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642B1 - Handrail for perdetrain protection - Google Patents
Handrail for perdetrain prot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3642B1 KR102263642B1 KR1020200136390A KR20200136390A KR102263642B1 KR 102263642 B1 KR102263642 B1 KR 102263642B1 KR 1020200136390 A KR1020200136390 A KR 1020200136390A KR 20200136390 A KR20200136390 A KR 20200136390A KR 102263642 B1 KR102263642 B1 KR 1022636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ength
- post
- pole
- strength reinforcement
- sidewal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행자 방호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andrails for pedestrian protection.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 및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의 경계에는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행자 방호용 난간이 설치되고 있다.In general, at the boundary of a road through which vehicles pass and a sidewalk through which pedestrians pass, handrails for protecting pedestrians are installed to protect pedestrians from vehicles.
보행자 방호용 난간은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지면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갖는 지주 및 지주들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대를 포함한다.The handrail for pedestrian protection is coupled to the ground in a state of being erect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includes a post having a hollow pipe shape and a crossbar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posts.
일반적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지주는 주로 경량 금속인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방식으로 제작되는데, 경량 금속을 사용하기 때문에 차량이 인도 방향으로 보행자 방호용 난간에 추돌할 경우 보행자 방호용 난간이 쉽게 파손되면서 보행자를 방호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The props of general pedestrian protection railings are mainly made of aluminum alloy, which is a lightweight metal, by extrusion method. Since light metal is used, if a vehicle collides with a pedestrian protection railing in the direction of the sidewalk, the pedestrian protection railing is easily damaged and protects pedestrians. It has a problem that it becomes difficult to protect.
한편, 도로에 인접하게 설치된 보행자 방호용 난간이 천재지변, 차량의 추돌 및 보행자에 의하여 일부 손상 및 파손될 경우 도로 관리자가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제조사, 연락처, 관리자 연락번호 등을 입수하기 어려워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유지 및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도 갖는다.On the other hand, if the pedestrian protection railing installed adjacent to the road is partially damaged or damaged by natural disasters, vehicle collisions, or pedestrians, it is difficult for road managers to obtain the manufacturer, contact information, and manager contact number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railing.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railing is difficult.
본 발명은 구조를 개선하여 경량 금속 소재로 제작되더라도 강도를 향상시켜 보행자의 방호력을 향상시킨 보행자 방호용 난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that improves the protection power of pedestrians by improving the strength even though it is made of a lightweight metal material by improving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천재지변, 차량 또는 보행자에 의하여 파손이 발생될 경우 도로 관리자가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제조사, 제조 일자, 관리자 연락처 등을 쉽고 빠르게 획득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보행자 방호용 난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having a function that allows a road manager to easily and quickly obtain a manufacturer, manufacturing date, manager contact information, etc. easily and quickly when damage occurs due to natural disasters, vehicles or pedestrians.
일실시예로서, 보행자 방호용 난간은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 및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경계에 배치되며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지주; 상기 지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지주의 적어도 일부가 지정된 각도로 비틀리게 형성된 강도 증강부; 상기 지주 및 상기 강도 증강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리브(rib) 형상으로 돌출된 강도 보강부; 및 상기 지주에 횡 방향으로 결합되는 횡대를 포함한다.As an embodiment, the handrail for pedestrian protection is disposed at the boundary of the road through which pedestrians and vehicles pass and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erect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hollow is formed therein;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is twisted at a specified angle; a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protruding in a rib shap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And it includes a cross bar coup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post.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상기 지정된 각도는 30°내지 90°이다.The above-specified angle of the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is 30° to 90°.
보행자 방호용 난간 중 상기 차량에 의해 상기 인도에서 통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지주 중 도로를 향하는 제1 부분은 제1 두께(t1)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 중 상기 인도를 향하는 제2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t2)로 형성되며,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제1 부분에서 제1 폭(D1)으로 형성되는 제1 강도 보강부 및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1 폭(D1)보다 넓은 제2 폭(D2)으로 형성되는 제2 강도 보강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protective power of pedestrians passing on the sidewalk by the vehicle among the handrails for pedestrian protection, a first portion of the posts facing the road is formed with a first thickness (t1), and a second of the posts facing the sidewalk The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thickness t2 that is thinner tha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includes a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formed with a first width D1 in the first portion and the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in the second portion and a second strength reinforcing part formed with a second width D2 wider than the width D1.
