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831A -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831A
KR20180136831A KR1020170076107A KR20170076107A KR20180136831A KR 20180136831 A KR20180136831 A KR 20180136831A KR 1020170076107 A KR1020170076107 A KR 1020170076107A KR 20170076107 A KR20170076107 A KR 20170076107A KR 20180136831 A KR20180136831 A KR 20180136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low frequency
patient
physical therapy
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6880B1 (ko
Inventor
이완희
Original Assignee
이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희 filed Critical 이완희
Priority to KR1020170076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88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8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09Physiotherapeutic tables, beds or platforms; Chiropractic or osteopathic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 A61F2007/009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with a thermo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Card operated, e.g. pre-paid card, credit card or ID c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의 치료용베드에 환자가 올라 누우면, 치료용베드에 설치된 복수의 저주파패드 중 환부에 위치한 저주파패드를 작동시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사가 개입하지 않더라도 최적의 위치에 저주파 자극을 주어 물리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Complex physical therapy system}
본 발명은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저주파 자극과 온찜질 치료를 동시에 수행하고, 치료사가 개입하지 않더라도 통증 부위를 집중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물리치료란 열이나 얼음, 공기, 광선, 전기, 전자기파, 초음파, 기계적인 힘, 중력 등을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조직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신체의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등 특정한 목적의 치료 효과를 얻고자 하는 시술을 말한다.
물리치료는 크게 보아 열을 가하는 것과 마사지 효과를 주는 방식이 대표적인데, 열을 가하는 것은 환부의 혈액순환과 활액의 분비를 촉진할 수 있고, 마사지는 적절한 물리적 자극으로 이완을 통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활액의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물리치료를 통해 운동신경과 근육을 자극하고, 관절염이나 근육통 등의 통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99941호(2012.09.12.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에 개시된 종래의 물리치료기는 프로브 핸들을 환부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치료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치료사가 반드시 개입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환자가 몰리는 시간일 경우 제한된 치료사로부터 치료를 받기 위해 대기해야 하는 시간이 많아질 수 밖에 없고, 영업 시간이 끝날 경우에는 아예 치료를 받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자가 치료용베드에 오르면 치료용베드에 설치된 복수의 저주파패드 중 환부에 위치한 저주파패드를 작동시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사가 개입하지 않더라도 물리치료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은, 복수의 저주파패드가 설치된 치료용베드; 및 상기 치료용베드에 설치된 저주파패드를 제어하는 치료기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치료용베드는, 환자를 받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가하는 복수의 상기 저주파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용베드는, 상기 저주파패드의 저면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온열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치료기본체는, 상기 저주파패드 측으로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발진부; 환자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환자카드를 인식하는 카드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인식부를 통해 상기 환자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환자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저주파패드 중 특정 저주파패드 측으로 저주파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저주파발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에 의하면, 치료사가 개입하지 않더라도 환자의 체형에 맞춰 아픈 부위에 최적의 물리 치료를 가할 수 있다. 즉, 쿠션성이 충분한 치료용베드에 복수의 저주파패드, 온열시트 및 프로브가 설치된 상태에서 환자가 치료용베드에 누우면 환자카드 인식을 통해 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저주파 자극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성 명령을 통해 치료 위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리치료실의 인력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고, 환자 역시 치료사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더불어 치료사 없이 물리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물리치료실의 영업시간도 탄력적으로 운용하여, 바쁜 직장인들이 퇴근 시간 이후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특히 환자카드를 인식시키면 환자정보에 대응하여 특정 위치의 저주파패드만 작동되기 때문에,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불어 기기 작동에 익숙치 않은 노인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무분별하게 기기를 작동시키다가 오류가 발생하는 현상도 예방할 수가 있다.
