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310B1 -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 - Google Patents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310B1
KR102264310B1 KR1020210020211A KR20210020211A KR102264310B1 KR 102264310 B1 KR102264310 B1 KR 102264310B1 KR 1020210020211 A KR1020210020211 A KR 1020210020211A KR 20210020211 A KR20210020211 A KR 20210020211A KR 102264310 B1 KR102264310 B1 KR 102264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ylinder
plastic
driving
cr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현도
권현호
권일수
남영남
Original Assignee
쓰리에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에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쓰리에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0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89Recycling systems, wherein the flow of products between producers, sellers and consumers includes at least a recycling step, e.g. the products being fed back to the sellers or to the producers for recyc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되는 플라스틱의 파쇄물을 개별포장하여 배출하기 위한 파쇄기와 폐플라스틱을 수거 및 파쇄하여 납품되는 파쇄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clear plastic waste recycling system }
본 발명은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포장의 생산량 정보를 파쇄기와 통신을 이용하여 수집하며, 다중 시설별 폐기물 발생현황을 추출하고, 폐기물 수거 및 납품 차량배차와 폐기물을 납품하는 정보 등을 수집하도록 하는 재활용시스템을 포함하는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플라스틱이나 폐PET는 재활용하기 위해서 잘게 파쇄하여 재활용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며, 이와 같이 플라스틱이나 페트병을 파쇄하는 장치는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으로 제시된 선행기술의 페트병 파쇄기와 같이 파쇄커터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과 같은 페트병 파쇄기는 호퍼로 투입되는 페트병이 원주면상으로 원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파쇄커터의 날끝에 페트병이 닿게 되면 외부방향으로 튀겨 나가게 됨으로써 신속하게 파쇄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을 뿐만 아니라 파쇄효율이 저하됨으로써 제품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폐기물이 급증하고 있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을 뿐만아니라 폐플라스틱 수거 및 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재활용되는 비율이 높지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84918호
본 발명은 개별포장된 생산량 정보를 파쇄기와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통신함으로 파쇄기에 수용되는 폐플라스틱 정보를 수집하며, 다중 시설별 폐기물 발생현황과 폐기물 수거 및 납품 차량의 배차정보와 폐기물을 고객사로 납품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실적을 분석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을 수거 및 파쇄하여 납품되는 파쇄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활용시스템은, 투명플라스틱의 폐기물이 적재되는 다중시설폐기물; 다중시설폐기물에서 수거되는 투명플라스틱 폐기물이 파쇄되는 상황을 관리자단말기 측으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파쇄단말기; 다중시설폐기물로부터 적재되는 폐기물의 현황을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받으며, 파쇄단말기로부터 파쇄상황을 제공받거나, 파쇄기를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어하며, 다중시설폐기물측으로 수거차량을 배차관리하거나, 파쇄가 완료된 파쇄물을 고객사 측으로 납품하기 위한 차량을 배차관리하거나, 각 고객사 측으로 납품된 파쇄물의 실적현황을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관리자단말기; 투명플라스틱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차량; 파쇄기에서 파쇄된 파쇄물이 포장된 포장파쇄물을 각 고객사로 납품하기 위한 납품차량; 납품차량으로부터 포장파쇄물을 제공받는 고객사를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시스템은, 다중시설폐기물에 적재되는 투명플라스틱의 폐기물 적재 현황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다중시설폐기물현황추출단계;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차량을 각 다중시설폐기물에 배차하기 위한 다중시설폐기물수거배차단계; 배차받은 수거차량이 지정받은 시설에서 폐플라스틱을 수거하기 위한 폐플라스틱수거단계;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파쇄기를 통해 파쇄하기 위한 폐플라스틱파쇄단계; 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파쇄물을 포장지에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파쇄물포장단계; 포장된 포장파쇄물을 각 고객사 측으로 납품하기 위한 납품차량을 배차하기 위한 고객사별차량배차단계; 배차된 납품차량에 포장파쇄물을 적재하기 위한 고객사별파쇄물적재단계; 납품차량에 적재된 포장파쇄물을 각 고객사 측으로 납품하기 위한 고객사별납품단계; 각 고객사로 납품된 포장파쇄물의 납품 실적을 