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734B1 -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5734B1 KR101585734B1 KR1020130163303A KR20130163303A KR101585734B1 KR 101585734 B1 KR101585734 B1 KR 101585734B1 KR 1020130163303 A KR1020130163303 A KR 1020130163303A KR 20130163303 A KR20130163303 A KR 20130163303A KR 101585734 B1 KR101585734 B1 KR 1015857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strut
- support
- impact
- fe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46 galvan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47 silicone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가 제공된다.
개시되는 방호울타리용 지주는, 일정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지주몸체부; 및 상기 지주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지주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주몸체부와 보 사이에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공간을 형성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되는 방호울타리는,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를 연결하는 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re is provided a support for a security fence having excellent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and a security fence having the same.
A strut for a guard fence, which is disclosed, comprises: a strut body portion forming a section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a shock absorbing part extending from the strut body part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rut body part and forming a shock absorbing space for absorbing an impact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between the strut body part and the beam have.
Also, the disclosed barrier fence includes: a support vertical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beam connecting the struts.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방호울타리에 사용되는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방호울타리는 주행 중 정상적인 주행경로를 벗어난 차량이 보도 또는 대향 차로 등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충돌시 소성변형을 통해 충돌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도로변이나 보도/차도의 경계, 또는 중앙분리대 등에 설치되는 시설물을 말한다. 또한, 방호울타리는 정상적인 주행경로를 벗어난 차량을 다시 정상 주행방향으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Generally, the protection fence prevents the vehicle departing from the normal traveling route during driving and away from the sidewalk or the opposite lane, and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through the plastic deformation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by minimizing the damage of the passenger and the vehicle. Means the facilities installed on the roadside, on the boundary of the sidewalk / roadway, or on the median separator. In addition, the guard fence is also used to return the vehicle that is out of the normal driving route back to the normal driving direction.
이러한 방호울타리는 크게, 차량이 충돌할 때 다소의 변형이 수반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가요성 방호울타리와, 추락 및 승월 방지를 주목적으로, 예를 들어 일체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이 변형되지 않는 구조물로 형성되는 강성 방호울타리로 구분될 수 있다.Such a protective fence is mainly composed of a flexible protective fence having a main function of absorbing impact energy accompanied by a slight deformation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a vehicle, And rigid protective fences formed of non-deformable structures.
도 1 및 도 2는 전술한 가요성 방호울타리(1)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Figs. 1 and 2 show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울타리(1)는 일렬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개의 지주(10)와, 2~3개의 지주(10)를 연결하는 다수의 보(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연결된 보(20)를 지주(10)로 떠받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and 2, the
이때, 지주(10)는 방호울타리(1)의 보(20)에 차량이 충돌할 때, 보(20)의 이탈을 막고 충격력에 저항할 수 있는 지지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20)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지주(10)에 체결 조립되며, 지주(10)의 하단부는 도로 측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주(10)는 지중에 매설된 상태로 고정되기도 하지만, 교량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연석(60) 위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Referring to FIG. 2, the
한편, 지주(10)를 연석(60)과 연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주(10)의 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50)와 연결되어 복수개의 앵커부재(40)를 통해 연석(60)에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a
이와 같이, 방호울타리(1)는 바닥판 콘크리트와 아스팔트포장재로 이루어지는 도로(3)의 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충돌시 충격력을 흡수하여 차량이 교량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시설로 시공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방호울타리(1)는 등급별(국내의 경우 SB1~7 등급, 미국의 경우 TL1~6 등급)로 주어진 충돌에너지에 저항해야 하며, 지주(10)를 통하여 이러한 충돌 에너지에 저항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지주(10)의 단면 형상은 프레스 가공과 용접을 통하여 원형, 사각형, I형, H형 등 다양하게 형태로 형성되고 있으나, 방호울타리(1)의 지주(10) 구조에 대한 설계기준은 국내에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며, 실차 충돌시험을 거쳐 적합성 여부가 결정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따라서, 실차 충돌시험의 강도 성능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보(20)와 지주(10)의 두께를 높여 강도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여러 개의 보강판을 지주(10)의 전면(도로측 면)에 덧대어 용접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방호울타리(1) 제작비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the strength performance condition of the actual vehicle collision te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특히, 종래의 방호울타리(1)는 프레스 가공 등으로 형성된 지주용 판재를 서로 용접하여 지주를 형성하므로 지주 제조를 위하여 다수의 용접 작업이 필요하고, 용접에 의해 성형된 지주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용융아연도금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호울타리(1)는 작업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도금과 같은 후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호울타리(1)는 보(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보(20)와 지주(10)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돌흡수부재(30)가 별도로 장착된다. 즉, 승용차와 같은 소형차의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방호울타리(1)에 별도의 충격흡수부재(30)가 장착된다.2, the
그러나, 이러한 충격흡수부재(30)는 별도로 제작되어 제작비 상승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보(20)와 지주(10) 사이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작업시간 및 공수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t least some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 for a security fence excellent in impact absorption performance and a security fence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가공성이 우수하고 시공성이 개선된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for a security fence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improved workability and a security fence hav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일정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지주몸체부; 및 상기 지주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지주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주몸체부와 보 사이에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공간을 형성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용 지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addle-type straddle-type straddle-type vehicle comprising: And a shock absorbing part extending from the strut body part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rut body part and forming a shock absorbing space for absorbing an impact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between the strut body part and the beam, Provide landings.
