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205B1 - IoT를 이용하여 캡슐호텔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IoT를 이용하여 캡슐호텔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205B1
KR102262205B1 KR1020200150619A KR20200150619A KR102262205B1 KR 102262205 B1 KR102262205 B1 KR 102262205B1 KR 1020200150619 A KR1020200150619 A KR 1020200150619A KR 20200150619 A KR20200150619 A KR 20200150619A KR 102262205 B1 KR102262205 B1 KR 102262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device
user
management server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캡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캡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캡슐
Priority to KR102020015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관리서버를 통해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를 통해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은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에 대한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인증 응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인증된 제 1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증된 제 2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를 생성하고,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와 중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동선 정보가 중첩되는 경우, 제 2 유저 디바이스로 동선 중첩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를 이용하여 캡슐호텔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Privacy In Capsule Hotel Using IoT}
실시예들은 IoT(Internet of Things)를 이용하여 캡슐호텔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를 이용하여 캡슐호텔 투숙객의 시설 이용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최근 캡슐호텔이나 이와 유사한 숙박 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캡슐호텔은 최소한의 개인공간만을 제공하고, 일부 시설들은 공용시설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저렴하게 숙박 시설을 이용하도록 하는 호텔일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개인 공간을 최소화하고, 다수의 공용 시설을 이용하는 숙박 시설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호텔 투숙객들은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받고 싶어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클 수 있다. 또한, 최근 혼자 여행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호화스러운 호텔보다는 숙박 및 최소 공간만을 제공 받는 저렴한 호텔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다만, 저렴한 호텔의 경우라도 개인 프라이버시는 보호받을 필요성이 있으나, 현재 캡슐호텔이나 이와 유사한 숙박시설에서는 프라이버시 보호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하기에서는 캡슐호텔에서 IoT를 이용하여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18178 호
본 명세서는 IoT를 이용하여 캡슐호텔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IoT에 기초하여 호텔시설의 이용 정보와 투숙객의 위치 정보를 통해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투숙객의 동선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투숙객의 동선을 조절하여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인공지능에 기초하여 투숙객의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서버를 통해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은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에 대한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인증 응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인증된 제 1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증된 제 2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와 중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선 정보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로 동선 중첩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기 사항들은 관리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위치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관련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 및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로 제공된 상기 동선 중첩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시설 디바이스 이용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용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시설 디바이스의 이용 시간을 변경하거나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시설 디바이스 대신 제 3 시설 디바이스를 이용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 및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동선 중첩 확률을 계산하고, 상기 동선 중첩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동선 정보가 중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 및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 각각은 유저 패턴 정보, 유저 성별 정보, 유저 수면 시간 정보, 유저 화장실 이용 빈도 수 정보, 유저 호텔 외출 빈도 수 및 시간 준수 여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는 패턴분석 학습 모델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 및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를 상기 패턴분석 학습 모델에 반영한 후 상기 동선 중첩 확률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동선 중첩 확률을 상기 패턴분석 학습 모델로 피드백하여 상기 패턴분석 학습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IoT를 이용하여 캡슐호텔에서의 투숙객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ㄷ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는 IoT에 기초하여 호텔시설의 이용 정보와 투숙객의 위치 정보를 통해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는 투숙객의 동선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투숙객의 동선을 조절하여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는 인공지능에 기초하여 투숙객의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위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래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로 확장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서버에 기초하여 유저 디바이스와 시설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 디바이스가 시설 디바이스를 이용하기 위해 식별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 디바이스가 유저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캡슐호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서버에 기초하여 유저 디바이스가 시설 디바이스를 예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서버에 기초하여 유저 디바이스가 시설 디바이스를 예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서버에 기초하여 유저 디바이스가 시설 디바이스를 예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서버에 기초하여 유저 디바이스가 시설 디바이스를 예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선 정보에 기초하여 예약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선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 