관리하기 위한 고객사별납품실적관리단계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활용시스템은, 파쇄기에 투입된 폐플라스틱이 외부로 역배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역류방지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제어부는, 투명플라스틱 폐기물을 파쇄기의 플라스틱투입구에 투입하는 폐플라스틱투입단계; 플라스틱투입구 측으로 투입된 투명플라스틱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파쇄기 상부 양측에서 각각 역류방지패널을 통해 압착시키기 위한 폐플라스틱압착단계; 실린더를 이용하여 역류방지패널을 작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방식작동단계; 역류방지패널을 개폐실린더를 이용하여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실린더구동단계; 체인을 이용하여 역류방지패널을 개폐시키기 위한 체인방식작동단계; 역류방지패널을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구동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시스템은, 포장지에 적재된 파쇄물을 자동 밀봉하여 일측방향으로 자동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포장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장관리부는, 포장지에 파쇄된 파쇄물을 적재하는 파쇄물적재단계; 포장지에 적재되는 파쇄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융착실린더와 절단실린더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무게감지단계; 무게감지단계에서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제공받은 무게정보에 의해 융착실린더가 구동되도록 하는 융착실린더구동단계; 융착실린더에 형성된 열융착바에 가열되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융착온도감지단계; 무게감지단계에서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제공받은 무게정보에 의해 절단실린더가 구동되도록 하는 절단실린더구동단계; 절단날을 이용하여 포장지 절단시 절단부재와 접촉되는 압력을 절단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절단압력감지단계; 절단이 완료된 포장파쇄물이 일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배출컨베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출컨베어작동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시스템은,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을 감지하여 외부로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배출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배출제어부는, 파쇄기 내부로 투입되는 폐기물 중 유색플라스틱이나 이물질을 레이저센서를 통해 감지하기 위한 레이저감지단계; 파쇄기 상부에서 감지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선행배출단계; 개방패널이 상측방향으로 상승되거나, 하측방향으로 하강되도록 개방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방실린더구동단계; 배출바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출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출실린더구동단계; 배출바에 의해 이동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폐문측배출단계; 파쇄기 하부에서 감지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후행배출단계; 파쇄기 내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이 분리배출구 측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전환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환모터구동단계; 분리배출구를 통해 전환모터의 구동시 동시에 개방되도록 분리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분리모터구동단계; 레이저센서를 통해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로 감지되는 경우 롤러부재가 접촉되도록 하거나,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간격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간격실린더구동단계를 포함한다.
파쇄물을 개별포장된 생산량 정보를 파쇄기와 인터넷말을 이용하여 통신함으로 다수의 파쇄기에서 파쇄되는 파쇄물의 포장상태를 하나의 단말기에서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중 시설별 폐기물 발생현황과 폐기물 수거 및 납품 차량의 배차정보와 폐기물을 고객사로 납품파는 정보를 수집하고 납품실적을 분석하는 구성으로 실시간 현황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인 역류방지제어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인 포장관리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인 감지배출제어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대한 구성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8은 본 발명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500)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재활용시스템(500)은 폐플라스틱을 수거 및 파쇄하여 납품되는 파쇄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활용시스템(500)의 구성은 다중시설폐기물(510), 파쇄단말기(520), 관리자단말기(530), 수거차량(540), 납품차량(550), 고객사(560)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시설폐기물(510)은 투명플라스틱의 폐기물이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시설폐기물(510)은 각 지역에 위치된 시설로 투명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폐기물이 적재되는 시설이다.
