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686B1 - 창문 가리개 - Google Patents

창문 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686B1
KR102264686B1 KR1020190046266A KR20190046266A KR102264686B1 KR 102264686 B1 KR102264686 B1 KR 102264686B1 KR 1020190046266 A KR1020190046266 A KR 1020190046266A KR 20190046266 A KR20190046266 A KR 20190046266A KR 102264686 B1 KR102264686 B1 KR 102264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sertion groove
support
window fram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886A (ko
Inventor
권창용
Original Assignee
권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창용 filed Critical 권창용
Priority to KR102019004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6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는 창틀에 얹히도록 설치되어 창문이 개방된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창문 가리개로서, 창틀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창문이 개방된 공간의 일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창틀의 하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지주부; 상기 제1 지주부에 대향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된 공간의 타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제1 삽입홈에 대향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 지주부; 및 일 측은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주부와 상기 제2 지주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창문 가리개를 조립 및 분리 가능한 복수개의 파트로 구성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 하여 배송 및 설치가 용이하고, 배송 중 제품의 변형 또는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부품별 교체가 가능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 가리개{WINDOW SHADE}
본 발명은 창문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사생활 보호 및 원활한 통풍이 가능할 수 있는 창문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아파트 베란다 창호 혹은 복도식 아파트의 창문 혹은 연립, 빌라 등의 저층 건물의 창문이나 베란다에는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시야를 가려주는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그러나, 블라인드는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폐쇄된 상태에서는 사생활의 보호가 가능하고, 차양이 가능한 반면, 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환기가 가능한 반면, 사생활의 보호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환기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은 물론, 외부에서 실내의 확인이 불가능한 창문 가리개가 개발된 바 있다.
종래의 창문 가리개는 창틀에 얹히도록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측에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슬랫(slat)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슬랫은 창문 측에서 외부 공간 측을 향하여 45 내지 55도 사이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창문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창문 가리개를 창틀에 소정 높이로 설치하여 창문이 개방된 공간의 일부를 폐쇄한 후 외부에서 창문이 개방된 쪽을 보면, 외부에서는 하향 경사진 복수개의 슬랫을 통하여 시야가 차단되어 실내공간의 천정 모서리만 보이게 되므로 사생활의 보호가 가능하고, 또한 실내공간과 외부공간은 프레임 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슬랫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연통되어 환기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창문 가리개는 설치된 창틀의 크기에 맞춰 프레임과 복수개의 슬랫이 일체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사용 중 일부분이 파손되거나, 변경될 경우, 부분적 교체가 불가능하여 설치된 제품을 모두 철거한 후 새 제품으로 교체해야만 하고, 설치될 창틀의 크기가 변경될 경우에도, 설치된 제품을 새 제품으로 교체해야만 하므로, 고가의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창문 가리개는 사용자가 직접 측정한 창틀의 치수를 기초로 선 제작된 후 사용자에게 배송됨에 따라, 실제 창틀에 설치 시 오차가 발생될 확률이 크고,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이를 수정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창문 가리개가 창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창문 가리개는 일체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제품의 부피가 크고, 이로 인해 목적지까지의 배송이 원활하지 못함은 물론, 배송 중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하여 변형 또는 파손될 확률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74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여 배송 및 설치가 용이하고, 부품별 교체가 가능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모든 창틀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창문 가리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는 창틀에 얹히도록 설치되어 창문이 개방된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창문 가리개로서, 창틀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창문이 개방된 공간의 일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창틀의 하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지주부; 상기 제1 지주부에 대향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된 공간의 타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제1 삽입홈에 대향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 지주부; 및 일 측은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주부와 상기 제2 지주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주부 및 상기 제2 지주부 각각은, 그 상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그 하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함몰되는 결합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주부는, 상기 창틀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창틀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면과 하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을 각각 가지는 제1 지주본체 및 상기 제1 지주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제1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기 가림부의 일 측을 지지하며 상기 지주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주부는, 상기 창틀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창틀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면과 하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을 각각 가기지는 제2 지주본체 및 상기 제2 지주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제2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기 가림부의 타 측을 지지하며 상기 지주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받침부 중 제일 상측에 배치된 최상측 제1 받침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받침부 중 제일 상측에 배치된 최상측 제2 받침부는 각각은, 위로 경사져 개방된 단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1 받침부 중 제일 하측에 배치된 최하측 제1 받침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받침부 중 제일 하측에 배치된 최하측 제2 받침부 각각은, 아래로 경사져 개방된 단부를 가진다.