디바이스 패턴에 기초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서버의 동작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처럼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차량 내 클러스터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기기를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 하나 이상의 서버(120, 130, 140)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다른 서버들(120 - 140)과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각 서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와 네트워크(1)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로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정보 제공 등)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로 배포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해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에서 캡슐호텔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관리서버는 상술한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투숙객이 소지한 디바이스로 관리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유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 디바이스는 캡슐호텔의 관리서버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바이스일 수 있고, 투숙객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투숙객이 사용하는 디바이스는 유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유저 디바이스는 상술한 사용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명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에서는 투숙객이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유저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또한, 관리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캡슐호텔 내 시설에 부착되어 시설 동작을 제어하는 디바이스는 시설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시설 디바이스는 세탁실, 샤워실, 화장실 및 그 밖의 시설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동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시설 디바이스는 해당 시설의 이용 또는 해당 시설 이용을 위한 출입을 제어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관리서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캡슐호텔 내의 각각의 시설을 제어하는 디바이스는 시설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명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에서는 캡슐호텔 내의 각각의 시설을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시설 디바이스로 지칭한다.도 2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200)는 도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 또는 서버(120-140)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장치와 서버들은 일부 구성요소를 더 하거나 제외하여 구성됨으로써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그리고 송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장치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이 네트워크(1)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모듈(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네트워크(1)를 통해 사용자 기기(110)와 서버(120 -14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110) 및/또는 서버(120 - 140) 각각이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부(240)는 외부 입력/출력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수신부(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장치(200)는 적용되는 장치의 성질에 따라서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적용되는 경우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유저 디바이스 및 시설 디바이스는 컴퓨팅 장치(200)일 수 있다. 즉, 유저 디바이스 및 시설 디바이스 각각은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및 송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관리서버도 컴퓨팅 장치(200)로서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및 송수신부(240)를 포함하고, 이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 본 명세서에 대한 동작은 컴퓨팅 장치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이때, 일 예로, 컴퓨팅 장치는 캡슐호텔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유저 디바이스 및 시설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예로, 하기에서 투숙객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저로 지칭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서버에 기초하여 유저 디바이스와 시설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310-1, 310-2, 310-3, 310-4)들은 관리서버(320)와 연동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서버(320)는 캡슐호텔의 투숙객 및 시설물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숙객은 캡슐호텔이 투숙한 경우, 관리서버(320)는 투숙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310-1, 310-2, 310-3, 310-4)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310-1, 310-2, 310-3, 310-4)들 투숙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320)와 연관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320)는 투숙객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310-1, 310-2, 310-3, 310-4)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시설물 이용을 위한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20)는 캡슐호텔의 복수 개의 시설 디바이스(330-1, 330-2, 330-3)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설 디바이스(330-1, 330-2, 330-3)들 샤워실, 세탁실 또는 화장실에 대응되어 각각의 이용을 제어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캡슐호텔의 수영장이나 헬스장 및 그 밖의 편의시설은 상술한 시설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특정 시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시설 디바이스(330-1, 330-2, 330-3)들은 관리서버(320) 제어에 기초하여 이용 및 출입 여부가 제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 디바이스(330-1, 330-2, 330-3)들 은 관리서버(320)를 통해 인증된 유저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용을 허여하거나 해당 장소의 출입을 허여하도록 관리서버(320)와 연관될 수 있다. 