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592B1 -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 Google Patents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592B1
KR102264592B1 KR1020200171289A KR20200171289A KR102264592B1 KR 102264592 B1 KR102264592 B1 KR 102264592B1 KR 1020200171289 A KR1020200171289 A KR 1020200171289A KR 20200171289 A KR20200171289 A KR 20200171289A KR 102264592 B1 KR102264592 B1 KR 10226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ixing plates
spaced apart
horizontal ba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Priority to KR102020017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69Making of contact surfaces, structural detail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 내부에 이격 설치되며, 측면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이 개방된 형태의 중공부(11)가 형성된 복수개의 포스트(10); 상기 포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되며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볼트공(22,32)이 이격 형성된 고정판(21,31)과, 이 고정판(21,31)의 저면 또는 상면에서 돌출되어 포스트(10)의 중공부(11)에 끼워지는 승강가이더(23,33)와, 상단 또는 하단이 천장(1) 또는 바닥(2)에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판(21,31)의 볼트공(22,32)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24,34)와, 상기 고정판(21,31)의 저면 또는 상면에 승강가이더(23,33)를 감싸며 포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밀착되는 패킹(25,35)을 포함하는 포스트고정구(20); 단부가 상기 포스트(10)의 결합부(12)에 상하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바(40); 및 상기 수평바(40)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이 수평바(4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되고 좌우 측단은 포스트(10)의 측면에 결합되는 무중공형태의 단위패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이다.

Description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Assembly type stream guidance wall for filtration plant}
본 발명은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용접하거나 앙카를 이용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어 시공 및 철거 편의성이 향상되는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ㆍ하수처리장 등과 같은 정수장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면서 물의 흐름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유도하여 정수장에서 흐르는 물과 약품간의 체류시간을 늘려서 처리효과를 극대화하고, 기타 불순물의 침전시간 또한 증대시키기 위해 도류벽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도류벽은 종래에는 정수장의 건설과 함께 시공되는 일체형 콘크리트 방식으로 설치되었는데, 콘크리트 재질로 시공되는 도류벽의 경우, 수질환경을 저해하는 물질을 발생시켜 수질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시공이 어렵고 공사기간도 길며 유지보수 및 철거작업에 많은 인원과 장비가 동원되는 등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수의 포스트 사이에 중공패널을 결합시키는 형태의 시공방식이 점차 늘어가고 있지만, 중공패널의 중공부에 물이 정체되어 침전물 및 각종 이물질이 발생되어 수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무중공형태의 패널을 사용하였지만, 벽체나 기둥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브래킷 등의 철재 구조물을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표면에 합성수지 시트 등의 라이닝 처리가 되어 있지 않으므로, 브래킷 설치를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멍을 뚫게 되면 상기 구멍을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작업현장에서 다수의 패널을 용접하여 연결하므로, 시공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용접부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 등으로 인해 떨어져 나가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패널이 고정되는 다수의 포스트를 천장에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켰으므로, 앙카볼트를 분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포스트를 유지보수, 교체나 철거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5366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중공패널을 사용하여 중공패널로 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하면서도 철재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고 벽체나 기둥 등에 설치할 수 있고 용접하지 않고 패널을 연결설치할 수 있어 누수가 방지되고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유지보수, 교체 및 철거가 용이한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정수장으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도류벽에 있어서, 정수장 내부에 이격 설치되며, 측면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이 개방된 형태의 중공부(11)가 형성된 복수개의 포스트(10); 상기 포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되며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볼트공(22,32)이 이격 형성된 고정판(21,31)과, 이 고정판(21,31)의 저면 또는 상면에서 돌출되어 포스트(10)의 중공부(11)에 끼워지는 승강가이더(23,33)와, 상단 또는 하단이 천장(1) 또는 바닥(2)에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판(21,31)의 