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436B1 -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436B1
KR102262436B1 KR1020190051140A KR20190051140A KR102262436B1 KR 102262436 B1 KR102262436 B1 KR 102262436B1 KR 1020190051140 A KR1020190051140 A KR 1020190051140A KR 20190051140 A KR20190051140 A KR 20190051140A KR 102262436 B1 KR102262436 B1 KR 102262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ttery cell
support member
tape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297A (ko
Inventor
정종홍
석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레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레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레버
Priority to KR1020190051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436B1/ko
Priority to PCT/KR2020/005675 priority patent/WO2020222529A1/ko
Publication of KR20200127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개시되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는, 실링부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전지셀이 로딩되는 전지셀 공급부; 접착 테이프가 권취된 테이프 롤이 거치되되, 상기 접착 테이프가 권출될 때 접착면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는 롤 거치대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부; 상기 접착 테이프의 끝단을 파지하는 그립 및, 상기 그립을 상기 실링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그립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테이프 권출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출된 상기 접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테이프 컷팅부;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절단된 상기 접착 테이프의 비접착면을 흡착하는 흡착유닛과, 상기 제1 지지부재를 회전시켜 절단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접착면이 상기 실링부와 마주하도록 하는 회동유닛 및, 상기 제1 지지부재를 상기 실링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제1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제1 접착부;를 포함하여, 절단된 상기 접착 테이프를,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실링부의 길이 방향을 나란하도록 접착한다.

Description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Taping Apparatus for Battery Cell}
본 발명(Disclosure)은,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접착 테이프를 권출할 때 불규칙한 휨이나 뒤틀림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테이핑 작업의 생산속도를 향상되며, 전지셀 실링부의 길이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으며, 전지셀의 상면 및 하면에 접착 테이프의 폭 방향 끝단을 밀착하여 접착 시킬 수 있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인 이차 전지셀은, 양극과 음극판 및 분리막으로 구성되는 전극 조립체가 전지 케이스로 포장된 구조이다.
전지 케이스는 다층 구조의 연 포장재로서, 그 끝단이 열융착 등으로 밀봉되는 실링부를 갖는 봉지구조이다.
전지 케이스에 사용되는 연 포장재는 수지층과 금속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그 끝단은 수지층 및 금촉층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끝단에 실링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지 케이스 자체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노출된 수지층과 금속층의 화학적 변성 현상을 방지하여, 내부의 전극 조립체를 보호할 수 있다.
실링부는 전지셀의 측면에 배치되며,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열융착되는 실링부 자체는 충격에 강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실링부에 인가되는 외력이, 실링부 돌출형성되는 연재질의 전지 케이스에 인가되면, 전지 케이스 자체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셀의 실링부를, 전지 케이스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조립하면, 실링부 자체와 전지 케이스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절연성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이차 전지셀에 형성되는 실링부를, 전극 조립체에 밀착하여 고정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착 테이프(21)는 테이프 롤(20)에서 일정한 길이로 권출되어 절단된다. 절단된 접착 테이프(21)를, 그 권출된 길이 방향이 전지셀(10)의 두께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하여 접착한다.
이러한 접착 방법은, 접착 테이프(21)가 실링부(11)를 길이(S) 방향을 따라 완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지셀(10)의 길이에 따라, 접착 테이프(21)를 절단하고 접착하는 단위 공정이 반복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지셀(10)에 접착 테이프(21)가 여러곳에 접착된다.
즉, 복수의 접착 테이프(21)가, 하나의 전지셀(10)에 폭(W) 만큼 실링부(11)를 감싸도록, 복수의 부위에 접착된다.
접착 테이프(21)를 실링부(11)에 접착하는 과정에서 크게 네 단계의 기계적 동작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첫째, 테이프 롤(20)에서 접착 테이프(21)를 권출하는 권출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권출된 접착 테이프(21)가 선형성을 유지하도록 텐션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권출된 접착 테이프(21)를 절단하는 절단동작이 수행된다. 접착 테이프(21)에 텐션이 인가되면 절단동작이 쉬워질 수 있다.
셋째, 절단된 접착 테이프(21)를 그 비접착면을 흡착하는 흡착동작이 수행된다.