보행자 방호용 난간 중 상기 차량에 의해 상기 인도에서 통행하는 보행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주 중 상기 인도를 향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며 상기 도로를 향하는 제2 부분은 제1 두께(t1)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과 각각 연결된 제3 부분은 상기 제1 두께(t1)보다 얇은 제2 두께(t2)로 형성되며,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서 형성되며 제1 폭(D1) 및 제1 길이(L1)으로 형성된 제1 강도 보강부 및 상기 제3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폭(D1)보다 넓은 제2 폭(D2) 및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L2)로 형성된 제2 강도 보강부를 포함하며, 차량과 충돌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들은 상호 접촉되지 않게 형성되고, 차량과 충돌시 상기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들은 상호 접촉되어 충격을 흡수한다.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pedestrians passing on the sidewalk by the vehicle among the handrails for pedestrian protection, the first part of the posts facing the sidewalk and the second part facing the first part and facing the road have a first thickness (t1), a thir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respectively, is formed with a second thickness t2 that is thinner than the first thickness t1,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 first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formed in two portions and having a first width D1 and a first length L1, and a second width D2 and a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formed in the third portion and wider than the first width D1 and a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formed with a second length L2 longer than one length,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s do not contact each other when not collided with a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ar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absorb the impact.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상기 지주의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돌출된 제1 강도 보강부 및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돌출된 제2 강도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들은 상기 내측면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며, 외부 충격에 의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1 강도 보강부들 중 일부 제1 강도 보강부의 단부는 상기 제2 강도 보강부들 중 일부 제1 강도 보강부의 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된다.The thickness of the post of the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is formed to be the same, and on the inner side of the post, a first strength reinforcing part protruding to a first height from the inner surface and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from the inner surface A protruding second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 reinforcing portions ar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and some of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portions of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portions are formed to reinforce strength due to external impact. An end of the reinforcing unit is disposed to face a side surface of some of the second strength reinforcing units.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상기 지주는 중공이 형성된 삼각 기둥 형상, 중공이 형성된 사각 기둥 형상, 중공이 형성된 다각 기둥 형상,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 및 중공이 형성된 타원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철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다.The pillar of the handrail for pedestrian protection is formed in any one of a hollow triangular pole shape, a hollow square pole shape, a hollow polygonal pole shape,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hollow oval pole shape, The post is formed of any one of aluminum, aluminum alloy, stainless steel, iron, and synthetic resin.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상기 강도 증강부는 상기 지주의 양쪽 단부들로부터 이격된 상기 지주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횡대는 상기 강도 증강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지주의 양쪽 단부들에 연결된다.The strength enhancing portion of the handrail for pedestrian protection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pillar spaced apart from both ends of the pillar, and the crosspiec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illar where the strength enhancing portion is not formed.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상기 강도 증강부는 상기 지주의 양쪽 단부들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횡대는 상기 강도 증강부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지주에 연결된다.The strength enhancing part of the handrail for pedestrian protec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rut, respectively, and the crossbar is connected to the pole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strength enhancing parts.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상기 강도 증강부는 상기 지주의 양쪽 단부들에 각각 형성된 제1 강도 증강부 및 상기 지주에 상기 제1 강도 증강부들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강도 증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횡대는 상기 지주의 상단 및 상기 제1 강도 증가부와 상기 제2 강도 증강부 사이에 각각 연결된다.The strength-increasing portion of the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includes a first strength-increasing portion formed on both ends of the strut, respectively, and a second strength-increasing portion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rength-increasing portions on the strut, and the crossbar is the pole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and the first strength increasing unit and the second strength increasing unit, respectively.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상기 횡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횡대는 일부가 비틀려 형성된 횡대 강도 증강부 및 상기 횡대의 내측면으로부터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횡대 강도 보강부가 형성된다.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rosspiece of the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the crosspiece is formed with a cross-strength reinforcement part formed by twisting a part and a cross-strength reinforcement par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rosspiece in a rib shape.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은 구조를 개선하여 경량 금속 소재로 제작되더라도 강도를 향상시켜 보행자의 방호력을 향상시키고, 천재지변, 차량 또는 보행자에 의하여 파손이 발생될 경우 도로 관리자가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제조사, 제조 일자, 관리자 연락처 등을 쉽고 빠르게 획득할 수 있어 신속한 복구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The handrail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and improves the strength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even though it is made of a lightweight metal material, and in case of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vehicles or pedestrians, road managers can easily, quickly and accurately manufacture , manufacturing date, manager contact information, etc. can be obtained quickly and easily, so that rapid recovery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주의 다양한 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도 증강부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도 증강부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 및 강도 증강부 부분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횡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various cross-sections of the posts shown in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ength enhancing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ength enhanc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lding portion and a strength enhancing por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istinguish and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two different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ll or part of the components may be used by merging and mixing with each other even if there is no particular descrip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주의 다양한 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various cross-sections of the posts shown in FIG. 1 .