볼트공(22,32)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24,34)와, 상기 고정판(21,31)의 저면 또는 상면에 승강가이더(23,33)를 감싸며 포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밀착되는 패킹(25,35)을 포함하는 포스트고정구(20); 단부가 상기 포스트(10)의 결합부(12)에 상하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바(40); 및 상기 수평바(40)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이 수평바(4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되고 좌우 측단은 포스트(10)의 측면에 결합되는 무중공형태의 단위패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스트(10)의 결합부(12)는 포스트(10)의 측면에서 돌출되되 상하로 연장되며 체결공(15)이 이격된 한 쌍의 수직띠부재(13,14)와, 이 한 쌍의 수직띠부재(13,14)가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수평바(40)의 단부 및 단위패널(50)의 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바(40)의 단부 및 단위패널(50)의 측단부에는 포스트(10)의 결합부(12)의 체결공(15)과 정렬되는 결합공(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바(4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포스트(10)의 결합부(12)의 한 쌍의 수직띠부재(13,14)의 선단이 걸려지는 걸림턱(42)이 형성되고, 수평바(40)의 적어도 상단 또는 하단에는 단위패널(50)의 단부가 삽입되는 보조삽입홈(4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장에 설치되는 포스트(10)에 수평바(40) 및 단위패널(50)을 결합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포스트(10)에 브래킷 설치용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이, 포스트(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2)에 수평바(40)의 단부를 착탈시키고, 무중공형태의 단위패널(50)을 포스트(10)와 수평바(40)에 결합시키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누수의 염려가 없고 중공패널에서의 물의 침전 등으로 인한 수질오염 등이 방지된다. 이때, 포스트(10)의 적어도 상단 또는 하단에 포스트고정구(20,30)가 조절볼트(24,34)의 조임에 따라 패킹(25,35)이 승강되면서 포스트(10)의 상단 및 하단에 가압밀착되므로, 포스트(10)의 중공부(11)가 효과적으로 밀봉되어 수질오염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단위패널(50)의 가장자리에 통공(51)이 형성되고, 포스트(10)의 결합부(12)가 체결공(15)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띠부재(13,14) 및 이 수직띠부재(13,14)가 이격되어 형성된 삽입홈(16)으로 이루어져서, 수평바(40) 및 단위패널(50)의 단부를 포스트(10)의 삽입홈(16)에 끼워서 고정시키므로, 종래와 같이 단위패널(50)을 용접하여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이 더욱 편리하고 작업시간이 더욱 단축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며 용접부위가 떨어져 나가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수평바(40)의 길이방향 단부에 포스트(10)의 한 쌍의 수직띠부재(13,14)의 선단이 걸려지는 걸림턱(42)이 형성되어, 수평바(40)를 포스트(10)에 용이하게 정렬시켜 조립할 수 있어 작업이 더욱 편리하며 수평바(40)와 포스트(10)가 돌출되지 않고 매끄럽게 연결되어 외관이 깔끔하다.
그리고 수평바(40)의 적어도 상단 또는 하단에 단위패널(50)의 단부가 삽입되는 보조삽입홈(43)이 형성되어 단위패널(50)을 수평바(4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더욱이, 수평바(40)의 보조삽입홈(43)의 측벽에 단위패널(50)의 통공(51)과 정렬되는 보조체결공(44)이 형성되어, 단위패널(50)을 수평바(40)에 용접하지 않고 볼트와 너트 같은 보조체결수단(70,71)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상기의 효과가 더욱 더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포스트와 수평바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은 정수장 내부에 이격 설치된 복수개의 포스트(10)와, 이 포스트(10)의 적어도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일단을 천장(1) 또는 바닥(2)에 고정시키는 포스트고정구(20,30)와, 단부가 상기 포스트(10)에 결합되며 상하로 이격된 복수개의 수평바(40)와, 이 수평바(40) 사이에 배치되며 수평바(40)와 포스트(10)에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단위패널(50)을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10)는 정수장의 천장(1)과 바닥(2)에 고정되며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포스트(10)의 측면에는 상기 수평바(40)가 결합되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중공부(11)는 포스트(10)의 상하로 연장되어 적어도 상하단이 개방된 형태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중공부(11)가 포스트(10)의 상단 및 하단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은 포스트(10)의 결합부(12)가 포스트(10)의 측면에서 돌출되되 상하로 연장되며 체결공(15)이 이격된 한 쌍의 수직띠부재(13,14)와, 이 한 쌍의 수직띠부재(13,14)가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수평바(40)의 단부 및 단위패널(50)의 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스트고정구(20,30)는 포스트(10)의 적어도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일단에 결합되어 포스트(10)를 천장(1) 또는 바닥(2)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포스트고정구(20,30)는 고정판(21,31), 승강가이더(23,33), 조절볼트(24,34) 및 패킹(25,35)을 포함한다. 고정판(21,31)은 포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되며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볼트공(22,32)이 이격 형성된다. 이때, 고정판(21,31)의 사이즈는 포스트(10)의 직경 또는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볼트공(22,32)이 포스트(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고정판(21,31)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볼트공(22,32)이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 형성되는데, 도 1과 같이 사각형인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승강가이더(23,33)는 고정판(21,31)의 저면 또는 상면에서 돌출되어 포스트(10)의 중공부(11) 상단 또는 하단에 끼워진다. 