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090B1 - 다기능 의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090B1
KR101466090B1 KR1020120072723A KR20120072723A KR101466090B1 KR 101466090 B1 KR101466090 B1 KR 101466090B1 KR 1020120072723 A KR1020120072723 A KR 1020120072723A KR 20120072723 A KR20120072723 A KR 20120072723A KR 101466090 B1 KR101466090 B1 KR 10146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rmrest
user
pedest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015A (ko
Inventor
유병준
Original Assignee
유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준 filed Critical 유병준
Priority to KR1020120072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0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3Supports for the arms movable to inoperativ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6Supports for the arm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다기능 의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등받이부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 및 받침대에 연결되며, 받침대가 등받이부로부터 분리되어 방석부의 단부에 인접 설치되도록 유도하는 전환 유도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머리 또는 다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며, 사용자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받침대가 구비된 다기능 의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의자{Chair with Mutiple Func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머리 또는 다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받침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 방향 및 위치가 자유롭게 조절되며 사용자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팔걸이부, 및 사용자에게 최적의 착석감을 제공하는 방석부가 구비된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전통적으로는 입식 생활을 추구하는 서구의 풍습에서 유래된 가구이나,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성이 강화된 의자를 통해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의자가 개발 및 시판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소비자들은 집안에 설치된 의자에 가급적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어 있기를 바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가급적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기능 의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머리 또는 다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받침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 방향 및 위치가 자유롭게 조절되며 사용자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팔걸이부, 및 사용자에게 최적의 착석감을 제공하는 방석부가 구비된 다기능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방석부(100), 및 상기 방석부(100)에 결합된 등받이부(200)를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300); 및 상기 받침대(300)에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300)가 상기 등받이부(2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방석부(100)의 단부에 인접 설치되도록 유도하는 전환 유도 부재(4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석부(100)에 결합되는 팔걸이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팔걸이부(500)는, 상기 팔걸이부(500)의 수평 설치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5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석부(100)에 결합되는 팔걸이부(500), 및 상기 팔걸이부(500)의 상기 방석부(100)로부터의 수평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이격 장치(5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석부(100)에 결합되는 팔걸이부(500), 및 상기 팔걸이부(500)의 일단에 결합되는 핸들(557)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핸들(557)은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팔걸이부(50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팔걸이부(500)의 일단으로 탄성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머리 또는 다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며, 사용자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받침대가 구비된 다기능 의자가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 방향 및 위치가 자유롭게 조절되며 사용자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팔걸이부가 구비된 다기능 의자가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최적의 착석감을 제공하는 방석부가 구비된 다기능 의자가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구비된 전환 유도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구비된 팔걸이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도 9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구비된 팔걸이부에서의 손잡이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9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구비된 팔걸이부의 동작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도 1에서의 다기능 의자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1에서의 다기능 의자의 방석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6은 도 1에서의 다기능 의자의 방석부를 지지하는 방석판에서의 스프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지지대(50)에 의해 지지되는 방석부(100), 방석부(100)에 결합된 등받이부(200)를 구비하며, 등받이부(20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목이나 머리를 지지하는 받침대(3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받침대(300)에는 받침대(300)가 등받이부(200)의 상부로부터 분리되어 회동됨으로써, 방석부(100)의 하단 아래쪽에 인접하여 설치되도록 유도하는 전환 유도 부재(400)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전환 유도 부재(400)의 방석부(100)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받침부를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발을 걸어 윗몸 일으키기를 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하는 등, 받침부의 용도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등받이부(200)는 방석부(100)와 수평이 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받침부에 발을 걸어둔 상태에서 윗몸 일으키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구비된 전환 유도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전환 유도 부재(400)의 일단에는 받침대(300)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방석부(100)가 결합되는 방석판(110)의 중앙에는 전환 유도 부재(400)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즉, 전환 유도 부재(400)의 타단에는 전환용 힌지(43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받침대(300)의 설치 위치를 도 5에서와 같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환 유도 부재(400)에는 적절한 위치에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절곡용 힌지(4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받침대(300)의 설치 각도를 도 5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서와 같이 전환 유도 부재(400)에서 절곡용 힌지(410)가 구비된 위치에 각도 조절 프레임(450)이 측면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받침대(3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각도 고정핀(453)을 통해 각도 조절 프레임(450)에 전환 유도 부재(4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는 방석부(100)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팔걸이부(50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팔걸이부(500)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팔걸이부(500)의 수평 설치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510)가 구비되어 있으며, 방향 