더불어 치료용베드에는 저주파패드가 설치된 위치에 온열시트와 프로브도 함께 설치되어 있어서, 저주파 자극을 이용한 치료, 온찜질 치료 및 진동 자극을 통한 치료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개별 치료 장치를 번갈아가며 신체에 부착하면서 치료를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기기를 작동시킬 치료사가 반드시 필요 했고, 기기 운반의 번거로움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을 통해 복합적인 자극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치료 요법을 바꿀 때마다 치료사가 개입하여 패드를 갈아 끼운다거나, 기기를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치료용베드가 몸통부 및 다리부의 분리 가능한 몸체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다리부를 수평 이동시켜 다양한 체형의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 치료용베드의 목부, 몸통부 및 다리부 뿐만 아니라, 저주파패드가 설치된 밴드부를 이용하면 팔이나 다리를 감싸 신체의 앞 뒤 환부를 동시에 치료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이 설치된 물리치료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에서 치료용베드에 설치된 저주파패드와 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의 치료기본체 또는 관리자단말의 화면을 통해 치료 상태가 출력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이 설치된 물리치료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에 도시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4는 도2에 도시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에서 치료용베드에 설치된 저주파패드와 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1의 물리치료실 예시를 살펴보면, 물리치료실 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각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은 관리자단말(10)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물리치료실의 모습은 종래의 물리치료실과 크게 다른 것 같지 않지만, 물리치료실에 수많은 치료사가 근무하지 않아도 된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은 치료사가 개입하지 않더라도 환부에 최적의 물리적 자극을 가하여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을 도2 내지 도4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은 크게 치료용베드(40)와 치료기본체(30)를 포함한다.
치료용베드(40)는 통상의 침대 형상으로 제작되나, 불특정 다수가 사용해야 하는 만큼 사람의 체형에 맞출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여러개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즉, 치료용베드(40)는 몸통부(42) 및 다리부(43)로 몸체가 구분되며, 이 중 다리부(43)는 레일(45)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다. 예컨대 체형이 작은 사람이 누울 경우 다리부(43)가 몸통부(42)에 최대한 가깝게 붙게 되고, 체형이 큰 사람이 누울 경우 다리부(43)가 레일(45)을 따라 수평이동하여 몸통부(42)로부터 멀어짐으로써,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이 편하게 누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다리부(43)의 수평 이동은 치료기본체(30) 또는 치료용베드(40)에 설치된 별도의 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모터(미도시)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환자가 눕게되는 치료용베드(40)의 상부는 쿠션이 충분한 소재로 제작된다. 즉, 치료용베드(40)에는 곳곳에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되는데, 환자가 치료용베드(40)에 누우면 쿠션 소재의 상부가 신체의 굴곡을 따라 함몰되면서 저주파패드(46)가 신체에 정확히 밀착될 수 있다. 특히 몸통부(42)에서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위쪽에는 헤드부(41)가 마련되어 있는데, 헤드부(41) 아래쪽으로 목을 지지하는 부분은 목을 충분히 감쌀 수 있는 형태로 목부(41a)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치료용베드(40)의 상부에는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된다. 저주파패드(46)는 치료용베드(40)에 누운 환자의 신체에 저주파 자극을 가하기 위한 것인데, 환자마다 체형도 다르고 아픈 부위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치료용베드(40)에는 복수 위치에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된다.
즉, 치료용베드(40)의 몸체 중에서 환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부(41a)에 복수의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되고, 몸통부(42)에도 복수의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되며, 다리부(43)에도 복수의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된다. 더불어 몸통부(42)와 다리부(43)에는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된 밴드부(44)가 마련되어 있는데, 환자가 치료용베드(40)에 누워 밴드부(44)를 팔이나 대퇴부 등에 감싸면, 몸통부(42)와 다리부(43)에 설치된 저주파패드(46)를 통해 신체의 후면은 물론 밴드부(44)로 감싸진 앞부분까지 동시에 치료가 가능하다.