즉, 관리서버(320)에 의해 시설 디바이스(330-1, 330-2, 330-3)들이 관리되고, 인증된 유저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관리서버는 IoT(Internet of Things)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IoT는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사물에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기술을 지칭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시설 디바이스(330-1, 330-2, 330-3)들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IoT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시설 디바이스(330-1, 330-2, 330-3)들의 무선 통신을 위해 캡슐호텔 내부에는 중계기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관리서버(320)는 캡슐호텔 내에서 IoT에 기초하여 각각의 시설 디바이스(330-1, 330-2, 330-3)들 및 유저 디바이스(310-1, 310-2, 310-3, 310-4)들과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저 디바이스가 시설 디바이스를 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유저 디바이스는 핸드핼드 디바이스 이거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키오스크와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에서는 핸드핼드 디바이스와 키오스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유저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유저 디바이스는 시설 디바이스 이용을 위한 식별 정보를 관리서버(320)로부터 할당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QR 코드, 인증 번호 및 가상 아이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식별 정보는 시설 디바이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개별 유저 디바이스의 고유의 투숙 정보 및 해당 시설 디바이스의 위치 또는 개별 식별 정보에 기초한 고유의 정보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즉, 관리서버(320)는 개별 유저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 및 개별 시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혼합하여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는 이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시설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a는 식별 정보가 QR 코드인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시설 디바이스의 출입고 또는 시설 디바이스 자차에는 상술한 식별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4b는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시설 디바이스에 카메라 부착된 장치가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시설 디바이스는 그 밖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관리서버(320)는 플랫폼으로써 시설 디바이스에 대한 예약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예약 관리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투숙객은 인증된 유저 디바이스를 통해 캡슐호텔 내의 시설들을 관리서버(320)로서 플랫폼을 통해 예약하고, 이에 기초하여 시설 디바이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서버(320)는 각각의 시설 디바이스에 대한 예약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통해 유저 디바이스에게 예약 가능한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320)가 시설 디바이스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는 경우, 관리서버(320)는 시설 디바이스 사용 시간 정보를 설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유저 디바이스가 예약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관리서버(320)는 사전 예약이 가능한 시간을 기 설정하고, 사전 예약이 가능한 시간에만 유저 디바이스의 예약을 승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가 각각의 시설 디바이스를 예약하는 경우, 관리서버(320)는 유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술한 예약이 수행되는 경우, 관리서버(320)는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로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가 이를 승인하는 응답을 관리서버(320)로 전송하면 관리서버(320)는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관리서버(320)는 캡슐호텔 내부의 맵 정보를 기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는 캡슐호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맵 정보에는 도 5에서처럼 각각의 시설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맵 정보에는 각각의 시설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정보 및 예약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관리서버(320)는 상술한 맵 정보, 유저 디바이스 정보, 시설 디바이스 정보 및 예약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캡슐호텔 투숙객의 프라이버시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6a를 참조하면, 방 4에 투숙하는 투숙객의 유저 디바이스는 제 1 유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투숙객은 캡슐호텔 내의 시설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캡슐호텔 내의 세탁실 1에 대응되는 시설 디바이스는 제 1 시설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투숙객은 제 1 유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1 시설 디바이스 사용을 예약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320)는 제 1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시설 디바이스 사용 예약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시간에 사용을 허여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6a를 참조하면, 투숙객은 제 1 유저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 예정 시간, 이용 금액 및 위치 정보 동의 여부를 확인한 후에 관리서버를 통해 제 1 시설 디바이스를 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관리서버는 방4에 대응되는 제 1 유저 디바이스의 고유의 정보 및 제 1 시설 디바이스의 고유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해당 식별 정보를 제 1 유저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제 1 유저 디바이스는 해당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주어진 시간에 제 1 시설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는 도 6b처럼 제 1 유저 디바이스의 동선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 1 유저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는 방 4에서 세탁실1까지 투숙객이 이동하는 동선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 1 유저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저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즉,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추정 동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가 제 1 시설 디바이스를 실제 사용하는 경우에 이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바, 제 1 유저 디바이스가 제 1 시설 디바이스를 사용하러 이동하는 실제 동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가 제 1 시설 디바이스를 실제 사용하는 시간 및 다른 지역 이동에 기초하여 실제 동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는 각각의 유저가 각각의 시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실제 동선 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점에 기초하여 관리서버는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선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는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예약/취소에 기초하여 추정 동선 정보 및 실제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실제 동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는 개인 프라이버시를 위해 각각의 투숙객이 마주치지 않도록 동선을 계산할 수 있다. 