일 예로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지주몸체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어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지주몸체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된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와 대향하는 제2 플랜지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측면판을 구비하며, 상기 측면판의 폭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공간의 폭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지주몸체부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제2 플랜지가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제2 플랜지가 상기 제1 플랜지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ock absorber may be bent to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strut body portion to have a 'C' -shaped cross section. At this time,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lange portion bent and extended from both side ends of the pillar body, a second flange facing the first flange, and a side plat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nd the width of the shock absorbing space can be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side plate. The second flange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flange so that the second flange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pillar body are adjacent to each other.
그리고, 일 예로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상기 지주몸체부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굽힘부를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may have a bent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from the second flange toward the pillar body portion.
다른 예로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지주몸체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어 'ㅁ'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지주몸체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된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와 대향하는 제2 플랜지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대향하는 내측판을 구비하며, 상기 측면판의 폭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공간의 폭이 결정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both side ends of the strut body portion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At this time,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lange portion bent and extended from both side ends of the supporting body portion, a second flange facing the first flange, a side plat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nd an inner plate opposed to the side plate. The width of the shock absorbing space can be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side plate.
또한, 상기 측면판은 차량 충돌시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측면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주름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ide plate may have a corrugated port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to facilitate deformation when a vehicle collides.
그리고, 상기 지주몸체부는 상기 지주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lumnar body may have a concavo-convex port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ar body portion.
한편, 상기 지주몸체부 및 충격흡수부는 롤포밍에 의해 일체로 형성가능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holding body portion and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may have a cross section that can be integrally formed by roll forming.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전술한 지주; 및 상기 지주를 연결하는 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mprising: the above-mentioned support column vertical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beam connecting the stru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방호울타리는 상기 지주를 도로에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주몸체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완전히 고정되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차량 충돌시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충격흡수부 중 도로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지 않거나, 점 용접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fen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ase plate for mounting the strut on the road, the strut body being completely fixed to the base plate, A portion of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that is adjacent to the road is not fixed to the base plate so as to be easily or partially connected to the base plate through spot welding.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충격흡수부가 지주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보와 지주 사이에 별도의 충격흡수부재가 장착되지 않더라도 지주만으로도 우수한 충격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충돌시 충격흡수부의 국부적 좌굴 변형을 유도하여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지주에 충격흡수부가 설치되고, 별도의 충격흡수부재가 보와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종래기술에 비해 보다 우수한 충격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shock absorb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upport, excellent shock absorbing performance can be exhibited even if the support is not provided separately between the beam and the support.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 by absorbing the impact energy of the vehicle by inducing a local buckling deformation of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Furthermore, when a shock absorber is provided on the support and a separate shock absorber is provided between the beam and the support, it is possible to exhibit better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tha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주몸체부와 충격흡수부가 롤포밍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경우, 지주가 롤포밍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지주의 제조가 극히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주의 가공비 및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holding body portion and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have a cross-sectional shape that can be integrally formed by roll forming, since the strut can be integrally formed by roll form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processing cost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support are reduced.