도 1을 참조하면, 보행자 방호용 난간(600)은 지주(100), 강도 증강부(200), 강도 보강부(300), 횡대(400) 및 2차원 정보 코드(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지주(100)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 및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의 경계에 배치 또는 설치되며, 지주(100)는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지주(10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주(100)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경량 합금을 고온 및 고압에서 압출한 압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지주(100)는 합성수지 소재를 압출 방식으로 제작하여 무방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주(10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삼각형 형상의 중공을 갖는 삼각 중공 기둥 형상,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사각형 형상의 중공을 갖는 사각 중공 기둥 형상,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다각형 형상의 중공을 갖는 다각 중공 기둥 형상,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원형인 중공을 갖는 원형 중공 기둥 형상 및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타원 형상인 중공을 갖는 타원 중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지주(100)가 사각 중공 기둥 형상인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지주(100)를 알루미늄 합금 소재 또는 합성 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중공 기둥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무게가 가볍고 중공을 포함하기 때문에 운반 및 시공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 반면 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과 충돌할 경우 지주(100)가 쉽게 파손되어 보행자의 인명 피해가 발생되는 단점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지주(100)를 경량 금속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면서도 지주(100)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주(100)에는 강도 증강부(200) 및 강도 보강부(300)가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strength of the
강도 증강부(200)는 지주(100)의 강도를 향상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서 지주(100) 중 지정된 각도로 비틀어진 부분으로 정의된다.The
예를 들어,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속하여 비틀어 형성할 경우, 강도 증강부(200)는 지주(100)의 전체에 형성된다.For example, when the
강도 증강부(200)는 지주(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비틀리게 형성하거나 지주(100)를 제조한 후 후속 공정을 통해 지주(100)에 형성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강도 증강부(200)는 30°내지 90°의 각도로 비틀어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다르게 강도 증강부(200)는 소재의 연성에 따라서 90°이상 180°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강도 보강부(300)는 강도 증강부(200)와 함께 지주(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The
강도 보강부(300)는 지주(100)의 내측면 및 강도 증강부(200)의 내측면으로부터 리브(rib) 형상으로 돌출 또는 연장될 수 있으며, 강도 보강부(300)는 지주(100) 및 강도 증강부(200)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횡대(400)는 지주(100)에 횡 방향으로 결합되어 보행자가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 및 차량이 인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횡대(400)에는 보조 지주(405)등이 결합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주(100)에 강도 증강부(200)가 형성된 상태에서 지주(100)의 외측면에는 중공을 갖는 사각 커버(미도시)가 결합됨으로써 지주(100)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지주(100)가, 예를 들어, 경량 금속 소재로 제작될 경우, 사각 커버(미도시)는 합성 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지주(100)가 합성 수지 소재로 제작될 경우, 사각 커버는 경량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When the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지주(100)에는 2차원 정보 코드(500)가 부착 또는 형성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tw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2차원 정보 코드(500)는, 예를 들어, 바코드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격자무늬를 포함하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2차원 정보 코드(500)에는 제조사 정보, 제품 모델 번호, 제조 일자 정보, 제조사 홈페이지 주소, 제조사 대표 전화 번호, 설치 일자 및 관리자 연락 번호 등과 같은 제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wo-
보행자 방호용 난간이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일부 손상되었을 경우 도로 관리자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2차원 정보 코드(500)를 스캔함으로써 간단하게 상술한 제품 정보를 확인하여 제조사에 연락을 취할 수 있다.When the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is damaged or partially damaged due to various causes, the road manager can contact the manufacturer by simply checking the above-mentioned product information by scanning the tw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2차원 정보 코드(500)는, 예를 들어, 지주(100) 및 횡대(400)의 일부에 부착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바람직하게 2차원 정보 코드(500)는 지주(100) 중 인도를 향하는 부분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나, 2차원 정보 코드(500)는 지주(10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 또는 부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wo-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지주(100)의 강도를 증가 또는 향상시키는 강도 증강부 및 강도 보강부들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of the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and strength reinforcement for increasing or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실시예 1Example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도 증강부에서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ength enhancing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행자 방호용 난간(600)은 지주(100), 강도 증강부(200), 강도 보강부(300), 횡대(400) 및 2차원 정보 코드(500)를 포함한다.1, 3 and 4, the
보행자의 방호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주(100) 중 도로를 향하는 제1 부분(110)은 제1 두께(t1)로 형성되고, 지주(100) 중 제1 부분(110)과 대향하며 인도를 향하는 제2 부분(120)은 제1 두께(t1)보다 얇은 제2 두께(t2)로 형성된다.In order to improve the pedestrian's protective power, the
이와 같이 제1 부분(110)의 제1 두께(t1)를 제2 부분(120)의 제2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할 경우, 차량의 충돌시 지주(100)의 파손을 최소화 및 이로 인해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인도를 향하는 제2 부분(120)의 제2 두께(t2)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고, 제2 부분(120)의 제2 두께(t2)가 얇아진 만큼 제1 부분(110)의 제1 두께(t1)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차량의 충돌 등에 대한 방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강도 증강부(200)는 지주(100)에 대하여 90°비틀린 상태이고, 이로 인해 강도 증강부(200)에서 제1 부분(110)은 차량의 주행 방향과 마주하게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4 , th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주행 방향으로 이동되는 차량이 지주(100) 및 강도 증강부(200)에 충돌하였을 때, 지주(100)의 파손이 최소화 되고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은 추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With such a structure, when a vehicle moving in the driving direction collides with the