한편, 치료용베드(40)는 온열시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치료용베드(40)의 몸통부(42) 중 어느 하나의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된 부분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4를 참조하면, 치료용베드(40) 상부에는 쿠션성이 뛰어난 쿠션부(42a)가 마련되어 있고, 쿠션부(42a)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주파패드(46)의 저면에 온열시트(50)가 설치되어 있다. 온열시트(50)는 치료기본체(30)의 제어에 따라 열을 발산하여 환부에 온찜질을 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별도의 장치들을 이용하여 온찜질과 저주파 자극 치료를 각각 수행해야 했는데, 본 발명에서는 온찜질과 저주파 자극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치료용베드(40)에 설치된 저주파패드(46) 저면에는 진동 자극을 가하기 위한 프로브(47,48)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브(47,48)는 서로 다른 진동 자극을 가하기 위해 2개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즉 제1프로브(47)는 두드림 자극을 수행하고, 제2프로브(48)는 주무르는 자극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프로브만 구비하고 치료기본체(30)의 제어에 따라 두드림 자극과 주무르는 자극이 번갈아 가며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치료용베드(40)에 설치된 저주파패드(46)에는 온도센서(49)가 마련되어 있으며, 온도센서(49)에서 측정한 정보는 치료기본체(30)에 전달되어 온열시트(50)를 제어할 수 있다.
치료기본체(30)는 치료용베드(40)에 설치된 저주파패드(46), 온열시트(50) 및 프로브(47,48)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기본체(30)는 제어부(31), 키입력부(32), 카드인식부(33), 음성인식부(34), 표시부(35), 메모리(36) 및 저주파발진부(37)를 포함한다.
제어부(31)는 치료용베드(40)에 설치된 복수의 저주파패드(46), 온열시트(50) 및 프로브(47,48) 중 특정 위치의 것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키입력부(32)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환자 또는 치료사는 키입력부(32)를 조작하여 치료의 시작과 중단, 치료 위치 조절, 강도 조절, 온도 조절, 다리부(43)의 수평이동 조절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키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부(31)가 특정 작동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키입력부(32)는 치료기본체(3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치료기본체(30)와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있는 리모컨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카드인식부(33)는 환자카드(미도시)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카드인식부(33)를 통해 환자카드가 인식되면 제어부(31)는 메모리(36)에 저장된 환자정보를 추출하여, 치료용베드(40)에 설치된 복수의 저주파패드(46), 온열시트(50) 및 프로브(47,48) 중 해당 환자의 환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저주파패드(46), 온열시트(50) 및 프로브(47,48)가 작동되도록 한다.
음성인식부(34)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마련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은 치료사의 개입 없이도 최적의 물리 치료가 가능케 하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가 치료용베드(40)에 누우면 키입력부(32)를 통한 명령 입력, 또는 카드인식부(33)를 통해 인식한 환자카드에 대응하는 환자정보에 대응하여 치료가 수행되어야 할 위치가 결정되지만, 미세한 조정까지 실시 할 수 있도록 음성인식부(34)가 마련되는 것이다.
예컨대 메모리(36)에서 추출된 환자정보에 의해, 해당 환자가 허리 부분에 치료가 필요한 환자라는 것이 파악되면, 허리 부분의 저주파패드(46)가 작동한다. 하지만 환자의 눕는 위치가 틀어졌을 경우, 또는 환자가 원하는 부위의 치료가 아닐 경우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환자가 몸을 일으켜 치료기본체(30)의 키입력부(32)를 조작하거나 치료사를 호출할 필요가 없으며, 누워 있는 상태 그대로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하여 저주파패드(46)의 작동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표시부(35)는 추출된 환자정보, 치료기본체(30)와 치료용베드(40)의 작동 상태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형태 또는 LED램프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메모리(36)는 환자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저주파발진부(37)는 치료용베드(40)에 설치된 저주파패드(46) 측으로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을 이용하여 치료사의 개입 없이도 환자의 환부에 정확하게 물리치료를 실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리 치료실에 방문한 환자는 미리 예약한 바에 따라, 또는 관리자단말(10)에서 배정한 치료용베드(40)에 누워 치료를 시작한다. 치료의 시작은 치료기본체(30)에 마련된 키입력부(32)를 통한 사용자 명령 입력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고, 음성 명령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치료용베드(40)에는 목부(41a), 몸통부(42), 다리부(43) 및 밴드부(44) 등에 복수의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되어 있는데, 모든 저주파패드(46)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은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해당 환자의 환부에 대응하는 위치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환자는 소지하고 있던 환자카드를 치료기본체(30)에 마련된 카드인식부(33)에 인식시킨다. 카드인식부(33)를 통해 환자카드가 인식되면, 제어부(31)는 메모리(36)에 저장된 해당 환자정보를 추출한다. 만약 해당 환자가 허리가 아픈 환자라면 제어부(31)는 저주파발진부(37)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신호를 치료용베드(40)에 설치된 복수의 저주파패드(46)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되, 몸통부(42)에서 허리에 대응하는 위치의 저주파패드(46) 측으로만 저주파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물론 제어부(31)는 해당 위치의 온열시트(50) 및 프로브(47,48)에도 작동 신호를 송출한다.
