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317A -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 Google Patents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317A
KR20100067317A KR1020080125814A KR20080125814A KR20100067317A KR 20100067317 A KR20100067317 A KR 20100067317A KR 1020080125814 A KR1020080125814 A KR 1020080125814A KR 20080125814 A KR20080125814 A KR 20080125814A KR 20100067317 A KR20100067317 A KR 20100067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support member
rotating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5345B1 (ko
Inventor
금병엽
Original Assignee
금병엽
이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병엽, 이부근 filed Critical 금병엽
Priority to KR102008012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3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개구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세로부재(110)와, 상기 세로부재(110)의 하부로 구비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20)와, 상기 세로부재(110)의 상부로 구비되어 제1 지지부재(171)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지지부(140)와, 상기 상부지지부(140)로부터 하부로 이격하여 상기 세로부재(110)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차단막(180)을 당기도록 작용하는 차단막인장부(130)와, 일측이 상기 세로부재(110)에 측방향으로 연결되며 봉 형상의 가로부재(151)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가로보호부(150)와, 상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부(140)에 의하여 지지되고 하부의 타측은 상기 차단막인장부(130)에 의하여 지지되어 차단막인장부(130)에 의하여 회전하는 봉 형상의 제1 지지부재(171)와, 일측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171)가 삽입되는 차단막(180)을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의 높이나 폭에 맞추어 보호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차단막(180)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설치와 분리가 용이하며, 재활용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축물, 개구부, 보호

Description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A Protecting Device of The Opening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시공 중 베란다, 창문 등의 용도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임시 보호하여 시공 중에 개구부를 통하여 공사 자재, 인명, 소음, 먼지 등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며 재활용이 가능하며, 개구부의 넓이에 따라 넓이 조정이 가능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용 빌딩, 아파트, 단독 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을 건축하는 단계에서 건축물의 창문이나, 베란다 등으로 되는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시공 작업 중에 안전 사고의 원인이 되며, 개구부를 통하여 건축 자재가 외부로 추락하여 행인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건축 요원이 추락하거나, 건축 중에 발생한 오염 물질이나 먼지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따라서 건축 단계에서 개구부를 임시로 막아 보호하는 장치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개구부(S) 주위로 건축물 벽면에 복 수의 앵커 볼트(11)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앵커 볼트(11)를 연결하여 와이어(13) 를 개구부(S) 둘레를 따라 설치한다. 그리고 주위를 따라 아일렛(21)을 구비한 차단막(20)을 상기 와이어(13)에 연결하여 설치하였다. 차단막(20)의 설치에 있어서 아일렛(21)에 고정끈(23)을 관통시켜 와이어(13)에 고정하였다. 상기 앵커 볼트(11)를 삽입 설치한 벽면에 또 다른 복수의 앵커 볼트(17)를 개구부(S)의 좌우의 상하에 설치하고, 상기 앵커 볼트(17)에 결속끈(19)으로 복수의 가로봉(33)을 결속하고, 상기 가로봉(33)에 하나 이상의 세로봉(31)을 결속하여 보강하였다. 도 1에서 도면부호 U는 천정을, B는 바닥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는 복수의 앵커 볼트(11, 13)를 건축물 벽면에 삽입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와 분리가 까다롭고, 설치와 분리에 장시간 소요되며, 건축물 벽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개구부(S)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다른 크기의 차단막(20)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호환성이 떨어지고, 사용된 자재 들을 재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높이와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개구부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치와 분리가 간단하며, 건축물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재활용이 가능하며, 차단막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는 건물의 개구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세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의 하부로 구비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세로부재의 상부로 구비되어 제1 지지부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지지부로부터 하부로 이격하여 상기 세로부재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차단막을 당기도록 작용하는 차단막인장부와, 일측이 상기 세로부재에 측방향으로 연결되며 봉 형상의 가로부재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가로보호부와, 상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하부의 타측은 상기 차단막인장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차단막인장부에 의하여 회전하는 봉 형상의 제1 지지부재와, 일측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세로부재의 하부로 구비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세로부재와 나란하게 구비되며 제1 회전부의 하부로 요홈이 형성된 볼트부재와, 상기 요홈의 상부로 볼트부재와 일체로 구비되는 제1 회전부와,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하부로 구비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는 상기 세로부재와 이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또 하나의 제2 세로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이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2 세로부재의 하부로는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부로는 제2 지지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부가, 상기 상부지지부로부터 하부로 