특히, 종래의 방호울타리는 내식성 확보를 위해 도금작업이 필요하지만, 도금된 강재의 경우에는 용접성능이 저하되므로 지주 단면 형성이나 보강재 부착을 위한 용접을 수행한 후 용융아연도금 방식을 수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작기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주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지주의 제작을 위하여 용접을 하지 않거나 용접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으로 인한 가공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주의 성형 단계(즉, 롤포밍 단계)에서 도금처리된 내식강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도금비 저감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protection fence requires a plating operation to secure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in the case of the plated steel, since the welding performance is lowered, the hot dip galvanizing method is carried out after the welding for the formation of the cross- This leads to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period and cost are increased.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ort is integrally formed, welding can be omitted or welding can be minimized in order to manufacture a support. Therefore, not only the machining cost due to the welding can be reduced, but also the corrosion-resistant steel sheet subjected to the plating treatment can be used in the forming step of the support (i.e., the roll forming step).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방호울타리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호울타리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호울타리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호울타리의 횡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울타리용 지주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호울타리용 지주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용접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강도시험 또는 강도해석에 사용된 여러가지 지주의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종래기술의 일 예에 의한 지주의 사시도이고, (b)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여러가지 지주에 대한 강도시험 또는 강도해석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arrier fence;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guard fence shown in Fig. 1;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support for a security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welding state between a support for a security fence and a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ior art, and (b) and (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trength tests or strength analyzes for various supports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방호울타리(200)에 대해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3 and 4, a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방호울타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방호울타리(1)와 마찬가지로 지주(100)와 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방호울타리(200)는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주(100)와, 2~3개의 지주(100)를 연결하는 다수의 보(2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연결된 보(210)를 지주(100)로 떠받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3 and 4, a
상기 보(210)는 볼트부재(230)와 너트부재(240)를 통하여 지주(100)에 결합되며, 지주(100)의 하단부는 도로(3) 측에 고정된다. The
도 3에서는 지주(100)의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의해 연결된 후 앵커부재(270)을 통해 연석(260)에 고정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지주(100)가 도 3과 같이 연석(260)을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로(3)에 지주(100)를 고정하기 위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주(100)는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지지될 수도 있고, 연석(260) 대신에 지주(100)마다 설치된 콘크리트 블럭에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지주(100)를 도로에 지지시키거나 지주(100)와 보(210)를 연결하는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for supporting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방호울타리(200)에 사용되는 지주(100)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는 지주몸체부(110)와 충격흡수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to 8, the
상기 지주몸체부(110)는 일정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일 예로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지주몸체부(110)에 후술하는 충격흡수부(1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면 지주몸체부(110)의 단면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5 to 8, the holding
이러한 지주몸체부(110)는, 도로(3)에서 먼 곳에 배치되는 후면판(111)과, 상기 후면판(111)으로부터 연장된 측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lding
이때, 상기 지주몸체부(110)는 차량 충돌시 지주몸체부(110)의 국부 좌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지주몸체부(110)의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철부(113)는 좌굴 발생의 억제를 위하여 후면판(1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측판(11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부(120)는 상기 지주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지주몸체부(11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주몸체부(110)와 보(210) 사이에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상기 충격흡수부(1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몸체부(110)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어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5 to 7, the