허리가 아픈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저주파패드(46)의 작동 위치는 기본적으로 메모리(36)에 설정되어 있다. 편의상 도3에서 치료용베드(40)의 몸통부(42)에 설치된 저주파패드(46)들을 좌표로 설명토록 한다. 즉, 몸통부(42)에서 가장 위쪽부터 R1, R2, R3, R4, R5 이라는 행 번호를 부여하고, 가장 왼쪽부터 C1, C2, C3, C4, C5라는 열 번호를 가상으로 부여한다면, 환자가 치료용베드(40)에 누웠을 시 통상적으로 허리에 대응하는 위치는 R3-C2, R3-C3, R3-C4, R4-C2, R4-C3, R4-C4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카드인식부(33)를 통해 환자카드가 인식되어 메모리(36)에서 환자정보가 추출되면, 제어부(31)는 해당 환자의 치료 부위에 대응하는 R3-C2, R3-C3, R3-C4, R4-C2, R4-C3, R4-C4 위치에 대응하는 저주파패드(46), 온열시트(50) 및 프로브(47,48)가 작동되도록 한다.
하지만 환자가 치료용베드(40)에 누울 때 마다 항상 같은 위치에 눕게 되진 않을 것이며, 또한 사람의 체격에 따라 허리의 위치도 다를 수 있다. 즉, 제어부(31)는 환자정보에 대응하여 저주파패드(46)의 최초 작동 위치만 설정하는 것이며, 만약 환자가 치료 중 치료 위치를 미세하게 변경시키고자 한다면, 음성 명령을 통해 치료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R3-C2, R3-C3, R3-C4, R4-C2, R4-C3, R4-C4 위치의 저주파패드(46)가 작동하고 있을 때, 환자가 느끼기에 조금 더 아래쪽 부분을 자극시키고 싶다면, '한칸 아래쪽'이라고 말하면 된다. 음성인식부(34)에서 '한칸 아래쪽'이라는 음성 명령을 인식했다면, 제어부(31)는 저주파발진부(37)에서 출력되는 저주파 신호가 한칸 아래쪽인 R4-C2, R4-C3, R4-C4, R5-C2, R5-C3, R5-C4 위치의 저주파패드(46)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물론 온열시트(50) 및 프로브(47,48)도 같은 방식으로 좌표 이동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저주파 자극 치료, 온찜질 치료, 진동 자극 치료 등의 작동을 한꺼번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R3-C2 위치의 저주파패드(46), 온열시트(50) 및 프로브(47,48)가 작동하고 있을 때 조금 왼쪽 부분으로 이동하여 작동을 시키고 싶을 때는 '모두 왼쪽'이라는 음성 명령을 하달할 수 있고, 음성인식부(34)에서 이를 인식하면 제어부(31)는 저주파패드(46), 온열시트(50) 및 프로브의 작동 위치를 한꺼번에 R3-C3 좌표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반면 저주파 자극 치료만 왼쪽으로 변경시키고 싶다면, '저주파 왼쪽'이라는 음성 명령을 하달 할 수 있고, 음성인식부(34)에서 이를 인식하면 제어부(31)는 R3-C2로 출력되던 저주파 신호는 중단시키고, R3-C3 위치로 저주파 신호를 출력시킨다. 물론 기존 R3-C2 위치에는 여전히 온열시트(50)와 프로브(47,48)가 작동하여 온찜질과 진동 자극 치료는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온열시트(50)의 경우 설정된 온도, 또는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한 후 작동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지만, 온도센서(49)를 통해 과도하게 온도가 올라가거나,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있을 경우 작동이 중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에 의하면, 치료사가 개입하지 않더라도 환자의 체형에 맞춰 아픈 부위에 최적의 물리 치료를 가할 수 있다. 즉, 쿠션성이 충분한 치료용베드(40)에 복수의 저주파패드(46), 온열시트(50) 및 프로브(47,48)가 설치된 상태에서 환자가 치료용베드(40)에 누우면 환자카드 인식을 통해 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저주파 자극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성 명령을 통해 치료 위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리치료실의 인력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고, 환자 역시 치료사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더불어 치료사 없이 물리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물리치료실의 영업시간도 탄력적으로 운용하여, 바쁜 직장인들이 퇴근 시간 이후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특히 환자카드를 인식시키면 환자정보에 대응하여 특정 위치의 저주파패드(46)만 작동되기 때문에,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불어 기기 작동에 익숙치 않은 노인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무분별하게 기기를 작동시키다가 오류가 발생하는 현상도 예방할 수가 있다.
