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325B1 -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325B1
KR102264325B1 KR1020210007723A KR20210007723A KR102264325B1 KR 102264325 B1 KR102264325 B1 KR 102264325B1 KR 1020210007723 A KR1020210007723 A KR 1020210007723A KR 20210007723 A KR20210007723 A KR 20210007723A KR 102264325 B1 KR102264325 B1 KR 102264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tient
bar
plate
physical thera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임시경
정현녕
김춘곤
Original Assignee
최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혁 filed Critical 최민혁
Priority to KR102021000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co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물리치료 장치를 포함하고 환자 상태 진단에 따라 복수의 물리치료 장치를 이용한 맞춤형 물리치료 스케줄을 설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물리치료사로부터 물리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물리치료용 베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INTEGRATED TREATMENT OPERATION SYSTEM THROUGH PATIENT CONDITION DIAGNOSIS}
본 발명은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물리치료 장치를 포함하고 환자 상태 진단에 따라 복수의 물리치료 장치를 이용한 맞춤형 물리치료 스케줄을 설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증, 뇌손상 또는 뇌성마비 등과 같이 중추신경계가 손상을 입은 경우 마비를 동반한 운동장애가 발생하여 관절이 경직되거나 이완되면서 손가락, 팔 또는 다리 등의 마비부위를 자유의지대로 접거나 펴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관절 마비증상은 신경발달치료 접근법을 이용하여 재활치료사와 일대일 운동치료를 통해 치료하거나, 마비부위를 재활치료 기구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강제로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치료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재활치료는 의료기관에 환자가 방문하거나 치료자가 장비를 휴대하여 환자를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치료소요 시간과 인력비용이 과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가 재활치료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관절의 반복적인 접철운동이 지속되기 때문에 환자가 쉽게 지루함을 느끼게 되고 재활치료에 몰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795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611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수의 물리치료 장치를 포함하고 환자 상태 진단에 따라 복수의 물리치료 장치를 이용한 맞춤형 물리치료 스케줄을 설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은,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물리치료사로부터 물리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물리치료용 베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장치; 상기 진단 장치에서 진단된 환자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진단 장치에서 진단된 환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진단 장치로부터 직접 수신받는 상태 확인 단말기; 상기 상태 확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수행할 수 있는 해당 환자의 맞춤형 물리치료 스케줄을 생성하는 진단 서버; 및 상태 정보를 환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리치료용 베드는, 환자의 목이 안착되는 베개와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베드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일체형 베드; 상기 일체형 베드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일체형 베드를 바닥면으로부터 승강시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이동을 위해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 하측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체형 베드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편안한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쿠션; 환자의 목이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목 지지부; 및 상기 쿠션 및 상기 목 지지부의 상측을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 지지부는, 환자의 목이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둥근 아치 형태로 돌출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측면이 다수 개의 면들이 서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며 연결 형성되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다각형 아치; 상기 다각형 아치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각 면의 상측 마다 배치되어 환자의 몸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다각형 아치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각 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중간 지지대; 및 상기 다각형 아치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일 면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 지지대의 각 하부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내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지지대는,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평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부가 상기 지지 평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평판을 지지하며,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하 연장 바아;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천장면과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 공간에 상기 상하 연장 바아의 하부가 안착되는 간격 지지 각관; 상기 간격 지지 각관의 내측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간격 지지 각관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상하 연장 바아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의 상하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수평 파티션; 상기 상하 관통홀과 대향하는 상기 상하 연장 바아의 하부 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하 관통홀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중간 블록; 및 상기 간격 지지 각관의 내측 각 벽체 마다 설치되며, 각각의 일측이 상기 상하 연장 바아의 하부에 체결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하 연장 바아의 하부를 지지하는 바아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 연장 바아는, 상기 지지 평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바아;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바아; 및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바아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 관통홀은, 내주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 유도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블록은, 상기 상하 관통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 유도홈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회전 유도 돌기가 외측면을 따라 상기 회전 유도홈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물리치료 장치를 포함하고 환자 상태 진단에 따라 복수의 물리치료 장치를 이용한 맞춤형 물리치료 스케줄을 설계하여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물리치료용 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일체형 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목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플레이트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중간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10)은, 물리치료용 베드(100)를 포함한다.
물리치료용 베드(100)는,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물리치료사로부터 물리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20)은, 물리치료용 베드(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장치(200), 상태 확인 단말기(300), 진단 서버(400) 및 데이터 베이스(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리치료용 베드(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진단 장치(200)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진단(예를 들어, 호흡 측정, 체온 측정, 또는 혈당 측정 등)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태 확인 단말기(300)는, 진단 장치(200)에서 진단된 환자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진단 장치(200)에서 진단된 환자의 상태 정보를 진단 장치(200)로부터 직접 수신받으며, 네트워크(N)를 통해 환자의 상태 정보를 진단 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태 확인 단말기(3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여기서,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진단 서버(400)는, 상태 확인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수행할 수 있는 해당 환자의 맞춤형 물리치료 스케줄을 생성하며, 상태 확인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환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 베이스(500)에 저장해 둔다.