상기 제1 지주부 및 상기 제2 지주부는,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상기 가림부의 일 측 및 타 측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림부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제1 받침부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받침부에 비하여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주부는, 상기 제2 받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지주본체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2 받침부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강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주부 및 상기 제2 지주부 사이에 배치되어 창틀의 하면에 지지되고, 상기 가림부를 지지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창문 가리개를 조립 및 분리 가능한 복수개의 파트로 구성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 하여 배송 및 설치가 용이하고, 배송 중 제품의 변형 또는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부품별 교체가 가능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창문 가리개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설치 시 창문 가리개와 창틀 사이에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히 오차를 보정하여 창문 가리개를 창틀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규격의 창틀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파트와 파트 사이의 간격 및 파트의 경사 각도를 최적화 하여, 기존의 창문 가리개와는 달리 사생활 보호뿐만 아니라, 밀폐된 공간으로 느껴지지 않도록 통풍 및 빛의 투과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가 창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및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의 보강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의 적층 시 하측에 배치된 제1 지주부의 상부와, 상측에 배치된 제1 지주부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가 창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V-V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A” 및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의 보강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의 적층 시 하측에 배치된 제1 지주부의 상부와, 상측에 배치된 제1 지주부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가리개(100)(이하 ‘창문 가리개(100)’라 함)는 창틀(200)에 얹히도록 설치되거나, 창틀(200)의 외측에 설치된 방범창(미도시) 등에 케이블 타이(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설치되어 창문(300)이 개방된 공간(200a)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구성된다.
창문 가리개(100)는 제1 지주부(110), 제2 지주부(120) 및 가림부(13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지주부(110)는 일 방향의 길이가 타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패널(panel)형태로 형성되어, 창틀(200)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는, 제1 지주부(110)는 길이방향 측 단부가 창틀(200)의 하면(210)에 지지되어 창문(300)이 개방된 공간(200a)의 일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되, 창틀(200)의 하면(210)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후술할 제2 지주부(120)와 마주하는 제1 지주부(110)의 내측에는 창틀(200)의 하면(21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제1 삽입홈(110a)이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다.
예컨대, 제1 삽입홈(110a)은 창틀(200)의 하면(210)에 대하여 40도 내지 55도 사이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삽입홈(110a)에 삽입되는 후술할 가림부(130)는 창틀(200) 측에서 외부공간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지주부(120)는 제1 지주부(110)와 동일한 패널형태로 형성되어, 창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지주부(110)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창틀(200)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는, 제2 지주부(120)는 제1 지주부(110)에 대향하여 창문(300)이 개방된 공간(200a)의 타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즉, 제2 지주부(120)는 창문(300)이 개방된 공간(200a)의 타 측에 제1 지주부(110)와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지주부(110)와 마주하는 제2 지주부(120)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제1 삽입홈(110a)에 대응되는 제2 삽입홈(120a)이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다.
