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445B1 -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445B1
KR102111445B1 KR1020160045392A KR20160045392A KR102111445B1 KR 102111445 B1 KR102111445 B1 KR 102111445B1 KR 1020160045392 A KR1020160045392 A KR 1020160045392A KR 20160045392 A KR20160045392 A KR 20160045392A KR 102111445 B1 KR102111445 B1 KR 10211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adhesive
fixing
pressure roller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7681A (ko
Inventor
정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45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44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7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0267
    • H01M2/029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의 전지케이스 외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2열 이상의 접착테이프들을 동시에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접착테이프들을 설정된 길이로 인취(引取)하는 테이프 클램핑부; 상기 테이프 공급부의 전방에 장착되어 인취된 접착테이프들을 커팅하는 테이프 커팅부; 상기 테이프 커팅부에 의해 절취된 접착테이프들을 그 하부 위치에서 흡착하도록 접착테이프들의 길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 상기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압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가압 롤러 장착부; 상기 가압 롤러 장착부와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을 전지케이스의 접착테이프 부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방 위치에서 전지케이스를 고정하는 전지셀 장착부; 및 상기 테이프 공급부가 부착되어 있는 고정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 {Taping Apparatus Capable of Attaching Adhesive Tape to Battery Cell}
본 발명은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과 전해액의 구성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그 중 전해액의 누액 가능성이 적으며, 제조가 용이한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의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되며,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로 이루어져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에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이 중, 전지의 고용량화로 인해 케이스의 대면적화 및 얇은 소재로의 가공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이에 따라,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셀의 외주면의 밀봉 잉여부들은 전지의 크기 증가를 유발하게 되므로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측부면에 밀착시킨다. 밀봉 잉여부들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시키거나, 밀봉 잉여부들에 테이프를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지셀에서 밀봉 잉여부들을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밀봉 잉여부들이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측면으로부터 절곡 이전의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밀착 상태의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공정들이 종래에는 수작업에 의해 수행되어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고, 종래의 테이프 부착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다수의 공정들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종래의 공정은, 생산성이 떨어지고, 다수의 공정들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는바, 이를 해결하고자 2열 이상의 접착테이프들을 동시에 공급하고, 가압 롤러를 사용하여 전지셀의 하면 일부와 실링부의 외면 및 전지셀의 상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둘 이상의 접착테이프들을 부착하는 테이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의 전지케이스 외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2열 이상의 접착테이프들을 동시에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접착테이프들을 설정된 길이로 인취(引取)하는 테이프 클램핑부;
상기 테이프 공급부의 전방에 장착되어 인취된 접착테이프들을 커팅하는 테이프 커팅부;
상기 테이프 커팅부에 의해 절취된 접착테이프들을 그 하부 위치에서 흡착하도록 접착테이프들의 길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
상기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압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가압 롤러 장착부;
상기 가압 롤러 장착부와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을 전지케이스의 접착테이프 부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방 위치에서 전지케이스를 고정하는 전지셀 장착부; 및
상기 테이프 공급부가 부착되어 있는 고정대;
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는, 종래의 다수의 공정들이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수의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는 과정, 고정하는 과정, 절단하는 과정 등을 하나의 공정으로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테이프 클램핑부는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테이프의 일단을 상하면으로부터 가압하여 클램핑하고, 테이프 공급부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유도용 슬라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테이프 클램핑부는 수평 이동을 위해 테이프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 형상의 슬라이드 바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테이프 커팅부는 테이프 공급부의 전방에 장착되어 테이프 클램핑부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착테이프들을 커팅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제 1 슬라이드 및 제 2 슬라이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은 제 1 슬라이드가 이동하는 방향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고, 전지케이스 하면의 접착테이프 부착 위치로 이동하여 절취된 접착테이프의 일단을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 롤러 장착부의 전방 일측에는 수직 단면 상으로 'ㄱ'자형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단부에 가압 롤러가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롤러 장착부는 접착테이프들의 전지케이스의 외면에 동시에 부착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은 제 