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952B1 -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952B1
KR101837952B1 KR1020160172314A KR20160172314A KR101837952B1 KR 101837952 B1 KR101837952 B1 KR 101837952B1 KR 1020160172314 A KR1020160172314 A KR 1020160172314A KR 20160172314 A KR20160172314 A KR 20160172314A KR 101837952 B1 KR101837952 B1 KR 101837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mage
lesion
storage unit
sur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우기
윤홍원
Original Assignee
(주)칼리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칼리스토 filed Critical (주)칼리스토
Priority to KR102016017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3/00Indexing scheme for animation
    • G06T2213/08Animation software pack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3/00Indexing scheme for animation
    • G06T2213/12Rule based anim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에서 환자 자신이 겪고 있는 병변과 이를 수술 및 치료하는 과정을 애니메이션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는 자신의 질환과 수술 과정을 짧은 시간에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병변 부위, 질환 종류, 수술 자세, 수술 방법 등을 나타내는 다수 개의 부분 영상을 서버나 별도의 저장공간에 미리 저장해 놓은 다음, 입력되는 환자의 질환 및 수술 방법에 따라 부분 영상들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정보에 따라 무수히 많은 조합의 맞춤형 수술치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병변 부위별 표식영상, 각종 질환 영상, 수술자세 영상, 수술과정 영상 및 수술 후 완치된 병변 부위 영상 각각에 대한 다양한 부분 영상을 미리 저장해 놓기만 하면, 환자의 상태 및 수술 방법에 따른 다양한 조합을 통해 총 10억개 이상의 환자 질환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애니메이션의 제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ATIENT SPECIFIC SURGERY TREATMENT ANIMATION DISPLAY}
본 발명은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진이 환자의 질환 정보 및 수술 방법을 입력하면 환자의 현재 상태 및 치료 방법을 애니메이션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환자들이 본인이 받게 될 치료에 대하여 여러 의료정보를 습득한 후 내원하지만, 병원에서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환자별 정확한 치료정보를 체계적으로 전달해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첫 번째, 국내 병원에서 외래진료 평균 시간은 약 5~10분으로, 진료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 이 짧은 시간 안에 치료 과정에 대한 모든 정보를 환자에게 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전문적인 지식 전달 매개체(소프트웨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플라스틱 뼈 모형과 의사가 보유한 이전 데이터(X-ray, MRI 사진 등)를 활용하여 대략적인 내용만을 환자에게 전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두 번째, 환자에게 진료 방법 및 병변에 대하여 설명을 해주는 병원 관계자(간호사, 코디네이터, 레지던트 등)들의 환자의 병변 및 수술과정에 대한 숙련도 및 지식 차이가 존재한다. 즉, 진료과정에 대한 정보 전달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환자들의 의료정보 습득력 발달로 인하여,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병원들의 고객서비스 향상 프로그램 도입이 홍보마케팅 목적으로서 절실한 시점이다.
이와 같은 종래 의료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고 짧은 시간 내에 환자에게 환자의 상태 및 수술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제10-1206340호 공개특허 제10-2015-0113929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과에서 환자 자신이 겪고 있는 병변과 이를 수술 및 치료하는 과정을 애니메이션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는 자신의 질환과 수술 과정을 짧은 시간에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병변 부위, 질환 종류, 수술 자세, 수술 방법 등을 나타내는 다수 개의 부분 영상을 서버나 별도의 저장공간에 미리 저장해 놓은 다음, 입력되는 환자의 질환 및 수술 방법에 따라 부분 영상들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정보에 따라 무수히 많은 조합의 맞춤형 수술치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환자의 질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a);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b);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c);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자세를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d);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고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e);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한 영상들을 순서대로 연결하는 단계(f); 및 상기 연결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e)는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e-1);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e-2); 및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이 제거된 부위에 수술대상물을 삽입하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e-3)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e)는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 후 완치된 병변 부위의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e-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인체 내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도록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고, 상기 단계(a)는 환자의 질병 종류, 상기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저장부는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마다 해당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게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되,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 별로 의학적 식별기호를 부여하여 영상을 저장한다.