넷째, 절단된 접착 테이프(21)를 실링부(11)에 접착하는 접착동작이 수행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방법은, 상술한 네 단계의 기계적 동작이 접착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접착 테이프(21)가 권출되는 길이 방향과 실링부(11)의 길이 방향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접착 테이프(21)를 접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접착 테이프(21)의 권출 상태 위치에 따라, 권출된 접착 테이프(21)의 자중에 따른 늘어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권출-흡착-절단-접착 동작이 동일한 공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상술한 동작이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3-0065286호
본 발명(Disclosure)은, 테이프 롤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배치함으로써, 접착 테이프를 권출할 때 불규칙한 휨이나 뒤틀림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회동유닛을 이용하여 제1 지지부재를 회전시켜, 테이핑 공정의 단위 동작을 동시 수행 가능하게 함으로써, 테이핑 작업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전지셀 실링부의 길이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전지셀의 상면 및 하면에, 접착 테이프의 폭 방향 끝단을 밀착하여 접착 시킬 수 있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는, 실링부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전지셀이 로딩되는 전지셀 공급부; 접착 테이프가 권취된 테이프 롤이 거치되되, 상기 접착 테이프가 권출될 때 접착면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는 롤 거치대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부; 상기 접착 테이프의 끝단을 파지하는 그립 및, 상기 그립을 상기 실링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그립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테이프 권출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출된 상기 접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테이프 컷팅부;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절단된 상기 접착 테이프의 비접착면을 흡착하는 흡착유닛과, 상기 제1 지지부재를 회전시켜 절단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접착면이 상기 실링부와 마주하도록 하는 회동유닛 및, 상기 제1 지지부재를 상기 실링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제1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제1 접착부;를 포함하여, 절단된 상기 접착 테이프를,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실링부의 길이 방향을 나란하도록 접착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상기 흡착유닛은, 상기 비접착면이 접하는 진공척 및 상기 진공척에 진공압을 인가하는 진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상기 흡착유닛은, 상기 진공척과 상기 제1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탄성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는, 하나의 상기 진공척에 복수개의 상기 진공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상기 흡착유닛은, 하나의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상기 그립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그립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흡착유닛을 이동시키는 흡착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흡착유닛과 상기 제1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유닛을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및 후퇴시키는 돌출동작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서로 다른 상기 돌출동작유닛을 순차적 또는 선별적으로 동작시키는 흡착-접착 제어부;를 더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상기 테이프 컷팅부는, 상기 그립이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커터를 이동시키는 커터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는,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실링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2 가압부재와, 상기 전지셀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유닛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상기 실링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제2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제2 접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제2 가압유닛과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탄성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상기 가압롤러유닛은, 상기 제2 가압부재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와, 일단에 상기 롤러가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부재에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롤러막대 및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막대에 압축탄성을 제공하는 롤러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롤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배치함으로써, 접착 테이프를 권출할 때 불규칙한 휨이나 뒤틀림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유닛을 이용하여 제1 지지부재를 회전시켜, 테이핑 공정의 단위 동작을 동시 수행 가능하게 함으로써, 테이핑 작업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셀 실링부의 길이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셀의 상면 및 하면에, 접착 테이프의 폭 방향 끝단을 밀착하여 접착 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를 이용하여 사이드 테이핑된 전지셀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회전축이 수직으로 배치된 테이프 롤에서 접착 테이프가 권출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회전축이 수평으로 배치된 테이프 롤에서 접착 테이프가 권출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제1 접착부에서 흡착유닛에 접착 테이프가 흡착되고 회동유닛이 제1 지지부재를 회전시킨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에서 제1 가압유닛이 동작하여 접착 테이프가 실링부에 접착된 상태의 도면.
도 8은 도 5의 제1 접착부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5의 제1 접착부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
도 10은 제1 접착부의 제2 실시형태에서 흡착 이동유닛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제1 접착부의 제2 실시형태에서 돌출동작유닛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도 5의 제2 접착부를 설명하는 분리 확대도.
도 13 내지 도 14는 제2 접착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를 이용하여 사이드 테이핑된 전지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는, 절단된 접착 테이프(21)를, 그 길이 방향이 실링부(11)의 길이(S) 방향을 나란하도록 접착한다.
