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576B1 -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576B1
KR102264576B1 KR1020190125435A KR20190125435A KR102264576B1 KR 102264576 B1 KR102264576 B1 KR 102264576B1 KR 1020190125435 A KR1020190125435 A KR 1020190125435A KR 20190125435 A KR20190125435 A KR 20190125435A KR 102264576 B1 KR102264576 B1 KR 102264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mobile phone
standard structural
screen
gr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636A (ko
Inventor
김건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2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5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구나 보편적으로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설치하고 휴대폰 화면상에 설치된 기준선에 제재목의 너비만을 맞추어 사진 촬영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저비용으로 최단 시간 내에 정밀도 높게 품질을 판정하여 등급을 부여할 수 있는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등급판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Automated grading method of standard structure wood using mobile application}
본 발명은 누구나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규격구조재의 육안등급 구분을 자동화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재목이란 목재로부터 제재 등 절삭을 통해 생산된 제재목을 말하며, 사면 제재한 목재 중 둥근모가 50%를 초과하는 켄트를 제외하고 원주재를 포함하여 길이를 따라 단면의 형상과 크기가 균일한 목재를 의미한다.
제재목 중에서 건축물과 공직물의 구조 내력상 주요한 부분에 사용되어 설계값이 필요한 제재목을 구조용재라 칭하고 있으며, 규격구조재, 보 구조재 및 기둥 구조재로 세분화된다.
구조용재의 품질표시는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제20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에 고시되어 있으며, 제재목의 표면을 관찰하여 결점의 크기 및 분산정도에 따라 목재의 등급을 표시하는 육안등급구분이 사용되고 있다.
흔히 알고 있듯이 목재에 있어 나타나는 결함 중 하나인 '옹이'는 가지를 제거하고 남은 부분이 나무의 생장에 따라서 목재 조직으로 둘러싸였다가 후에 제재 등에 의하여 노출된 것으로 생산된 구조용재에 옹이가 크거나 많으면 제재목의 품질이 저하하게 되며, 규정상 목재의 품질은 가장 큰 옹이를 기준하여 등급을 판정하고 있다.
그러나 고시에서 옹이라 함은 일반적인 옹이뿐만 아니라 재면의 탈락, 흠집, 구멍, 광물질침적자국, 껍질박이 등 이용상 지장이 있다고 판단되는 결점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육안등급판정을 설명하기 위한 옹이지름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규격구조재(10)의 넓은재면(12)(너비 B를 가진 면)과 좁은재면(14)(두께 t를 가진 면)에 각기 형성되어 있는 옹이(16)(18)의 긴 지름(D1)(D2)과 짧은 지름(d1)(d2)을 측정하고 긴 지름(D1)(D2)의 양단에서 규격구조재(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상하 평행선(20,22)(24,26)을 긋고, 그 상하 평행선(20,22)(24,26) 사이의 간격(B1)(B2)을 자로 재어 옹이지름비(A)을 계산해 낸다.
이러한 옹이지름비(A)는 항상 아래의 식과 같이 규격구조재(10)의 넓은재면(12)과 좁은재면(14)에 관계없이 "규격구조재의 너비(B)"에 대한 옹이지름(B1)(B2)의 백분율(%)로 계산하되, 옹이의 긴 지름(D1)(D2)이 짧은 지름(d1)(d2)에 비해 2.5배 이상에 해당하면 실측한 옹이지름의 1/2로 간주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옹이지름비(%)= {옹이지름(B1,B2)/목재면 너비(B)}*100
단, 여기서 옹이지름 ≥ 짧은지름*2.5 의 조건을 만족하면
옹이지름비(%)= {옹이지름(B1,B2)/목재면 너비(B)}*100*1/2로 계산된다.
넓은재면(12)에 있어 옹이지름비(%)를 측정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옹이(16)의 중심점(O)이 어디에 위치하여 있느냐로서,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규격구조재(10)의 너비(B)를 가장자리부(12a)(12b), 중앙부(12c)로 3등분하되, 가장자리부(12a)(12b)는 각기 너비(B)의 1/4, 그리고 중앙부(12c)는 너비(B)의 1/2 크기로 구획한 후 옹이(16)의 중심점(O)이 너비(B) 양측의 가장자리단부선(모서리선)(28)(30)으로부터 너비(B)의 1/4 거리선(32)(34)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즉 가장자리부(12a)(12b)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가장자리 옹이'로 부르며, 넓은재면(12) 상에서 옹이(16)의 중심점(O)이 양측 모서리선(28)(30)로부터 너비의 1/4 밖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즉, 1/2 너비를 가지는 중앙부(12c)에 위치하는 경우 '중앙부 옹이'로 간주하여 품질 기준표를 다르게 본다.