상기 단계(b)는 단계(a)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한다.
상기 저장부는 각 질환 마다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별로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단계(c)는 단계(a)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질병 종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의 레벨에 해당하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한다.
상기 단계(c)는 질환이 발생하기 전과 질환이 발생한 후의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한다.
상기 저장부는 환자의 수술자세와 해당 자세에서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고, 상기 단계(d)는 단계(a)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수술자세와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한다.
상기 (g)단계 이후 상기 연결된 영상에 상기 환자의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환자의 질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인체 내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도록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고, 각 질환 마다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별로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영상을 저장하고, 환자의 수술자세와 해당 자세에서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 추출부;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질환영상 추출부;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자세를 나타내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수술자세영상 추출부;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고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수술과정영상 추출부;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한 환자 맞춤형 영상들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애니메이션 생성부; 및 상기 순서대로 연결되어 생성된 애니메이션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술과정영상 추출부는,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절개영상 추출부;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병변제거영상 추출부; 및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이 제거된 부위에 수술대상물을 삽입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수술대상물 삽입영상 추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 후 완치된 병변 부위의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완치영상 추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환자의 질병 종류, 상기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저장부는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마다 해당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게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되,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 별로 의학적 식별기호를 부여하여 영상을 저장한다.
상기 병변부위 표식영상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한다.
상기 질환영상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질병 종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의 레벨에 해당하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한다.
상기 질환영상 추출부는 질환이 발생하기 전과 질환이 발생한 후의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한다.
상기 수술자세영상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수술자세와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한다.
상기 생성된 애니메이션에 상기 환자의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애니메이션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는 자신의 질환 및 수술 방법을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의료진은 진료내용의 전달과정 및 진료과정에서 생기는 과실 및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병변 부위별 표식영상, 각종 질환 영상, 수술자세 영상, 수술과정 영상 및 수술 후 완치된 병변 부위 영상 각각에 대한 다양한 부분 영상을 미리 저장해 놓기만 하면, 환자의 상태 및 수술 방법에 따른 다양한 조합을 통해 총 10억개 이상의 환자 질환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애니메이션의 제공이 가능하다.
본 시스템을 도입하는 병원은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또한, 환자 별로 자주 사용되는 애니메이션 영상은 제작 후 이를 저장해 놓고 추후 간편하게 불러서 사용이 가능하며, 의료진의 교육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중 수술과정 영상 추출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술과정영상 추출부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입력부의 예시도.
도 4는 (A) 병변부위 표식영상의 예시도와 (B) 저장부에 저장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의 다양한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척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 중 (A) 디스크 탈출증 영상의 예시도와 (B) 저장부에 저장되는 디스크 탈출증 영상의 다양한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척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 중 (A) 협착증 영상의 예시도와 (B) 저장부에 저장되는 협착증 영상의 다양한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척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 중 (A) 퇴행성 디스크 영상의 예시도와 (B) 저장부에 저장되는 퇴행성 디스크 영상의 다양한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척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 중 (A) 척추 전방증 영상의 예시도와 (B) 저장부에 저장되는 척추 전방증 영상의 다양한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척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 중 척추체 골절 영상의 예시도.
도 10은 수술자세 영상의 예시도.
도 11a는 수술과정 영상의 예시도.
도 11b는 저장부에 저장되는 요추부분 수술과정 영상의 다양한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A) 수술 후 완치된 병변부위 영상의 예시도와 (B) 저장부에 저장되는 완치된 병변부위 영상의 다양한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을 실행할 때 사용자 입력, 추출한 영상들의 연결 및 연결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환자 맞춤형 영상을 연결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버측 또는 클라이언트측의 저장부(220)에 부분 영상들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약 630개의 부분 영상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약 15억 개의 애니메이션으로 제공이 가능하다. 부분 영상들의 다양한 예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하게 살펴본다. 저장부(220)는 부분 영상들을 저장하는 부분 영상 DB(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인체 내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도록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한다. 저장부(220)는 클라이언트 장치 내에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 장치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마다 해당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게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되,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 별로 의학적 식별기호를 부여하여 영상을 저장한다.