한편, 지주(100)에 대하여 90°비틀린 강도 증강부(200)에 더하여 차량에 의해 인도에서 통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주(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강도 보강부(300)는 제1 강도 보강부(310) 및 제2 강도 보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도 3을 참조하면, 강도 증강부(200)를 제외한 지주(100)에 리브(rib)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강도 보강부(310)는 도로를 향하는 제1 부분(1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 강도 보강부(310)는 지주(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폭(D1) 및 제1 길이(L1)로 돌출 또는 연장된다.3, the first
제1 강도 보강부(310)는 지주(110)의 내측면으로부터 n개(단, n은 자연수)가 지정된 간격으로 돌출 또는 연장된다.The first
강도 증강부(200)를 제외한 지주(100)에서 리브(rib)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강도 보강부(320)는 인도를 향하는 제2 부분(120)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2 강도 보강부(320)는 지주(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강도 보강부(310)의 제1 폭(D1)보다 넓은 제2 폭(D2) 및 제1 강도 보강부(310)의 제1 길이(L1)보다 짧은 제2 길이(L2)로 돌출 또는 연장된다.The second
제2 강도 보강부(320)는 지주(110)의 내측면으로부터 m개(단, m은 자연수, m<n)가 지정된 간격으로 돌출 또는 연장된다.The secon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10,320)들은 동일한 부피 또는 서로 다른 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그러나 도 3에서 제1 부분(110)과 연결된 측벽들은 차량의 주행 방향과 마주하게 배치되지만 제1 부분(110)의 제1 두께(t1)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충격에 취약하다.However, in FIG. 3 , the sidewalls connected to the
그러나, 강도 증강부(200)는 지주(100)에 대하여 90°비틀어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강도 보강부(310)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마주하게 배치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 및 인도에서 보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강도 증강부(200)에 의한 강도 증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강도 증강부(200)의 높이는 차량들의 평균적인 범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maximize the strength enhancing effect by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10,320)들이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으나 압출 성형 과정에서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10,320)들의 단부들이 상호 연결되게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10,320)의 단부들이 상호 연결될 경우 차량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추가적으로 최소화 및 인도에서 보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실시예 2Example 2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도 증강부에서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ength enhanc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행자 방호용 난간(600)은 지주(100), 강도 증강부(200), 강도 보강부(300), 횡대(400) 및 2차원 정보 코드(500)를 포함한다.1, 5 and 6, the
인도에서 통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주(100) 중 도로를 향하는 제1 부분(130) 및 지주(100) 중 제1 부분(130)과 대향하며 인도를 향하는 제2 부분(140)은 각각 제1 두께(t1)로 형성된다.In order to improve the protective power of pedestrians passing on the sidewalk, the
한편, 제1 및 제2 부분(130,140)들과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3 부분(150)들은 제1 두께(t1)보다 얇은 제2 두께(t2)로 형성된다.Meanwhile, the pair of
이와 같이 지주(100) 중 제1 및 제2 부분(130,140)들의 두께를 제3 부분(150)보다 두껍게 형성할 경우, 인도로부터 차도를 향해 가해지는 충격 또는 인도를 향하는 차량의 충돌시 지주(100)의 파손을 최소화 및 이로 인해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인도 및 차도를 향하는 제1 및 제2 부분(130,140)들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제3 부분(15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인도에서 차도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충격 또는 인도를 향하는 차량의 충돌에 대한 지주(10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행자 뿐만 아니라 차량에 대한 방호력을 각각 향상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도 6을 참조하면, 강도 증강부(200)는 지주(100)에 대하여 90°비틀린 상태이고, 이로 인해 강도 증강부(200)에서 제1 부분(130)은 차량의 주행 방향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주행 방향으로 이동되는 차량이 지주(100) 및 강도 증강부(200)에 충돌하였을 때, 지주(100)의 파손이 최소화 되고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은 추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한편, 지주(100)에 대하여 90°비틀린 강도 증강부(200)에 더하여 차량에 의해 인도에서 통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주(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강도 보강부(300)는 제1 강도 보강부(330) 및 제2 강도 보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도 5을 다시 참조하면, 강도 증강부(200)를 제외한 지주(100)에서 리브(rib)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강도 보강부(330)는 도로를 향하는 제1 부분(130) 및 제2 부분(140)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 강도 보강부(330)는 지주(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폭(D1) 및 제1 길이(L1)로 돌출 또는 연장된다.Referring back to FIG. 5 , the first
강도 증강부(200)를 제외한 지주(100)에서 리브(rib) 형상을 갖는 제2 강도 보강부(340)는 제3 부분(150)들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2 강도 보강부(340)는 지주(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강도 보강부(330)의 제1 폭(D1)보다 넓은 제2 폭(D2) 및 제1 강도 보강부(330)의 제1 길이(L1)보다 짧은 제2 길이(L2)로 돌출 또는 연장된다.The secon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30,340)들은 동일한 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그러나 도 5에서 제1 및 제2 부분(130,140)과 연결된 제3 부분(150)들은 차량의 주행 방향과 마주하게 배치되지만 제1 및 제2 부분(130,140)의 제1 두께(t1)보다 얇은 제2 두께(t2)로 형성되기 때문에 충격에 취약하다.However, in FIG. 5 , the
