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295B1 -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295B1
KR100840295B1 KR1020080028655A KR20080028655A KR100840295B1 KR 100840295 B1 KR100840295 B1 KR 100840295B1 KR 1020080028655 A KR1020080028655 A KR 1020080028655A KR 20080028655 A KR20080028655 A KR 20080028655A KR 100840295 B1 KR100840295 B1 KR 10084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main frame
vertic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Priority to KR102008002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보수시에는 개폐판을 잡아당겨 점검홀을 열고 아래에서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게 하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서 상부고정대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이며, 원형봉(11)의 상하단에 각각 볼트부(13)가 형성되고, 원형봉(11)의 하부에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부(12)가 형성되며, 원형봉(11)의 상단에 형성된 볼트부(13)는 천정슬래브(1)에 쌍을 이루어 매설된 다수개의 매설너트(14)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원형봉(11)의 하단에 사각파이프(20)가 고정되는 지지봉(10); 몸체 양단에 각각 상하로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지지봉(10)에 너트(15)로 고정되는 사각파이프(20); 수평판부(31)의 폭방향 양단에 수직판부(32)가 형성되고, 수평판부(31)에 다수개의 점검홀(33)이 형성되며, 일측 수직판부(32)에 점검홀(33)과 같은 위치로 판홀(34)이 형성되고, 수평판부(31)의 상면에 점검홀(33) 양측으로 가이드(35)가 형성되며, 수평판부(31)의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결합돌기(37)가 형성되고, 수평판부(31)의 길이방향 타측단부에 결합홈(36)이 형성되어 인접한 개체의 결합돌기(37)가 삽입되며, 사각파이프(20)에 볼트로 고정되는 메인프레임(30); 장방형 판체(41)의 일측단이 하방으로 90도 절곡된 절곡단(42)이 형성되고, 판체(41)의 저면에 홈부(43)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절곡단(42)의 반대편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판체(41)의 폭방향 양측단에 홈부(43)를 동시에 관통하는 축홀(44)이 형성되고, 손잡이(46)의 단부에 축홀(46-1)이 형성되어 홈부(43)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 정축(45)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판체(41)가 메인프레임(30)의 판홀(34)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35)를 따라 이동하는 개폐판(40); 장방형 판체(51)의 양단부에 ∩ 형상으로 절곡된 결합부(52)가 형성되고, 결합돌기(37)와 결합홈(36)이 맞물린 상태의 메인프레임(30) 수직판부(32)의 연결부가 결합부(52)에 삽입되며, 결합부(52)에 형성된 볼트홀(53)을 통해 볼트로 두개의 메인프레임(30)이 고정되는 결합대(50); 장방형 판체로 이루어진 수평부(61)의 양단에 하방 절곡된 수직부(62)가 형성되고, 수직부(62)의 하단에 걸림단(63)이 형성되어 메인프레임(30)의 수직판부(32)의 양측 하단에 걸리게 되며, 수직부(62)의 내측으로 홈부(64)가 형성되어 메인프레임(30)의 수직판부(32)가 삽입되는 상부고정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블, 트레이, 개폐판, 메인프레임, 상부고정대, 결합대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A cable tray assembly in a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보수시에는 개폐판을 잡아당겨 점검홀을 열고 아래에서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게 하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서 상부고정대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정돈의 상태로 지지 고정된다.
도 11과 도 12에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가 도시되어 있는데, 천정슬래브에 일정간격으로 행거봉(2)이 다수쌍 고정되고, 행거봉(2)의 하단에 사각파이프(3)가 고정되며, 사각파이프(3)의 상면 양측으로 측면 프레임인 ㄷ자프레임(4)이 서로 대 향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ㄷ자프레임(4)의 내측으로 하단 상면에 횡으로 가로바(6)가 용접으로 다수개 고정된다.