레벨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저장부(220)는 각 질환 마다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별로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영상을 저장한다.
저장부(220)는 환자의 수술자세와 해당 자세에서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부(220)에는 다양한 각 부분 영상들이 저장되며, 저장부(220)에 이와 같은 부분 영상들이 미리 준비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다음의 과정을 수행한다.
[사용자 입력 사항]
먼저, 의료진은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환자의 질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S100).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질병 종류,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의료진은 환자를 진단 후 환자의 질병 종류는 '디스크 탈출증',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는 'L2-4', 수술 방법은 'LLIF' 를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L2-4는 Lumbar2~Lumbar4의 약자로서 요추2번~요추4번을 말하며, LLIF는 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의 약자로서 옆구리 부위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수술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환자가 디스크 탈출증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질환이 발생한 부위는 요추2번~요추4번이고, 옆구리 부위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해당하는 정보를 사용자 입력부(210)에 입력하는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210)는 팝업창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의 영상 추출]
다음으로, 병변부위 표식영상 추출부(23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S110).
구체적으로는, 병변부위 표식영상 추출부(230)는 사용자 입력부(S210)에서 입력된 환자의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환자의 병변부위 'L2-4'에 해당하는 위치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여 다른 부분과 구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붉은 색으로 표시된 요추(Lumbar)의 바로 옆에는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인 L2, L3, L4가 표시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저장부(220)에는 각 레벨(level) 별, 병변 위치 별로 다양한 병변 부위 위치 표식 영상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병변부위가 요추1번~요추2번(L2-2)이라면 1level을 나타내며, 병변부위가 요추1~요추3번(L1-3)이라면 2level을 나타내며, 병변부위가 요추1~요추4번(L1-4)이라면 3level을 나타낸다.
도 4(B)에서는 총 110개 정도의 병변부위 표식 영상이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각 병변부위 표식 영상은 식별기호가 부여되어 있다.
다음으로, 질환영상 추출부(24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S120).
구체적으로는, 질환영상 추출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환자의 질병 종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병변부위의 레벨에 해당하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하며, 질환이 발생하기 전과 질환이 발생한 후의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물론,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에는 신체 부위에 대한 설명이 들어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질환 종류로 '디스크 탈출증'이 입력되고,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는 'L2-4' 가 입력되고, 디스크 탈출증이 발생한 위치는 'Left' 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저장부(220)에서 해당하는 영상을 추출하는 것이다.
도 5(A)의 좌측을 참조하면, 디스크 탈출증이 발생하기 전의 영상을 보여준다. 도 5(A)의 우측을 참조하면 디스크 탈출증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나타내며, 사용자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디스크 탈출증이 발생한 위치 정보 'Left'에 맞게 디스크가 좌측에서 탈출한 영상을 추출하여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질환이 발생하기 전과 질환이 발생한 후의 영상을 연속적으로 구성한다.
도 5(B)는 '디스크 탈출증'의 발병 위치와 레벨(level)에 따라 30개의 영상이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6(A)는 또 다른 예로서 '협착증'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이며, 도 6(B)는 레벨(level)에 따라 6개의 영상이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7(A)는 또 다른 예로서 '퇴행성 디스크'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이며, 도 7(B)는 레벨(level)에 따라 10개의 영상이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8(A)는 또 다른 예로서 '척추 전방증'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이며, 도 8(B)는 레벨(level)에 따라 2개의 영상이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또 다른 예로서 '척추체 골절'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저장부(220)에는 같은 질환이라도 발병 위치, 레벨(level)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환자의 질병 종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병변부위의 레벨에 해당하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술자세영상 추출부(25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자세를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S130).
구체적으로는, 수술자세영상 추출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환자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수술자세와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환자의 병변부위의 위치정보 'L2-4', 수술 방법은 'LLIF' 가 입력되는 경우 저장부(220)에서 추출되는 영상의 수술자세 영상의 예를 나타낸다. 요추2~요추4번(L2-4) 부위에 옆구리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수술(LLIF)을 하기 위해 환자가 옆으로 누워있고 해당 자세에서 수술기구가 진입하는 영상을 나타낸다.