그러나, 강도 증강부(200)는 지주(100)에 대하여 90°비틀어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강도 보강부(330)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마주하게 배치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 및 인도에서 보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강도 증강부(200)에 의한 강도 증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강도 증강부(200)의 높이는 차량들의 평균적인 범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강도 보강부(330)의 측면은 제2 강도 보강부(340)들의 단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지주(100)에 차량이 충돌하지 않았을 때에는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30,340)들이 상호 접촉되지 않지만, 차량과 지주(100)가 충돌하였을 때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30,340)들은 상호 접촉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지주(100)의 파손을 완화 및 차량 또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of the first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30,340)의 단부들이 상호 연결될 경우 차량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추가적으로 최소화 및 인도에서 보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압출 공정에 의하여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30,340)들을 형성할 때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30,340)들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지만, 이와 다르게 압출 공정에 의하여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30,340)들을 형성할 때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30,340)들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실시예 3Example 3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 및 강도 증강부 부분에서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lding portion and a strength enhancing por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행자 방호용 난간(600)은 지주(100), 강도 증강부(200), 강도 보강부(300), 횡대(400) 및 2차원 정보 코드(500)를 포함한다.1 and 7, the
지주(100) 및 강도 증강부(200)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경량 합금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지주(100)는 보행자 또는 차량에 대한 방호력이 감소될 수 있는 바, 보행자 또는 차량에 대한 방호력을 증강시키기 위해서 강도 보강부(300)는 제1 강도 보강부(350) 및 제2 강도 보강부(360)를 포함한다.The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50,360)들은, 예를 들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350,360)들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도 보강부(350)는 제1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강도 보강부(360)는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강도 보강부(350)는 지주(100) 및 강도 증강부(200)의 내측면으로부터 측정하였을 때 제1 높이로 형성되고, 제2 강도 보강부(360)는 지주(100) 및 강도 보강부(200)의 내측면으로부터 측정하였을 때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제1 높이를 갖는 제1 강도 보강부(350) 및 제2 높이를 갖는 제2 강도 보강부(360)는 지주(100) 및 강도 보강부(200)의 내측면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The first
외부 충격에 의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제1 높이를 갖는 제1 강도 보강부(350)들 중 일부 제1 강도 보강부(350)의 단부는 제2 강도 보강부(360)들 중 일부 제2 강도 보강부(360)의 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된다.Ends of some of the first
물론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제1 강도 보강부(350) 및 제2 강도 보강부(360)들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지만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에는 제1 강도 보강부(350) 및 제2 강도 보강부(360)들은 상호 접촉되면서 형상이 변경되고 이 과정에서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을 흡수하여 지주(100) 및 강도 증강부(200)의 손상을 최소화 및 방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Of course, when no external impact is applied, the first
실시예 4Example 4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showing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에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도 8에는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의 일부에만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된다.Although it is shown and described in FIG. 1 to continuously form the
도 8을 참조하면, 강도 증강부(200)는 지주(100)의 양쪽 단부들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주(100)의 중앙 부분에만 국부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 the
이와 같이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의 양쪽 단부들로부터 이격된 지주(100)의 중앙 부분에만 국부적으로 형성할 경우, 강도 증강부(200)는 차량의 평균적인 범퍼 높이 정도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인가된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이와 같이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의 양쪽 단부들로부터 이격된 지주(100)의 중앙 부분에 국부적으로 형성할 경우, 강도 증강부(200)의 양쪽에 대응하는 지주(100)의 양쪽 단부 부분에 횡대(400)를 설치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주(100)의 중앙부에 강도 증강부(20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주(100)를 압출한 후 지주(100)를 가열한 후 양쪽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지주(100)의 중앙 부분을 비틀어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orm the
실시예 5Example 5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showing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에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도 9에는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의 일부에만 복수개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된다.Although it is shown and described to continuously form the
도 9를 참조하면, 강도 증강부(200)는 지주(100)의 양쪽 단부들에 각각 형성되며, 강도 증강부(200)는 지주(100)의 중앙 부분에만 형성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9 , the
이와 같이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의 양쪽 단부들에만 형성하고 지주(100)의 중앙 부분에만 형성하지 않을 경우, 지주(100)의 하단 또는 상단에 집중적으로 반복하여 충격이 인가될 때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지주(100)의 방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이와 같이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의 양쪽 단부들에 각각 국부적으로 형성할 경우, 횡대(400)는 강도 증강부(200)가 형성되지 않은 지주(400)의 중앙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주(100)의 양쪽 단부에 강도 증강부(20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주(100)를 압출한 후 지주(100)의 중앙 부분에 비틀림 방지 부재를 삽입한 후 지주(100)의 중앙 부분을 고정한 후 지주(100)의 양쪽 단부를 비틀어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orm the
실시예 6Example 6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10 is a side view showing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에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도 10에는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의 일부에만 복수개 를 단속적으로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된다.Although it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FIG. 1 to continuously form the
도 10을 참조하면, 강도 증강부(200)는 제1 강도 증강부(210) 및 제2 강도 증강부(2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 the
제1 강도 증강부(210)는 지주(100)의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이와 같이 제1 강도 증강부(200)를 지주(100)의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할 경우, 지주(100)의 하단 또는 상단에 집중적으로 반복하여 충격이 인가될 때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지주(100)의 방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제2 강도 증강부(220)는 지주(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제2 강도 증강부(220)는 제1 강도 증강부(210)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지주(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2 강도 증강부(220)는 차량과의 충돌 등에 의하여 지주(100)에 인가된 충격을 흡수하여 방호력을 향상시킨다.The second