국내의 제재목의 품질기준은 옹이(16)(18)가 좁은재면(14)에 위치하고 있거나 또는 넓은재면(12)의 가장자리부(12a)(12b)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하에서 옹이지름비(%)가 20% 이하는 1등급, 30% 이하는 2등급, 40% 이하는 3등급으로 판정되고, 넓은재면(12)의 중앙부(12c)에 옹이(16)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25% 이하는 1등급, 35% 이하는 2등급, 45% 이하는 3등급으로 판정되며, 이 이외는 무등급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육안등급판정 방법은 규격구조재(10)의 너비(B)를 3등분(12a,12b,12c)한 후 육안으로 옹이(16)를 파악하여 그 옹이(16)의 중심점(O)이 중앙부(12c)에 위치하는가 아니면 가장자리부(12a,12b)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육안으로 위치 파악을 하고, 옹이(16)의 짧은지름과 긴지름을 자로 재어 치수를 확인한 후 옹이(16)의 양단에서 수평선(32)(34)을 그어 그 수평선(32)(34) 사이의 거리(B1)를 측정하여 각기 구한 값들을 옹이지름비(%)를 구하는 식에 대입하여 최종 판정 수치를 얻는 등으로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많은 규격구조재들에 대해 일일히 등급을 판정하는 데 있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1144호를 통해 자동으로 제재목의 등급을 판단하는 제재목 등급의 자동화 구분 방법을 제안한바 있다.
상기한 선등록특허는 고가의 라인 스캔 카메라 대신 저가의 영역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송중인 재제목의 화상을 정확하게 처리하며, 처리된 제재목의 화상을 이용하여 옹이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제재목의 등급을 판단하는 방식으로 여전히 유효하나, 제재목을 켜는 장치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송중에 있는 제재목을 사진 촬영한 후 제재목의 진입 판정, 제재목의 시간당 이동거리 계산, 특징점 추출, 예비 대응영역 선정, 대응점 추출, 화상결합, 제재목의 통과판정, 및 화상결합 종료의 과정을 통해 전체 화상을 구성하는 화상결합알고리즘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판정 방법의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제재목의 이송 속도에 대응하여야 하는 관계로 측정값이 부정확하게 나타나는 부작용 및 비교적 시스템의 구축 비용이 많이 들어 대규모 업체에서 적용하기는 무리가 없으나, 소규모 제재업소들에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어 소규모 업체들에서는 여전히 육안등급판정방법이 사용되므로써 개선의 요구가 있어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1144호
삭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누구나 보편적으로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설치하고 휴대폰 화면상에 설치된 기준선에 제재목의 너비만을 맞추어 사진 촬영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저비용으로 최단 시간 내에 정밀도 높게 품질을 판정하여 등급을 부여할 수 있는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제재목의 자동등급판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은, 휴대폰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와;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판정등급을 부여하고자 하는 규격구조재의 치수(두께×너비×길이) 데이터를 휴대폰에 입력하는 단계와; 넓은재면인지 좁은재면인지를 선택하는 단계와; 넓은재면인 경우 규격구조재의 입력된 너비에 상당하도록 설정된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과, 양측의 상하부 수평선으로부터 각기 1/4 너비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하부 옹이 경계선을 휴대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넓은재면의 옹이가 있는 부분의 너비부위를 상기 휴대폰 화면상에 나타나 있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에 일치하도록 카메라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와; 초점을 맞춘 후 사진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사진을 휴대폰에 저장하고 다시 정지된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사진상에 나타난 옹이의 중심부가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옹이인지 중앙부에 위치하는 옹이인지 확인하여 화면상에서 해당 위치를 터치하여 옹이의 위치를 지정함과 동시에 2개의 옹이 상,하한선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옹이 상,하한선을 각기 드래그하여 옹이의 최상부 및 최하부 정점에 접선을 이루도록 위치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옹이 상,하한선의 접선이 옹이의 최상부 및 최하부 정점에 일치가 확인되면 확인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의 너비(상부와 하부 수평기준선 사이의 설정거리)에 대하여 옹이 지름을 나타내는 옹이 상,하한선의 너비의 비율로서 옹이 지름비를 계산하여 규격조건에 따르도록 등급을 판정하여 저장하고, 그 판정된 등급을 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옹이의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하부 옹이 경계선이 각기 드래그를 통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옹이 상,하한선으로 기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수평선의 갯수를 줄여 화면의 표시 상태를 단순화시킴으로서 불필요한 혼란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옹이의 위치를 지정함에 있어서는 육안으로 파악되는 옹이의 중심점을 터치하거나 또는 해당하는 중심부나 가장자리부를 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의 다른 실시예 구성에 의하면, 휴대폰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와;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판정등급을 부여하고자 하는 규격구조재의 치수(두께×너비×길이) 데이터를 휴대폰에 입력하는 단계와; 넓은재면인지 좁은재면인지를 선택하는 단계와; 좁은재면인 경우 규격구조재의 입력된 두께에 상당하도록 설정된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을 휴대폰 화면에 표시하고, 동시에 규격구조재의 입력된 너비에 상당하는 상부 너비수평기준선 및 하부 너비수평기준선을 휴대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좁은재면의 옹이가 있는 부분의 두께부위를 상기 휴대폰 화면상에 나타나 있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에 