더불어 치료용베드(40)에는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된 위치에 온열시트(50)와 프로브(47,48)도 함께 설치되어 있어서, 저주파 자극을 이용한 치료, 온찜질 치료 및 진동 자극을 통한 치료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개별 치료 장치를 번갈아가며 신체에 부착하면서 치료를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기기를 작동시킬 치료사가 반드시 필요 했고, 기기 운반의 번거로움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을 통해 복합적인 자극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치료 요법을 바꿀 때마다 치료사가 개입하여 패드를 갈아 끼운다거나, 기기를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치료용베드(40)가 몸통부(42) 및 다리부(43)의 분리 가능한 몸체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다리부(43)를 수평 이동시켜 다양한 체형의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 치료용베드(40)의 목부(41a), 몸통부(42) 및 다리부(43) 뿐만 아니라,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된 밴드부(44)를 이용하면 팔이나 다리를 감싸 신체의 앞 뒤 환부를 동시에 치료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 예시에서는 음성 명령에 따라 또는 환자카드 인식에 따라 저주파패드(46), 온열시트(50) 및 프로브(47,48)가 작동하는 위치 변경의 예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는데, 실시하기에 따라 온열시트(50)의 온도나 프로브(47,48)의 진동 강도와 진동 종류들도 환자별로 또는 음성 명령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더불어, 음성 명령이 아닌 리모컨 형태의 키입력부(32) 조작을 통해서도 저주파패드(46), 온열시트(50) 및 프로브(47,48)의 작동 위치 변경, 온도 조절, 진동 강도 조절, 진동 종류 조절이 가능하다. 예컨대 현재 치료하고 있는 부위에서 저주파 치료, 온 찜질 치료, 진동 치료 모두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싶다면, 키입력부(32)를 통해 '전체 버튼-왼쪽 버튼'을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제어부(31)가 전체 치료 위치를 한칸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저주파 버튼- 왼쪽 버튼'을 순차적으로 입력한다면 제어부(31)는 온찜질 및 진동 자극 치료 위치는 유지한 채 저주파패드(46)의 치료 위치만 왼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에서 치료 부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음성 명령 및 환자카드 인식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치료사나 관리자의 개입이 가능한 시간(근무시간)과, 그렇지 않은 시간(퇴근후)에 따라 치료 부위 조작 가능 여부를 다르게 세팅할 수도 있다.
즉, 치료사나 관리자가 근무하고 있는 시간에는 관리자단말(10)을 통해 '전체 치료 가능' 설정을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치료기본체(30)의 제어부(31)에 '전체 치료 가능' 모드가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환자나 사용자가 키입력 또는 음성 명령 입력을 통해 저주파패드(46)가 설치되어 있는 전체 영역에 대하여 원하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환자가 허리만 아프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나 요청에 따라 다리나 목 등의 다른 부위에 대한 물리 치료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치료사나 관리자가 근무하고 있는 시간에는 사용자의 오조작 우려가 적고, 또한 오조작이 있다 하더라도 관리자단말(10)을 통해 모니터링 하여 즉시 후속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전체 치료 가능' 모드가 설정되어도 문제가 없다.