즉, 상기 충격흡수부(120)는 상기 지주몸체부(110)의 측판(112)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된 제1 플랜지부(121)와, 상기 제1 플랜지(121)와 대향하는 제2 플랜지(123)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21, 123)를 연결하는 측면판(1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측면판(122)의 폭(길이)에 의해 충격흡수공간의 폭(D)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측면판(122)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충격흡수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충돌성능 확보를 위한 충격흡수부(120)의 설계가 용이해진다.That is, the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충격흡수부(120)는 상기 지주몸체부(110)의 측판(112)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제2 플랜지(123)가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제2 플랜지(123)가 상기 제1 플랜지(12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플랜지(123)가 거의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제2 플랜지(123)는 지주몸체부(110)의 개방된 단면을 폐쇄하는 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5 to 7, the
이러한 제2 플랜지(1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210)에 의해 결합되므로 제2 플랜지(123)가 직접 접합되지 않더라도 지주(100)의 폐단면을 형성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Since the
다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랜지(123)의 단부는 자유단으로서 비교적 쉽게 변형(출렁거림)될 수 있으므로 지주(100)의 운반이나 작업시 제2 플랜지(123)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제2 플랜지(123)의 단부에 의해 부상을 당하거나 제2 플랜지(123)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의 "A" 부분에 부분적으로 테이핑, 실리콘 도포, 점용접 등을 하여 제2 플랜지(123) 단부의 출렁거림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5 and 6,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부(120)는 상기 제2 플랜지(123)로부터 상기 지주몸체부(110)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굽힘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7, the
이러한 굽힘부(126)는 제2 플랜지(123)의 자유단 영역에 강성을 부여하므로 제2 플랜지(123)가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제2 플랜지(123)의 단부에 접촉하더라도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is bending
그리고, 상기 측면판(1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측면판(122)의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주름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주름부(125)는 도 6에 도시된 지주(100)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지주(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를 구성하는 충격흡수부(120)는 전체적으로 'ㅁ'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8, the
즉, 상기 충격흡수부(120)는 상기 지주몸체부(110)의 측판(112)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된 제1 플랜지부(121)와, 상기 제1 플랜지(121)와 대향하는 제2 플랜지(123)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21, 123)를 연결하는 측면판(122)과, 상기 측면판(122)에 대향하는 내측판(124)을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이와 같이, 지주몸체부(110)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충격흡수부(120)가 폐단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측면판(122) 뿐만 아니라 내측판(124)도 충격에 저항하게 되므로 차량충돌시의 충격흡수뿐만 아니라 충격흡수부(120)의 강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each
또한, 도 8에 도시된 지주(100)의 경우에도 제2 플랜지(123)로부터 상기 지주몸체부(110)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굽힘부(12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굽힘부(126)가 충격에 저항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시 충격흡수부(120)의 국부적 좌굴 변형을 유도하여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l buckling deformation of th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지주(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재(230) 및 너트부재(240)를 통하여 지주(100)의 제1 및 제2 플랜지(121, 123)에 보(210)를 장착함으로써 방호울타리(200)를 형성하게 된다.
3 and 4, the
한편, 상기 지주몸체부(110) 및 충격흡수부(120)는 롤포밍에 의해 일체로 형성가능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주몸체부(110) 및 충격흡수부(120)는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holding
이와 같이, 지주몸체부(110)와 충격흡수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지주(10)와는 달리 지주(100)의 형성을 위하여 용접이 필요하지 않거나 용접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특히, 종래의 방호울타리(1)는 지주(10)의 단면 형성이나 보강재 부착을 위한 용접을 수행한 후 용융아연도금 방식을 수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작기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주(10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지주(100)의 제작을 위하여 용접을 하지 않거나 용접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으로 인한 가공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주(100)의 성형 단계(즉, 롤포밍 단계)에서 도금처리된 내식강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도금비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Particularly, the
한편, 전술한 지주(100)는 도 3, 도 4 및 도 9에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50)를 통하여 도로측에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주몸체부(110)는 선용접(LW)이나 별도의 플레이트 를 이용한 볼트체결 등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격흡수부(120)는 차량 충돌시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충격흡수부(120) 중 도로에 인접한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고정되지 않거나, 점 용접(PW)을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몸체부(110)와 충격흡수부(120)의 제1 플랜지(121)는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선용접(LW)을 통해 완전히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차량의 충돌시 충격흡수부(120)의 하단부가 구속되지 않도록 제2 플랜지(123) 및/또는 측면판(122)과 베이스 플레이트(250) 사이는 용접을 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점용접(PW)을 수행할 수 있다.9, the holding
이와 같이, 충격흡수부(120)의 도로에 인접한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접합되지 않거나 약한 결합상태를 이루는 경우에는, 차량 충돌시 충격흡수부(120)의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충돌에너지의 흡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rtion of the