일치하도록 카메라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와; 초점을 맞춘 후 사진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사진을 휴대폰에 저장하고 다시 정지된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사진상에 나타난 옹이를 터치하거나 또는 확인키를 터치 입력하여 2개의 옹이 상,하한선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옹이 상,하한선을 각기 드래그하여 옹이의 최상부 및 최하부 정점에 접선을 이루도록 위치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옹이 상,하한선의 접선이 옹이의 최상부 및 최하부 정점에 일치가 확인되면 확인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너비수평기준선의 너비(상부와 하부 너비수평기준선 사이의 설정거리)에 대하여 옹이 지름을 나타내는 옹이 상,하한선의 너비의 비율로서 옹이 지름비를 계산하여 규격조건에 따르도록 등급을 판정하여 저장하고, 그 판정된 등급을 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옹이지름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옹이 지름이 짧은 지름에 비해 2.5배 이상인 경우 옹이 지름을 1/2로 감소 적용하여 옹이 지름비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에서 규격구조재인지 보구조재인지 기둥구조재인지를 선택하여 지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누구나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스토어에서 관련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것만으로 규격구조재의 등급 판정을 육안이 아닌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판정속도가 매우 빠르고 정확한 장점이 있고, 이로 인해 규격구조재의 등급판정에 별도의 고가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수조사가 가능하여 효율성 높은 규격구조재의 등급판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육안에 의한 규격구조재의 등급판정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여 아이콘이 휴대폰 화면에 설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규격구조대의 치수 입력 화면으로 전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규격구조재의 치수를 입력 완료한 상태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규격구조재의 넓은재면의 등급표시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규격구조재의 넓은재면의 가장 큰 옹이부분을 사진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규격구조재의 넓은재면의 가장 큰 옹이부분을 사진촬영 후 사진을 저장하고 다시 화면에 표시한 상태의 화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규격구조재의 넓은재면의 옹이가 중앙부 옹이인가 가장자리 옹이인가를 선택하는 화면 표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규격구조재의 넓은재면의 옹이가 중앙부 옹이임을 선택하였을 때 나타나는 옹이 상하한선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옹이 상하한선을 드래그하여 옹이의 상하부 정점에 각기 접선을 이루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옹이 상하한선을 드래그하여 옹이의 상하부 정점에 각기 접선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확인키를 눌러 옹이지름비와 등급을 화면에 나타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a~d)는 규격구조재의 좁은재면의 등급표시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 상태를 조작이 진행되는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데 이용된 도 1 및 도 2가 그대로 본 발명에서 참고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중 넓은재면의 등급을 판정하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화면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규격구조재의 옹이에 따른 자동 등급판정방법을 도 3의 플로우챠트 및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재소에서 규격구조재를 생산하여 등급을 판정하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휴대폰(36)에서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규격구조재의 옹이에 따른 자동 등급판정방법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게 된다(단계 S1).
당해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40)이 휴대폰 바탕화면(38)에 형성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2). 그리고 규격구조재가 생산되어 등급을 판정코자 할 때 다운받아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40)을 찾아 터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단계 S3).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휴대폰 화면(38)에 판정등급을 부여하고자 하는 규격구조재의 치수(두께t×너비B×길이L)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42)가 표시되며, 키보드 입력기(44)의 조작입력을 통해 휴대폰에 치수(두께×너비×길이) 데이터를 입력한다(단계 S4).
입력된 치수 데이터는 휴대폰에 정보로서 저장되며, 이때 규격구조재의 순번정보 등과 함께 저장하게 된다. 이어서 넓은재면(48)인지 좁은재면(50)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재면표시부(46)가 표시화면(38)에 나타나게 되며, 재면의 종류를 선택하여 화면상에 해당 표시부를 클릭하여 재면의 종류를 선택한다(단계 S5).
상기 단계에서 넓은재면(48)임을 클릭하여 확인한 경우(단계 S6), 규격구조재의 입력된 너비(B)에 상당하도록 설정된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52)(54)과, 양측의 상하부 수평기준선(52)(54)으로부터 각기 1/4 너비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하부 옹이 경계선(56)(58)을 휴대폰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단계 S7).
상기 단계 S7을 진행하게 되면 휴대폰(36)은 카메라 모드에 돌입하여 표시화면에 카메라 버튼(60)이 나타나며, 등급을 판정하고자 하는 규격구조재(10)의 넓은재면(12)의 옹이(16)가 있는 부분의 너비부위로서 상하 양측 모서리선(62)(63)을 상기 휴대폰 화면상에 나타나 있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52)(54)에 일치하도록 카메라 초점을 조절한다(단계 S8).
