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662B1 - 모듈식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듈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662B1
KR102263662B1 KR1020190106632A KR20190106632A KR102263662B1 KR 102263662 B1 KR102263662 B1 KR 102263662B1 KR 1020190106632 A KR1020190106632 A KR 1020190106632A KR 20190106632 A KR20190106632 A KR 20190106632A KR 102263662 B1 KR102263662 B1 KR 102263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vertical support
pair
length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719A (ko
Inventor
송병철
Original Assignee
송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철 filed Critical 송병철
Publication of KR2020013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재와; 길이연장부재; 및 방향전환부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지지부재에 길이연장부재 또는 방향전환부재를 결합하여 다양한 구조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방식 및/또는 볼팅체결방식으로 전술된 각각의 부재들을 다양한 형상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식 조립체 {Modular assembly}
본 발명은 2019년 5월 14일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56090호에 의거하여 우선권 주장되었으며, 상기 특허출원은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본 발명은 모듈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형상의 구성부재들을 임의로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입체 구조물로 조립할 수 있는 모듈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이 DIY(Do It Yourself) 방식을 통해 반가공 상태의 자재를 구입하여 손수 완제품으로 조립하고 있다.
이러한 조립 물품들은 특허문헌 1의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특허문헌 2의 자체 조립식 가구 및 그 조립방법, 특허문헌 3의 조립형 스툴 등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소비자가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여 직접 조립함으로써 기성 제품에 비해 초기 구매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하는 과정에서 성취감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조립 물품들은 각 구성부재들 간에 체결구조의 불량으로 인해 마감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 다른 구조물로 변경하는 데에 한계를 갖는 등의 문제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2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126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3739호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3개의 구성부재들을 다양하게 배열하고 이들을 상호 체결하여 구조물로 조립할 수 있는 모듈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부재를 끼움방식 및/또는 볼팅체결방식을 통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경사방향으로 상호 체결하여 다양한 형상의 입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립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조립체는 지지부재와; 길이연장부재; 및 방향전환부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지지부재에 길이연장부재 및/또는 방향전환부재를 결합하여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지지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제1 결합공을 천공한 제1 수직 지지판과; 폭 중심에서 제1 수직 지지판을 수직상방으로 배치하고, 제1 수직 지지판과의 교차 지점에서 양측 가장자리를 향해 폭 방향으로 다수의 보강 리브를 구비한 수평 지지판; 및 수평 지지판의 양측 단부에서 수평 지지판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결속부;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결속부는 수평 지지판의 양측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해 대향되게 배치되고 체결홈을 갖춘 한쌍의 절곡부, 바닥부와 한쌍의 절곡부로 한정된 수용공간, 및 한쌍의 절곡부 사이에 이격 틈새를 제공하는 슬롯부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제1 수직 지지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결속부는 한쌍의 절곡부의 양 자유단 사이에 이격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부를 형성하여 제1 수직 지지판의 양측 단부를 슬롯부 내에 삽입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속부는 바닥부의 폭 중심에 관통공을 천공하고, 관통공과 대응되는 한쌍의 절곡부의 양 자유단에 만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길이연장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제2 결합공을 천공한 제2 수직 지지판과; 제2 수직 지지판에 대해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제1 결합 쐐기부; 제2 수직 지지판과 한쌍의 제1 결합 쐐기부를 연결하는 제1 고정 바아;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제1 결합 쐐기부는 제2 수직 지지판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 길이부와, 길이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체결홈에 끼워져 걸리는 쐐기형상의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제2 수직 지지판은 제1 수직 지지판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길이연장부재는 제1 고정 바아의 일 단부를 제2 수직 지지판의 단부에 결합하고 제1 고정 바아의 타 단부를 걸림턱과 이격되게 길이부에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방향전환부재는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한 코어부와; 코어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3 결합공을 구비한 제3 수직 지지판; 제3 수직 지지판과 직교되게 코어부의 타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4 결합공을 구비한 제4 수직 지지판; 코어부에서 각 수직 지지판에 대해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게 뻗어 있는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 및 수직 