附件
CN115450482B (zh) * 2022-08-11 2024-02-27 江西腾泽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瓷横担绝缘子金属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390B1 (ko)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기구
KR102265393B1 (ko) 피뢰기능이 구비된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2246336B1 (ko)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CN111130012B (zh) 一种防高压线坠落的方法
JP6068226B2 (ja) 金車装置および架空地線架け替え工法
KR102265394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2243946B1 (ko) 가공송전선 설치가 가능한 철탑 고정기구
JP2007325462A (ja) 撤去電線のガイド装置、及び架空電線の撤去工法
CN214745571U (zh) 高杆灯自锁升降装置
JP2009126640A (ja) エレベータのテールコード支持装置
KR102243951B1 (ko) 가공송전선 안전거리 이격가능 지지기구
KR102243948B1 (ko) 가공송전라인 충돌방지형 지지기구
KR102254647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이격 스페이서 기구
CN213039197U (zh) 一种自锁式挂梯
KR100762985B1 (ko) 무동력 릴 와이어 로프 와인더
CN110306857B (zh) 一种改进型电线杆
CN219174168U (zh) 一种高空缓降救生器
KR20100067317A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CN212712516U (zh) 一种打桩机钢丝绳用卷扬设备
CN116625420B (zh) 一种基于电力检测的高空检测装置
CN102493636B (zh) 自动定位及失重防坠装置
KR100915988B1 (ko) 가공송전용 전선의 전주고정형 완금구조물
CN219963783U (zh) 一种登高和高空作业用防坠保护装置
KR20140044493A (ko) 와이어피더의 와이어릴 스토퍼 장치
CN114204478B (zh) 一种进出多分裂导线电场的辅助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