1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 및 제 2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 롤러 장착부는, 제 2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이 전지케이스 하면에 절취된 접착테이프의 일단을 부착한 상태에서, 접착테이프를 전지케이스의 측면 및 상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에는 접착테이프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면의 대향면을 흡착하도록 흡착용 구멍들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제 1 슬라이드 및 제 2 슬라이드로 구성되어 있고, 가압 롤러 장착부와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을 접착테이프 부착 위치로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지셀 장착부에는 판상형 전지케이스의 일측면이 가압 롤러 장착부를 향해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고정대에는 접착테이프들을 공급하는 둘 이상의 접착테이프 공급 롤러들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장치에는 테이핑 장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테이핑 장치는 탈착이 가능한 유지보수용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테이핑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지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지셀은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외주변을 따라 파우치형 케이스의 열융착에 의한 실링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부들 중에서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실링부에 인접한 측면 실링부들은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외측벽에 대면하도록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실링부에는 전지셀의 하면 일부와 실링부의 외면 및 전지셀의 상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둘 이상의 접착테이프들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접착테이프들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실링부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는, 종래의 다수의 공정들이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수의 접착테이프를 공급, 고정, 및 절단하는 과정들을 하나의 공정으로 단순화하고, 2열 이상의 접착테이프들을 공급하여 전지셀의 비연속적인 부분에 동시에 부착함으로써,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장착 장치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장치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의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테이핑 장치(100)는 테이프 공급부(110), 테이프 클램핑부(120), 테이프 커팅부(130),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140), 가압 롤러 장착부(150), 슬라이딩부(160), 전지셀 장착부(도 4: 180), 및 고정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착테이프(도시하지 않음)는 접착테이프 공급 롤러들(171)을 통해 공급되고, 테이프 공급부(110)는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도록 고정대(170)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고정대(170)에는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는 둘 이상의 접착테이프 공급 롤러들(171)이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클램핑부(120)는 테이프 공급부(110)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설정된 길이로 인취한다. 즉, 테이프 클램핑부(120)는 테이프 공급부(110)로부터 접착테이프의 일단을 상하면으로부터 가압하여 클램핑하고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테이프 클램핑부(120)는 테이프 공급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유도용 슬라이드(도시하지 않음)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테이프 클램핑부(120)는 X축 방향의 수평 이동을 위해 테이프 공급부(110)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 형상의 슬라이드 바(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테이프 커팅부(130)는 테이프 공급부(110)의 전방에 장착되어 테이프 클램핑부(120)의 이동 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면상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착테이프를 커팅한다.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140)은 제 1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141) 및 제 2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142)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140)은 테이프 커팅부(130)에 의해 절취된 접착테이프를 그 하부 위치에서 흡착하도록 접착테이프의 길이에 대응한다.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140)에는 접착테이프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면의 대향면을 흡착하도록 흡착용 구멍들(143)이 천공되어 있다.
제 2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142)은 제 1 슬라이드(161)가 이동하는 방향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고, 전지케이스(102) 하면(103)의 접착테이프 부착 위치로 이동하여 절취된 접착테이프의 일단을 부착한다.
가압 롤러 장착부(150)는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압 롤러(155)가 장착되어 있다. 가압 롤러 장착부(150)의 전방 일측에는 수직 단면 상으로 'ㄱ'자형의 제 1 절곡부(151) 및 제 2 절곡부(152)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절곡부(152)의 단부에 가압 롤러(155)가 장착되어 있다.
가압 롤러 장착부(150)는, 제 2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142)이 전지케이스(102)의 하면(103)에 절취된 접착테이프의 일단을 부착한 상태에서, 접착테이프를 전지케이스(102)의 측면 및 상면에 부착한다.
슬라이딩부(160)는 제 1 슬라이드(161) 및 제 2 슬라이드(162)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부(160)는 가압 롤러 장착부(150)와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140)을 전지케이스(102)의 접착테이프 부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전지셀 장착부(180)는 슬라이딩부(160)의 제 1 슬라이드(161)의 전방 위치에서 전지케이스(102)를 고정한다. 전지셀 장착부(180)에는 판상형 전지케이스의 일측면이 가압 롤러 장착부(150)를 향해 장착되어 있다.
다수의 접착테이프들을 추가로 공급하기 위해 테이프 공급부(110)들과 이에 대응하는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140)을 연결하면 접착테이프들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장착 장치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지셀 장착부(180)는 슬라이딩부(도 2: 160)의 전방 위치에서 전지셀(101)의 전지케이스(102)를 고정한다. 전지셀 장착부(180)에는 판상형 전지케이스(102)의 일측면이 가압 롤러 장착부(150)를 향해 장착되어 있다.