도 11은 도 10(a)에 도시된 종래의 지주에 대한 강도시험 및 도 10(b)와 도 10(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주(100)에 대하여 강도해석을 수행한 그래프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strength test for the conventional strut shown in Fig. 10 (a) and a strength analysis for the
도 10(a)의 종래의 지주는 두께 5mm의 강재를 사용하였고, 도 10(b) 및 도 10(c)의 경우에는 두께 4.5mm의 강재를 사용하되 충격흡수부(120)의 단면 크기를 달리 하였다.10 (b) and 10 (c), a steel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4.5 mm is used, but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10(b) 및 도 10(c)의 단면을 갖는 지주(100)의 경우 도 10(a)의 종래의 지주보다 더 큰 충격력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case of the
또한, 도 10(b)와 도 10(c)의 단면을 비교하면, 도 10(b)의 충격흡수공간의 폭(D1)보다 더 넓은 폭(D2)을 갖는 도 10(c)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그래프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부터 충격흡수부(120)를 통한 충격흡수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10 (b) and 10 (c), in the case of FIG. 10 (c) having a width D2 wider than the width D1 of the shock absorbing space in FIG. 1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raph moves to the right as a whol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through the
한편, 도 11에서 도 10(b)와 도 10(c)의 해석결과의 경우 도 10(a)에 비해 초기 강성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지주(100)와 베이스 플레이트(250),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지그(미도시)의 연결을 모두 고정지점으로 산정하였기 때문이지만, 지주(100)가 저항할 수 있는 전체적인 강도는 실제 시험을 하더라도 유사하게 유지될 것이다.
10 (b) and 10 (c), the initial stiffness is higher than that of FIG. 10 (a), because the stiffness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방호울타리용 지주 110... 지주몸체부
111... 후면판 112... 측판
113... 요철부 120... 충격흡수부
121... 제1 플랜지 122... 측면판
123... 제2 플랜지 124... 내측판
125... 주름부 126... 굽힘부
200... 방호울타리 210... 보
230... 볼트부재 240... 너트부재
250... 베이스 플레이트 260... 연석
270... 앵커부재100 ... guarded
111 ...
113 ... concave /
121 ...
123 ...
125 ...
200 ... Protected
230 ...
250 ...
270 ... anchor member
Claims (12)
상기 지주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지주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주몸체부와 보 사이에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공간을 형성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지주몸체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된 제1 플랜지와, 상기 제1 플랜지와 대향하는 제2 플랜지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측면판을 구비하여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상기 지주몸체부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굽힘부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용 지주.A holding body part forming a section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And an impact absorb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trut body portion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rut body portion and forming an impact absorbing space for absorbing an impact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between the strut body portion and the beam,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flange extending from both side ends of the pillar body, a second flange facing the first flange, and a side plate connecting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a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from the second flange toward the holding body portion side.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지주몸체부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제2 플랜지가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제2 플랜지가 상기 제1 플랜지보다 길게 형성되는 방호울타리용 지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flange extends longer than the first flange so that the second flange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pillar body ar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지주몸체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어 'ㅁ'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방호울타리용 지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is bent and extended from both side ends of the strut body portion and has a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지주몸체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된 제1 플랜지와, 상기 제1 플랜지와 대향하는 제2 플랜지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대향하는 내측판을 구비하는 방호울타리용 지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lange extending from both side ends of the strut body portion and extending from the opposite ends thereof, a second flange facing the first flange, a side plate connecting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an inner plate facing the inner plate.
상기 측면판은 차량 충돌시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측면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주름부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용 지주.8. The method of claim 1 or 7,
Wherein the side plate has a corrugated port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to facilitate deformation when a vehicle collides.
상기 지주몸체부는 상기 지주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부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용 지주.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6, and 7,
Wherein the pillar holding body has a protruding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holding body.