하지만 치료사나 관리자가 퇴근한 이후 시간에는 오조작에 대한 대비가 부족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무리한 기기 조작 가능성을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치료사나 관리자가 퇴근 전 관리자단말(10)을 통해 '제한 치료'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기본체(30)의 제어부(31)에 '제한 치료' 모드가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드인식부(33)를 통해 환자카드가 인식되면, 해당 환자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만 물리 치료가 가능하다. 물론 사용자가 키입력부(32)를 통한 사용자 명령 입력이나, 음성인식부(34)를 통한 음성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치료 위치의 미세한 조정까지도 가능하다.
그러나 '제한 치료' 모드에서는 타 부위에 대한 물리 치료는 불가능하다. 즉 허리가 아픈 환자일 경우 환자카드를 인식 시키면 허리 위치 및 그 인근에 대한 미세 위치 조절까지는 가능하지만, 다리나 목 등의 물리 치료는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치료사나 관리자의 근무 여부에 따라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의 치료 범위에 대한 모드 설정을 다르게 해 놓음으로써, 사용자의 무리한 조작에 따른 기기의 오동작 우려를 없앨 수 있다.
한편, 도5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의 치료기본체 또는 관리자단말의 화면을 통해 치료 상태가 출력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5의 (a)는 관리자단말(10)에 화면 출력된 전체 물리 치료실의 상태를 도시한 예시인데, 관리자는 도5의 (a) 화면을 통해 특정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의 치료중 여부, 환자명, 호출 여부, 경과 시간, 예약 여부 등을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에서 관리자가 특정 치료실을 선택하면 도5의 (b)와 같이 해당 치료실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5의 (b)에 출력된 화면 예시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해당 치료실에서 치료 받고 있는 환자의 사진, 성명, 나이, 병명 등의 신상 정보(화면 좌측)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더불어 총 치료 시간, 경과 시간, 남은 시간, 현재 치료되고 있는 부위, 현재 치료되고 있는 요법 등의 내역(화면 우측) 들도 확인할 수 있으며, 환자 신체에서 치료되고 있는 부위를 가상 이미지(화면 중앙)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이렇게 관리자단말(10)을 통해 전체 물리 치료실에 설치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의 작동 상태를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치료사나 관리자가 수시로 환자들을 돌보아야 할 필요가 없어서, 물리 치료실의 근무 인원도 대폭 축소시킬 수가 있다.
한편 도5의 (b)에 출력되는 화면은 관리자단말(10) 외에 치료기본체(3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형태의 표시부(35)에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에서 나머지 구성들은 도1 내지 도4를 통해 설명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도1 내지 도4에서 설명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에서는 팔과 다리의 상부나 측면을 치료하기 위해 몸통부(42)와 다리부(43)에 밴드부(44)가 설치되었으나, 도6에 도시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에서는 밴드부(44)를 대신하여 보조치료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보조치료부(44')는 일 방향은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막혀 있는 단면이 'ㄷ' 형태로 제작되며, 안쪽으로 쿠션부가 설치되고, 쿠션부에 저주파패드(46), 온열시트(50), 프로브(47,48) 등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환자가 치료용베드(40)에 누운 채로 팔과 다리를 각각 보조치료부(44')의 개방된 부분으로 진입시키면, 팔과 다리의 저면, 측면 또는 상부에서 저주파 자극, 온 찜질 및 진동 자극 치료를 가할 수 있다.