절취된 접착테이프(190)는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140)에 흡착되고, 그 사이에 가압 롤러(155)가 장착되어 있다.
제 2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142)은 제 1 슬라이드(161)가 이동하는 방향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고, 전지케이스(102) 하면의 접착테이프 부착 위치(103)로 이동하여 절취된 접착테이프(190)의 일단을 부착한다. 절취된 접착테이프(190)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셀의 하면 일부, 측면, 및 상면 일부에 부착된다.
전극단자(105)가 위치하는 실링부에 인접한 측면 절곡된 실링부(104)는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외측벽에 대면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가압 롤러 장착부(150)의 가압 롤러(155)는 절곡된 실링부(104)에 전지셀(101)의 하면의 접착테이프 부착 위치(103)와 실링부(104)의 외면 및 전지셀(101)의 상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절취된 접착테이프(190)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9)

  1.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의 전지케이스 외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2열 이상의 접착테이프들을 동시에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접착테이프들을 설정된 길이로 인취(引取)하는 테이프 클램핑부;
    상기 테이프 공급부의 전방에 장착되어 인취된 접착테이프들을 커팅하는 테이프 커팅부;
    상기 테이프 커팅부에 의해 절취된 접착테이프들을 그 하부 위치에서 흡착하도록 접착테이프들의 길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
    상기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압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가압 롤러 장착부;
    상기 가압 롤러 장착부와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을 전지케이스의 접착테이프 부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방 위치에서 전지케이스를 고정하는 전지셀 장착부; 및
    상기 테이프 공급부가 부착되어 있는 고정대;
    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커팅부는 테이프 공급부의 전방에 장착되어 테이프 클램핑부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착테이프들을 커팅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제 1 슬라이드 및 제 2 슬라이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 롤러 장착부와 상기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을 접착테이프 부착 위치로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시키고,
    상기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은 제 1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 및 제 2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은, 상기 제 1 슬라이드가 이동하는 방향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고, 전지케이스 하면의 접착테이프 부착 위치로 이동하여 절취된 접착테이프의 일단을 부착하고,
    상기 가압 롤러 장착부는, 상기 제 2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에 의해 절취된 접착테이프의 일단이 전지케이스 하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접착테이프를 전지케이스의 측면 및 상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클램핑부는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테이프의 일단을 상하면으로부터 가압하여 클램핑하고, 테이프 공급부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유도용 슬라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클램핑부는 수평 이동을 위해 테이프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 형상의 슬라이드 바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 장착부의 전방 일측에는 수직 단면 상으로 'ㄱ'자형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단부에 가압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 장착부는 접착테이프들의 전지케이스의 외면에 동시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고정용 흡착 블록들에는 접착테이프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면의 대향면을 흡착하도록 흡착용 구멍들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장착부에는 판상형 전지케이스의 일측면이 가압 롤러 장착부를 향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에는 접착테이프들을 공급하는 둘 이상의 접착테이프 공급 롤러들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 장치에는 테이핑 장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 장치는 탈착이 가능한 유지보수용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0045392A 2016-04-14 2016-04-14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 KR10211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392A KR102111445B1 (ko) 2016-04-14 2016-04-14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392A KR102111445B1 (ko) 2016-04-14 2016-04-14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681A KR20170117681A (ko) 2017-10-24
KR102111445B1 true KR102111445B1 (ko) 2020-05-15

Family

ID=6029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392A KR102111445B1 (ko) 2016-04-14 2016-04-14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44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57A (ko)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가접유닛
KR20220124860A (ko)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가접유닛
KR20220126595A (ko)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KR20220126592A (ko)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KR20220126858A (ko) 2021-03-09 2022-09-19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WO2023038486A1 (ko) * 2021-09-09 2023-03-1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테이프 공급 장치
KR20230159074A (ko) 2022-05-13 2023-11-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테이프 교환장치 및 상기 테이프 교환장치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장치