저장부(220)는 수술자세 영상으로 배를 열고 척추 전방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ALIF(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옆구리 부위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LLIF(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의 중앙에서 측면으로 30~40mm 떨어진 지점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보형재를 삽입하는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PLIF(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옆구리에 4㎝ 안팎으로 작은 구멍을 내 보형재를 삽입하는 OLIF(Oblique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술과정영상 추출부(26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고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S140).
구체적으로는, 수술과정영상 추출부(26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하고(S141),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하며(S142),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이 제거된 부위에 수술대상물을 삽입하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S143).
도 11a를 참조하면, 수술부위 절개 영상을 추출하고(A), 병변 제거 수술 영상을 추출하고(B), 병변이 제거된 부위에 수술대상물인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영상을 추출한다(C).
도 11b를 참조하면, 도 11a와 같은 수술과정(A~C)을 수술자세(PLIF, TLIF, LLIF, OLIF, ALIF)와 병변부위의 레벨(level) 및 삽입되는 수술대상물의 종류(Disc, Implant) 등을 조합하여 표현 가능한 영상이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요추 부분 수술과정의 영상은 최소 100개 영상이 저장되고, 경추 부분 수술과정의 영상은 최소 60개의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완치영상 추출부(27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 후 완치된 병변 부위의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S144).
도 12(A)를 참조하면, 수술 후 완치된 병변 부위의 영상을 나타내고, 도 12(B)를 참조하면, 수술자세와 병변부위의 위치에 따라 완치된 병변 부위의 영상이 저장부(220)에 최소 300개가 저장되는 것을 나타낸다.
[추출된 영상들을 연결하여 애니메이션 생성]
다음으로, 애니메이션 생성부(280)는 위와 같이 저장부(220)에서 여러 단계에 걸쳐 추출한 영상들을 순서대로 연결한다(S150). 영상들을 차례로 연결하는 기술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는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부(290)는 연결된 영상들을 애니메이션으로 디스플레이한다(S160).
환자는 애니메이션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연결 영상을 통해 환자 자신의 질환의 위치, 원인, 증상, 수술자세, 수술방법, 수술 후 완치된 모습을 3D 영상 디스플레이를 통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소프트웨어 컨트롤 박스를 이용하여 환자의 질환정보 및 수술 방법을 입력하고, 저장부(220)에서 다양한 영상들을 추출한 후 이를 연결하고, 연결된 영상을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3D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예를 보여준다. 물론, 2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도 가능하다. 출력가능 기기는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 폰, 입원환자 회진용 휴대용 기기 등 다양하다.
추가로 이와 같이 연결된 영상에 환자의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애니메이션 저장부(300)에 저장할 수 있다. 자주 사용되는 환자의 영상은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해 놓고 사용하면 편하며, 의료진의 교육용 영상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의료진이 회진을 할 때 환자의 식별 코드만 입력하면 사전에 미리 연결되어 저장된 영상을 바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 해당 환자의 질환 및 수술 방법을 금방 파악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실시 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은 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입력부(210), 저장부(220), 병변부위 표식영상 추출부(230), 질환영상 추출부(240), 수술자세영상 추출부(250), 수술과정영상 추출부(260), 애니메이션 생성부(280) 및 디스플레이부(290)를 포함하며, 완치영상 추출부(270) 및 애니메이션 저장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부분 영상들을 저장하는 부분 영상 DB(2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210)는 환자의 질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210)는 환자의 질병 종류,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저장부(220)는 인체 내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도록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고, 각 질환 마다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별로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영상을 저장하고, 환자의 수술자세와 해당 자세에서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한다.
저장부(220)는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마다 해당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게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되,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 별로 의학적 식별기호를 부여하여 영상을 저장한다.
병변부위 표식영상 추출부(23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병변부위 표식영상 추출부(230)는 사용자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환자의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질환영상 추출부(24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질환영상 추출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환자의 질병 종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병변부위의 레벨에 해당하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질환영상 추출부(240)는 질환이 발생하기 전과 질환이 발생한 후의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질환영상 추출부(240)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수술자세영상 추출부(25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자세를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수술자세영상 추출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환자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수술자세와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수술자세영상 추출부(250)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수술과정영상 추출부(26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고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수술과정영상 추출부(26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하는 절개영상 추출부(261),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하는 병변제거영상 추출부(262) 및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이 제거된 부위에 수술대상물을 삽입하는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하는 수술대상물 삽입영상 추출부(263)를 포함한다.