지지판과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를 연결하는 제2 고정 바아;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제2 결합 쐐기부는 코어부에서 수직 지지판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 길이부와, 길이부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체결홈에 끼워져 걸리는 쐐기형상의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제3 수직 지지판은 제1 수직 지지판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제4 수직 지지판은 제1 수직 지지판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향전환부재는 제2 고정 바아의 일 단부를 수직 지지판의 자유단에 결합하고 제2 고정 바아의 타 단부를 걸림턱과 이격되게 길이부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한정된 구성부재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체결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조물을 조립·제작할 수 있는 모듈식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부재를 끼움방식 및/또는 볼팅체결방식을 통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경사방향와 같이 임의로 상호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입체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조립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조립체를 적용한 사용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지지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길이연장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길이연장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길이연장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방향전환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방향전환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각 구성부재들의 조립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지지부재들의 배열 방식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
도 12는 지지부재들의 다른 배열 방식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와 길이연장부재(2) 및 방향전환부재(3)로 구성된 모듈식 조립체를 이용하여 사각형태의 프레임(frame) 구조물로 조립한 상태도를 도해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모듈식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부재들 간에 다양한 배치/결합을 통해 선반, 탁자, 의자 등의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로 가변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조립체는 반려동물을 위한 캣타워, 하우스 등의 가구, 인테리어 소품 등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은 역T자 단면형상으로 길이연장된 지지부재(1)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 결합공(111)을 구비한 제1 수직 지지판(11)과, 다수의 보강 리브(121)를 구비한 수평 지지판(12), 및 수평 지지판(12)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결속부(13)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수직 지지판(11)은 이의 내부영역에 두께방향으로 다수의 제1 결합공(111)을 천공한다. 다수의 제1 결합공(111)은 소정의 거리(d1)를 두고 이격배치되되, 바람직하기로 다수의 결합공은 제1 수직 지지판(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배치된다. 여기서 거리(d1)는 일 제1 결합공의 중심과 이와 인접한 타 제1 결합공의 중심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지지부재(1)는 6개의 제1 결합공(111)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1개, 2개, 3개, 4개, 5개, 7개, 8개, …, n개의 제1 결합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작가능하다.
제1 수직 지지판(11)은 상단부에 다수의 제1 오목부(112)를 형성하는데, 제1 오목부(112)는 인접배치된 2개의 제1 결합공(111)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다. 즉, 제1 오목부들(112) 사이의 이격 거리는 결합공들 사이의 이격 거리(d1)와 동일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제1 수직 지지판(11)은 수평 지지판(12)의 폭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상방으로 입설되어 위치고정된다.
수평 지지판(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 지지판(11)와 직교되게 배치되되, 제1 수직 지지판(11)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평 지지판(12)은 제1 수직 지지판(11)과 수평 지지판(12)의 교차 지점에서 양측 가장자리를 향해 폭 방향으로 다수의 보강 리브(121;rib)를 구비하는데, 구체적으로 제1 수직 지지판(11)의 하측에서 수평 지지판(12)의 폭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다수의 보강 리브를 구비한다. 추가로, 보강 리브(121)는 제1 오목부(112)의 형성 위치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즉 인접배치된 2개의 제1 결합공(111) 사이의 중간 지점에 다수의 보강 리브를 배치하여 다수의 보강 리브가 상호 동일하게 이격배치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는 예컨대 길이연장부재(2) 및/또는 방향전환부재(3)와 결합가능하도록 한쌍의 결속부(13)를 수평 지지판(12)의 양측 단부에서 수평 지지판(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바, 예컨대 한쌍의 결속부(13)는 수평 지지판(12)의 양측 단부에서 상호 대칭적으로 배향(背向)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결속부(13)는 수평 지지판(12)의 양측 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뻗어 있는 바닥부(131)와, 이 바닥부(131)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내부영역(바닥부의 폭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한쌍의 절곡부(132), 바닥부(131)와 한쌍의 절곡부(132)로 한정된 수용공간(133), 및 한쌍의 절곡부(132) 자유단 사이에 이격 틈새를 제공하는 슬롯부(134)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결속부(혹은 바닥부)의 폭 길이(W1)는 수평 지지판(121)의 폭 길이와 동일한 크기를 갖추고 있는 한편 바닥부(131)는 수평 지지판(121)과 동일 수준으로 편평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서, 결속부(13)의 폭 길이(W1)는 제1 결합공들 사이의 이격 거리(d1)와 동일한 크기를 갖추고 있다.