예컨대, 제2 삽입홈(120a)은 제1 삽입홈(110a)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1 삽입홈(110a)과 복수개의 제2 삽입홈(120a)은 수직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림부(130)는 일 방향의 길이가 타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패널형태로 형성되되, 제1 삽입홈(110a) 및 제2 삽입홈(120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림부(130)는, 일 측이 제1 삽입홈(110a)에 삽입되고, 타 측이 제2 삽입홈(120a)에 삽입되어 제1 지주부(110)와 제2 지주부(120)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예컨대, 가림부(130)의 두께는 제1 지주부(110) 및 제2 지주부(120)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창문 가리개(100)는 상호 조립 및 분리 가능한 제1 지주부(110), 제2 지주부(120) 및 가림부(130)로 구성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 하여 배송이 용이함은 물론, 이를 통해 배송 중 외력에 의해 제품이 변형 또는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주부(110)와 제2 지주부(120)를 창틀(200)에 세워지도록 설치하고, 이들 사이에 가림부(130)를 제1 삽입홈(110a)과 제2 삽입홈(120a)에 끼워 고정시키는 과정만으로, 제품의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할 수 있고, 각 제1 지주부(110), 제2 지주부(120) 및 가림부(130)를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여,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함은 물론,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창문 가리개(100)는 제1 지주부(110)와 제2 지주부(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지주부(110) 및 제2 지주부(120)는, 가림부(130)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고, 제1 삽입홈(110a)에 가림부(130)의 일 측이 수용되고 제2 삽입홈(120a)에 가림부(130)의 타 측이 수용된 상태에서 가림부(130)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지주부(110)는, 창틀(200)의 하면(210)에 지지되어 창틀(200)의 하면(21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지주본체(111)와, 제1 지주본체(111)의 내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내측에 가림부(130)의 일 측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110a)을 형성하는 제1 받침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주부(120)는 창틀(200)의 하면(210)에 지지되어 창틀(200)의 하면(21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 지주본체(121)와, 제2 지주본체(121)의 내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내측에 가림부(130)의 타 측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120a)을 형성하는 제2 받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주부(110) 및 제2 지주부(120)는 제1 받침부(112) 및 제2 받침부(122)를 통하여 가림부(130)의 일 측 및 타 측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 가능함은 물론, 가림부(130)의 외면을 따라 가림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여 제1 지주부(110)와 제2 지주부(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림부(130)는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주부(110)와 제2 지주부(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가림부(130)는 제1 지주부(110)와 제2 지주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관형의 수용바(미도시), 일 측은 제1 지주부(110)에 결합되고 타 측은 수용바에 수용되어 수용바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1 확장바, 및 일 측은 수용바에 수용되고 타 측은 제2 지주부(120)에 결합되어 수용바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 확장바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창문 가리개(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설치 시 창문 가리개(100)와 창틀(200) 사이에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히 오차를 보정하여 창문 가리개(100)를 창틀(200)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규격의 창틀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받침부(122)가 제1 받침부(112)에 비하여 더 길게 형성될 경우, 제2 지주부(120)는 제2 받침부(122)를 지지하는 보강 지지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보강 지지부(123)는 제2 받침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지주본체(121)에 대향 배치되어 창틀(200)의 하면(210)에 지지되고, 제2 받침부(1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 받침부(122)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창문 가리개(100)는 보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강부(140)는 제1 지주부(110) 및 제2 지주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창틀(200)의 하면(210)에 지지되고, 가림부(130)에 설치되어 가림부(130)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하여 가림부(130)의 휘어짐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부(140)는 일 방향의 길이가 타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패널형태로 형성되어 창틀(200)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내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가림부(130)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140), 제1 지주본체(111) 및 제2 지주본체(121)는 동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14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공(141), 제1 지주본체(111)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받침부(112) 및 제2 지주본체(121)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받침부(122)는, 본 창문 가리개(100)의 상측으로 다른 창문 가리개(100)가 적층될 경우, 다른 창문 가리개(100)에 구비된 관통공(141), 제1 받침부(112) 및 제2 받침부(122)와 연계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최상측 및 최하측에 형성된 관통공(141), 제1 받침부(112) 및 제2 받침부(122)는 다른 창문 가리개(100)에 구비된 관통공(141), 제1 받침부(112) 및 제2 받침부(122)와 연계될 수 있도록 일부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강부(140)에 형성된 관통공(141)은 제1 삽입홈(110a) 및 제2 삽입홈(120a)에 대응되는 폐쇄된 루프(loop)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창문 가리개(100)를 창틀(200)에 설치할 경우, 가림부(130)가 관통공(141)으로 삽입되도록 가림부(130)에 보강부(140)를 설치한 상태에서 가림부(130)의 일 측 및 타 측에 제1 지주부(110) 및 제2 지주부(120)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보강부(14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림부(130)와, 제1 지주부(110) 및 제2 지주부(120)의 설치 순서에 상관없이 가림부(130)에 설치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보강부(140)에 