실시예 7Example 7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방호용 난간의 횡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보행자 방호용 난간(600)은 지주(100),강도 증강부(200), 강도 보강부(300) 및 횡대(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11 , the
이 중 횡대(400)는 경량 합금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횡대(400)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지주(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횡대(400)의 일부를 비틀어 형성한 횡대 강도 증강부(미도시) 및 횡대(400)의 내측면으로 적어도 1개가 연장된 횡대 강도 보강부(410)를 포함한다.Of these, the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보행자 방호용 난간은 구조를 개선하여 경량 금속 소재로 제작되더라도 강도를 향상시켜 보행자의 방호력을 향상시키고, 천재지변, 차량 또는 보행자에 의하여 파손이 발생될 경우 도로 관리자가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제조사, 제조 일자, 관리자 연락처 등을 쉽고 빠르게 획득할 수 있어 신속한 복구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improves the structure and improves the strength even though it is made of a lightweight metal material to improve the protection power of pedestrians, and in case of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vehicles or pedestrians, the road manager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obtain the manufacturer, manufacturing date, manager contact information, etc. quickly and easily, so it can be restored quickly.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지주 200...강도 증강부
300...강도 보강부 400...횡대
500...2차원 정보 코드100...
300...
500...two-dimensional information code
Claims (10)
상기 지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지주의 적어도 일부가 지정된 각도로 비틀리게 형성된 강도 증강부;
상기 지주 및 상기 강도 증강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리브(rib) 형상으로 돌출된 강도 보강부; 및
상기 지주에 횡 방향으로 결합되는 횡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에 상기 강도 증강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의 외측면에는 상기 지주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중공을 갖는 사각 커버가 씌워져 결합되며,
상기 강도 증강부는 상기 지주 중 차량들의 평균적인 범퍼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에서 도로를 향하는 제1 부분은 제1 두께(t1)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에서 상기 인도를 향하는 제2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t2)로 형성되며,
방호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2 두께(t2)는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2 두께(t2)가 얇아진 만큼 상기 지주에서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제1 두께(t1)는 증가되며,
상기 강도 증강부는 상기 지주의 일부를 90°로 비틀어 형성되며,
상기 지주에서 상기 도로를 향하는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강도 증강부에서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부분은 주행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의 충돌에 의한 방호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제1 부분에서 제1 폭(D1) 및 제1 길이(L1)로 형성되는 제1 강도 보강부 및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1 폭(D1)보다 넓은 제2 폭(D2) 및 상기 제1 길이(L1)보다 짧은 제2 길이(L2)로 형성되는 제2 강도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로부터 비틀린 상기 강도 증강부에서 상기 제1 강도 보강부는 차량의 주행방향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강도 보강부의 단부 및 상기 제1 강도 보강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 강도 보강부의 단부는 상호 이격되며,
상기 횡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횡대는 일부가 비틀려 형성된 횡대 강도 증강부 및 상기 횡대의 내측면으로부터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횡대 강도 보강부가 형성된 보행자 방호용 난간.a post disposed at the boundary of a sidewalk for pedestrians and a road for vehicles to pass, fixed to the ground, and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is twisted at a specified angle;
a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protruding in a rib shap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and
It includes a cross bar coupled to the pos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trength enhancing part is formed on the pole, a square cover having a hollow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ole is covered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The strength enhancing part is formed in the average bumper height of vehicles among the holdings,
A first portion facing the road from the post is formed with a first thickness (t1), and a second portion facing the sidewalk from the post is formed with a second thickness (t2) thinner than the first thickness,
In order to improve the protective force,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second part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n, and as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second part becomes thinner, the first part of the first part in the post The thickness t1 is increased,
The strength-enhancing part is formed by twisting a part of the post at 90°,
The first part facing the road from the pole is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strength enhancing part, so that the first part improves the protective power against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dvancing in the driving direc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includes a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art having a first width D1 and a first length L1 in the first part, and a second width D2 wider than the first width D1 in the second part. ) and a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formed with a second length (L2) shorter than the first length (L1),
The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art in the strength reinforcement part twisted from the pole is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 end of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unit and an end of the second strength reinforcing unit facing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rosspiece, the crosspiece is formed by twisting a part of the crosspiece strength reinforcement part, and the crossbar strength reinforcement par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rosspiece in a rib shape is formed.