상기 파쇄단말기(520)는 다중시설폐기물에서 수거되는 투명플라스틱 폐기물이 파쇄되는 상황을 관리자단말기(530)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쇄단말기(520)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530)는 다중시설폐기물로부터 적재되는 폐기물의 현황을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받으며, 파쇄단말기(520)로부터 파쇄상황을 제공받거나, 파쇄기(100)를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어하며, 다중시설폐기물측으로 수거차량(540)을 배차관리하거나, 파쇄가 완료된 파쇄물을 고객사(560) 측으로 납품하기 위한 차량을 배차관리하거나, 각 고객사(560) 측으로 납품된 파쇄물의 실적현황을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거차량(540)은 투명플라스틱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거차량(540)은 관리자단말기(530)로부터 다중시설폐기물의 배차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시설의 폐기물을 수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납품차량(550)은 파쇄기(100)에서 파쇄된 파쇄물이 포장된 포장파쇄물을 각 고객사(560)로 납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사(560)는 납품차량(550)으로부터 포장파쇄물을 제공받는 것으로, 상기 고객사(560)는 포장파쇄물의 납품된 수량정보를 관리자단말기(530)로 제공하여 각 고객사별 실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활용시스템(500)의 구성단계는 다중시설폐기물현황추출단계(S510), 다중시설폐기물수거배차단계(S520), 폐플라스틱수거단계(S530), 폐플라스틱파쇄단계(S540), 파쇄물포장단계(S550), 고객사별차량배차단계(S560), 고객사별파쇄물적재단계(S570), 고객사별납품단계(S580), 고객사별납품실적관리단계(S590)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시설폐기물현황추출단계(S510)는 다중시설폐기물에 적재되는 투명플라스틱의 폐기물 적재 현황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시설폐기물수거배차단계(S520)는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다중시설폐기물수거배차단계(S520)는 수거차량(540)을 각 다중시설폐기물에 배차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플라스틱수거단계(S530)는 배차받은 수거차량(540)이 지정받은 시설에서 폐플라스틱을 수거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플라스틱파쇄단계(S540)는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파쇄기(100)를 통해 파쇄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쇄물포장단계(S550)는 파쇄기(100)를 통해 파쇄된 파쇄물을 포장지에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사별차량배차단계(S560)는 포장된 포장파쇄물을 각 고객사(560) 측으로 납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객사별차량배차단계(S560)는 납품차량(550)을 배차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사별파쇄물적재단계(S570)는 배차된 납품차량(550)에 포장파쇄물을 적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사별납품단계(S580)는 납품차량(550)에 적재된 포장파쇄물을 각 고객사(560) 측으로 납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사별납품실적관리단계(S590)는 각 고객사(560)로 납품된 포장파쇄물의 납품 실적을 관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500)의 또다른 실시예인 역류방지제어부(600)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대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제어부(600)는 재활용시스템(500)에 더 포함하는 구성 단계로, 상기 재활용시스템(500)의 기본 단계에 역류방지제어부(600)의 단계로 대체 되거나,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제어부(600)는 파쇄기(110)에 투입된 폐플라스틱이 외부로 역배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제어부(600)는 폐플라스틱투입단계(S610), 폐플라스틱압착단계(S620), 실린더방식작동단계(S630), 개폐실린더구동단계(S640), 체인방식작동단계(S650), 구동모터구동단계(S660)를 포함한다.
상기 폐플라스틱투입단계(S610)는 투명플라스틱 폐기물을 파쇄기(100)의 플라스틱투입구(120)에 투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플라스틱압착단계(S620)는 플라스틱투입구(120) 측으로 투입된 투명플라스틱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폐플라스틱압착단계(S620)는 파쇄기(100) 상부 양측에서 각각 역류방지패널(211)을 통해 압착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방식작동단계(S630)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역류방지패널(211)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실린더구동단계(S640)는 역류방지패널(211)을 개폐실린더(221)를 이용하여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방식작동단계(S650)는 체인을 이용하여 역류방지패널(211)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구동단계(S660)는 역류방지패널(211)을 구동모터(256)를 이용하여 개폐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500)의 또다른 실시예인 포장관리부(700)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대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장관리부(700)는 재활용시스템(500)에 더 포함하는 구성 단계로, 상기 재활용시스템(500)의 기본 단계에 포장관리부(700)의 단계로 대체 되거나,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관리부(700)는 포장지에 적재된 파쇄물을 자동 밀봉하여 일측방향으로 자동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관리부(700)는 파쇄물적재단계(S710), 무게감지단계(S720), 융착실린더구동단계(S730), 융착온도감지단계(S740), 절단실린더구동단계(S750), 절단압력감지단계(S760), 배출컨베어작동단계(S770)를 포함한다.