따라서 가로바(6)의 위에 케이블(5)이 놓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각종 케이블(5)을 지지 고정하여 주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행거(막대형, 판형)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를 적용하여 각종 케이블을 용이하게 내지는 정리된 상태로 배선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측면 프레임과 행거가 전반적으로 분해조립이 불가능하도록 용접에 의해 고정식 구조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형적인 부피가 크고 그로 인하여 적재, 보관 및 운송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많은 적재 및 보관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운송이 불편하며, 용접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와 생산원가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단 케이블이 설치되면 케이블 트레이를 분해하기 어려워 보수와 재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하는 행거는 미리 건축물을 지을때 매설하는 것으로서, 케이블 트레이를 다시 설치하거나 방향을 바꿀 때는 천정 벽면을 철거하고 다시 행거를 매설하여야 하고, 기 설치된 행거는 보기 흉하게 남아 있거나 절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케이블 트레이는 천정에 설치되어 ㄷ자프레임(4)이 측면을 가로막고 있고, 다수개의 가로바(6)가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케이블(5)을 보수할 때 사다리를 밟고 올라가 케이블트레이의 위에서 아래를 보고 보수를 해야 하므로 불편하였다.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할 때 지지봉을 미리 설치하여야 하므로 케이블 트레이의 위치변경시 다시 지지봉을 박아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간편하게 지지봉을 필요에 따라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케이블트레이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하여 보수를 할 때에는 간편하게 하부에서 보수를 할 수 있게 하는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메인프레임에 점검홀을 두어 개폐판에 의해 닫고 열수 있게 하고, 개폐판이 메인프레임으로 부터 삽입된 후에 이탈이 방지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전선이 메인프레임 상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형봉의 상하단에 각각 볼트부가 형성되고, 원형봉의 하부에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원형봉의 상단에 형성된 볼트부는 천정슬래브에 쌍을 이루어 매설된 다수개의 매설너트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원형봉의 하단에 사각파이프가 고정되는 지지봉; 몸체 양단에 각각 상하로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지지봉에 너트로 고정되는 사각파이프; 수평판부의 폭방향 양단에 수직판부가 형성되고, 수평판부에 다수개의 점검홀이 형성되며, 일측 수직판부에 점검홀과 같은 위치로 판홀이 형성되고, 수평판부의 상면에 점검홀 양측으로 가이드가 형성되며, 수평판부의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 고, 수평판부의 길이방향 타측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인접한 개체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며, 사각파이프에 볼트로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장방형 판체의 일측단이 하방으로 90도 절곡된 절곡단이 형성되고, 판체의 저면에 홈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절곡단의 반대편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판체의 폭방향 양측단에 홈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축홀이 형성되고, 손잡이의 단부에 축홀이 형성되어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판체가 메인프레임의 판홀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개폐판; 장방형 판체의 양단부에 ∩ 형상으로 절곡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맞물린 상태의 메인프레임 수직판부의 연결부가 결합부에 삽입되며, 결합부에 형성된 볼트홀을 통해 볼트로 두개의 메인프레임이 고정되는 결합대; 장방형 판체로 이루어진 수평부의 양단에 하방 절곡된 수직부가 형성되고, 수직부의 하단에 걸림단이 형성되어 메인프레임의 수직판부의 양측 하단에 걸리게 되며, 수직부의 내측으로 홈부가 형성되어 메인프레임의 수직판이 삽입되는 상부고정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가 조립식으로 구성되므로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하여 보수를 할 때에는 개폐판을 손으로 잡아 열고 점검홀을 통해 보수하면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봉은 천정슬래브에 미리 매설된 매설너트에 돌려 체결하면 되고 지지봉 에 사각파이프를 너트로 고정하면 되므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개폐판의 손잡이는 판홀으로 집어 넣을 때는 홈부로 삽입시켜 집어넣지만 들어가서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므로 반대 방향 이동시 홈부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부에서 손잡이로 개폐판을 밀고 당길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천정슬래브(1)에 매설된 매설너트(14)에 지지봉(10)을 체결하여 고정하고, 지지봉(10)에 고정된 사각파이프(20)에 메인프레임(30)을 고정하며, 메인프레임(30)의 수평판부(31)에 점검홀(33)을 형성하여 개폐판(40)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고, 개폐판(40)은 저면에 고정된 손잡이(46)로 쉽게 잡아 당길 수 있게 하며, 메인프레임(30)의 연결은 결합돌기(37)와 결함홈(36)으로 하되 결합대(50)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하고, 케이블(5)은 상부고정대(60)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지지봉(10)은 원형봉(11)의 상하단에 각각 볼트부(13)가 형성되고, 원형봉(11)의 하부에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부(12)가 형성된다. 걸림돌기부(12)는 하단의 볼트부(13)에서 사각파이프(20)의 두께 만큼 위에 형성되되 원형봉(11)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각파이프(20)가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너트(15)의 조임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봉(10)의 원형봉(11) 상단에 형성된 볼트부(13)는 천정슬래브(1)에 매설된 다수개의 매설너트(14)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매설너트(14)는 쌍을 이루어 다수쌍 매설되되 케이블트레이가 설치될 수 있는 곳에 미리 매설시킨다.
사각파이프(20)는 몸체 양단에 각각 상하로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지지봉(10)에 너트(15)로 고정되고 사각파이프 상면에 메인프레임(30)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사각파이프(20)의 볼트홀(미도시)이 위치하는 곳의 저면에 너트(미도시)가 용접으로 미리 고정되어 메인프레임(30)을 고정할 때 볼트 체결만 하면 된다.