카메라의 초점을 맞춘 후 화면상에 나타난 커메라 버튼(60)을 눌러 옹이 부위를 촬영한다(단계 S9). 사진 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된 사진을 수평기준선(52,54)과 옹이 경계선(56,58)과 함께 휴대폰에 저장하고, 다시 촬영된 사진을 화면(38)에 수평기준선(52,54)과 옹이 경계선(56,58)과 함께 표시하며(단계 S10), 이때 표시된 화면 정보 내용은 정지 화면을 유지한다. 즉, 사진 촬영 시에는 휴대폰의 움직임에 대하여 노출된 풍경이 초점 변경에 따라 이리저리 변화하게 되나, 이 모드에서는 표시된 화면 정보가 휴대폰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앞서 촬영된 상태의 표시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사진상에 나타난 옹이(16)의 중심점(O)이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옹이인지 중앙부에 위치하는 옹이인지 확인하여 화면상에서 옹이 위치선택부(62)의 해당 위치를 터치하여 옹이(16)의 위치를 지정함과 동시에 2개의 옹이 상,하한선(64)(66)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단계 S11). 상기 옹이 상,하한선(64)(66)을 각기 드래그하여 옹이(16)의 최상부 및 최하부 정점(68)(70)에 접선을 이루도록 위치 이동시킨다(단계 S12).
상기 옹이 상,하한선(64)(66)의 접선이 옹이의 최상부 및 최하부 정점(68)(70)에의 일치가 확인되면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화면에 나타난 확인키(72)를 눌러 확인하며, 일치하지 않으면 옹이 상,하한선(68)(70)이 정점부위(68)(70)에 일치하도록 다시 드래그하여 재조정한다(단계 S13).
확인키(72)가 터치 입력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의 너비(상부와 하부 수평기준선 사이의 설정거리) B에 대하여 옹이 지름을 나타내는 옹이 상,하한선의 너비 B1의 비율로서 옹이 지름비(B1/B)를 계산하여 규격조건에 따르도록 등급을 판정하여 옹이 지름비와 등급을 저장하고, 그 판정된 옹이 지름비와 등급을 화면의 등급표시부(74)에 표시하여 준다(단계 S14).
그런데 상기 단계 S6에서 좁은재면(50)이 선택되어 클릭되면 좁은재면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지게 되며(단계 S15), 규격구조재의 입력된 두께(t)에 상당하도록 설정된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76)(78)을 휴대폰 화면(38)에 표시하고, 동시에 규격구조재의 입력된 너비(B)에 상당하는 상부 너비수평기준선(80) 및 하부 너비수평기준선(82)을 휴대폰 화면(38)에 표시하게 된다(단계 S16).
그 다음 좁은재면(14)의 옹이(18)가 있는 부분의 두께부위를 상기 휴대폰 화면상에 나타나 있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76)(78)에 일치하도록 카메라 초점을 조절한 후(단계 S17), 카메라 버튼(60)을 눌러 좁은재면(14)의 옹이(18) 부위의 사진 촬영을 실시한다(단계 S18).
사진 촬영 후에는 단계 S10으로 돌아가 단계 S14까지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1의 상기 옹이의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하부 옹이 경계선이 각기 드래그를 통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옹이 상,하한선으로 기능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수평선의 갯수를 줄여 화면의 표시 상태를 단순화시킴으로서 불필요한 혼란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14에서 옹이 지름비(%)를 계산하여 등급을 결정하는 과정은 법규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한다.
(a)규격구조재는 ①좁은재면은 25% 이하는 1등급, 35% 이하는 2등급, 45% 이하는 3등급 ②넓은재면은 가장자리부의 경우 25% 이하는 1등급, 35% 이하는 2등급, 45% 이하는 3등급, 중앙부의 경우 30% 이하는 1등급, 45% 이하는 2등급, 60% 이하는 3등급
(b)보구조재는 ①좁은재면은 20% 이하는 1등급, 30% 이하는 2등급, 40% 이하는 3등급 ②넓은재면은 가장자리부의 경우 20% 이하는 1등급, 30% 이하는 2등급, 40% 이하는 3등급, 중앙부의 경우 25% 이하는 1등급, 35% 이하는 2등급, 45% 이하는 3등급
(c)기둥구조재는 25% 이하는 1등급, 35% 이하는 2등급, 45% 이하는 3등급, 2) 규격구조재와 보구조재의 경우 모인옹이 지름비로 환산할수 있는 단계가 추가하며,
이때 규격구조재를 선택할 경우 휴대폰 화면의 표시부에서 좁은재면(50), 넓은재면(48)을 선택할수 있도록 하고, 좁은재면(50)을 선택할 경우 가장자리/중앙부 구분없이 전체 너비(B)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옹이 지름비를 계산하고 등급을 결정하게 되는 것을 도 4 내지 도13에 도시한 휴대폰의 화면 정보 내용을 참조하여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앱스토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휴대폰에 해당 앱을 설치하게 되면, 휴대폰 화면 상에는 도 4와 같이 화면(38)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임을 나타내는 아이콘(40)이 형성된다.