KR20230172197A (ko) 2022-06-15 2023-12-22 송창룡 전지셀 테이프 포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0620B (zh) * 2018-11-27 2023-10-31 东莞市超业精密设备有限公司 一种电池芯包的贴胶装置
KR102190960B1 (ko) * 2018-12-18 2020-12-15 (주) 피토 이차전지용 테이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102262436B1 (ko) * 2019-05-01 2021-06-09 주식회사 클레버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 장치
CN110311148A (zh) * 2019-07-30 2019-10-08 广东利元亨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贴胶装置
CN110416593A (zh) * 2019-08-22 2019-11-05 广东利元亨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贴胶装置
KR102066725B1 (ko) * 2019-08-22 2020-01-15 에이티시스템 주식회사 테이핑 장치
CN110890584A (zh) * 2019-11-29 2020-03-17 无锡华氏恒辉精密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自动贴胶带装置
KR102413719B1 (ko) 2020-04-25 2022-06-28 주식회사 클레버 전지셀의 사이드 테이핑용 접착 테이프를 이용한 테이핑 방법
KR102414044B1 (ko) 2020-05-25 2022-06-28 (주) 티원시스템 전지 셀에 부착 가능한 접착 테이프용 테이핑 장치 및 테이핑 방법
KR102502875B1 (ko) * 2020-10-13 2023-02-2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전지용 테이프 부착 시스템
KR102524886B1 (ko) * 2020-11-20 2023-04-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전지용 테이프 부착장치
KR20220109030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테이프의 부착 방법
KR102374587B1 (ko) * 2021-09-29 2022-03-16 에이앤피산업(주) 전기차 배터리케이스에 사용되는 유프레임용 사이드 테이프 부착장치
CN116799285B (zh) * 2023-08-18 2023-11-03 河南科技学院 一种电池包加工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574B1 (ko) * 2012-11-22 2015-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밀봉 잉여부가 절곡된 전지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760B1 (ko) * 2011-01-06 2014-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의 사이드 테이프 자동 부착 방법 및 장치
KR101466343B1 (ko) * 2013-01-03 2014-12-01 (주)위드 자동 밴딩 유닛 및 그것을 갖는 배터리 셀 사이드 테이프 자동 부착 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574B1 (ko) * 2012-11-22 2015-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밀봉 잉여부가 절곡된 전지셀의 제조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57A (ko)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가접유닛
KR20220124860A (ko)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가접유닛
KR20230034267A (ko) 2021-03-04 2023-03-09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가접유닛
KR20230035285A (ko) 2021-03-04 2023-03-13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가접유닛
KR20220126595A (ko)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KR20220126592A (ko)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KR20220126858A (ko) 2021-03-09 2022-09-19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KR20230008266A (ko) 2021-03-09 2023-01-13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KR20230034268A (ko) 2021-03-09 2023-03-09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WO2023038486A1 (ko) * 2021-09-09 2023-03-1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테이프 공급 장치
KR20230159074A (ko) 2022-05-13 2023-11-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테이프 교환장치 및 상기 테이프 교환장치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장치
KR20230172197A (ko) 2022-06-15 2023-12-22 송창룡 전지셀 테이프 포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681A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445B1 (ko)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
US10873065B2 (en) Battery cell degassing apparatus
KR102015898B1 (ko) 2차전지셀 리드탭 절곡 장치
KR101287417B1 (ko)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테이핑장치
US7500304B2 (en) Packing apparatus for an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US9318730B2 (en) Tray for holding pouch-type batteries
US10741870B2 (en) Battery cell degassing apparatus
US976844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KR101451731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충방전 장치
KR101269943B1 (ko) 전지셀 제조 장치
US20230142362A1 (en) Cell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273780B1 (ko) 이차 전지, 이차 전지의 제조 장치 및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EP328249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102116384B1 (ko)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KR20150014544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셀 밀착을 위한 가압 트레이
KR20180089014A (ko) 절연성 테이프를 전지셀의 외주 실링부에 부가하는 테이핑 장치
KR101781828B1 (ko) 측면 밀봉 잉여부가 절곡된 전지셀의 제조방법
KR101675960B1 (ko) 경화성 물질 부가 수단을 구비한 전지셀 제조장치
KR102015901B1 (ko) 2차전지셀 케이스 삽입 장치
KR102448324B1 (ko) 전지셀 테이핑 장치
KR101280573B1 (ko) 원통형 전지셀 측정장치
KR101728101B1 (ko)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충방전 장치 및 시스템 및,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지그의 배치 방법
KR102265221B1 (ko) 전해액 함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지셀의 제조방법
US11982686B2 (en) Electrode lead gripper for pressure activation device
KR102192298B1 (ko) 만입부가 형성된 지그를 포함하는 전지셀 클램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