이격하여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가 구비되며; 상기 가로보호부의 타측은 상기 제2 세로부재의 측방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단막의 타측은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에서 차단막인장부는 상기 세로부재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봉 형상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구비되는 래칫 휠와,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3 회전부와, 상기 래칫 휠의 측방으로 제2 브라켓에 구비되며 안내공이 형성된 안내부재와, 안내부재에 대하여 상기 래칫 휠의 반대에 위치하도록 제2 브라켓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공을 통하여 상기 래칫 휠로 연장된 접촉부재를 가지는 스토퍼와,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에는 상단에서 하부로 이격되며 돌출되고 제1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상부걸림부재와, 하단에서 상부로 이격되며 돌출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하부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에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차단막의 상단은 제1 지지부재와 상부걸림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하단은 제1 지지부재와 하부걸림부재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에서 가로보호부는 일측이 상기 세로부재 또는 제2 세로부재의 측방으로 고정 연결되는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타측으로 일체로 구비되는 삽입너트와, 상기 삽입너트에 나사 체결되어 가로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 회전부와 요홈이 차례로 구비되는 제1 볼트부재와,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제1 볼트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볼트부재의 끝단이 이격되도록 상기 세로부재 또는 제2 세로부재의 측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회전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의하면, 개구부의 높이나 폭에 맞추어 보호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차단막(180)을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치와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에서 차단막과 제1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차단막과 제2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 및 도 8은 도 2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높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에 도시한 차단막인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2의 B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2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가로보호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2의 D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4는 도 2의 E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상부지지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세로부재(110)와, 상기 세로부재(110)의 하부로 구비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20)와, 상기 세로부재(110)의 상부로 구비되어 제1 지지부재(171)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지지부(140)와, 상기 상부지지부(140)로부터 하부로 이격하여 상기 세로부재(110)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차단막(180)을 당기도록 작용하는 차단막인장부(130)와, 일측이 상기 세로부재(110)에 측방향으로 연결되며 봉 형상의 가로부재(151)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가로보호부(150)와, 상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부(140)에 의하여 지지되고 하부의 타측은 상기 차단막인장부(130)에 의하여 지지되어 차단막인장부(130)에 의하여 회전하는 봉 형상의 제1 지지부재(171)와, 일측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171)가 삽입되는 차단막(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로부재(110)와 이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또 하나의 제2 세로부재(110')와, 상기 제1 지지부재(171)와 이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재(17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세로부재(110')의 하부로는 상기 높이조절부(120)가, 상부로는 제2 지지부재(172)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기 상부지지부(140)가, 상기 상부지지부(140)로부터 하부로 이격하여 상기 제2 지지부재(172)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가로보호부(150)의 타측은 상기 제2 세로부재(110')의 측방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단막(180)의 타측은 제2 지지부재(172)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세로부재(110)와 제2 세로부재(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형 형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세로부재(110)의 하부로는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세로부재(110)의 하부로 구비되는 너트(121)와, 상기 너트(121)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세로부재(110)와 나란하게 구비되며 제1 회전부(125)의 하부로 요홈(126)이 형성된 볼트부재(123)와, 상기 요홈(126)의 상부로 볼트부재(123)와 일체로 구비되는 제1 회전부(125)와, 상기 요홈(126)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부재(1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127)와, 상기 볼트부재(123)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재(127)의 하부로 구비되는 받침부재(129)로 이루어진다. 상기 너트(121)는 세로부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볼트부재(123)가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회전부(125)는 볼트부재(123)에 너트를 체결하여 용접 등으로 고정하여 형성할 수 있고, 볼트부재(123)의 양측면에 평면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부재(127)는 볼트부재(123)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판재로서, 상기 볼트부재(123)의 요홈(126)으로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지지부재(127)는 볼트부재(123)의 하단이 받침부재(129)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진다.