결속부(13)는 바닥부(13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내부 중심을 향해 기역(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한쌍의 절곡부(132)를 대칭되게 배치하는데, 한쌍의 절곡부(132)의 자유단은 바닥부(131)의 중심 부위 상에 이격되어 있다. 또한, 결속부(13)는 한쌍의 절곡부(132) 사이에, 즉 대향배치된 절곡부의 자유단들 사이에 슬롯부(134)를 형성한다. 슬롯부(134)는 두께(T11)를 갖는 제1 수직 지지판(11)의 양측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 즉 이격 공간(S)을 제공한다. 제1 수직 지지판(11)의 길이가 수평 지지판(12)의 길이보다 길게 뻗는데, 제1 수직 지지판(11)의 양 단부는 수평 지지판(12)의 양 단부에서 외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결속부(13)의 슬롯부(134)로 삽입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슬롯부 내에 제1 수직 지지판(11)을 끼워넣어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수용공간(133)은 길이연장부재(2) 및/또는 방향전환부재(3)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길이연장부재(2) 및/또는 방향전환부재(3)에 구비된 결합 쐐기부(22;34)를 수용하여 길이연장부재 및/또는 방향전환부재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결속부(13)는 결합 쐐기부(22;34)를 둘러싸는 한쌍의 절곡부(132)에 체결홈(132a)을 형성하는데, 이 체결홈(132a)은 수용공간(133)과 연통가능하게 형성되어 걸림턱(222;342)이 체결홈(132a)에 끼워져 결합 쐐기부(22;34)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결속부(13)는 바닥부(131)의 폭 중심에 관통공(131b)을 천공하는 한편 관통공과 대응되는 한쌍의 절곡부(132)의 양 자유단에 만곡부(132b)를 각기 형성한다. 2개의 만곡부(132b)는 슬롯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만곡부(132b)는 관통공(131b)과 동일한 곡률 크기로 절곡부의 자유단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2개의 지지부재(1)를 일렬로 확장·연결하는 길이연장부재(2)를 포함한다.
길이연장부재(2)는 다수의 제2 결합공(211)을 구비한 제2 수직 지지판(21)과, 제2 수직 지지판(21)의 하단부 양측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한쌍의 제1 결합 쐐기부(22), 및 제2 수직 지지판(21)과 한쌍의 제1 결합 쐐기부(22)를 연결하는 제1 고정 바아(23)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연장부재(2)는 제2 수직 지지판(21)에 대해 한쌍의 제1 결합 쐐기부(22)를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배치하는 한편 한쌍의 제1 결합 쐐기부(22)는 지지부재(1)의 결속부(13) 내에 삽입체결가능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수직 지지판(21)은 이의 내부영역에 두께방향으로 2개의 제2 결합공(211)을 천공하는데, 이에 국한되지 않고 1개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개 이상의 제2 결합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수의 제2 결합공(211)은 제2 수직 지지판(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d2)를 두고 이격배치되되, 거리(d2)는 일 제2 결합공의 중심과 이와 인접한 타 제2 결합공의 중심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제2 결합공들 사이의 이격 거리(d2)는 지지부재(1)에 구비된 다수의 제1 결합공들(111) 사이의 이격 거리(d1)와 동일한 간격을 갖는다.