데이터 베이스(500)는, 상태 정보를 환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20)은, 다수의 물리치료 장치를 포함하고 환자 상태 진단에 따라 복수의 물리치료 장치를 이용한 맞춤형 물리치료 스케줄을 설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물리치료용 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물리치료용 베드(100)는, 일체형 베드(110), 지지 프레임(120) 및 바퀴(130)를 포함한다.
일체형 베드(110)는, 환자의 목이 안착되는 베개(110a)와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베드(110b)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프레임(120)은, 일체형 베드(11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일체형 베드(110)를 바닥면으로부터 승강시켜 지지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130)가 설치된다.
바퀴(130)는, 이동을 위해 지지 프레임(120)의 각 하측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물리치료용 베드(100)는,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물리치료사로부터 이용하여 물리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4는 도 3의 일체형 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체형 베드(110)는, 베이스 프레임(111), 쿠션(112), 목 지지부(113) 및 커버(114)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1)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에 쿠션(112) 및 목 지지부(113) 등이 설치된다.
쿠션(112)은, 편안한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쿠션감을 형성하는 스폰지 등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측에 설치된다.
목 지지부(113)는, 환자의 목이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측에 설치된다.
측, 목 지지부(113)는, 환자의 목이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쿠션(112)과 다른 쿠션(112)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목 지지부(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610), 다각형 아치(620), 지지 플레이트(630) 및 플레이트 지지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610)는, 환자의 목이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측에 설치된다.
다각형 아치(620)는, 바디(61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둥근 아치 형태로 돌출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측면이 다수 개의 면(621a)들이 서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며 연결 형성되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 플레이트(630)는, 다각형 아치(62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각 면(621a)의 상측 마다 플레이트 지지대(640)에 의해 지지 배치되어 환자의 몸, 특히 환자의 목 뒤 부분을 지지한다.
플레이트 지지대(640)는, 다각형 아치(62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각 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지지 플레이트(630)를 지지한다.
커버(114)는, 쿠션(112) 및 목 지지부(113)의 상측을 덮는다.
이때, 커버(114)는, 목 지지부(113)를 덮는 부분(114a)은 목 지지부(113)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체형 베드(110)는, 침대와 베개가 하나의 구성으로서 일체로서 제작됨으로써, 베개의 분실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석하는 환자에게 편안한 쿠션감 및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환자의 목 부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물리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최상의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플레이트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지지대(700)는, 상부 지지대(710), 중간 지지대(720) 및 하부 지지대(73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7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630)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대(720)에 의해 지지된다.
중간 지지대(720)는, 상부 지지대(710)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부 지지대(710)를 지지하며, 하부 지지대(73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
하부 지지대(730)는, 다각형 아치(620)의 일 상측면에 설치되며, 중간 지지대(720)의 각 하부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내측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레이트 지지대(700)는, 상부 지지대(710)와 하부 지지대(73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대(720)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630)로부터 상부 지지대(710)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환자의 목 부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물리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최상의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중간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중간 지지대(720)는, 지지 평판(721), 상하 연장 바아(722), 간격 지지 각관(723), 수평 파티션(724), 중간 블록(725) 및 바아 지지체(726)를 포함한다.
지지 평판(721)은, 상부 지지대(710)의 하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하부에 상하 연장 바아(722)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하 연장 바아(722)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부가 지지 평판(72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 평판(721)을 지지하며, 하부가 하부 지지대(7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간격 지지 각관(723)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하 연장 바아(722)는, 제1 바아(7221), 제2 바아(7222) 및 바아 연결구(7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아(7221)는, 지지 평판(72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에 바아 연결구(7223)가 설치된다.