상기 파쇄물적재단계(S710)는 포장지에 파쇄된 파쇄물을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감지단계(S720)는 포장지에 적재되는 파쇄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융착실린더(331)와 절단실린더(333)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융착실린더구동단계(S730)는 무게감지단계(S720)에서 무게감지센서(312)를 통해 제공받은 무게정보에 의해 융착실린더(331)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융착온도감지단계(S740)는 융착실린더(331)에 형성된 열융착바(332)에 가열되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실린더구동단계(S750)는 무게감지단계(S720)에서 무게감지센서(312)를 통해 제공받은 무게정보에 의해 절단실린더(333)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압력감지단계(S760)는 절단날(334)을 이용하여 포장지 절단시 절단부재(342)와 접촉되는 압력을 절단감지센서(360)를 이용하여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컨베어작동단계(S770)는 절단이 완료된 포장파쇄물이 일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배출컨베어(311)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500)의 또다른 실시예인 감지배출제어부(800)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대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배출제어부(800)는 재활용시스템(500)에 더 포함하는 구성 단계로, 상기 재활용시스템(500)의 기본 단계에 감지배출제어부(800)의 단계로 대체 되거나,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배출제어부(800)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을 감지하여 외부로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배출제어부(800)는 레이저감지단계(S810)와 선행배출단계(S830)와 후행배출단계(S85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감지단계(S810)는 파쇄기(100) 내부로 투입되는 폐기물 중 유색플라스틱이나 이물질을 레이저센서(460)를 통해 감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배출단계(S830)는 파쇄기(110) 상부에서 감지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배출단계(S830)는 개방실린더구동단계(S831), 배출실린더구동단계(S832), 개폐문측배출단계(S833)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실린더구동단계(S831)는 개방패널(413)이 상측방향으로 상승되거나, 하측방향으로 하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개방실린더구동단계(S831)는 개방실린더(412)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실린더구동단계(S832)는 배출바(415)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배출실린더구동단계(S832)는 배출실린더(4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문측배출단계(S833)는 배출바(415)에 의해 이동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행배출단계(S850)는 파쇄기(110) 하부에서 감지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행배출단계(S850)는 전환모터구동단계(S851), 분리모터구동단계(S852), 간격실린더구동단계(S853)를 포함한다.
상기 전환모터구동단계(S851)는 파쇄기(110) 내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이 분리배출구(470) 측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환모터구동단계(S851)는 전환모터(462)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모터구동단계(S852)는 분리배출구(470)를 통해 전환모터(462)의 구동시 동시에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분리모터구동단계(S852)는 분리모터(471)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실린더구동단계(S853)는 레이저센서(460)를 통해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로 감지되는 경우 롤러부재(455)가 접촉되도록 하거나,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간격실린더구동단계(S853)는 간격실린더(454)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파쇄기
110 : 파쇄기 120 : 플라스틱투입구
130 : 파쇄물배출구 140 : 파쇄롤러
150 : 포장지안착틀
200 : 역류방지부
210 : 회전힌지 211 : 역류방지패널
212 : 압착센서
220 : 실린더방지수단 221 : 개폐실린더
222 : 실린더힌지 223 : 개폐바
224 : 개폐힌지 225 : 실린더연결힌지
250 : 체인방지수단 251 : 모터고정부재
252 : 개폐기어 253 : 전달기어
254 : 모터기어 255 : 기어체인
256 : 구동모터
300 : 포장배출부
310 : 배출프레임 311 : 배출컨베어
312 : 무게감지센서 320 : 포장지고정틀
330 : 구동측지지바 331 : 융착실린더
332 : 열융착바 333 : 절단실린더
334 : 절단날 340 : 고정측지지바
341 : 융착부재 342 : 절단부재
350 : 온도감지센서 360 : 절단감지센서
400 : 감지배출부
410 : 선행배출수단 411 : 실린더안착부재
412 : 개방실린더 413 : 개방패널
414 : 배출실린더 415 : 배출바
417 : 배출패널
450 : 후행배출수단 451 : 가이드패널
452 : 부재관통홀 453 :패널고정바
454 : 간격실린더 455 : 롤러부재
460 : 전환패널 461 : 전환기어
462 : 전환모터 463 : 전환풀리
464 : 전환체인 470 : 분리배출구
471 : 분리모터 472 : 분리풀리
474 : 배출개폐판 460 : 레이저센서
461 : 센서부재
500 : 재활용시스템
510 : 다중시설폐기물 520 : 파쇄단말기
530 : 관리자단말기 540 : 수거차량
550 : 납품차량 560 : 고객사
S510 : 다중시설폐기물현황추출단계
S520 : 다중시설폐기물수거배차단계
S530 : 폐플라스틱수거단계
S540 : 폐플라스틱파쇄단계
S550 : 파쇄물포장단계
S560 : 고객사별차량배차단계
S570 : 고객사별파쇄물적재단계
S580 : 고객사별납품단계
S590 : 고객사별납품실적관리단계
600 : 역류방지제어부
S610 : 폐플라스틱투입단계
S620 : 폐플라스틱압착단계
S630 : 실린더방식작동단계
S640 : 개폐실린더구동단계
S650 : 체인방식작동단계