이 초기 화면 상태에서 생산된 규격구조재(10)의 등급 판정을 하고자 할 경우, 화면에 나타나 있는 등급 판정용의 아이콘(40) 부위를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아이콘(40)의 터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초기 화면으로 치수 표시부(42)가 나타나고, 또 도 6과 같이 화면(38) 하부에는 숫자 입력키(44)가 나타난다.
이 치수 표시부(42)는 3개의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입력부는 좌측부터 규격구조재의 두께(t), 너비(B), 길이(L)를 나타내며, 두께(t)는 좁은재면(14)의 모서리선(63,63a)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며, 너비(B)는 넓은재면(12)의 양측 모서리선(62,63)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등급 판정코자 하는 규격구조재(10)의 두께(t), 너비(B), 길이(L)가 각기 30mm, 60mm, 1500mm 크기, 즉, 30×60×1500 크기의 목재라면 이 수치를 도 6에 나타나 있는 숫자 입력키(44)를 통해 입력하면 도 6에서처럼 치수 표시부(42)에 숫자로서 차례로 표시되어지게 되며, 등급 확인자는 화면에 나타나 있는 이 숫자를 보고 지금 실행하고 있는 규격구조재(10)의 크기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치수의 입력이 완료되면 화면(38)에는 도 7과 같이 재면 표시부(46)가 나타나게 되며, 재면 표시부(46)는 넓은재면(48)과 좁은재면(50)의 표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같은 화면 상태에서 넓은 재면(48)을 선택하면 도 8과 같이 규격구조재의 너비 60mm에 상당하는 두개의 수평선, 즉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52)(54)이 화면에 나타난다. 이 두개의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52)(54)의 휴대폰 화면상에서의 실제 간격이 예를 들어 30mm라 가정하더라도 이 간격은 규격구조재(10)의 실제 너비 60mm를 의미하게 되며, 이는 내부 프로그램 작동에 의해 크기가 비례적으로 처리되어진다.
상기 화면에 나타난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52)(54)의 내측으로 다시 두개의 선, 예를 들면 실선도 가능하나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52)(54)과의 구분을 위해 점선으로 상,하부 옹이 경계선(56)(58)이 표시되며, 이 상,하부 옹이 경계선(56)(58)은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52)(54)에 대해 각기 1/4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하부 옹이 경계선(56)(58) 사이의 간격은 너비(B)에 대하여 1/2이며, 만일 휴대폰 화면상에서 규격구조재의 실제 크기에 대해 1/2 비율로 나타내어졌다면,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52)(54) 사이의 화면상 간격은 30mm로 표시되고, 상,하부 옹이 경계선(56)(58) 사이의 간격은 15mm로 나타나며, 상부 수평기준선(52)과 상부 옹이 경계선(56) 사이 및 하부 수평기준선(54)과 하부 옹이 경계선(58) 사이의 간격은 각기 7.5mm를 두고 형성되며, 이들 화면상에서의 간격들은 규격구조재상에서 축소비율(1/2)을 역으로 적용하면 실제로는 각기 60mm, 30mm, 15mm, 15mm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그리고 수평기준선들과 옹이 경계선들이 표시됨과 동시에 도 8에서 확인되는 것 같이, 화면(38)상에는 카메라 버튼(60)이 나타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폰(36)을 사용하여 규격구조재(10)의 넓은재면(12)을 사진 촬영하게 되는데, 이때 초점을 맞추는 기준은 넓은재면(12)에 위치하고 있는 옹이(16), 예를 들어 그 옹이(16)가 여러개라면 그중 가장 큰 옹이가 있는 부위를 선택하여 그 옹이(16)가 화면 중심부 근처에 위치하도록 하되, 규격구조재(10)의 넓은재면(12)의 상하 양측 모서리선(62)(63)이 화면(38)에 나타나 있는 상하부 수평기준선(52)(54)에 완전히 일치하도록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일치하면 카메라 버튼(60)을 눌러 사진을 촬영한다(도 9 및 도 10 참조).
촬영된 사진은 각종 수평선(52,54,56,58)들과 더불어 휴대폰 메모리 저장부에 저장되고, 그 저장된 상태의 사진이 다시 화면에 나타나며, 동시에 화면에는 옹이 위치 표시부(62)가 나타난다(도 10 참조). 이 옹이 위치 표시부(62)는 중앙부 옹이와 가장자리 옹이로 구분되어 있으며, 옹이 위치의 선택 기준은 옹이(16)의 중심점(O)을 기준하여 그 중심점(O)이 상,하부 옹이 경계선(56)(58) 사이, 즉 화면상에서의 점선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중앙부 옹이로 판정하여 중앙부 옹이를 클릭하며, 만일 옹이의 중심점(O)이 상부 수평기준선(52)과 상부 옹이 경계선(56) 사이나 또는 하부 수평기준선(54)과 하부 옹이 경계선(58)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옹이 위치 표시부(65)에서 가장자리 옹이를 터치하게 된다.