제2 수직 지지판(21)은 상단부에 제2 오목부(212)를 형성하는데, 제2 오목부(212)는 인접배치된 2개의 제2 결합공(211)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길이연장부재(2)는 한쌍의 제1 결합 쐐기부(22) 사이에 제2 수직 지지판(21)을 개재하고, 한쌍의 제1 결합 쐐기부(22)의 양 단부와 제2 수직 지지판(21)의 양단부 사이를 제1 고정 바아(23)를 수단으로 하여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쐐기부(22)는 제2 수직 지지판(21)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 길이부(221)와, 체결홈(132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길이부(221)의 양 단부에서 각각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용공간(133)을 통해 삽입되면서 체결홈(132a)에 끼워져 걸리는 쐐기형상의 걸림턱(222)을 구비한다.
길이연장부재(2)는 쐐기형상의 걸림턱(222)을 폭 방향으로 탄성가능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제2 수직 지지판(21)과 제1 결합 쐐기부(22) 사이를 2개의 제1 고정 바아(23)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바아(23)의 일 단부는 제2 수직 지지판(2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반면에 제1 고정 바아(23)의 타 단부는 걸림턱(22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부(22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고정 바아(23)의 타 단부가 걸림턱(222)과 이격되게 결합되어 걸림턱을 구비한 제1 결합 쐐기부의 양 단부를 외팔보 형태로 탄성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바아(23)는 제2 수직 지지판(21)의 양단부에서 제1 결합 쐐기부(22)의 길이부까지 계단형태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결합 쐐기부의 길이부에 용이하게 휨 변형을 유도하여 수용공간 내로의 신뢰할 수 있는 이동과 함께 체결홈(132a)과 걸림턱(222)의 결합 및/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돕는다. 추가로, 길이연장부재(2)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된 제2 수직 지지판(21)의 하단부 중심과 제1 결합 쐐기부의 길이부(221)의 중심 사이에 지지대(223)를 배치하여, 길이부(221)와 제2 수직 지지판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길이부의 과도한 휨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호 연결된 구성부재들을 구속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 지지부재(1)의 결속부(13)에 길이연장부재(2)의 일 단부를 삽입하고 타 지지부재(2)의 결속부(13)에 길이연장부재(2)의 타 단부를 삽입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지부재(1)를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때, 길이연장부재(2)의 제1 결합 쐐기부(22)가 지지부재(1)의 수용공간(133) 내로 삽입될 때 길이연장부재(2)의 제2 수직 지지판(21)의 일 단부는 한쌍의 절곡부(132) 사이에 형성된 슬롯부(134) 사이에 끼워 넣어져 수용공간 내로 결합 쐐기부의 신뢰할 수 있는 삽입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수직 지지판(11)의 두께(T11)와 제2 수직 지지판(21)의 두께(T21) 그리고 슬롯부(134)의 이격 공간(S)을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2개의 지지부재(1)를 직각되게 배치할 수 있게 돕는 방향전환부재(3)를 포함한다.
방향전환부재(3)는 전반적으로 기역(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부재이다. 방향전환부재(3)는 중앙에 관통공(311)을 갖추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코어부(31)와, 내부에 제3 결합공(321)을 구비하고 코어부(31)의 일면에서 외부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3 수직 지지판(32), 내부에 제4 결합공(331)을 구비하고 제3 수직 지지판(32)과 직교되게 코어부(31)의 타면에서 외부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4 수직 지지판(33), 및 제3 및 제4 수직 지지판(32,33)의 하단부 양측에서 외팔보 타입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재(3)는 제3 및 제4 수직 지지판(32,33)에 대해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를 대칭되게 배열하는 한편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는 지지부재(1)의 결속부(13) 내에 삽입체결가능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수직 지지판(32)은 수평배치된 코어부(31)의 일면 중심에서 수직 상방으로 배치되고, 제4 수직 지지판(33)은 수평배치된 코어부(31)의 타면 중심에서 수직 상방으로 배치된다.
덧붙여서, 방향전환부재(3)의 코어부(31)는 제3 수직 지지판(32)의 하부와 일체로 결합하는 일면과 제4 수직 지지판(33)의 하부와 일체로 결합하는 타면을 지지부재(1)의 결속부(13)의 폭 길이(W1)와 동일한 폭 크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방향전환부재(3)는 코어부(31)의 일면에서 외부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 사이에 제3 수직 지지판(32)을 개재하는 한편 제3 수직 지지판(32)과 직교되게 코어부(31)의 타면에서 외부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 사이에 제4 수직 지지판(33)을 개재한다.