전환부(510)를 통해 팔걸이부(500)의 수평 설치 방향이 도 8에서와 같이 전환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팔걸이부(500)에 가슴을 기댈 수 있게 됨으로써, 팔걸이부(500)는 사용자의 가슴 부위를 지지하는 기능까지 수행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의 팔걸이부(500)의 손잡이부(550)는 도 9에서와 같이 다른 형상 및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도 9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구비된 팔걸이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손잡이부(550)는 방향 전환부(510)에 수직 결합부재(540)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잡이부(550)의 수평 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뿐만 아닐라, 도 10에서와 같이 손잡이부(550)는 방향 전환부(510)에 수직 결합부재(540)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 결합부재(5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손잡이부(5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수직 결합부재(540)의 외측면에는 높이 조절용 홈(525)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으며, 수직 결합부재(540)와 방향 전환부(510)와의 결합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높이 고정핀(520)을 통해 방향 전환부(510)와 수직 결합부재(540)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부(550)의 설치 높이를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평 파이프의 형태인 손잡이부(550)와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는 수직 결합부재(540)와 방향 전환부(510)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이격 장치(530)는 도 10에서와 같이 방향 전환부(510)에 고정되어 있는 내부 원통의 외부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 원통과의 결합 길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외부 원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격 장치(530)의 외부 원통이 방석판(110)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격 장치(530)의 내부 원통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팔걸이부(500) 및 수직 결합부재(540)의 방석부(100)로부터의 수평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외부 원통과 내부 원통에는 각각 이격 조절용 홈(525)이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팔걸이부(500)의 방석부(100)로부터의 수평 이격 거리가 조절된 상태에서, 이격 조절용 홈(535)에 이격 고정핀(533)을 결합함으로써, 팔걸이부(500)의 이격 상태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9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구비된 팔걸이부에서의 손잡이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손잡이부(550)는 단부에 결합 돌기(558)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556)가 일단에 결합된 핸들(Handle)(557), 및 삽입부(556)가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형 결합부(555)를 포함한다.
원통형 결합부(555)의 일단으로는 삽입부(556)가 삽입 결합되며, 결합부(555)의 타단으로는 용수철 등의 탄성체(553)가 삽입 결합된다. 탄성체(553)는 원통형 결합부(555)의 마개 기능을 하는 고정판(551)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탄성체(553)의 타단은 결합부(555)의 일단으로 삽입된 삽입부(556)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돌기(558)에 구비되어 있는 고리(559)와 결합된다.
한편, 결합부(555)의 내부에는 삽입부(556) 단부의 십자형 결합 돌기(558)와의 암수 결합을 유도하는 십자형 결합홈(5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십자형 결합 돌기(558)와 십자형 결합홈(554)의 암수 결합을 통해 결합부(555)와 핸들(557)의 결합 상태는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11에서와 같은 결합 구조를 통해, 탄성부는 고정판(551)과 핸들(557)를 탄성 결합되게 하며, 사용자는 손잡이부(550)를 고정판(551)의 반대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용수철 등의 탄성부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운동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핸들(557)을 팔걸이부(50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핸들(557)을 잡아당김으로써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핸들(557)을 놓는 경우에 핸들(557)은 탄성체(553)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팔걸이부(500)의 일단으로 복귀되게 된다.
도 12는 도 9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구비된 팔걸이부의 동작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팔걸이부(500)는 이격 장치(530)에 구비된 부착 패널(537)이 방석판(110)의 하단부에 용접을 통해 부착된 상태에서, 이격 장치(530)의 외부 원통과 내부 원통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팔걸이부(500)의 방석부(100)로부터의 수평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손잡이부(550)는 방향 전환부(510)를 통해 수평 설치 방향의 전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높이 고정핀(520)을 통해 수직 설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550)에 구비된 핸들(557)은 십자형 결합홈(554)과 십자형 결합 돌기(558)와의 암수 결합을 통해, 중심축 상에서의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핸들(557)을 중심축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운동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1에서의 다기능 의자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받침대(300)의 후면에 보호 패드(350)를 밸크로 또는 끼움 방식으로 결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다양한 형상 및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 가능한 보호 패드(350)는 받침대(300)가 사용자의 발을 받치는 용도로 전환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신발에 의해 받침대(30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을 평평한 면에 거치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아울러, 받침대(300)가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이 추가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전환 유도 부재(400)에 착탈식 종아리 받침판(4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에서의 다기능 의자의 방석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방석부(100)의 중심부(150)는 방석부(10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도 15에서와 같이 중심부(150)를 분리한 상태에서 방석부(100)에 앉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방석부(100)에서 가장 많은 힘을 받는 곳은 사용자의 엉덩이 뼈가 있는 중심 부로서, 사용자는 해당 부위에서의 장시간의 압박에 의해 치질 등의 질병을 앓을 수 있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방석부(100)로부터 중심부(150)를 도 15에서와 같이 분리한 상태에서 착석함으로써, 통증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도 1에서의 다기능 의자의 방석부를 지지하는 방석판에서의 스프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서와 같이 방석판(110)에는 각 위치별로 독립적으로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프링(115)을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탄성 지지력을 방석부(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방석부(100) 자체의 쿠션에 의해 사용자의 하중을 1차적으로 분산시키고, 복수개의 스프링(115)을 통해 2차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인체의 하중이 누르는 압력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14에서의 방석부(100)의 중심부(150)의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115)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가장 많은 하중을 받는 중심부(150)가 하중에 의해 유연하게 침하되도록 설계하면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에 작용되는 압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50: 지지대, 100: 방석부,
110: 방석판, 115: 스프링,
200: 등받이부, 300: 받침대,
350: 보호 패드, 400: 전환 유도 부재,
410: 절곡용 힌지, 430: 전환용 힌지,
450: 각도 조절 프레임, 453: 각도 고정핀,
500: 팔걸이부, 510: 방향 전환부,
520: 높이 고정핀, 525: 높이 조절용 홈,
530: 이격 장치, 533: 이격 고정핀,
535: 이격 조절용 홈, 540: 수직 결합부재,
550: 손잡이부, 551: 고정판,
553: 탄성체, 554: 결합홈,
555: 결합부, 556: 삽입부,
557: 핸들, 558: 결합 돌기,
559: 고리.