접착 테이프(21)의 절단되는 길이(L)는, 전지셀(10) 또는 실링부(11)의 길이(S)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지셀(10)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단된 접착 테이프(21)를 접착할 수 있다. 이때 접착 테이프(21)의 길이(L)를 조절하여, 하나의 절단된 접착 테이프(21)가 실링부(11)를 감싸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11)의 길이에 대응하여 절단된 접착 테이프(21)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접착 테이프(21)를 실링부(11) 전체를 감싸도록 접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전지셀은 판형상이며, 실링부는 판형상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접착 테이프(21)를, 그 길이 방향이 실링부(11)의 길이 방향을 나란하도록 접착하기 위해서는, 절단된 접착 테이프(21)가 실링부(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도 3은 회전축이 수직으로 배치된 테이프 롤에서 접착 테이프가 권출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은 회전축이 수평으로 배치된 테이프 롤에서 접착 테이프가 권출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테이프 롤(20)의 회전축(20a)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접착 테이프(21)가 권출된다. 권출된 접착 테이프(21)는, 그 자중에 의해 연직 하방으로 늘어나며, 길이를 따라 뒤틀리게 된다.
접착 테이프(21)를 권출할 때, 접착 테이프(21)에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권출된 접착 테이프(21)에 선형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 테이프(21)는 얇은 박막으로서, 과도한 인장력이 인가되면,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또는 끊어질 수 있다.
반면에 인장력이 약하면, 상술한 늘어짐과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어렵다. 특히 자중에 의한 외력은 연직 방향으로 작용하며, 인가되는 인장력과 수직을 이룬다. 또한, 상술한 외력은 그 크기가, 권출된 접착 테이프(21)의 중심에서 가장 크다. 따라서 외력의 크기가 작아도 늘어짐과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권출된 접착 테이프(21)는, 직선으로 정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테이프 롤(20)의 회전축(20a)이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접착 테이프(21)가 권출된다. 권출된 접착 테이프(21)도 역시, 자체 자중에 의한 외력이 연직 하방으로 인가된다. 이때, 권출된 접착 테이프(21)의 중앙부가 연직 하방으로 휘어지지만, 뒤틀릴 수 없다.
도 4와 같이 테이프 롤(20)을 배치하여 접착 테이프(21)를 권출하면, 권출된 접착 테이프(21)의 변형이 단순하여, 직선으로 정렬하기 쉽다.
권출된 접착 테이프(21)의 하측에, 접착 테이프(21)를 지지할 수 있는 부재를 동일한 높이로 배치하면, 접착 테이프(21)가 권출되면서 자동적으로 그 선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테이프 롤(20)을 배치하면, 테이핑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는, 전지셀 공급부(110)와 테이프 공급부(120)와 테이프 권출부(130)와 테이프 컷팅부(140) 및 제1 접착부(150)를 포함한다.
전지셀 공급부(110)는, 실링부(11)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전지셀(10)이 로딩된다.
테이프 공급부(120)는, 접착 테이프(21)가 권취된 테이프 롤(20)이 거치되되, 테이프 롤(20)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거치되는 롤 거치대(121)를 포함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21)의 권출 방향이 전지셀(10)의 실링부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테이프 롤(20)의 회전축이 실링부(11)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룬다.
테이프 권출부(130)는, 접착 테이프(21)의 끝단을 파지하는 그립(131) 및 그립(131)을 실링부(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이동시키는 그립 이동유닛(132)을 포함한다.
테이프 컷팅부(14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출된 접착 테이프(21)를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한다.
제1 접착부(150)는, 제1 지지부재(151)와, 흡착유닛(152)과 회동유닛(153) 및, 제1 가압유닛(154)을 포함한다.
제1 지지부재(151)는 바람직하게는 전지셀(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이고, 실링부(11)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흡착유닛(152)은, 제1 지지부재(151)에 구비되고 절단된 접착 테이프(21)의 비접착면을 흡착한다.
회동유닛(153)은, 제1 지지부재(151)를 회전시켜, 절단되어 흡착유닛(152)에 흡착된 접착 테이프(21)의 접착면이 실링부(11)와 마주하도록 한다.
제1 가압유닛(154)은, 제1 지지부재(151)를 실링부(11)를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절단된 접착 테이프(21)를 실링부(11)에 접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흡착유닛(152)이 권출된 접착 테이프(21)의 비접착면의 하측에 배치된다. 테이프 컷팅부(140) 및 테이프 권출부(130)는 흡착유닛(152)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테이프 권출부(130)에 의한 권출동작과 테이프 컷팅부(140)에 의한 컷팅동작 및 흡착유닛(152)에 의한 흡착동작은, 전지셀 공급부(110)에 로딩된 전지셀(10)의 로딩 및 이동과 간섭하지 않는다.