수술과정영상 추출부(260)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완치영상 추출부(270)는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 후 완치된 병변 부위의 영상을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
완치영상 추출부(270)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애니메이션 생성부(280)는 저장부(220)에서 추출한 환자 맞춤형 영상들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영상들을 차례로 연결하는 기술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는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부(290)는 순서대로 연결되어 생성된 애니메이션을 출력한다. 연결된 영상을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3D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물론, 2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도 가능하다.
애니메이션 저장부(300)는 생성된 애니메이션에 환자의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한다. 애니메이션 저장부(300)는 생성된 애니메이션을 저장하는 애니메이션 DB(3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는 자신의 질환 및 수술 방법을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의료진은 진료내용의 전달과정 및 진료과정에서 생기는 과실 및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병변 부위별 표식영상, 각종 질환 영상, 수술자세 영상, 수술과정 영상 및 수술 후 완치된 병변 부위 영상 각각에 대한 다양한 부분 영상을 미리 저장해 놓기만 하면, 환자의 상태 및 수술 방법에 따른 다양한 조합을 통해 총 10억개 이상의 환자 질환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애니메이션의 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200: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210: 사용자 입력부
220: 저장부
230: 병변부위 표식영상 추출부
240: 질환영상 추출부
250: 수술자세영상 추출부
260: 수술과정영상 추출부
261: 절개영상 추출부
262: 병변제거영상 추출부
263: 수술대상물 삽입영상 추출부
270: 완치영상 추출부
280: 애니메이션 생성부
290: 디스플레이부
300: 애니메이션 저장부

Claims (20)

  1. 병변 부위, 질환 종류, 수술 자세, 수술 방법 등을 나타내는 다수 개의 부분 영상을 저장부에 미리 저장해 놓은 다음, 입력되는 환자의 질환 및 수술 방법에 따라 부분 영상들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정보에 따라 무수히 많은 조합의 맞춤형 수술치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환자의 질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a) - 환자의 질병 종류,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함 -;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b);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c);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자세를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d);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고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e);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한 영상들을 순서대로 연결하는 단계(f); 및
    상기 연결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g)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c)는
    단계(a)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질병 종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의 레벨(level)에 해당하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고,
    상기 단계(c)는 질환이 발생하기 전과 질환이 발생한 후의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며,
    상기 단계(e)는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e-1);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e-2);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이 제거된 부위에 수술대상물을 삽입하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e-3); 및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 후 완치된 병변 부위의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e-4)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각 질환 마다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별로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같은 질환이라도 발병 위치, 레벨(level)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저장하고 있으며, 수술자세와 병변부위의 레벨(level) 및 삽입되는 수술대상물의 종류를 조합하여 표현 가능한 서로 다른 수술과정에 대한 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 - 상기 레벨(level) 값은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척추뼈의 개수에 따라 다르며, 상기 저장부는 같은 척추뼈의 개수를 나타내는 동일 레벨(level)이라도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척추뼈 번호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저장함 - 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인체 내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도록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고,
    상기 단계(a)는 환자의 질병 종류, 상기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마다 해당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게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되,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 별로 의학적 식별기호를 부여하여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단계(a)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환자의 수술자세와 해당 자세에서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고,
    상기 단계(d)는 단계(a)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수술자세와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 이후 상기 연결된 영상에 상기 환자의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11. 병변 부위, 질환 종류, 수술 자세, 수술 방법 등을 나타내는 다수 개의 부분 영상을 저장부에 미리 저장해 놓은 다음, 입력되는 환자의 질환 및 수술 방법에 따라 부분 영상들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정보에 따라 무수히 많은 조합의 맞춤형 수술치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환자의 질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 환자의 질병 종류,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함 -;