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회전부(125)를 회전시키면 볼트부재(123)가 고정된 너트(121)에 대하여 회전하므로 세로부재(110)에 대하여 받침부재(129)는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받침부재(129)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턱진 부분(T)에 설치될 수 있는 형태로 할 수 있고, 평판으로 형성하여 평평한 바닥면 등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140)는 도 2,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로 절곡된 형태로서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에 의하여 상기 세로부재(110)와 제2 세로부재(110')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지지부(14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14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171)와 제2 지지부재(172)의 상부가 각각 상기 통공(14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상부지지부(140)에 하부로 연장된 돌기를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지지부재(171)와 제2 지지부재(172)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171)와 제2 지지부재(17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부(140)는 세로부재(110)의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이격하여 설치되도록 하여, 세로부재(110)의 끝단이 천정면에 접하는 경우 제1 지지부재(171)나 제2 지지부재(172)가 천정 면에 접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부재(110)의 끝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상부지지부(140)와 세로부재(110)의 끝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코너 부분이 개구부 모서리에 걸리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인장부(130)는 상기 세로부재(110)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2 브라켓(131)과, 상기 제2 브라켓(131)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봉 형상의 회전부재(133)와, 상기 회전부재(133)와 일체로 구비되는 래칫 휠(135)과, 상기 회전부재(133)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3 회전부(137)와, 상기 래칫 휠(135)의 측방으로 제2 브라켓(131)에 구비되며 안내 공(139a)이 형성된 안내부재(139)와, 안내부재(139)에 대하여 상기 래칫 휠(135)의 반대에 위치하도록 제2 브라켓(131)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공(139a)을 통하여 상기 래칫 휠(135)로 연장된 접촉부재(136a)를 가지는 스토퍼(136)와,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139)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136)에 연결되는 스프링(1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칫 휠(135)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는 기계 요소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브라켓(13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에 'ㄱ'자로 절곡된 판재가 결합된 형태로서, 평판 부분이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세로부재(110)의 하부로 용접이나 볼트 연결에 의하여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133)는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브라켓(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133)는 봉 형태로서 하부에 래칫 휠(135)과 제2 회전부(137)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회전부(137)는 너트나 볼트 머리를 용접 등으로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회전부재(133)의 양측에 평면부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134)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안내부재(139)에 연결되고, 타단이 스토퍼(136)에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136)가 래칫 휠(135)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작용한다.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제2 회전부(137)를 회전시키면 접촉부재(136a)와 접촉이 유지되며 회전부재(133)와 래칫 휠(135)이 회전하게 되며, 래칫 휠(135)의 특성상 어느 일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스토퍼(136)를 잡아당겨 접 촉부재(136a)가 래칫 휠(135)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171)는 중공체로 하부는 차단막인장부(130)의 회전부재(133)로 삽입되어, 회전부재(133)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는 제1 지지부재(171)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각형, 5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171)의 하부로 관통된 핀공(175)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133)에 관통된 결합공(132)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133)가 제1 지지부재(171)의 하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핀공(175)과 결합공(132)에 핀(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하여 제1 지지부재(171)와 회전부재(133)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세로부재(110')의 하부에도 세로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차단막인장부(13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나, 어느 한쪽에서만 차단막(180)을 잡아당길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 유리하므로, 상기 제2 세로부재(110')의 하부에는 하부지지부(1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지지부(160)는 도 2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세로부재(110')의 하부에 용접이나 볼트 체결로 연결되는 제3 브라켓(161)과, 상기 제3 브라켓(16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재(1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지지부재(172)는 중공체로서 하단이 상기 지지부재(163)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도 3에는 제2 지지부재(172)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각형, 5각형 등 다양한 형 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지지부재(17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서 하부로 이격되며 돌출되고 제1 지지부재(171)의 길이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상부걸림부재(173)와, 하단에서 상부로 이격되며 돌출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171)의 길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하부걸림부재(174)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걸림부재(173)와 하부걸림부재(174)는 'ㄱ'자로 절곡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부재(17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된다.