방향전환부재(3)는 제3 및 제4 수직 지지판(33,34)과, 각 수직 지지판의 양측 하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를 연결하는 제2 고정 바아(35)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자면, 방향전환부재(3)는 코어부의 일면에 배치된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 사이에 제3 수직 지지판(32)을 개재하고,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의 자유단과 제3 수직 지지판(32)의 자유단 사이를 제2 고정 바아(35)를 수단으로 하여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방향전환부재(3)는 코어부의 타면에 배치된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 사이에 제4 수직 지지판(33)을 개재하고,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의 자유단과 제2 제4 수직 지지판(33)의 자유단 사이를 제2 고정 바아(35)를 수단으로 하여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결합 쐐기부(34)는 제3 및 제4 수직 지지판(32,33)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 길이부(341)와, 체결홈(132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길이부(341)의 자유단에서 각각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용공간(133)을 통해 삽입되면서 체결홈(132a)에 끼워져 걸리는 쐐기형상의 걸림턱(342)을 구비한다. 길이부(331)의 고정단은 코어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결합 쐐기부를 외팔보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방향전환부재(3)는 쐐기형상의 걸림턱(342)을 폭 방향으로 탄성가능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제3 수직 지지판(32)과 제2 결합 쐐기부(34)를 그리고 제4 수직 지지판(33)과 제2 결합 쐐기부(34)를 제2 고정 바아(35)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바아(35)의 일 단부는 수직 지지판(32,33)의 자유단에 결합되는 반면에 제2 고정 바아(35)의 타 단부는 걸림턱(34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부(34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2 고정 바아(35)의 타 단부가 걸림턱(342)과 이격되게 결합되어 걸림턱을 구비한 결합 쐐기부의 자유단을 외팔보 형태로 탄성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바아(35)는 각 수직 지지판(32,33)의 자유단에서 제2 결합 쐐기부(34)의 길이부까지 계단형태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쐐기부의 길이부에 용이하게 휨 변형을 유도하여 수용공간 내로의 신뢰할 수 있는 이동과 함께 체결홈(132a)과 걸림턱(342)의 결합 및/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돕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 지지부재(1)의 결속부(13)에 “‡향전환부재(3)의 제3 수직 지지판을 삽입하고 타 지지부재(1)의 결속부(13)에 방향전환부재(3)의 제4 수직 지지판을 삽입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지부재(1)를 상호 직각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방향전환부재(3)의 제2 결합 쐐기부(34)가 지지부재(1)의 수용공간(133) 내로 삽입될 때 방향전환부재(3)의 제3 및 제4 수직 지지판(32,33)의 자유단은 한쌍의 절곡부(132) 사이에 형성된 슬롯부(134) 사이에 끼워 넣어져 수용공간 내로 제2 결합 쐐기부의 신뢰할 수 있는 삽입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수직 지지판(11)의 두께(T11)와 각 수직 지지판(32,33)의 두께(T32,T33) 그리고 슬롯부(134)의 이격 공간(S)을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조립체는 2개의 지지부재(1) 사이에 길이연장부재(2)를 끼움방식으로 개재하여 지지부재들을 일방향으로 길이연장할 수 있다(도 1 및 도 10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조립체는 직교되게 배치된 2개의 지지부재(1) 사이에 방향전환부재(3)를 끼움방식으로 개재하여 지지부재들을 직각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도 1 및 도 10 참조).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조립체는 지지부재(1)의 제1 결합공(111), 지지부재(1)의 관통통(131b) 및 대향배치된 만곡부(132b) 사이에 공간, 길이연장부재(2)의 제2 결합공(211), 또는 방향전환부재(3)의 제3 및 제4 결합공(321,331)을 볼팅체결방식에 의해 지지부재, 길이연장부재, 방향전환부재를 다양한 방향, 예컨대 수평방향, 수직방향, 경사방향 등으로 상호 체결하여 더욱 다양한 형상의 2차원 구조물, 3차원 구조물로 조립할 수 있다(도 11 참조).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조립체는 전술된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무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조립체는 도 12에 도시되었듯이 수평배치된 일 지지부재(1)의 제1 결합공과 경사배치된 타 지지부재(1)의 제1 결합공을 볼팅체결방식으로 체결하여 2개의 지지부재를 상호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이때, 경사배치된 지지부재는 수평배치된 지지부재의 보강 리브(121)로 지지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조립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지지부재,
11 ----- 제1 수직 지지판, 12 ----- 수평 지지판,
13 ----- 결속부,
2 ----- 길이연장부재,
21 ----- 제2 수직 지지판, 22 ----- 제1 결합 쐐기부,
23 ----- 제1 고정 바아,
3 ----- 방향전환부재,
31 ----- 코어부, 32 ----- 제3 수직 지지판,
33 ----- 제4 수직 지지판, 34 ----- 제2 결합 쐐기부,
35 ----- 제1 고정 바아.