절단된 접착 테이프(21)가 흡착유닛(152)에 흡착되면, 회동유닛(153)이 제1 지지부재(151)를 회전시켜, 절단된 접착 테이프(21)의 접착면이 실링부(11)와 마주하도록 한다. 이때 제1 가압유닛(154)이 흡착유닛(152)을 실링부(11)를 향하여 가압하면, 절단된 접착 테이프(21)가 실링부(11)에 접착된다. 이때, 테이프 권출부(130)에 의한 권출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는, 회동유닛(153)을 이용함으로써, 접착 테이프(21)의 권출-흡착-컷팅동작 공간과, 절단된 접착 테이프(21)의 접착동작이, 분리된 공간에서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는, 권출동작과 접착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흡착동작과 전지셀(10)의 로딩 또는 이동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핑 공정의 시간당 생산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롤(20)이 수직이 거치되고, 회동유닛(153)을 이용하기 때문에, 테이핑 장치의 점유면적이 최소화되도록, 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제1 접착부의 흡착유닛에 접착 테이프가 흡착되고 회동유닛이 제1 지지부재를 회전시킨 상태의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서 제1 가압유닛이 동작하여 접착 테이프가 실링부에 접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의 흡착유닛(152)은, 비접착면이 접하는 진공척(152a) 및 진공척(152a)에 진공압을 인가하는 진공홀(152b)을 포함한다.
진공척(152a)은 절단된 접착 테이프(21)를 흡착하는 흡착면을 제공하고, 실링부(11)에 가압하는 가압수단의 기능을 모두 수행한다.
또한 흡착유닛(152)은, 진공척(152a)과 제1 지지부재(151)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탄성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55)는, 진공척(152a)이 접착 테이프(21)를 실링부(11)에 가압할 때, 전지셀(10)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전지셀은, 사용되는 전자기기에 따라서, 전기 용량과 형상이 달라진다. 전지셀의 용량이 달라지면 크기와 실링부의 길이도 달라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방법은, 실링부(11)의 길이가 변경되면, 장치의 변경 및 동작 프로그램 변경 작업이 복잡해질 수 있다.
특히, 실링부(11)의 길이가 길어지면, 테이핑 작업의 작업 시간이 길어지거나, 테이프 공급, 권출, 컷팅, 흡착 및 접착동작을 수행하는 모든 장치 구성이 추가되어야 한다.
하나의 테이프 롤(20)을 이용할 경우에는, 테이핑 작업의 시간이 늘어난다. 테이핑 간격에 맞춰 테이프 롤(20)을 이동시켜야 하며, 테이핑 횟수 만큼 권출-흡착-컷팅-접착 동작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공정 시퀀스가 반복되어야 한다.
반면에, 테이프 공급, 권출, 흡착, 컷팅 및 접착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구성을 테이핑 횟수만큼의 중복설치할 수 있다. 테이핑 작업 시간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는, 전지셀(10)의 실링부(11) 길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제1 접착부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제1 접착부(150), 하나의 진공척(152a)에 복수개의 진공홀(152b)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접착부는, 진공척(152a)의 길이는 실링부(11)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제1 접착부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1 접착부의 제2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제1 접착부(150)는, 하나의 제1 지지부재(151)에, 복수개의 흡착유닛(152)이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제1 접착부(150)는, 그립(131)의 이동방향을 따라 흡착유닛(152)을 이동시키는 흡착 이동유닛을 더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흡착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복수의 흡착유닛 사이의 이격거리(D)를 조절함으로써, 실링부(11)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제1 접착부(150)는, 흡착유닛(152)과 제1 지지부재(151) 사이에 배치되어 흡착유닛(152)을 제1 지지부재(151)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및 후퇴시키는 돌출동작유닛(152c)을 더 포함한다.