그런데 도 10에서는 옹이 중심점(O)이 양측 점선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중앙부 옹이로 판정하여, 옹이 위치 표시부(65)에서 중앙부 옹이 1/2 영역 부위를 손가락 또는 펜으로 터치 클릭하거나 또는 옹이 중심점(O)을 터치하게 된다.
이 같은 선택에 의하여 내부의 프로그램은 중앙부 옹이 판정 규정에 따라 옹이 지름비(%)를 계산하도록 실행하게 되며, 화면은 도 11과 같이 전환되면서, 두개의 수평선들이 추가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 두개의 수평선들은 옹이 상,하한선(64)(66)으로서, 옹이(16)의 지름 산정 및 지름비율 계산을 위한 선으로서, 화면상에서 터치 조작을 통해 상하로 위치의 이동이 가능하다.
먼저 옹이 상한선(64)을 손가락(또는 조작 펜)으로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옹이 상한선(64)이 손가락 움직임에 연동하여 이동하게 되며, 이 옹이 상한선(64)을 옹이(16)의 상단 끝점(68)에 접선하도록 이동시키며, 같은 방법으로 옹이 하한선(66)을 드래그하여 옹이(16)의 하단 끝점(70)에 접선하도록 이동시키며, 이 같은 드래그에 의해 옹이 상하한선(64)(66)은 도 11에서 도 13의 위치 상태로 변경된다.
도 12 상태에서 옹이 상하한선(64)(66) 사이의 간격 B1이 옹이 지름이 되는 것이며, 너비 B에 대한 간격 B1의 길이의 비가 옹이 지름비(%)가 된다.
규격구조재의 옹이의 실제 지름 크기가 15mm 크기라고 한다면, 1/2 비율로 표시된 화면상에서는 옹이 상하한선(64)(66) 사이의 간격 B1이 7.5mm 크기로 나타난다.
이 같은 수치를 가지고 프로그램은 옹이 지름비(%) = (B1/B)*100 식에 의해 (7.5/30)*100=25(%)라고 계산하여, 도 13에 도시한것과 같이 화면(38)의 등급 표시부(74)에 옹이 지름비 25%이고, 그리고 중앙부 옹이의 경우 30%까지는 1등급을 부여하도록 입력되어 있으므로 등급 표시란에 1등급이라고 표시하고, 그 등급 수치들을 순번 및 규격등과 함께 저장한 후 초기 화면으로 돌아가 다음 판정 작업에 대기하며, 다음 작업이 없어 휴대폰의 앱을 종료시키면 등급 판정 작업을 종료한다. 이 판정된 등급표시는 해당 규격구조재에 부여된 순번 정보나 기타 부여된 식별부호나 이름 등에 의해 항상 화면상에 불러내어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제로는 실제 수치를 직접 대입하여 계산하기보단 같은 비율로 축소 또는 확대 설정된 화면상의 간격 B 에 대해 B1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므로써 등급을 산정하도록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다.
다음에 좁은재면(14)의 등급 판정에 대하여 도 14(a~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7의 화면 표시 상황에서, 재면표시부(46)를 통해 좁은재면(50)을 선택하면, 내부의 프로그램은 좁은재면의 판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전환되며, 앞서 넓은재면의 경우와 비슷한 방법으로 진행되나 약간 방법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좁은재면(50)이 선택되면, 도 14(a)의 화면 상태가 나타나며, 이 화면에도 도 8과 같이 4개의 수평선이 나타나기는 하나, 그 수평선의 의미하는 바에 있어 약간 상이한바, 먼저 상하의 2개의 수평선은 규격구조재(10)의 넓은재면(12)의 너비 B, 즉 60mm에 상당하는 크기를 의미하는 상하부 너비수평기준선(80)(82)이며, 그 안쪽에 있는 2개의 수평선은 좁은재면(14)의 두께 t, 즉 30mm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76)(78)을 의미한다.
이 같은 카메라의 셋팅 상태에서 규격구조재의 두께 부분에 있는 옹이(18) 부분의 사진을 촬영하되, 두께 t 부분의 양측 모서리선(63)(63a)이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76)(78)에 일치하도록 초점을 조절한 후 카메라 버튼(60)을 눌러 사진을 촬영하면, 그 사진이 저장됨과 함께 표시화면에 도 14(c)와 같이 2개의 옹이 상,하한선(84)(86)이 나타난다.
이후 이 2개의 옹이 상,하한선(84)(86)을 각기 드래그하여 옹이(18)의 상하 끝단에 접선시키고 확인키(72)를 누르면, 옹이 상,하한선(84)(86) 사이의 간격 B2가 상하부 너비수평기준선(80)(82) 사이의 간격 B에 대한 비율을 계산하여 등급을 계산 부여하게 된다.