메인프레임(30)은 수평판부(31)의 폭방향 양단에 수직판부(32)가 위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수평판부(31)에 다수개의 점검홀(33)이 형성된다. 점검홀(33)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략 2개에서 3개정도를 하나의 메인프레임(30)에 형성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30)의 일측 수직판부(32)에 점검홀(33)과 같은 위치로 긴 장방형의 판홀(34)이 형성되고, 판홀(34)은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개폐판(40)이 삽입된다.
수평판부(31)의 상면에 점검홀(33) 양측으로 가이드(35)가 서로 마주보게 형 성되고, 가이드(35)를 따라 개폐판(40)이 이동하게 된다.
메인프레임(30)의 수평판부(31)에서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결합돌기(37)가 형성되고, 수평판부(31)의 길이방향 타측단부에 결합홈(36)이 형성되어 인접한 개체의 결합돌기(37)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메인프레임(30)의 수평판부(31) 일측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사각파이프(20)에 형성된 볼트홀에 볼트로 고정된다.
개폐판(40)은 메인프레임(30)의 점검홀(33)을 막거나 열어주는 구성으로서, 장방형 판체(41)의 일측단에 하방으로 90도 절곡된 절곡단(42)이 형성된다.
그리고 판체(41)의 저면에 홈부(43)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홈부(43)는 절곡단(42)의 반대편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판체(41)의 폭방향 양측단에 홈부(43)를 동시에 관통하는 축홀(44)이 형성되고, 손잡이(46)의 단부에 축홀(46-1)이 형성되어 홈부(43)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축(45)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손잡이(46)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홈부(43)에서 절곡단(42)과 반대편으로 닿게 고정되므로 절곡단(42) 쪽으로 회전하여 홈부(43)에 수납되다가 회전하여 아래로 내려오면 절곡단(42)의 반대편으로는 더 이상 회전이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자중에 의해 내려온 손잡이(46)는 작업자가 손잡이(46)를 들어 홈부(43)에 수납시키지 않고는 판홀(34)을 통해 다시 나오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판체(41)가 메인프레임(30)의 판홀(34)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3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결합대(50)는 메인프레임(30)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장방형 판 체(51)의 양단부에 ∩ 형상으로 절곡된 결합부(52)가 직각으로 형성되고, 결합돌기(37)와 결합홈(36)이 맞물린 상태의 메인프레임(30) 수직판부(32)의 연결부가 결합부(52)에 형성된 홈(52-1)에 삽입된다. 판체(51)는 결합돌기(37)와 결합홈(36)이 결합된 부분 위에 놓여 눌러주게 된다.
결합대(50)는 결합부(52)에 두개의 볼트홀(53)이 형성되고, 각각의 볼트홀(53)을 통해 볼트로 두개의 메인프레임(30)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부고정대(60)는 케이블(5)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방형 판체로 이루어진 수평부(61)의 양단에 하방 절곡된 수직부(62)가 형성된다.
수직부(62)의 하단에 걸림단(63)이 형성되어 메인프레임(30)의 수직판부(32)의 양측 하단에 걸리게 되고, 수직부(62)의 내측으로 홈부(64)가 형성되어 메인프레임(30)의 수직판부(32)가 삽입된다. 수직판부(32)의 내측으로 홈부(64)를 만들도록 판체가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의 주요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서 개폐판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사용하는 지지봉과 사각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사용하는 지지봉과 사각파이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의 개폐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이 놓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천정슬래브 2 : 행거봉
3 : 사각파이프 4 : ㄷ자프레임
5 : 케이블 6 : 가로바
10 : 지지봉 11 : 원형봉
12 : 걸림돌기부 13 : 볼트부
14 : 매설너트 15 : 너트
20 : 사각파이프 30 : 메인프레임
31 : 수평판부 32 : 수직판부
33 : 점검홀 34 : 판홀
35 : 가이드 36 : 결합홈
37 : 결합돌기 40 : 개폐판
41 : 판체 42 : 절곡단
43: 홈부 44 : 축홀
45 : 고정축 46 : 손잡이
46-1 : 축홀 50 : 결합대
51 : 판체 52 : 결합부
52-1 : 홈 53 : 볼트홀
60 : 상부고정대 61 : 수평부
62 : 수직부 63 : 걸림단
64 : 홈부

Claims (1)

  1. 원형봉(11)의 상하단에 각각 볼트부(13)가 형성되고, 원형봉(11)의 하부에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부(12)가 형성되며, 원형봉(11)의 상단에 형성된 볼트부(13)는 천정슬래브(1)에 쌍을 이루어 매설된 다수개의 매설너트(14)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원형봉(11)의 하단에 사각파이프(20)가 고정되는 지지봉(10);
    몸체 양단에 각각 상하로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지지봉(10)에 너트(15)로 고정되는 사각파이프(20);
    수평판부(31)의 폭방향 양단에 수직판부(32)가 형성되고, 수평판부(31)에 다수개의 점검홀(33)이 형성되며, 일측 수직판부(32)에 점검홀(33)과 같은 위치로 판홀(34)이 형성되고, 수평판부(31)의 상면에 점검홀(33) 양측으로 가이드(35)가 형성되며, 수평판부(31)의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결합돌기(37)가 형성되고, 수평판부(31)의 길이방향 타측단부에 결합홈(36)이 형성되어 인접한 개체의 결합돌기(37)가 삽입되며, 사각파이프(20)에 볼트로 고정되는 메인프레임(30);