상기 차단막(180)은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건축 자재 등이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이탈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섬유, 나일론, 부직포, 나이론 망체 등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171)와 제2 지지부재(172)가 삽입되는 삽입공(181, 18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81, 183)은 차단막의 끝단 일부를 접어 박음질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180)에 제1 지지부재(171)가 삽입될 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180)의 상단은 제1 지지부재(171)와 상부걸림부재(173) 사이에 위치하고, 하단은 제1 지지부재(171)와 하부걸림부재(17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한 상태에서 도 4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171)가 회전부재(133)와 일체로 회전할 때 차단막(180)이 제1 지지부재(171)에 감기면서 제1 지지부재(171)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재(172)로 연결되는 상기 차단막(180) 부분에는 복수의 아일렛(185)을 설치하여, 아일렛(185)을 관통한 고정 끈(187)으로 차단막(180)을 제2 지지부재(172)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는 하나 이상의 가로보호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가로보호부(150)는 도 2,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상기 세로부재(110) 또는 제2 세로부재(110')의 측방으로 고정 연결되는 가로부재(151)와, 상기 가로부재(151)의 타측으로 일체로 구비되는 삽입너트(153)와, 상기 삽입너트(153)에 나사 체결되어 가로부재(15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 회전부(157)와 요홈(155a)이 차례로 구비되는 제1 볼트부재(155)와, 상기 요홈(155a)에 삽입되어 제1 볼트부재(15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볼트부재(155)의 끝단이 이격되도록 상기 세로부재(110) 또는 제2 세로부재(110')의 측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회전지지부재(159)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부재(151)는 중공체로서 상기 삽입너트(153)는 가로부재(151)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가로보호부(150)는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서 차단막(180)에 의하여 가리워지게 된다.
상기 제3 회전부(157)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볼트부재(155)에 너트를 체결하고 용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제1 볼트부재(155)의 양측면에 평면을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에서 도면부호 152는 상기 가로부재(151)로 삽입되어 용접되는 결합부(152)를 도시한 것이다.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회전부(157)를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로보호부(150)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되어 상기 세로부재(110)와 제2 세로부재(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서 차단막과 제1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차단막과 제2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8은 도 2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높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차단막인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B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가로보호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D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2의 E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상부 지지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5)

  1. 건물의 개구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세로부재(110)와, 상기 세로부재(110)의 하부로 구비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20)와, 상기 세로부재(110)의 상부로 구비되어 제1 지지부재(171)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지지부(140)와, 상기 상부지지부(140)로부터 하부로 이격하여 상기 세로부재(110)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차단막(180)을 당기도록 작용하는 차단막인장부(130)와, 일측이 상기 세로부재(110)에 측방향으로 연결되며 봉 형상의 가로부재(151)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가로보호부(150)와, 상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부(140)에 의하여 지지되고 하부의 타측은 상기 차단막인장부(130)에 의하여 지지되어 차단막인장부(130)에 의하여 회전하는 봉 형상의 제1 지지부재(171)와, 일측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171)가 삽입되는 차단막(180)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세로부재(110)의 하부로 구비되는 너트(121)와, 상기 너트(121)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세로부재(110)와 나란하게 구비되며 제1 회전부(125)의 하부로 요홈(126)이 형성된 볼트부재(123)와, 상기 요홈(126)의 상부로 볼트부재(123)와 일체로 구비되는 제1 회전부(125)와, 상기 요홈(126)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부재(1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127)와, 상기 볼트부재(123)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재(127)의 하부로 구비되는 받침부재(12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110)와 이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또 하나의 제2 세로부재(110')와, 상기 제1 지지부재(171)와 이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재(172)를 더 포함하며; 제2 세로부재(110')의 하부로는 상기 높이조절부(120)가, 상부로는 제2 지지부재(172)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부(140)가, 상기 상부지지부(140)로부터 하부로 이격하여 상기 제2 지지부재(172)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160)가 구비되며; 상기 가로보호부(150)의 타측은 상기 제2 세로부재(110')의 