보조치료부(44')의 경우, 기능적인 면에서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20)의 밴드부(44)와 유사하다. 그러나, 양쪽 팔의 밴드부(44)를 모두 두르기 위해서는 반드시 조력자가 필요하지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치료부(44')를 이용할 경우에는 환자 혼자서도 팔과 다리를 끼워 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관리자단말
20, 20' :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30 : 치료기본체
31 : 제어부
32 : 키입력부
33 : 카드인식부
34 : 음성인식부
35 : 표시부
36 : 메모리
37 : 저주파발진부
40 : 치료용베드
41 : 헤드부
41a : 목부
42 : 몸통부
42a : 쿠션부
43 : 다리부
44 : 밴드부
44' : 보조치료부
45 : 레일
46 : 저주파패드
47 : 제1프로브
48 : 제2프로브
49 : 온도센서
50 : 온열시트

Claims (4)

  1. 복수의 저주파패드가 설치된 치료용베드; 및
    상기 치료용베드에 설치된 저주파패드를 제어하는 치료기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베드는,
    환자를 받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가하는 복수의 상기 저주파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베드는,
    상기 저주파패드의 저면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온열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기본체는,
    상기 저주파패드 측으로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발진부;
    환자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환자카드를 인식하는 카드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인식부를 통해 상기 환자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환자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저주파패드 중 특정 저주파패드 측으로 저주파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저주파발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KR1020170076107A 2017-06-15 2017-06-15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Active KR10196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107A KR101966880B1 (ko) 2017-06-15 2017-06-15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107A KR101966880B1 (ko) 2017-06-15 2017-06-15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831A true KR20180136831A (ko) 2018-12-26
KR101966880B1 KR101966880B1 (ko) 2019-04-08

Family

ID=6500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107A Active KR101966880B1 (ko) 2017-06-15 2017-06-15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8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3176A (zh) * 2019-02-13 2019-06-04 常州市第二人民医院 一种心内科防衰护理台
KR102264325B1 (ko) * 2021-01-19 2021-06-18 최민혁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451B1 (ko) 2020-04-16 2020-07-16 윤제필 다기능 물리치료용 베드를 이용한 물리치료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21Y1 (ko) * 2006-02-24 2006-05-04 조승훈 저주파치료기를 접목한 매트리스
JP2008036093A (ja) * 2006-08-04 2008-02-21 Fuji Iryoki:Kk 健康マット
JP2009240660A (ja) * 2008-03-31 2009-10-22 Aisin Seiki Co Ltd ベッド
KR20130140425A (ko) * 2012-06-14 2013-12-24 주식회사 동일전자 전자태그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21Y1 (ko) * 2006-02-24 2006-05-04 조승훈 저주파치료기를 접목한 매트리스
JP2008036093A (ja) * 2006-08-04 2008-02-21 Fuji Iryoki:Kk 健康マット
JP2009240660A (ja) * 2008-03-31 2009-10-22 Aisin Seiki Co Ltd ベッド
KR20130140425A (ko) * 2012-06-14 2013-12-24 주식회사 동일전자 전자태그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3176A (zh) * 2019-02-13 2019-06-04 常州市第二人民医院 一种心内科防衰护理台
KR102264325B1 (ko) * 2021-01-19 2021-06-18 최민혁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880B1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22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massage pattern of thermotherapy device
KR100804733B1 (ko) 에어 마사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US20060190057A1 (en) Synthetic traveling wave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KR101890822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KR101966880B1 (ko)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KR101324002B1 (ko) 온열치료기의 마사지 패턴 설정 방법
US20160228325A1 (en) Motorized Muscle Relaxing Therapy System
JP7416971B2 (ja) 温灸器の移動制御が可能な温熱治療器
KR20160123802A (ko) 안마 베개
KR20160123803A (ko) 안마 매트리스
KR100773520B1 (ko) 원적외선 발생기를 장착한 안마의자
KR101428526B1 (ko) 자기장 프로브의 구동 궤적 및 패턴 조작이 가능한 베드형 자기장 치료 장치
KR101857018B1 (ko)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JP2008253631A (ja) マッサージ機
KR200239559Y1 (ko) 신장체크 및 경혈점체크장치를 구비한 온열치료매트
WO2011074718A1 (ko) 물리 치료용 근막 이완기
KR101230665B1 (ko) 온열치료기의 마사지 모드 설정 방법
CN215425976U (zh) 一种用于治疗骨质疏松症的冲击波治疗床
KR100422111B1 (ko) 신장체크 및 경혈점체크장치를 구비한 온열치료매트
US20190307631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assisted media in use with a robotic therapy unit for accomplishing muscle lengthening conducted according to best practice protocols
KR101230663B1 (ko) 온열치료기의 마사지 패턴 설정 방법
KR200307187Y1 (ko) 온열 및 초음파 물리치료에 사용되는 공용패드
CN114917124B (zh) 一种宫腹体穴治疗仪及其控制方法
KR20030023679A (ko) 척추질환 물리치료구가 구성된 온열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