이때 옹이(18)의 상하한점을 기준한 실제 크기가 10mm 라면, 1/2 축소 화면상에서는 5mm로 나타날 것이어서, 화면을 기준으로 한 좁은재면의 옹이 지름비(%)는 (5/30)*100=16,67(%)가 되어, 25% 이하에 해당하므로 판정결과는 등급표시부(74)에 1등급으로 표시되며(도 14(d) 참조), 그 결과가 당해 규격구조재(10)의 좁은재면(14)의 판정결과로 저장되며, 그 저장된 결과는 화면에 불러내어 반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규격구조재의 최종 등급은 가장 낮은 쪽을 기준하는데, 넓은재면과 좁은재면의 양쪽 모두 1등급이 나왔으므로 최종 등급은 1등급이 부여된다.
그러나 만일 넓은재면의 옹이 지름비에 따른 등급이 2등급이고, 좁은재면의 등급이 3등급이 나왔다면, 당해 규격구조재의 전체 최종 등급은 3등급이 된다.
그리고 상기 옹이지름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옹이 지름이 짧은 지름에 비해 2.5배 이상인 경우 옹이 지름을 1/2로 감소 적용하여 옹이 지름비를 산정하게 된다.
이는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이 같은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두어 클릭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으로 등급에 계산 반영되게 할 수 있으며, 아니면 앞선 등급 결과를 보고, 육안 판단결과 2.5배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산정된 옹이 지름비를 1/2로 하여 최종 판정토록 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에서 규격구조재인지 보구조재인지 기둥구조재인지를 선택하여 지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추가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예를 들면 기능, 방법 및 결과가 동일한 구성, 혹은 목적 및 효과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의 본질적이지 않은 부분을 대체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있는 구성 또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공지기술을 부가한 구성을 포함한다.
10: 규격구조재 12: 넓은재면
14:좁은재면 16,18: 옹이
36: 휴대폰(스마트폰) 38: 휴대폰 화면
40: 아이콘 44: 키보드 입력기
46: 재면표시부 48: 넓은재면
50:좁은재면 52: 상부 수평기준선
54: 하부 수평기준선 56: 상부 옹이 경계선
58: 하부 옹이 경계선 60: 카메라 버튼
62: 모서리선 63: 모서리선
64: 옹이 상한선 65: 옹이 위치 표시부
66: 옹이 하한선 68,70: 옹이의 상하 정점
72: 확인키 74: 등급 표시부
76: 상부 수평기준선 78: 하부 수평기준선
80: 상부 너비수평기준선 82: 하부 너비수평기준선
84: 옹이 상한선 86: 옹이 하한선
t: 두께 B: 너비
L: 길이 O: 옹이 중심점
B1: 옹이 지름

Claims (5)

  1. 휴대폰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에 있어서, 휴대폰에 규격구조재의 등급을 판정하는 데 사용할 어플리케이션을 인터넷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와; 규격구조재의 등급 판정 시 다운받아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판정등급을 부여하고자 하는 규격구조재의 치수(두께×너비×길이) 데이터를 휴대폰 화면의 데이터 입력부에 입력하는 단계와; 규격구조재가 넓은재면인지 좁은재면인지를 손가락 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휴대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규격구조재가 넓은재면인지 좁은재면인지를 선택하는 단계와; 넓은재면인 경우 규격구조재의 입력된 너비에 상당하도록 설정된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과, 양측의 상하부 수평선으로부터 각기 1/4 너비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하부 옹이 경계선을 휴대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등급을 판정하고자 하는 규격구조재의 넓은재면의 옹이가 있는 부분의 너비부위를 사진 촬영하되, 상기 휴대폰 화면상에 나타나 있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에 상기 옹이가 있는 부분의 너비부위가 일치하도록 카메라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초점 조절 단계에서 초점을 맞춘 후 사진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사진을 휴대폰에 저장하고 다시 정지된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사진상에 나타난 옹이의 중심부가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옹이인지 중앙부에 위치하는 옹이인지를 선택하여 터치할 수 있도록 휴대폰 화면에 나타내주는 단계와; 옹이의 위치가 터치 동작에 의해 입력되면 드래그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한 2개의 옹이 상,하한선을 휴대폰 화면에 나타내주는 단계와; 상기 휴대폰 화면상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타난 옹이 상,하한선을 각기 손가락을 사용하여 드래그하여 화면에 나타나 있는 옹이의 최상부 및 최하부 정점에 접선을 이루도록 위치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옹이 상,하한선의 접선이 옹이의 최상부 및 최하부 정점에 일치가 확인되면 확인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의 너비(상부와 하부 수평기준선 사이의 설정거리)에 대하여 옹이 지름을 나타내는 옹이 상,하한선의 너비의 비율로서 옹이 지름비를 계산하여 규격조건에 따르도록 등급을 판정하여 휴대폰에 저장하고, 그 판정된 등급을 휴대폰 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이의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하부 옹이 경계선이 각기 드래그를 통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옹이 상,하한선으로 기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이의 위치를 지정함에 있어서는 육안으로 파악되는 옹이의 중심점을 터치하거나 또는 해당하는 중심부나 가장자리부를 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4. 