상기 지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지주의 적어도 일부가 지정된 각도로 비틀리게 형성된 강도 증강부;
상기 지주 및 상기 강도 증강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리브(rib) 형상으로 돌출된 강도 보강부; 및
상기 지주에 횡 방향으로 결합되는 횡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에 상기 강도 증강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의 외측면에는 중공을 갖는 사각 커버가 씌워져 결합되며,
상기 강도 증강부는 상기 지주 중 차량들의 평균적인 범퍼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차량에 의해 상기 인도에서 통행하는 보행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주에서 상기 인도를 향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지주에서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며 상기 도로를 향하는 제2 부분은 제1 두께(t1)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과 각각 연결된 제3 부분은 상기 제1 두께(t1)보다 얇은 제2 두께(t2)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에서 인도 및 차도를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상기 제3 부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인도에서 차도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충격 또는 인도를 향하는 차량의 충돌에 대한 상기 지주의 방호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강도 증강부는 상기 지주에 대하여 90°비틀리게 형성되어 상기 지주에서 인도를 향하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지주에 대하여 비틀린 상기 강도 증강부에서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지주 및 상기 강도 증강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제1 폭(D1) 및 제1 길이(L1)으로 형성된 제1 강도 보강부 및 상기 제3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폭(D1)보다 넓은 제2 폭(D2) 및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L2)로 형성된 제2 강도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도 증강부가 상기 지주에 대하여 90°비틀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강도 증강부에서 상기 제1 강도 보강부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차량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 및 인도에서 보행하는 보행자의 방호력을 보다 향상시키며,
상기 제1 강도 보강부의 측면은 상기 제2 강도 보강부의 단부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차량과 충돌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들은 상호 접촉되지 않게 형성되고, 차량과 충돌시 상기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들은 상호 접촉되어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횡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횡대는 일부가 비틀려 형성된 횡대 강도 증강부 및 상기 횡대의 내측면으로부터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횡대 강도 보강부가 형성된 보행자 방호용 난간.a post disposed at the boundary of a sidewalk for pedestrians and a road for vehicles to pass, fixed to the ground, and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is twisted at a specified angle;
a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protruding in a rib shap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and
It includes a cross bar coupled to the pos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trength enhancing part is formed on the pole, a square cover having a hollow is covered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The strength enhancing part is formed in the average bumper height of vehicles among the holdings,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pedestrians passing on the sidewalk by the vehicle, a first portion from the strut facing the sidewalk and a second portion facing the first portion from the strut and facing the road have a first thickness t1 ) is formed by
A thir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arts in the post is formed with a second thickness t2 that is thinner than the first thickness t1,
By forming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facing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from the strut, and making the third portion relatively thin, an impact in the direction from the sidewalk to the roadway or a vehicle heading towards the sidewalk to improve the protective power of the holding against the collision of
The strength enhancing part is formed to be twisted by 90° with respect to the pole, and the first part facing the sidewalk from the pole is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strength enhancing part twisted with respect to the pole,
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is formed inside the pole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respectively, and is formed in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formed with a first width D1 and a first length L1, the first width D1 and a second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formed with a second wider width (D2) and a second length (L2)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The strength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to be twisted by 90° with respect to the pole, and the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art is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strength reinforcement part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a vehicle collision and to protect pedestrians walking on the sidewalk. to further improve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art is disposed to face the end of the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ar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arts do not contact each other when not collided with a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art, the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ar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absorb the impact,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rosspiece, the crosspiece is formed by twisting a part of the crosspiece strength reinforcement part, and the crossbar strength reinforcement par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rosspiece in a rib shape is formed.