Claims (5)

  1. 방석부(100), 및 상기 방석부(100)에 결합된 등받이부(200)를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300);
    상기 받침대(300)에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300)가 상기 등받이부(2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방석부(100)의 단부에 인접 설치되도록 유도하는 전환 유도 부재(400); 및
    상기 방석부(100)가 상부에 결합되는 방석판(110)
    을 포함하며,
    상기 전환 유도 부재(400)의 일단에는 상기 받침대(300)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환 유도 부재(400)의 타단은 상기 방석판(11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인 다기능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부(100)에 결합되는 팔걸이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팔걸이부(500)는, 상기 팔걸이부(500)의 수평 설치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510)를 구비하는 것인 다기능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부(100)에 결합되는 팔걸이부(500), 및 상기 팔걸이부(500)의 상기 방석부(100)로부터의 수평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이격 장치(530)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부(100)에 결합되는 팔걸이부(500), 및 상기 팔걸이부(500)의 일단에 결합되는 핸들(557)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557)과 상기 팔걸이부(500) 사이에는 탄성체(55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557)이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팔걸이부(50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후에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핸들(557)이 상기 탄성체(55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팔걸이부(500)의 일단으로 복귀되는 것인 다기능 의자.

KR1020120072723A 2012-07-04 2012-07-04 다기능 의자 KR10146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723A KR101466090B1 (ko) 2012-07-04 2012-07-04 다기능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723A KR101466090B1 (ko) 2012-07-04 2012-07-04 다기능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15A KR20140005015A (ko) 2014-01-14
KR101466090B1 true KR101466090B1 (ko) 2014-12-02

Family

ID=5014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723A KR101466090B1 (ko) 2012-07-04 2012-07-04 다기능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634A (ko) 2015-02-27 2016-09-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그를 이용한 작업 대상물 지지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31Y1 (ko) * 2003-10-22 2004-01-31 김순화 목 받침대를 구비한 소파
KR200388338Y1 (ko) * 2005-03-11 2005-06-30 김해영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US20070108805A1 (en) * 2005-11-16 2007-05-17 Manning Michael E Reversible chair
JP2010502259A (ja) * 2006-08-28 2010-01-28 ゲイヨ デザイン リミテッド 多様な体位に適応する調整可能な椅子と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31Y1 (ko) * 2003-10-22 2004-01-31 김순화 목 받침대를 구비한 소파
KR200388338Y1 (ko) * 2005-03-11 2005-06-30 김해영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US20070108805A1 (en) * 2005-11-16 2007-05-17 Manning Michael E Reversible chair
JP2010502259A (ja) * 2006-08-28 2010-01-28 ゲイヨ デザイン リミテッド 多様な体位に適応する調整可能な椅子とそ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15A (ko)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20110215623A1 (en) Height-Adjusting Assembly for Office Chair Backrest
DK2822426T3 (en) BALANCE RENTAL
CA2953773A1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US20150366381A1 (en) Pillow Adjus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110082744A (k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장치
US20150130239A1 (en) Active dynamic chair
KR101916136B1 (ko) 거북목 자세 교정 장치
US10918211B2 (en) Chair and seat support mechanism
KR101466090B1 (ko) 다기능 의자
KR101502128B1 (ko) 요가 의자
KR101052551B1 (ko) 의자
KR200380528Y1 (ko) 체력단련수단이 형성된 의자
KR200439162Y1 (ko) 의자용 요추 완충장치
KR100607537B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KR101218557B1 (ko) 자세교정장치
KR101446461B1 (ko) 의자 조립체
KR102533006B1 (ko) 슬라이딩 및 틸팅 타입 경추 근육 이완 장치
KR102147959B1 (ko) 스마트의자
KR200379699Y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KR102133405B1 (ko) 운동기구가 구비된 책상
KR101000255B1 (ko) 좌식운동시 시트의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의자
KR101022761B1 (ko) 의자
KR20170068837A (ko) 척추부담을 줄인 자세교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