제2 바아(7222)는, 하부가 하부 지지대(73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부가 바아 연결구(7223)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다수 개의 중간 블록(725)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바아 연결구(7223)는, 제1 바아(7221)와 제2 바아(7222)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간격 지지 각관(723)은,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하부 지지대(730)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730)의 내측 천장면(731)과 바닥면(732)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 공간에 상하 연장 바아(722)의 하부가 안착되며, 내측을 따라 다수 개의 수평 파티션(724)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수평 파티션(724)은, 간격 지지 각관(723)의 내측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각관(723)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하 연장 바아(72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간 블록(72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의 상하 관통홀(724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하 관통홀(724a)은, 내주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 유도홈(724b)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블록(725)은, 상하 관통홀(724a)과 대향하는 상하 연장 바아(722)의 하부 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하 관통홀(724a)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블록(725)은, 상하 관통홀(724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유도홈(724b)에 안착되어 회전 유도홈(724b)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회전 유도 돌기(725a)가 외측면을 따라 회전 유도홈(724b)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바아 지지체(726)는, 간격 지지 각관(723)의 내측 각 벽체 마다 설치되며(726-1, 726-2, 726-3, 726-4), 각각의 일측이 상하 연장 바아(722)의 하부에 체결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하 연장 바아(722)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간 지지대(7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상부 지지대(710)의 하측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면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부 지지대(710)가 일측 또는 타측, 전단 또는 후단 방향 등과 같이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안정적으로 상부 지지대(710)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환자의 목 부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물리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최상의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100: 물리치료용 베드
200: 진단 장치
300: 상태 확인 단말기
400: 진단 서버
500: 데이터 베이스
600: 목 지지부

Claims (2)

  1.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물리치료사로부터 물리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물리치료용 베드;
    환자의 현재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장치;
    상기 진단 장치에서 진단된 환자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진단 장치에서 진단된 환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진단 장치로부터 직접 수신받는 상태 확인 단말기;
    상기 상태 확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수행할 수 있는 해당 환자의 맞춤형 물리치료 스케줄을 생성하는 진단 서버; 및
    상태 정보를 환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물리치료용 베드는,
    환자의 목이 안착되는 베개와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베드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일체형 베드;
    상기 일체형 베드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일체형 베드를 바닥면으로부터 승강시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이동을 위해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 하측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베드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편안한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쿠션;
    환자의 목이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목 지지부; 및
    상기 쿠션 및 상기 목 지지부의 상측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목 지지부는,
    환자의 목이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둥근 아치 형태로 돌출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측면이 다수 개의 면들이 서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며 연결 형성되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다각형 아치;
    상기 다각형 아치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각 면의 상측 마다 배치되어 환자의 몸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다각형 아치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각 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중간 지지대; 및
    상기 다각형 아치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일 면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 지지대의 각 하부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내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지지대는,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평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부가 상기 지지 평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평판을 지지하며,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하 연장 바아;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천장면과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 공간에 상기 상하 연장 바아의 하부가 안착되는 간격 지지 각관;
    상기 간격 지지 각관의 내측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간격 지지 각관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상하 연장 바아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의 상하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수평 파티션;
    상기 상하 관통홀과 대향하는 상기 상하 연장 바아의 하부 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하 관통홀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중간 블록; 및
    상기 간격 지지 각관의 내측 각 벽체 마다 설치되며, 각각의 일측이 상기 상하 연장 바아의 하부에 체결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하 연장 바아의 하부를 지지하는 바아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연장 바아는,
    상기 지지 평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바아;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바아; 및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바아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관통홀은,
    내주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 유도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 블록은,
    상기 상하 관통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 유도홈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회전 유도 돌기가 외측면을 따라 상기 회전 유도홈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07723A 2021-01-19 2021-01-19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KR102264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723A KR102264325B1 (ko) 2021-01-19 2021-01-19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723A KR102264325B1 (ko) 2021-01-19 2021-01-19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325B1 true KR102264325B1 (ko) 2021-06-18

Family

ID=7662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723A KR102264325B1 (ko) 2021-01-19 2021-01-19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3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952B1 (ko) 2016-12-16 2018-03-13 (주)칼리스토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36831A (ko) * 2017-06-15 2018-12-26 이완희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KR20190056116A (ko)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 네오펙트 디지털 재활치료시스템의 훈련비율 추출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53448B1 (ko) * 2019-08-28 2019-12-06 최민혁 환자 맞춤형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952B1 (ko) 2016-12-16 2018-03-13 (주)칼리스토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36831A (ko) * 2017-06-15 2018-12-26 이완희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KR20190056116A (ko)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 네오펙트 디지털 재활치료시스템의 훈련비율 추출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53448B1 (ko) * 2019-08-28 2019-12-06 최민혁 환자 맞춤형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mp et al. Mental health services in nursing homes: Use of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US20130331993A1 (en) Ergonomic computer workstation to improve or maintain health
US20060200054A1 (en) Supplemental support structures adapted to receive a non-invasive dynamic motion therapy device
US20150305961A1 (en) Therapeutic core building and massage chair
DK2822426T3 (en) BALANCE RENTAL
EP1816994A1 (en) Mobilization handrail and bed equipped with this mobilization handrail
KR102053448B1 (ko) 환자 맞춤형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US20130261510A1 (en) Reclinable therapeutic massage chair
KR102264325B1 (ko)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FR3076237B1 (fr) Structure d'exosquelette
KR101639730B1 (ko)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골반 교정 운동 장치
Persson et al. Neck support pillows: a comparative study.
Pavão et al. Effects of visual manipulation in sit-to-stand move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P5698370B2 (ja) 着座用の家具ユニット
Uneri et al. Vestibular rehabilitation with electrotactile vestibular substitution: early effects
KR101093980B1 (ko) 좌석용 균형운동장치
US20180220805A1 (en) Vibration motor assembly for bed facility
CN108670734B (zh) 一种减震效果好的医疗用伤者辅助装置
CN207679651U (zh) 半沉浸式脊柱康复舱及脊柱康复系统
KR200495164Y1 (ko) 음파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정적 자세용 스태빌라이저
JP2010000357A (ja) 歩行系統の筋肉を増強するためのトレーニング装置
US20010034496A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spinal therapy
KR101466090B1 (ko) 다기능 의자
CN213553489U (zh) 一种医疗康复助行器
KR101895399B1 (ko) Ict 기반 보행분석 및 자세교정 기능이 포함된 능동 재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