상기 지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지주의 적어도 일부가 지정된 각도로 비틀리게 형성된 강도 증강부;
상기 지주 및 상기 강도 증강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리브(rib) 형상으로 돌출된 강도 보강부; 및
상기 지주에 횡 방향으로 결합되는 횡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에 상기 강도 증강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의 외측면에는 중공을 갖는 사각 커버가 씌워져 결합되며,
상기 강도 증강부는 상기 지주 중 차량들의 평균적인 범퍼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 및 상기 강도 증강부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 및 상기 강도 증강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돌출된 제1 강도 보강부 및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돌출된 제2 강도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강도 보강부들은 상기 내측면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며,
외부 충격에 의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1 강도 보강부들 중 일부 제1 강도 보강부의 단부는 상기 제2 강도 보강부들 중 일부 제1 강도 보강부의 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강도 보강부 및 상기 제2 강도 보강부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강도 보강부 및 상기 제2 강도 보강부가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해 상호 접촉되면서 형상이 변경되면서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지주 및 상기 강도 증강부의 방호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횡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횡대는 일부가 비틀려 형성된 횡대 강도 증강부 및 상기 횡대의 내측면으로부터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횡대 강도 보강부가 형성된 보행자 방호용 난간.a post disposed at the boundary of a sidewalk for pedestrians and a road for vehicles to pass, fixed to the ground, and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is twisted at a specified angle;
a strength reinforcing part protruding in a rib shap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ost and the strength enhancing part; and
It includes a cross bar coupled to the pos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trength enhancing part is formed on the pole, a square cover having a hollow is covered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The strength enhancing part is formed in the average bumper height of vehicles among the holdings,
The post and the strength enhancing part ar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 first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to a first height and a second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to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st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unit,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arts ar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arts ar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due to external impact, an end of some of the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arts of the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arts is disposed to face a side surface of some of the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arts of the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arts,
When no external impact is applied, the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art and the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he first strength reinforcement part and the second strength reinforcement par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xternal shock and the shape is changed to absorb the externally applied shock to improve the protective power of the holding and the strength reinforcement part make it,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rosspiece, the crosspiece is formed by twisting a part of the crosspiece strength reinforcement part and the crossbar strength reinforcement par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rosspiece in a rib shape is formed.
상기 지주는 중공이 형성된 삼각 기둥 형상, 중공이 형성된 사각 기둥 형상, 중공이 형성된 다각 기둥 형상,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 및 중공이 형성된 타원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철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보행자 방호용 난간.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is formed in any one of a hollow triangular prism shape, a hollow rectangular prism shape, a hollow polygonal prism shape,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hollow oval pole shape,
The pole is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formed of any one of aluminum, aluminum alloy, stainless steel, iron and synthetic resin.
상기 횡대는 상기 강도 증강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지주의 양쪽 단부들에 연결된 보행자 방호용 난간.According to claim 1,
The crossbar is a railing for pedestrian protec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ost in which the strength enhancement part is not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6390A KR102263642B1 (en) | 2020-10-21 | 2020-10-21 | Handrail for perdetrain prot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6390A KR102263642B1 (en) | 2020-10-21 | 2020-10-21 | Handrail for perdetrain prot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3642B1 true KR102263642B1 (en) | 2021-06-10 |
Family
ID=7637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6390A KR102263642B1 (en) | 2020-10-21 | 2020-10-21 | Handrail for perdetrain prot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364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3649U (en) * | 2007-05-07 | 2007-07-19 | 株式会社 エーシーコア | Column structure |
KR101081618B1 (en) * | 2010-11-01 | 2011-11-09 | (주)엘지하우시스 | Fence |
KR20140055618A (en) | 2012-10-31 | 2014-05-09 |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 Pedestrian protection fence for sidewalk roadway |
KR101523254B1 (en) * | 2014-12-17 | 2015-05-27 |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 Guardrail with safety support |
-
2020
- 2020-10-21 KR KR1020200136390A patent/KR10226364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3649U (en) * | 2007-05-07 | 2007-07-19 | 株式会社 エーシーコア | Column structure |
KR101081618B1 (en) * | 2010-11-01 | 2011-11-09 | (주)엘지하우시스 | Fence |
KR20140055618A (en) | 2012-10-31 | 2014-05-09 |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 Pedestrian protection fence for sidewalk roadway |
KR101523254B1 (en) * | 2014-12-17 | 2015-05-27 |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 Guardrail with safety suppor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05281B2 (en) |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 |
KR101913838B1 (en) | Fence | |
KR20100109080A (en) | Guide rails | |
KR102263642B1 (en) | Handrail for perdetrain protection | |
KR102263651B1 (en) | Handrail for perdetrain protection having two-dimensional infomation code | |
KR20080104647A (en) | Reinforced design fence | |
KR100969810B1 (en) | Add the suspension truss structure formed guardrail | |
KR100499530B1 (en) | Guardrail | |
KR100823594B1 (en) | Roadside safety barrier | |
KR100733970B1 (en) | The shock absorbing safety guard in road | |
KR100797863B1 (en) | Roadside safety barrier | |
RU2555728C1 (en) | Energy-absorbing road fence | |
KR101948987B1 (en) | Guardrail post structure | |
KR101710167B1 (en) | Automotive Shock Absorption dual Barriers | |
KR102185578B1 (en) |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 |
KR100682791B1 (en) | Guard beam for protecting cars impact | |
KR200347048Y1 (en) | A safty slide guard rail provide with impact-absorber of bridge, etc. | |
KR101928042B1 (en) | Fence | |
KR200294980Y1 (en) | Car protection fence | |
KR20040012654A (en) | Guard beam for protecting cars impact | |
KR100632956B1 (en) | guardrail | |
KR102151520B1 (en) | Multilayer damper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
CN218060062U (en) | Road bridge collision avoidance device | |
KR101585734B1 (en) |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
KR102552040B1 (en) | Handrail shock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