돌출동작유닛(152c)이 흡착유닛(152)을 후퇴시키면, 회동유닛(153)에 의해 제1 지지부재(151)가 회전할 때, 다른 장치 구성들과의 충돌 가능성을 낮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제1 접착부(150)에서 제1 지지부재(151)는, 서로 다른 돌출동작유닛(152c)을 순차적 또는 선별적으로 동작시키는 흡착-접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착-접착 제어부을 이용함으로써, 제1 지지부재(151)가 복수개가 배치될 때, 특정한 위치의 흡착유닛(152)만 사용할 수 있다.
복수개의 흡착유닛(152)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하나의 절단된 접착 테이프(21)를 흡착하여 실링부에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에서 테이프 컷팅부(140)는, 그립(131)이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커터를 이동시키는 커터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터 이동유닛은, 테이프 롤(20)의 이동 동작이 없어도, 복수개의 절단된 접착 테이프(2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도 5의 제2 접착부를 설명하는 분리 확대도이며, 도 13 내지 도 14는 제2 접착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5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는, 제2 접착부(160)를 더 포함한다.
제2 접착부(160)는, 제2 지지부재(161)와, 제2 가압부재(162)와, 가압롤러유닛(163) 및 제2 가압유닛(164)을 포함한다.
제2 지지부재(161)는 전지셀(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 가압부재(162)는, 실링부(11)를 향하여 배치되어 제2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가압롤러유닛(163)은, 전지셀(10)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다른 제2 접착부(160)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2 접착부(160)는, 제1 접착부(150)에 의해 실링부(11)에 접착된 절단된 접착 테이프(21)를, 전지셀(10)의 측면 뿐만 아니라 상면과 하면에 접착한다.
제2 가압유닛(164)은, 제2 지지부재(161)를 실링부(11)를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전지셀(10)의 측면에 접착 테이프(21)를 밀착시킨다.
이때 제2 가압부재(162)와 제2 지지부재(161)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탄성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165)를 더 포함하여, 제2 가압유닛(164)의 동작에 따른 전지셀(10) 측면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가압롤러유닛(163)은, 한 쌍의 롤러(163a)와, 한 쌍의 롤러막대(163b) 및 롤러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한 쌍의 롤러(163a)는, 제2 가압부재(162)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배치된다. 롤러(163a)는 전지셀(10)의 상면과 하면상에서 굴림동작한다.
한 쌍의 롤러막대(163b)는, 그 일단에 롤러(163a)가 배치되고 타단이 제2 지지부재(161)에 힌지 결합한다.
롤러 탄성부재(163c)는, 한 쌍의 롤러막대(163b)가 서로 접근하도록 롤러막대(163b)에 압축탄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롤러 탄성부재(163c)의 압축탄성은, 한 쌍의 롤러(163a)가 전지셀(10)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을 가압하며 굴림되도록 한다.

Claims (12)

  1. 실링부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전지셀이 로딩되는 전지셀 공급부;
    접착 테이프가 권취된 테이프 롤이 거치되되, 상기 테이프 롤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거치되고 상기 실링부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어 상기 접착 테이프의 권출 방향이 상기 실링부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롤 거치대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부;
    상기 접착 테이프의 끝단을 파지하는 그립 및, 상기 그립을 상기 실링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그립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테이프 권출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출된 상기 접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테이프 컷팅부; 및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절단된 상기 접착 테이프의 비접착면을 흡착하는 흡착유닛과, 상기 제1 지지부재를 회전시켜 절단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접착면이 상기 실링부와 마주하도록 하는 회동유닛 및, 상기 제1 지지부재를 상기 실링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제1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제1 접착부;를 포함하고,
    절단된 상기 접착 테이프를,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실링부의 길이 방향을 나란하도록 접착하고,
    상기 흡착유닛은 하나의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상기 그립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전지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이고 상기 실링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그립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흡착유닛을 이동시키는 흡착 이동유닛; 및 상기 흡착유닛과 상기 제1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유닛을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및 후퇴시키는 돌출동작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컷팅부는, 상기 그립이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커터를 이동시키는 커터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롤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접착 테이프를 권출할 때 불규칙한 휨이나 뒤틀림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접착 테이프의 권출 방향이 상기 전지셀의 실링부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전지셀 실링부의 길이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유닛은,
    상기 비접착면이 접하는 진공척 및 상기 진공척에 진공압을 인가하는 진공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착유닛은,