조절볼트(24,34)는 상단 또는 하단이 천장(1) 또는 바닥(2)에 접촉되도록 고정판(21,31)의 볼트공(22,32)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절볼트(24,34)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판(21,31)이 조절볼트(24,34)를 따라 승강된다. 패킹(25,35)은 고정판(21,31)의 저면에 구비되되 승강가이더(23,33)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패킹(25,35)은 포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과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조절볼트(24,34)를 회전시켜 고정판(21,31)이 승강됨에 따라 패킹(25,35)이 포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가압되므로, 포스트(10)의 중공부(11)로 정수장의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스트(10)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된 형태의 중공부(11)를 예시하였고, 이에 따라 포스트고정구(20,30)가 포스트(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경우에 따라, 포스트(10)의 상단은 고정된 상태에서 하단에만 포스트고정구(20,30)가 결합되거나 반대로 포스트(10)의 하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에만 포스트고정구(20,3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수평바(40)는 양단부가 양측의 포스트(10)의 결합부(12)에 결합되며 상하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은 수평바(40)의 양단부에는 포스트(10)의 결합부(12)의 체결공(15)과 정렬되는 결합공(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수평바(40)의 단부가 포스트(10)의 결합부(12)의 삽입홈(16)에 끼워지고, 수평바(40)의 결합공(41)과 포스트(10)의 체결공(15)에 체결수단(60,61)이 체결된다. 체결수단(60,61)은 볼트(60)와 너트(6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은 수평바(40)의 길이방향 단부에 포스트(10)의 결합부(12)의 한 쌍의 수직띠부재(13,14)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4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바(40)를 포스트(10)에 보다 용이하게 위치정렬시켜 조립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걸림턱(42)은 수평바(40)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직경 또는 폭이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수평바(40)가 포스트(10)에 결합되면 돌출부위가 없이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은 수평바(40)의 적어도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단위패널(50)이 삽입되는 보조삽입홈(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보조삽입홈(43)의 측벽에는 보조체결공(44)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다.
상기 단위패널(50)은 내부가 솔리드한 무중공형태로 이루어져서 한 쌍의 포스트(10) 및 수평바(40) 사이에 배치되며, 가장자리가 포스트(10) 및 수평바(4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단위패널(50)의 가장자리에는 포스트(10)의 체결공(15) 및 수평바(40)의 보조체결공(44)과 정렬되는 통공(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패널(50)의 가장자리가 서로 인접된 포스트(10)의 결합부(12)의 삽입홈(16) 및 수평바(40)의 보조삽입홈(43)에 끼워지고, 단위패널(50)의 통공(51)과 포스트(10)의 결합부(12)의 체결공(15) 및 수평바(40)의 보조체결공(44)을 보조체결수단(70,71)으로 체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은 포스트(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포스트고정구(20,30)의 승강가이더(23,33)를 끼운 상태에서 포스트(10)를 정수장에 세우며, 포스트고정구(20,30)의 고정판(21,31)에 조절볼트(24,34)를 조여서 포스트(10)를 천장(1)과 바닥(2)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천장(1)과 바닥(2) 사이의 간격에 따라 조절볼트(24,34)를 좀 더 조여주면 도 3과 같이 고정판(21,31)이 하강 또는 상승하면서 패킹(25,35)이 포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가압밀착되어 포스트(10)의 중공부(11)의 상단과 하단이 밀봉된다. 이에 따라, 정수장의 물이 포스트(10)의 중공부(11)로 유입되어 침체됨에 따라 수질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바(40)와 단위패널(50)을 포함하는 종래의 벽체패널을 포스트(10)에 구멍을 뚫어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것과 달리, 포스트(10)에 구멍을 뚫지 않고 상기 수평바(40)와 단위패널(50)을 포스트(10)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구멍에 의한 누수가 방지된다. 또한 단위패널(50)을 용접하여 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이 더욱 편리하여 작업시간이 더욱 단축됨에 따라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며 용접부위가 떨어져나가면서 발생되는 수질오염의 문제도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천장 2 : 바닥
10 : 포스트 11 : 중공부
12 : 결합부 13,14 : 수직띠부재
15 : 체결공 16 : 삽입홈
20 : 상부고정재 21 : 상부고정판
23 : 상부승강가이더 25 : 상부패킹
30 : 하부고정재 31 : 하부고정판
33 : 하부승강가이더 35 : 하부패킹
40 : 수평바 50 : 단위패널

Claims (3)

  1. 정수장으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도류벽에 있어서,
    정수장 내부에 이격 설치되며, 측면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내부에 적어도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일단이 개방된 중공부(11)가 형성된 복수개의 포스트(10);