휴대폰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에 있어서, 휴대폰에 규격구조재의 등급을 판정하는 데 사용할 어플리케이션을 인터넷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와; 규격구조재의 등급 판정 시 다운받아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판정등급을 부여하고자 하는 규격구조재의 치수(두께×너비×길이) 데이터를 휴대폰에 입력하는 단계와; 규격구조재가 넓은재면인지 좁은재면인지를 손가락 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휴대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등급을 판정하고자 하는 규격구조재가 좁은재면인 경우 규격구조재의 입력된 두께에 상당하도록 설정된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을 휴대폰 화면에 표시하고, 동시에 규격구조재의 입력된 너비에 상당하는 상부 너비수평기준선 및 하부 너비수평기준선을 휴대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등급을 판정하고자 하는 규격구조재의 좁은재면의 옹이가 있는 부분의 두께부위를 사진 촬영하되, 상기 휴대폰 화면상에 나타나 있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기준선에 상기 두께부위가 일치하도록 카메라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초점 조절 단계에서 초점을 맞춘 후 사진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사진을 휴대폰에 저장하고 다시 정지된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사진상에 나타난 옹이를 터치하거나 또는 확인키를 터치 입력하여 2개의 옹이 상,하한선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옹이 상,하한선을 각기 드래그하여 옹이의 최상부 및 최하부 정점에 접선을 이루도록 위치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옹이 상,하한선의 접선이 옹이의 최상부 및 최하부 정점에 일치가 확인되면 확인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너비수평기준선의 너비(상부와 하부 너비수평기준선 사이의 설정거리)에 대하여 옹이 지름을 나타내는 옹이 상,하한선의 너비의 비율로서 옹이 지름비를 계산하여 규격조건에 따르도록 등급을 판정하여 저장하고, 그 판정된 등급을 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옹이지름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옹이 지름이 짧은 지름에 비해 2.5배 이상인 경우 옹이 지름을 1/2로 감소 적용하여 옹이 지름비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KR1020190125435A 2019-10-10 2019-10-10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KR102264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435A KR102264576B1 (ko) 2019-10-10 2019-10-10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435A KR102264576B1 (ko) 2019-10-10 2019-10-10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636A KR20210042636A (ko) 2021-04-20
KR102264576B1 true KR102264576B1 (ko) 2021-06-14

Family

ID=7574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435A KR102264576B1 (ko) 2019-10-10 2019-10-10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5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144B1 (ko) 2008-12-15 2011-10-10 대한민국 제재목 등급의 자동화 구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4804B2 (ja) * 2005-05-18 2011-06-22 株式会社名南製作所 木材の節探査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60851A (ko) * 2006-12-27 2008-07-02 이형우 목재표면의 결함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144B1 (ko) 2008-12-15 2011-10-10 대한민국 제재목 등급의 자동화 구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636A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4612B2 (ja) グラフィック再検査ユーザ設定インタフェース
JP4784269B2 (ja) 画像処理装置
CN209300267U (zh) 一种烟支外观图像处理控制系统及其在线检测装置
Alameda-Hernández et al. Improvement of the JRC calculation using different parameters obtained through a new survey method applied to rock discontinuities
US10331807B2 (en) Generating a rules database for multi condition takeoff in a construction project
WO2012146358A3 (de) Scan-verfahren für ein grossformatiges scanner-system mit stitching-verfahren
CN102439605A (zh) 确定艺术品作者的方法和装置
KR102264576B1 (ko)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규격구조재의 자동 등급판정방법
CN101198859A (zh) 膜检查装置和膜检查方法
CN111951210A (zh) 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US8250484B2 (en) Computer and method for generatiing edge detection commands of objects
US7587061B1 (en) Symbol recognition system software and method
US10970833B2 (en) Pipe image feature analysis using calibration data
KR20080060851A (ko) 목재표면의 결함검출방법
CN113793322A (zh) 一种对磁性材料自动检测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H04218712A (ja) 糸の品質を査定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Louban Image processing of edge and surface defects
TWI410880B (zh) 與數位影像分析相關的電腦程式產品
CN110602299A (zh) 基于不同倾斜角度的外观缺陷检测方法
KR20150067983A (ko) 건축 설계 도면 중 일람표의 오류 검색을 위한 분석 방법
CN106683094B (zh) 木质单板裂缝外观质量评价方法
US11248947B1 (en) Estimating gemstone weight in mounted settings
KR20210000656A (ko) 외관 검사 관리 시스템, 외관 검사 관리 장치, 외관 검사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11327026B1 (en) Comparing gemstone signatures using angular spectrum information
Ozkaya et al. Simulation of photosensor-based hairiness measurement using digital imag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