즉, 개별 유저 디바이스의 위치가 중복되지 않도록 시간별로 유저 디바이스가 존재할 가능성을 계산하여 맵 정보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계산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에게 동선 중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유저 디바이스의 투숙객은 방 4에 투숙하고, 제 1 시설 디바이스로 세탁실 1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a를 참조하면, 제 2 유저 디바이스의 투숙객은 방 1에 투숙하고, 제 2 시설 디바이스로 샤워실 2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는 도 7b처럼 제 2 유저 디바이스에게 동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추정 동선 정보 및 시설 사용 예정 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는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추정 동선 정보 및 시설 사용 예정 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제 2 시설 디바이스로 샤워실 2에 대한 예약을 관리서버로 진행하는 경우, 관리서버는 제 2 유저 디바이스에게 동선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선 관련 정보는 제 1 유저 디바이스가 제 2 유저 디바이스와 중첩될 확률의 계산 값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투숙객에 대한 패턴 정보 및 그 밖에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유저 디바이스와 중첩될 확률이 계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유저 디바이스가 사용 예정 시간보다 항상 5분 일찍 사용을 시작하는 패턴 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유저 디바이스가 사용 예정 시간보다 항상 10분 늦게 사용을 시작하는 패턴 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유저 디바이스는 이동시 늦은 속도로 이동하는 패턴 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처럼 제 1 유저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와 제 2 유저 디바이스가 중첩될 확률을 계산하고, 이를 동선 관련 정보로 제 2 유저 디바이스가 예약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관리서버는 도 7b처럼 동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이용시간 또는 다른 시설 디바이스 사용을 추천할 수 있다. 제 2 유저 디바이스는 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예약 시간을 변경하거나 다른 시설 디바이스를 예약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 실제 동선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처럼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바, 이에 기초하여 제 1 유저 디바이스의 동선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유저 디바이스 및 제 2 유저 디바이스가 각각 시설 디바이스를 예약하고, 예약 시간이 유사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의 실제 이동에 대한 동선 정보를 제 2 유저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2 유저 디바이스의 투숙객은 제 1 유저 디바이스의 실제 이동 동선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중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설 디바이스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8a를 참조하면, 관리서버는 제 2 유저 디바이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시설 디바이스로 샤워실 2를 예약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와 제 2 유저 디바이스 동선의 중첩 확률을 계산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동선 중첩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관리서버는 동선 중첩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유저 디바이스로 시설 디바이스 변경 요청 또는 시설 디바이스 이용 시간 변경 요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여기서, 제 2 유저 디바이스의 투숙객은 동선 중첩 정보에 기초하여 시설 디바이스를 변경하거나 시설 디바이스 이용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b에서 제 2 유저 디바이스는 제 3 시설 디바이스로 샤워실 1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샤워실 1은 방 1 근처에 위치하므로 제 2 유저 디바이스의 동선과 제 1 유저 디바이스의 동선이 중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관리서버는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예약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는 신규 예약을 수행하는 유저 디바이스의 캡슐 위치에 따라 확률 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유저 디바이스의 투숙 정보 또는 투숙 위치에 따라 확률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가 중첩될 확률을 계산하고, 이를 통선 관련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관리서버는 동선 추정과 관련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패턴 분석 학습 모델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는 투숙객의 시설 디바이스 이용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는 패턴분석 학습 모델의 입력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숙객의 정보는 투숙객의 성별, 수면시간, 화장실 이용 빈도수, 호텔 외출 빈도 수 및 시간 준수 여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투숙객 정보는 그 밖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관리서버는 상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투숙객의 실제 동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는 투숙객이 실제 시설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동선 정보 및 그 밖의 이동과 관련된 동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동선 관련 확률을 계산하여 동선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해당 정보는 다시 패턴 분석 학습 모델로 피드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서버 동선 추정 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추천 정보를 투숙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서버의 동작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관리서버를 통해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는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에 대한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10) 그 후, 관리서버는 인증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인증 응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020) 일 예로, 캡슐호텔 투숙객은 각각의 투숙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해당 투숙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이에 대한 인증 응답 정보를 각각의 유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서버는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 중 인증된 제 1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1030) 또한, 관리서버는 제 1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040) 여기서,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는 제 1 시설 디바이스 이용 시간 및 이용 예정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동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관리서버는 인증된 제 2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50) 여기서, 관리서버는 제 2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를 생성하고,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와 중첩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060) 이때, 동선 정보가 중첩되는 경우, 관리서버는 제 2 유저 디바이스로 동선 중첩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070)