    상기 포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되며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볼트공(22,32)이 이격 형성된 고정판(21,31)과, 이 고정판(21,31)의 저면 또는 상면에서 돌출되어 포스트(10)의 중공부(11)에 끼워지는 승강가이더(23,33)와, 상단 또는 하단이 천장(1) 또는 바닥(2)에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판(21,31)의 각 볼트공(22,32)에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조절볼트(24,34)와, 상기 고정판(21,31)의 저면 또는 상면에 승강가이더(23,33)를 감싸며 포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밀착되는 패킹(25,35)을 포함하는 포스트고정구(20);
    단부가 상기 포스트(10)의 결합부(12)에 상하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바(40); 및
    상기 수평바(40)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이 수평바(4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되고 좌우 측단은 포스트(10)의 측면에 결합되는 무중공형태의 단위패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의 결합부(12)는 포스트(10)의 측면에서 돌출되되 상하로 연장되며 체결공(15)이 이격된 한 쌍의 수직띠부재(13,14)와, 이 한 쌍의 수직띠부재(13,14)가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수평바(40)의 단부 및 단위패널(50)의 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바(40)의 단부 및 단위패널(50)의 측단부에는 포스트(10)의 결합부(12)의 체결공(15)과 정렬되는 결합공(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4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포스트(10)의 결합부(12)의 한 쌍의 수직띠부재(13,14)의 선단이 걸려지는 걸림턱(42)이 형성되고, 수평바(40)의 적어도 상단 또는 하단에는 단위패널(50)의 단부가 삽입되는 보조삽입홈(4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KR1020200171289A 2020-12-09 2020-12-09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KR10226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89A KR102264592B1 (ko) 2020-12-09 2020-12-09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89A KR102264592B1 (ko) 2020-12-09 2020-12-09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592B1 true KR102264592B1 (ko) 2021-06-14

Family

ID=7641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289A KR102264592B1 (ko) 2020-12-09 2020-12-09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8510A (zh) * 2022-08-12 2022-12-16 扬州大学 一种智能方形网格式导流墙及其运行方法
KR102520663B1 (ko) * 2022-09-05 2023-04-11 (주)케이씨엠테크 무앙카 조립식 도류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99B1 (ko) * 2006-12-01 2007-12-28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26610A (ko) * 2008-09-01 2010-03-10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간벽장치
KR100953668B1 (ko) 2009-10-19 2010-04-20 주식회사 젠트로 접합형 간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 도류벽
KR102075871B1 (ko) * 2019-08-09 2020-03-02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및 이 도류벽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99B1 (ko) * 2006-12-01 2007-12-28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26610A (ko) * 2008-09-01 2010-03-10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간벽장치
KR100953668B1 (ko) 2009-10-19 2010-04-20 주식회사 젠트로 접합형 간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 도류벽
KR102075871B1 (ko) * 2019-08-09 2020-03-02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및 이 도류벽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8510A (zh) * 2022-08-12 2022-12-16 扬州大学 一种智能方形网格式导流墙及其运行方法
CN115478510B (zh) * 2022-08-12 2023-12-26 扬州大学 一种智能方形网格式导流墙及其运行方法
KR102520663B1 (ko) * 2022-09-05 2023-04-11 (주)케이씨엠테크 무앙카 조립식 도류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592B1 (ko)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KR101092838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200396183Y1 (ko) 하수처리장 침사지용 미세목 스크린 장치
JP2008075402A (ja) 防護柵用ブラケット及び防護柵
KR102075871B1 (ko) 정수장용 조립식 도류벽 및 이 도류벽의 시공방법
KR100920462B1 (ko) 수처리용 경사판 침전설비
KR200400284Y1 (ko) 건축용 커튼월 구조
USRE40217E1 (en) System for securing composite gratings to structural members
JP5438394B2 (ja) 金属製型枠パネル
KR100597783B1 (ko) 난간대용 지주대
KR100812621B1 (ko)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KR100690628B1 (ko) 수처리장용 조립식 벽체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00979A (ko) 이탈방지 및 안정성과 조립성을 향상한 맨홀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639259B1 (ko) 상수도 정수지의 간벽 구조
KR100371647B1 (ko) 상,하수처리장의 간막이 벽체
KR200409296Y1 (ko) 펜스 고정구
KR102520663B1 (ko) 무앙카 조립식 도류벽
JP2018080494A (ja) バースクリーン式除塵機
KR200247039Y1 (ko) 토류벽 지지용 횡보강재 고정장치
KR102455364B1 (ko) 밴드를 이용한 패널형 도류벽 설치수단
JP2005282156A (ja) グレーチングの固定装置
KR100940483B1 (ko) 상향류식 침전설비용 경사관
KR101304440B1 (ko) 접합 부재가 불필요한 도류벽
KR100840295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