상기 지주몸체부 및 충격흡수부는 롤포밍에 의해 일체로 형성가능한 단면을 갖는 방호울타리용 지주.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6, and 7,
Wherein the holding body portion and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have a cross section integrally formed by roll forming.
상기 지주를 연결하는 보;
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The suppor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upport is disposed vertic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beam connecting said strut;
A protective fence comprising.
상기 지주를 도로에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주몸체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완전히 고정되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차량 충돌시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충격흡수부 중 도로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지 않거나, 점 용접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분적으로 연결된 방호울타리.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base plate for mounting the support on the road,
The holding body is completely fixed to the base plate,
The shock absorbing portion is not fixed to the base plate or a portion of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adjacent to the road is easily connected to the base plate through spot welding to facilitate deformation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3303A KR101585734B1 (en) | 2013-12-25 | 2013-12-25 |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3303A KR101585734B1 (en) | 2013-12-25 | 2013-12-25 |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5424A KR20150075424A (en) | 2015-07-06 |
KR101585734B1 true KR101585734B1 (en) | 2016-01-15 |
Family
ID=5378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3303A Active KR101585734B1 (en) | 2013-12-25 | 2013-12-25 |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573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6844B1 (en) | 2019-01-17 | 2019-10-01 | 주식회사 대왕 | Fence containing dangerous alarm and location informa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5954Y1 (en) * | 2002-02-05 | 2002-05-18 | 동부스틸주식회사 | Post of guide rail |
US20120119175A1 (en) * | 2007-08-21 | 2012-05-17 | Nucor Corporation | Roadway guardrail system |
KR101250534B1 (en) * | 2012-09-24 | 2013-04-12 | (주)효명 | A guiderail shpaping bumper using shock absorption unit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2721A (en) | 2004-12-23 | 2006-06-2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Shock absorber for steel railings |
-
2013
- 2013-12-25 KR KR1020130163303A patent/KR1015857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5954Y1 (en) * | 2002-02-05 | 2002-05-18 | 동부스틸주식회사 | Post of guide rail |
US20120119175A1 (en) * | 2007-08-21 | 2012-05-17 | Nucor Corporation | Roadway guardrail system |
KR101250534B1 (en) * | 2012-09-24 | 2013-04-12 | (주)효명 | A guiderail shpaping bumper using shock absorption uni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6844B1 (en) | 2019-01-17 | 2019-10-01 | 주식회사 대왕 | Fence containing dangerous alarm and location inform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5424A (en) | 2015-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0783B1 (en) | Pillar for supporting roadside vehicle barrier, and suppor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585734B1 (en) |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
KR101406423B1 (en) | Guard beam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
KR20080104647A (en) | Shock resistant design fence | |
KR20130080175A (en) | Guardrail structure having reinforcing function | |
CN210049095U (en) | Bridge guardrail | |
KR100872039B1 (en) | Shock Absorption Rail | |
KR101585733B1 (en) |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
KR20160146059A (en) | Vehicle protection fence | |
KR102185578B1 (en) |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 |
CA2981558C (en) | Spacer for road safety barrier | |
KR101235823B1 (en) | Safety fence for vehicle with impact absorption function | |
KR101353774B1 (en) | Guard beam connection member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
KR101902962B1 (en) | An Impact Absorbing Structure | |
JP5140748B2 (en) | Complex facility of concrete retaining wall, guard fence and wheel guide fence | |
KR101190671B1 (en) | Guardrail | |
KR102151520B1 (en) | Multilayer damper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
KR20150081461A (en) |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
JP6652462B2 (en) | Bridge fence | |
KR101603568B1 (en) | Post having function of absorbing impac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
KR102007769B1 (en) | Reinforcing unit for transition section of roadway | |
JP6733933B2 (en) | Vehicle restraint structure for bridge landslide | |
KR101181429B1 (en) | Guardrails for Absorption of Impact | |
KR101217832B1 (en) | Vehicle protection fence | |
JP6262444B2 (en) | Guard fence sup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