    인체 내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도록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고, 각 질환 마다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별로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영상을 저장하고, 같은 질환이라도 발병 위치, 레벨(level)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저장하고 있으며, 환자의 수술자세와 해당 자세에서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고, 수술자세와 병변부위의 레벨(level) 및 삽입되는 수술대상물의 종류를 조합하여 표현 가능한 서로 다른 수술과정에 대한 영상을 미리 저장하는 저장부 - 상기 레벨(level) 값은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척추뼈의 개수에 따라 다르며, 상기 저장부는 같은 척추뼈의 개수를 나타내는 동일 레벨(level)이라도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척추뼈 번호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저장함 -;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 추출부;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질환영상 추출부;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자세를 나타내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수술자세영상 추출부;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고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수술과정영상 추출부;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한 환자 맞춤형 영상들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애니메이션 생성부; 및
    상기 순서대로 연결되어 생성된 애니메이션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질환영상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질병 종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의 레벨에 해당하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고,
    상기 질환영상 추출부는 질환이 발생하기 전과 질환이 발생한 후의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며,
    상기 수술과정영상 추출부는,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절개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절개영상 추출부;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을 제거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병변제거영상 추출부; 및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병변이 제거된 부위에 수술대상물을 삽입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수술대상물 삽입영상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 후 완치된 병변 부위의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완치영상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환자의 질병 종류, 상기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마다 해당 병변부위를 인접한 다른 부위와 구별되게 표시하는 영상을 다수 개 저장하되,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병변부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레벨(level) 별로 의학적 식별기호를 부여하여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변부위 표식영상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색상 및 병변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학적 식별기호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병변부위 표식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자세영상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환자의 병변부위의 위치 정보 및 수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수술자세와 수술기구의 진입방법을 나타내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애니메이션에 상기 환자의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애니메이션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60172314A 2016-12-16 2016-12-16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KR101837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14A KR101837952B1 (ko) 2016-12-16 2016-12-16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14A KR101837952B1 (ko) 2016-12-16 2016-12-16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952B1 true KR101837952B1 (ko) 2018-03-13

Family

ID=6166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314A KR101837952B1 (ko) 2016-12-16 2016-12-16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9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54A1 (ko) * 2019-11-13 2021-05-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KR20210058622A (ko) * 2019-11-13 2021-05-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KR102264325B1 (ko) 2021-01-19 2021-06-18 최민혁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KR20220005123A (ko) * 2020-07-06 2022-01-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용 그림 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료용 그림 편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3159A (ja) * 2007-01-16 2008-07-31 Hitachi Medical Corp 手術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3159A (ja) * 2007-01-16 2008-07-31 Hitachi Medical Corp 手術支援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54A1 (ko) * 2019-11-13 2021-05-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KR20210058622A (ko) * 2019-11-13 2021-05-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KR102500378B1 (ko) 2019-11-13 2023-02-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KR20220005123A (ko) * 2020-07-06 2022-01-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용 그림 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료용 그림 편집 방법
WO2022010091A1 (ko) * 2020-07-06 2022-01-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용 그림 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료용 그림 편집 방법
KR102481236B1 (ko) * 2020-07-06 2022-12-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용 그림 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료용 그림 편집 방법
KR102264325B1 (ko) 2021-01-19 2021-06-18 최민혁 환자 상태 진단을 통한 통합 치료 운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341B2 (en) Augmented reality guided fitting, sizing, trialing and balancing of virtual implants on the physical joint of a patient for manual and robot assisted joint replacement
US11727581B2 (en) Augmented reality guidance for dental procedures
EP3568070B1 (en) Optical guidance for surgical, medical, and dental procedures
EP2778998B1 (en) Generating a surgical plan from medical image data
KR102119542B1 (ko) 해부학적 관절에 대한 손상을 표시하는 의사결정 지원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그리고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decision support material indicating damage to an anatomical joint)
WO2022183719A1 (zh) 基于深度学习的全髋关节置换翻修术前规划方法和设备
KR101837952B1 (ko) 환자 맞춤형 수술치료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JP2005185767A (ja) 人工関節部材選定支援装置および人工関節部材選定支援プログラム
Aryan et al. The charite artificial disc: insertion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