Claims (10)

  1. 지지부재, 길이연장부재, 및 방향전환부재로 구성되어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는 모듈식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제1 결합공(111)을 천공한 제1 수직 지지판(11)과; 폭 중심에서 상기 제1 수직 지지판(11)을 수직상방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 수직 지지판(11)과 교차 지점에서 폭 방향으로 다수의 보강 리브(121)를 구비한 수평 지지판(12); 및 상기 수평 지지판(12)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수평 지지판(1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결속부(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부(13)는 상기 수평 지지판(12)의 양측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바닥부(131)와, 상기 바닥부(131)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양측 가장자리에서 대향되게 배치되고 체결홈(132a)을 갖춘 한쌍의 절곡부(132), 상기 바닥부(131)와 상기 한쌍의 절곡부(132)로 한정된 수용공간(133), 및 상기 한쌍의 절곡부(132) 사이에 이격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부(134)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연장부재(2)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제2 결합공(211)을 천공한 제2 수직 지지판(21)과; 상기 제2 수직 지지판(21)에 대해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제1 결합 쐐기부(22); 및 상기 제2 수직 지지판(21)과 상기 한쌍의 제1 결합 쐐기부(22)를 연결하는 제1 고정 바아(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결합 쐐기부(22)는 상기 제2 수직 지지판(21)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 길이부(221)와, 상기 길이부(221)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의 체결홈(132a)에 끼워져 걸리는 쐐기형상의 걸림턱(222)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부재(3)는 중앙에 관통공(311)을 구비한 코어부(31)와; 상기 코어부(31)의 일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3 결합공(321)을 구비한 제3 수직 지지판(32); 상기 제3 수직 지지판(32)과 직교되게 상기 코어부(31)의 타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4 결합공(331)을 구비한 제4 수직 지지판(33); 상기 코어부(31)에서 상기 수직 지지판(32,33)에 대해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게 뻗어 있는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 및 상기 수직 지지판(32,33)과 상기 한쌍의 제2 결합 쐐기부(34)를 연결하는 제2 고정 바아(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결합 쐐기부(34)는 상기 코어부(31)에서 상기 수직 지지판(32,33)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 길이부(341)와, 상기 길이부(341)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의 체결홈(132a)에 끼워져 걸리는 쐐기형상의 걸림턱(3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지지판(11)은 두께(T11)를 가지며,
    상기 결속부(13)는 상기 한쌍의 절곡부(132)의 양 자유단 사이에 이격 공간(S)을 제공하는 상기 슬롯부(134)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수직 지지판(11)의 양측 단부가 상기 슬롯부(134) 내에 삽입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3)는 상기 바닥부(131)의 폭 중심에 관통공(131b)을 천공하고,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부(132)의 양 자유단에 만곡부(132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립체.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 지지판(21)은 상기 제1 수직 지지판(11)의 두께(T11)와 동일한 두께(T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연장부재(2)는 상기 제1 고정 바아(23)의 일 단부를 상기 제2 수직 지지판(21)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고정 바아(23)의 타 단부를 상기 걸림턱(222)과 이격되게 상기 길이부(221)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립체.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직 지지판(32)은 상기 제1 수직 지지판(11)의 두께(T11)와 동일한 두께(T32)를 갖고,
    상기 제4 수직 지지판(33)은 상기 제1 수직 지지판(11)의 두께(T11)와 동일한 두께(T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재(3)는 상기 제2 고정 바아(35)의 일 단부를 상기 수직 지지판(32,33)의 자유단에 결합하고 상기 제2 고정 바아(35)의 타 단부를 상기 걸림턱(342)과 이격되게 상기 길이부(341)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립체.