    상기 진공척과 상기 제1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탄성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진공척에 복수개의 상기 진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상기 돌출동작유닛을 순차적 또는 선별적으로 동작시키는 흡착-접착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실링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2 가압부재와, 상기 전지셀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유닛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상기 실링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제2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제2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제2 가압유닛과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탄성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유닛은,
    상기 제2 가압부재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와, 일단에 상기 롤러가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부재에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롤러막대 및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막대에 압축탄성을 제공하는 롤러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KR1020190051140A 2019-05-01 2019-05-01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KR102262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40A KR102262436B1 (ko) 2019-05-01 2019-05-01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PCT/KR2020/005675 WO2020222529A1 (ko) 2019-05-01 2020-04-29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40A KR102262436B1 (ko) 2019-05-01 2019-05-01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968A Division KR20210053829A (ko) 2021-04-26 2021-04-26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297A KR20200127297A (ko) 2020-11-11
KR102262436B1 true KR102262436B1 (ko) 2021-06-09

Family

ID=7302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140A KR102262436B1 (ko) 2019-05-01 2019-05-01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2436B1 (ko)
WO (1) WO20202225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597A1 (ko) * 2022-08-24 2024-0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택형 전극조립체의 테이핑 장치 및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테이핑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062A (ko) * 2020-07-13 2022-01-20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테이핑장치 및 테이핑방법
KR102505146B1 (ko) * 2021-03-04 2023-03-02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가접유닛
KR102505155B1 (ko) * 2021-03-04 2023-03-02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가접유닛
KR102487118B1 (ko) * 2021-03-09 2023-01-10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KR102625484B1 (ko) 2021-08-13 2024-01-16 (주)휴민로보틱스 테이프 부착장치
CN114122488B (zh) * 2021-11-09 2022-07-15 广东东博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电芯两侧贴裹整形机
CN114229074A (zh) * 2021-12-10 2022-03-25 广东东博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叠片电芯绕胶设备
KR102468889B1 (ko) 2022-06-10 2022-11-21 주식회사 기성이에스티 자동나사체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913B1 (ko) * 2018-09-21 2018-12-11 최상범 배터리 셀의 절연테이프 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417B1 (ko) * 2010-12-21 2013-07-18 (주)열린기술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테이핑장치
KR101883913B1 (ko) 2011-12-09 2018-08-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640969B1 (ko) * 2013-07-05 2016-07-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테라스용 테이프 부착 장치
KR101849421B1 (ko) * 2013-10-31 2018-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절연 테이프 자동 부착 장치
KR102111445B1 (ko) * 2016-04-14 2020-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913B1 (ko) * 2018-09-21 2018-12-11 최상범 배터리 셀의 절연테이프 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597A1 (ko) * 2022-08-24 2024-0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택형 전극조립체의 테이핑 장치 및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테이핑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297A (ko) 2020-11-11
WO2020222529A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436B1 (ko)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KR20210053829A (ko)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JP4797561B2 (ja) 基板収納体
JP4054359B2 (ja) フィルム剥離方法と装置
KR102163499B1 (ko) 전지셀의 실링부 접합 장치
KR101827204B1 (ko) 롤투시트 풀림공급장치
WO2019242663A1 (zh) 焊接设备和太阳能电池的组装方法
CN113012582B (zh) 一种弯折装置以及折叠显示装置
EP2682358B1 (en) Web winding apparatus
JP6815185B2 (ja) 超音波切断装置
CN102403196A (zh) 薄片粘贴装置及粘贴方法
CN109573158B (zh) 锂电池贴膜机
TWI440063B (zh) 電子零件及其製造方法
CN210200855U (zh) 一种折弯贴胶机及电池生产线
US20050109651A1 (en) Wrapping member for a glass substrate for FPD and a method of transferring a glass substrate for FPD
US8910692B2 (en) Label attaching device
CN219123294U (zh) 自动贴双面胶机构
WO2021012252A1 (zh) 柔性显示装置及终端
CN210200883U (zh) 一种麦拉上料机构及电池生产线
JPH08292433A (ja) 粘着フィルム剥離方法及び装置
CN114243084B (zh) 电芯包装设备
JP2009298571A (ja) 巻ずれ防止冶具及びこれを用いたロール・ツー・ロール真空成膜装置
CN209016206U (zh) 一种贴胶装置
JP6198709B2 (ja) 捲回装置
JP6036582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テープ取付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