    장방형 판체(41)의 일측단에 하방으로 90도 절곡된 절곡단(42)이 형성되고, 판체(41)의 저면에 홈부(43)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절곡단(42)의 반대편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판체(41)의 폭방향 양측단에 홈부(43)를 동시에 관통하는 축홀(44)이 형성되고, 손잡이(46)의 단부에 축홀(46-1)이 형성되어 홈부(43)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축(45)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판체(41)가 메인프레임(30)의 판홀(34)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35)를 따라 이동하는 개폐판(40);
    장방형 판체(51)의 양단부에 ∩ 형상으로 절곡된 결합부(52)가 형성되고, 결합돌기(37)와 결합홈(36)이 맞물린 상태의 메인프레임(30) 수직판부(32)의 연결부가 결합부(52)에 삽입되며, 결합부(52)에 형성된 볼트홀(53)을 통해 볼트로 두개의 메인프레임(30)이 고정되는 결합대(50);
    장방형 판체로 이루어진 수평부(61)의 양단에 하방 절곡된 수직부(62)가 형성되고, 수직부(62)의 하단에 걸림단(63)이 형성되어 메인프레임(30)의 수직판부(32)의 양측 하단에 걸리게 되며, 수직부(62)의 내측으로 홈부(64)가 형성되어 메인프레임(30)의 수직판부(32)가 삽입되는 상부고정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20080028655A 2008-03-27 2008-03-27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0840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655A KR100840295B1 (ko) 2008-03-27 2008-03-27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655A KR100840295B1 (ko) 2008-03-27 2008-03-27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295B1 true KR100840295B1 (ko) 2008-06-20

Family

ID=3977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655A KR100840295B1 (ko) 2008-03-27 2008-03-27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2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5614A (zh) * 2017-11-17 2018-06-12 江苏壹鼎崮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长寿命电缆固定支吊装置
KR101898126B1 (ko) 2018-03-06 2018-09-12 금정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형 전선 트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931Y1 (ko) 2001-06-29 2001-12-24 이병욱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931Y1 (ko) 2001-06-29 2001-12-24 이병욱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5614A (zh) * 2017-11-17 2018-06-12 江苏壹鼎崮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长寿命电缆固定支吊装置
KR101898126B1 (ko) 2018-03-06 2018-09-12 금정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형 전선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039B1 (ko)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KR100972185B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KR100840295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US10081926B2 (en) Trench wall support
JP2005139691A (ja) 間仕切部分における柱撤去梁補強方法及び梁補強構造
KR100782442B1 (ko) 건축물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WO2024007452A1 (zh) 固定装置、固定装置安装方法及墙体施工方法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0856482B1 (ko) 건축물의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JP2011132721A (ja) ポンプ設置マンホール用中間スラブ
KR102247853B1 (ko) M바(M-bar) 고정용 금속제 가요전선관 커넥터를 겸용한 기구설치 보강대
JP4879045B2 (ja) 浴室ユニット設置構造及び施工方法
KR101939692B1 (ko) 박스 하수관용 수문형 물막이 시공방법
JP3164750U (ja) ユニットハウス用空調機一体型パネル
KR101225743B1 (ko) 긴장이 가능한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JP2010196310A (ja) 吊り戸の設置方法
KR101295860B1 (ko) 안전 난간대 및 그 고정장치
JP2006029017A (ja) 既存住宅の補強構造・工法とこれに用いるコーナー金物
JP6464459B2 (ja) 柱脚金具及び柱脚金具を備える建物ユニット並びにその設置方法
KR20180038696A (ko)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거치구조물 및 공법
CN105587261B (zh) 一种快拆装水利工程检修爬梯的制造方法
JP2015007364A (ja) 高層の建築物、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2015030996A (ja) 建物の基礎構造
JP3113860U (ja) ユニットハウス用壁パネルの固定構造
CN212836692U (zh) 构造柱通用模板装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