KR1020190106632A 2019-05-14 2019-08-29 모듈식 조립체 KR102263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6090 2019-05-14
KR1020190056090 2019-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719A KR20200131719A (ko) 2020-11-24
KR102263662B1 true KR102263662B1 (ko) 2021-06-10

Family

ID=7367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632A KR102263662B1 (ko) 2019-05-14 2019-08-29 모듈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6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234B2 (ja) 1994-04-20 2001-04-23 旭化成株式会社 水性シリコーン変性アクリレート重合体エマルジョン
US20130036581A1 (en) 2011-08-08 2013-02-14 Yvon Renaud Furniture assembly modules
KR101534134B1 (ko) 2014-04-22 2015-07-24 최상현 인테리어 앵글 선반 또는 진열대를 조립하기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
KR101968872B1 (ko) * 2018-09-10 2019-04-12 심민보 조립식 방진가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90077A (zh) * 2005-12-26 2007-07-04 胡登富 多用途组合单元
JP3159234U (ja) * 2010-02-22 2010-05-13 ▲黄▼泗龍 継手
KR20140000597U (ko) * 2012-07-18 2014-01-28 김성태 조립식 책장
KR200482289Y1 (ko) 2015-09-02 2017-01-18 김윤식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KR101731268B1 (ko) 2015-10-07 2017-05-11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체 조립식 가구 및 그 조립방법
KR101988977B1 (ko) 2017-08-30 2019-09-30 홍희연 조립형 스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234B2 (ja) 1994-04-20 2001-04-23 旭化成株式会社 水性シリコーン変性アクリレート重合体エマルジョン
US20130036581A1 (en) 2011-08-08 2013-02-14 Yvon Renaud Furniture assembly modules
KR101534134B1 (ko) 2014-04-22 2015-07-24 최상현 인테리어 앵글 선반 또는 진열대를 조립하기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
KR101968872B1 (ko) * 2018-09-10 2019-04-12 심민보 조립식 방진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719A (ko)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350B2 (en) Modular overhead storage
US10368639B1 (en) Butt-join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of vertical bar with hook hole
US6257426B1 (en) Shelf engagement mechanism
JP3218606U (ja) フック体を有する組み立て式ラックフレーム構造
US20170339916A1 (en) Kit for modular housing for cats
US20070023376A1 (en) Modular shelving system
CA2861019C (en) Drainage body connecting element
CN107355672B (zh) 一种拼装结构
US20170238710A1 (en) Dual Side Post for Multiple Shelving Apparatus
CN107355671B (zh) 一种拼装结构
US20210372448A1 (en) Combining and expanding structure of layered frame
KR102263662B1 (ko) 모듈식 조립체
WO2015099007A1 (ja) 組立式ブロック構造およびロック解除具
KR102168248B1 (ko) 프레임 구조 선반
US20090113626A1 (en) Bed frame, plank, kit, and method
JP3227232U (ja) 組み立て式金属製棚
KR102186586B1 (ko) 무볼트 프레임가구
KR20090069623A (ko) 케이블 트레이
KR20130007219U (ko) 조립용 파티션
KR101183896B1 (ko)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
KR100271081B1 (ko)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KR101577781B1 (ko)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102071171B1 (ko)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
EP2520196A1 (en) Modular shelves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