형성된 관통공(141)은 일 측이 외부공간과 연통된 개방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림부(130)의 일 측 및 타 측에 제1 지주부(110) 및 제2 지주부(120)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일 측이 개구된 관통공(141)을 통하여 보강부(140)를 가림부(130)에 설치하여 가림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강부(140)는 조립 및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부(140)는, 내측에 한 개의 관통공(141)이 형성되고, 상측에 조립홈이 형성되며, 하측에 조립홈에 대응되는 조립편이 구비된 복수개의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창문 가리개(100)의 상측에 또 다른 창문 가리개(100)가 추가적으로 적층될 경우, 본 창문 가리개(100)에 설치된 보강부(140)의 상측으로 복수개의 파트를 추가 조립하여 또 다른 창문 가리개(100)에 구비된 가림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140)의 최하측 파트는 창틀(200)의 하면(2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창문 가리개(100)는 상하 적층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지주부(110) 및 제2 지주부(120)에는 상호 체결 가능한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주본체(111) 및 제2 지주본체(121)의 상면에는 제1 지주본체(111) 및 제2 지주본체(121)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50)가 형성되고, 제1 지주본체(111) 및 제2 지주본체(121)의 하면에는 제1 지주본체(111) 및 제2 지주본체(121)의 하면으로부터 결합돌기(150)의 길이에 대응되는 깊이로 함몰되는 결합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창문 가리개(100)의 상측에 적층되는 또 다른 창문 가리개(100)는, 본 창문 가리개(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하면에 구비된 결합홈(160)을 통하여 본 창문 가리개(100)에 구비된 결합돌기(150)에 결합되어, 본 창문 가리개(100)의 상측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주본체(111) 및 제2 지주본체(121)의 상층 및 하측에는 각각 절곡지지부(1111, 12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주본체(111)와 제2 지주본체(121)의 상측 및 하측에는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되어, 창틀(200)의 하면(210)에 지지되는 하측면과, 또 다른 창문 가리개(100)의 제1 지주부(110) 및 제2 지주부(120)가 안착되는 상측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절곡지지부(1111, 12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창문 가리개(100)에 소정 크기의 외력이 가해지거나, 타 창문 가리개(100)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될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창틀(20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창문 가리개(100)는 수평으로 결합 가능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각 지주부의 외면에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창문 가리개(100)를 조립 및 분리 가능한 복수개의 파트로 구성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 하여 배송 및 설치가 용이하고, 배송 중 제품의 변형 또는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부품별 교체가 가능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창문 가리개(100)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설치 시 창문 가리개(100)와 창틀(200) 사이에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히 오차를 보정하여 창문 가리개(100)를 창틀(200)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규격의 창틀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파트와 파트 사이의 간격 및 파트의 경사 각도를 최적화 하여, 기존의 창문 가리개와는 달리 사생활 보호뿐만 아니라, 밀폐된 공간으로 느껴지지 않도록 통풍 및 빛의 투과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창문 가리개
110. 제1 지주부
110a. 제1 삽입홈
111. 제1 지주본체
1111. 절곡지지부
112. 제1 받침부
120. 제2 지주부
120a. 제2 삽입홈
121. 제2 지주본체
1211. 절곡지지부
122. 제2 받침부
123. 보강 지지부
130. 가림부
140. 보강부
141. 관통공
150. 결합돌기
160. 결합홈
200. 창틀
200a. 개방된 공간
210. 창틀의 하면
300. 창문

Claims (3)

  1. 창틀에 얹히도록 설치되어 창문이 개방된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창문 가리개로서,
    창틀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창문이 개방된 공간의 일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창틀의 하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지주부;
    상기 제1 지주부에 대향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된 공간의 타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제1 삽입홈에 대응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 지주부; 및
    일 측은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주부와 상기 제2 지주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주부 및 상기 제2 지주부 각각은,
    그 상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그 하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함몰되는 결합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주부는,
    상기 창틀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창틀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면과 하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을 각각 가지는 제1 지주본체 및 상기 제1 지주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제1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기 가림부의 일 측을 지지하며 상기 지주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주부는,
    상기 창틀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창틀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면과 하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을 각각 가기지는 제2 지주본체 및 상기 제2 지주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제2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기 가림부의 타 측을 지지하며 상기 지주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받침부 중 제일 상측에 배치된 최상측 제1 받침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받침부 중 제일 상측에 배치된 최상측 제2 받침부는 각각은,
    위로 경사져 개방된 단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1 받침부 중 제일 하측에 배치된 최하측 제1 받침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받침부 중 제일 하측에 배치된 최하측 제2 받침부 각각은,
    아래로 경사져 개방된 단부를 가지는
    창문 가리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에 상기 가림부의 일 측이 수용되고, 상기 제2 삽입홈에 상기 가림부의 타 측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주부 및 상기 제2 지주부는 상기 가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창문 가리개.