S660 : 구동모터구동단계
700 : 포장관리부
S710 :파쇄물적재단계
S720 :무게감지단계
S730 : 융착실린더구동단계
S740 : 융착온도감지단계
S750 : 절단실린더구동단계
S760 :절단압력감지단계
S770 : 배출컨베어작동단계
800 : 감지배출제어부
S810 : 레이저감지단계
S830 : 선행배출단계
S831 : 개방실린더구동단계
S832 : 배출실린더구동단계
S833 : 개폐문측배출단계
S850 : 후행배출단계
S851 : 전환모터구동단계
S852 : 분리모터구동단계
S853 : 간격실린더구동단계

Claims (2)

  1. 폐플라스틱을 수거 및 파쇄하여 납품되는 파쇄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시스템은,
    투명플라스틱의 폐기물이 적재되는 다중시설폐기물;
    다중시설폐기물에서 수거되는 투명플라스틱 폐기물이 파쇄되는 상황을 관리자단말기 측으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파쇄단말기;
    다중시설폐기물로부터 적재되는 폐기물의 현황을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받으며, 파쇄단말기로부터 파쇄상황을 제공받거나, 파쇄기를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어하며, 다중시설폐기물측으로 수거차량을 배차관리하거나, 파쇄가 완료된 파쇄물을 고객사 측으로 납품하기 위한 차량을 배차관리하거나, 각 고객사 측으로 납품된 파쇄물의 실적현황을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관리자단말기;
    투명플라스틱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차량;
    파쇄기에서 파쇄된 파쇄물이 포장된 포장파쇄물을 각 고객사로 납품하기 위한 납품차량;
    납품차량으로부터 포장파쇄물을 제공받는 고객사를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시스템은,
    다중시설폐기물에 적재되는 투명플라스틱의 폐기물 적재 현황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다중시설폐기물현황추출단계;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차량을 각 다중시설폐기물에 배차하기 위한 다중시설폐기물수거배차단계;
    배차받은 수거차량이 지정받은 시설에서 폐플라스틱을 수거하기 위한 폐플라스틱수거단계;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파쇄기를 통해 파쇄하기 위한 폐플라스틱파쇄단계;
    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파쇄물을 포장지에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파쇄물포장단계;
    포장된 포장파쇄물을 각 고객사 측으로 납품하기 위한 납품차량을 배차하기 위한 고객사별차량배차단계;
    배차된 납품차량에 포장파쇄물을 적재하기 위한 고객사별파쇄물적재단계;
    납품차량에 적재된 포장파쇄물을 각 고객사 측으로 납품하기 위한 고객사별납품단계;
    각 고객사로 납품된 포장파쇄물의 납품 실적을 관리하기 위한 고객사별납품실적관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재활용시스템은,
    파쇄기에 투입된 폐플라스틱이 외부로 역배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역류방지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제어부는,
    투명플라스틱 폐기물을 파쇄기의 플라스틱투입구에 투입하는 폐플라스틱투입단계와, 플라스틱투입구 측으로 투입된 투명플라스틱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파쇄기 상부 양측에서 각각 역류방지패널을 통해 압착시키기 위한 폐플라스틱압착단계와, 상기 역류방지제어부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역류방지패널을 작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방식작동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제어부는, 역류방지패널을 개폐실린더를 이용하여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실린더구동단계; 또는 체인을 이용하여 역류방지패널을 개폐시키기 위한 체인방식작동단계; 또는 역류방지패널을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구동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선택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재활용시스템은,
    포장지에 적재된 파쇄물을 자동 밀봉하여 일측방향으로 자동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포장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장관리부는,
    포장지에 파쇄된 파쇄물을 적재하는 파쇄물적재단계;
    포장지에 적재되는 파쇄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융착실린더와 절단실린더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무게감지단계;
    무게감지단계에서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제공받은 무게정보에 의해 융착실린더가 구동되도록 하는 융착실린더구동단계;
    융착실린더에 형성된 열융착바에 가열되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융착온도감지단계;
    무게감지단계에서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제공받은 무게정보에 의해 절단실린더가 구동되도록 하는 절단실린더구동단계;
    절단날을 이용하여 포장지 절단시 절단부재와 접촉되는 압력을 절단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절단압력감지단계;
    절단이 완료된 포장파쇄물이 일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배출컨베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출컨베어작동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시스템은,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을 감지하여 외부로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배출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배출제어부는,
    파쇄기 내부로 투입되는 폐기물 중 유색플라스틱이나 이물질을 레이저센서를 통해 감지하기 위한 레이저감지단계;
    파쇄기 상부에서 감지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선행배출단계;
    개방패널이 상측방향으로 상승되거나, 하측방향으로 하강되도록 개방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방실린더구동단계;