측방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단막(180)의 타측은 제2 지지부재(172)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인장부(130)는 상기 세로부재(110)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2 브라켓(131)과, 상기 제2 브라켓(131)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봉 형상의 회전부재(133)와, 상기 회전부재(133)와 일체로 구비되는 래칫 휠(135)과, 상기 회전부재(133)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3 회전부(137)와, 상기 래칫 휠(135)의 측방으로 제2 브라켓(131)에 구비되며 안내공(139a)이 형성된 안내부재(139)와, 안내부재(139)에 대하여 상기 래칫 휠(135)의 반대에 위치하도록 제2 브라켓(131)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공(139a)을 통하여 상기 래칫 휠(135)로 연장된 접촉부재(136a)를 가지는 스토퍼(136)와,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139)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136)에 연결되는 스프링(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171)에는 상단에서 하부로 이격되며 돌출되고 제1 지지부재(171)의 길이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상부걸림부재(173)와, 하단에서 상부로 이격되며 돌출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171)의 길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하부걸림부재(174)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133)에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차단막(180)의 상단은 제1 지지부재(171)와 상부걸림부재(173) 사이에 위치하고, 하단은 제1 지지부재(171)와 하부걸림부재(174)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호부(150)는 일측 상기 세로부재(110) 또는 제2 세로부재(110')의 측방으로 고정 연결되는 가로부재(151)와, 상기 가로부재(151)의 타측으로 일체로 구비되는 삽입너트(153)와, 상기 삽입너트(153)에 나사 체결되어 가로부재(15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 회전부(157)와 요홈(155a)이 차례로 구비되는 제1 볼트부재(155)와, 상기 요홈(155a)에 삽입되어 제1 볼트부재(15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볼트부재(155)의 끝단이 이격되도록 상기 세로부재(110) 또는 제2 세로부재(110')의 측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회전지지부재(15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20080125814A 2008-12-11 2008-12-11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101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814A KR101015345B1 (ko) 2008-12-11 2008-12-11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814A KR101015345B1 (ko) 2008-12-11 2008-12-11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317A true KR20100067317A (ko) 2010-06-21
KR101015345B1 KR101015345B1 (ko) 2011-02-16

Family

ID=4236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814A KR101015345B1 (ko) 2008-12-11 2008-12-11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339B1 (ko) * 2010-09-30 2011-02-09 (주)대진가설산업 확장형 안전보호막 설치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503B1 (ko) 2011-02-25 2013-03-18 김정화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200471573Y1 (ko) * 2012-02-09 2014-03-04 김태정 차단막의 신축조절이 가능한 펜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546Y2 (ja) * 1990-03-19 1996-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発泡材による断面塞ぎ構造
KR950003722Y1 (ko) * 1993-01-29 1995-05-13 엄익준 건설현장의 개구부에 의한 사고방지 장치
JPH07102787A (ja) * 1993-09-30 1995-04-18 Japan Steels Internatl Kk 工事穴安全手摺
JP4562844B2 (ja) * 2000-02-23 2010-10-1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光電陰極及び電子管
KR200277918Y1 (ko) 2002-03-20 2002-06-14 윤종철 난간대 설치용 지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339B1 (ko) * 2010-09-30 2011-02-09 (주)대진가설산업 확장형 안전보호막 설치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5345B1 (ko)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345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0976269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US20200149346A1 (en) Screen device
KR102273258B1 (ko) 추락 방지 및 설치가 용이한 방충망
AU2011232315B2 (en) Safety barrier
US20080283810A1 (en) Tamper-resistant fencing
KR100819066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건축용 추락방지망
KR200494347Y1 (ko) 레이스웨이용 내진행거
KR20090113997A (ko) 낙석방지책 겸용 와이어 가드레일
KR102264367B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고정장치
KR101921666B1 (ko) 건축물 개구부 폐쇄망
KR102153895B1 (ko) 건축시공용 아파트 외부 노출 개구부 안전망 시공장치
KR101207967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1139532B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및 pvc망의 교차부분 고정구
KR20110014357A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2377916B1 (ko) 막구조체의 지붕막 인장설치구조
KR20100030720A (ko) 다기능 그물망 구조 안전망
KR102175766B1 (ko) 낙석방지 울타리용 충격 에너지 감쇄장치
US7207516B2 (en) Fence building too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720888B1 (ko) 자중 낙하식 현수막 게시대
JP5751943B2 (ja) 防煙垂壁取り付け装置
KR200430970Y1 (ko) 고장력 낙석 방지망 클램프
KR101077983B1 (ko) 휘장망 설치구
KR102620270B1 (ko)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
KR200237756Y1 (ko) 현수막 걸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