  3. 삭제
KR1020190046266A 2019-04-19 2019-04-19 창문 가리개 KR102264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66A KR102264686B1 (ko) 2019-04-19 2019-04-19 창문 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66A KR102264686B1 (ko) 2019-04-19 2019-04-19 창문 가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86A KR20200122886A (ko) 2020-10-28
KR102264686B1 true KR102264686B1 (ko) 2021-06-11

Family

ID=7301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266A KR102264686B1 (ko) 2019-04-19 2019-04-19 창문 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6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7717A1 (en) * 2001-10-01 2006-02-23 Briscoe Thomas R Shutter with slat guides
US20120069553A1 (en) * 2010-09-20 2012-03-22 John Bauer Shutter
CN208220597U (zh) * 2017-10-31 2018-12-11 安柏家庭用品(深圳)有限公司 伸缩百叶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83Y1 (ko) 2003-10-27 2004-07-30 우병일 가로막이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창문가리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7717A1 (en) * 2001-10-01 2006-02-23 Briscoe Thomas R Shutter with slat guides
US20120069553A1 (en) * 2010-09-20 2012-03-22 John Bauer Shutter
CN208220597U (zh) * 2017-10-31 2018-12-11 安柏家庭用品(深圳)有限公司 伸缩百叶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86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6275B1 (en) Panel particularly for providing explosion-resistant curtain walls
US7624547B1 (en) Accessory kit for a fixed curb-mounted skylight
US9022091B2 (en) Impact window assembly for overhead door
US9045936B2 (en) Safety window for hurricane pro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102264686B1 (ko) 창문 가리개
EP3636850B1 (en) Pergola
KR101560353B1 (ko) 커튼 월의 차양장치
KR20170054852A (ko) 블라인드
JP5955025B2 (ja) ルーバーシステム
US9797192B2 (en) Window treatment
KR200476548Y1 (ko) 프로파일, 이를 이용한 안전 방충망용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방충망의 시공방법
US9657509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trofitting glass wall panel system with glass wall panel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JP2008280762A (ja) ベランダ用手摺り
KR101975087B1 (ko) 스틸커튼월용 유리패널모듈의 수평고정장치
KR102590210B1 (ko) 절곡형 창호 구조물
JP6423165B2 (ja) 面格子の取付構造
KR20045250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101303762B1 (ko) 열교방지 구조보강 창호
JP2019152052A (ja) 窓付きドアパネル
KR102544378B1 (ko) 브라켓을 구비하며, v자 커팅홈이 형성된 이중창
KR20190037983A (ko) 방충망 손상 및 이탈 방지용 보호 부재를 구비한 방충망 구조체
JP6898756B2 (ja) 窓シャッターの下枠の補強構造
EP4180591A1 (en) Facade frame for timber frame construction
US20110283637A1 (en) Wind abat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