    배출바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출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출실린더구동단계;
    배출바에 의해 이동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폐문측배출단계;
    파쇄기 하부에서 감지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후행배출단계;
    파쇄기 내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이 분리배출구 측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전환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환모터구동단계;
    분리배출구를 통해 전환모터의 구동시 동시에 개방되도록 분리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분리모터구동단계;
    레이저센서를 통해 유색플라스틱과 이물질로 감지되는 경우 롤러부재가 접촉되도록 하거나,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간격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간격실린더구동단계를 포함하는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
  2. 삭제
KR1020210020211A 2021-02-16 2021-02-16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 KR102264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11A KR102264310B1 (ko) 2021-02-16 2021-02-16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11A KR102264310B1 (ko) 2021-02-16 2021-02-16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310B1 true KR102264310B1 (ko) 2021-06-15

Family

ID=7641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211A KR102264310B1 (ko) 2021-02-16 2021-02-16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31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894A (ko) * 2000-03-30 2002-10-31 아쯔시 이즈하라 자원·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자원·폐기물 수거 방법
KR20020084880A (ko) * 2001-05-04 2002-11-13 주식회사 솔텍코리아 네트워크를 통한 폐기물 수거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4918B1 (ko) 2005-10-25 2006-05-30 주식회사 대림기계 플라스틱 폐기물용 파쇄기
KR100809061B1 (ko) * 2005-12-29 2008-03-03 (주)신우이엔씨 페트병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50949A (ja) * 2009-08-04 2011-03-17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ごみの収集および選別方法、収集および選別装置
KR20180135310A (ko) * 2017-06-12 2018-12-20 최병국 차량용 합성수지폐기물 분쇄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894A (ko) * 2000-03-30 2002-10-31 아쯔시 이즈하라 자원·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자원·폐기물 수거 방법
KR20020084880A (ko) * 2001-05-04 2002-11-13 주식회사 솔텍코리아 네트워크를 통한 폐기물 수거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4918B1 (ko) 2005-10-25 2006-05-30 주식회사 대림기계 플라스틱 폐기물용 파쇄기
KR100809061B1 (ko) * 2005-12-29 2008-03-03 (주)신우이엔씨 페트병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50949A (ja) * 2009-08-04 2011-03-17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ごみの収集および選別方法、収集および選別装置
KR20180135310A (ko) * 2017-06-12 2018-12-20 최병국 차량용 합성수지폐기물 분쇄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246B1 (ko) 투명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파쇄기
KR102276006B1 (ko) Qr코드를 이용한 재활용쓰레기 회수장치
US756283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densing, separating and storing recyclable material
US20220044208A1 (en) Smart waste device and waste tracking system
US20100236428A1 (en) Multi-purpose discarded material treatment system
US8028940B2 (en) Residential waste volume reduction arrangements
KR100972533B1 (ko)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102264310B1 (ko) 투명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시스템
US6079929A (en) Refuse bag opener
KR102517566B1 (ko) 재활용 가능 폐기물 선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302536B1 (ko) 문서 세단 압축기
KR100804593B1 (ko)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
CN215247204U (zh) 垃圾袋破袋机构及垃圾回收设备
CN210012169U (zh) 一种智能可回收垃圾投放一体箱
CN205767014U (zh) 用于塑料危化桶的破碎收集装置
US7997515B2 (en) Self-contained roll-off shredding compactor system
KR19980043002A (ko) 재활용 가능한 자원 회수방법과 그 장치
CN111284790A (zh) 一种垃圾智能分离及营养土转换系统碎包装置
CN207735100U (zh) 一种废旧轻薄金属撕碎装置
CN205380802U (zh) 一种撕碎机
KR102058634B1 (ko) 자동센서를 이용한 스마트형 금속캔 파쇄기
CN205526264U (zh) 用于柔性纤维物料输送的定厚装置
KR102636081B1 (ko)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CN113104426B (zh) 一种智能饮料瓶回收箱系统的回收方法
CN218049587U (zh) 一种厨余垃圾可附加在预处理制浆机的破袋新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