이때, 일 예로, 관리서버는 제 2 유저 디바이스로 제공된 동선 중첩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시설 디바이스 이용 변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 변경 정보는 이용 시간 변경 정보 또는 이용 시설 변경 정보일 수 있다. 즉, 제 2 유저 디바이스는 동일 시설물에 대한 이용 시간을 변경하거나 다른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관리서버는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 및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동선 중첩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는 동선 중첩 확률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선 정보가 중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는 유저 패턴 정보, 유저 성별 정보, 유저 수면 시간 정보, 유저 화장실 이용 빈도 수 정보, 유저 호텔 외출 빈도 수 및 시간 준수 여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관리서버는 인공지능에 기초하여 패턴분석 학습 모델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는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를 패턴분석 학습 모델에 반영한 후 동선 중첩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그 후, 관리서버는 계산된 동선 중첩 확률을 패턴분석 학습 모델로 피드백하여 패턴분석 학습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선 중첩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명세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관리서버를 통해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에 대한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저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인증 응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인증된 제 1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증된 제 2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시설 디바이스 이용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와 중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선 정보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로 동선 중첩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 및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동선 중첩 확률을 계산하고, 상기 동선 중첩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동선 정보가 중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 및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 각각은 유저 패턴 정보, 유저 성별 정보, 유저 수면 시간 정보, 유저 화장실 이용 빈도 수 정보, 유저 호텔 외출 빈도 수 및 시간 준수 여부 및 정도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관리 서버에서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위치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관련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 및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한 동선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에서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로 제공된 상기 동선 중첩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시설 디바이스 이용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용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시설 디바이스의 이용 시간을 변경하거나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시설 디바이스 대신 제 3 시설 디바이스를 이용하도록 변경하는, 관리 서버에서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패턴분석 학습 모델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 및 상기 제 2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유저 관련 정보를 상기 패턴분석 학습 모델에 반영한 후 상기 동선 중첩 확률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동선 중첩 확률을 상기 패턴분석 학습 모델로 피드백하여 상기 패턴분석 학습 모델을 업데이트하는, 관리 서버에서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 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인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50619A 2020-11-12 2020-11-12 IoT를 이용하여 캡슐호텔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62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619A KR102262205B1 (ko) 2020-11-12 2020-11-12 IoT를 이용하여 캡슐호텔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619A KR102262205B1 (ko) 2020-11-12 2020-11-12 IoT를 이용하여 캡슐호텔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205B1 true KR102262205B1 (ko) 2021-06-09

Family

ID=7641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619A KR102262205B1 (ko) 2020-11-12 2020-11-12 IoT를 이용하여 캡슐호텔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2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234A (ko) * 2009-07-07 2011-01-13 김홍일 전시물 관람 스케줄링 및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277769B1 (ko) * 2012-03-12 2013-06-24 주식회사 피오디 커뮤니케이션즈 Mice 개최 장소 구성을 위한 통합 솔루션 시스템
KR20150092468A (ko) * 2014-02-05 2015-08-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테마파크 시설물의 스마트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8178B1 (ko) 2016-08-26 2018-11-14 모아통신(주) PoE를 이용한 IoT 객실 시스템
KR102069139B1 (ko) * 2017-12-27 2020-01-22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대형 전시공간을 위한 방문자 분산 및 동선 관리 시스템
KR20200022950A (ko) *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5웨이크업 공유기를 이용한 공유공간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234A (ko) * 2009-07-07 2011-01-13 김홍일 전시물 관람 스케줄링 및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277769B1 (ko) * 2012-03-12 2013-06-24 주식회사 피오디 커뮤니케이션즈 Mice 개최 장소 구성을 위한 통합 솔루션 시스템
KR20150092468A (ko) * 2014-02-05 2015-08-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테마파크 시설물의 스마트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8178B1 (ko) 2016-08-26 2018-11-14 모아통신(주) PoE를 이용한 IoT 객실 시스템
KR102069139B1 (ko) * 2017-12-27 2020-01-22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대형 전시공간을 위한 방문자 분산 및 동선 관리 시스템
KR20200022950A (ko) *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5웨이크업 공유기를 이용한 공유공간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92985B2 (en)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6255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a mobile application
US9146716B2 (en) Automatic resource balancing for multi-device applications
ES2642062T3 (es) Método y sistema para la comunicación en una localización determinada
CN105392150A (zh) 管理信标的方法、终端设备、服务器和存储介质
CN110365721A (zh) 一种基于用户场景感知触发服务的方法、终端设备及系统
US98168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201401956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oud-Based Common Distribution Applications
KR102652384B1 (ko) 메신저 봇을 이용하여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11089109B1 (en) Smart device management via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privacy preferences
CN108431763A (zh) 通过网络服务管理多个云存储装置
JP2017091102A (ja) インセンティブ付与装置、インセンティブ付与方法、インセンティブ付与プログラム
JP5829298B2 (ja) ジェスチャ情報を利用してサービスに対するユーザ間の関係を設定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9417502A (zh) 用于提供基于消息的通知的方法及系统
US117210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JP6366505B2 (ja) クラウドソーシングされたデータの収集のための自動コード生成
KR101943430B1 (ko) 사용자 장치, 사용자 장치의 구동방법,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JP6584403B2 (ja) Ic無線装置
KR102262205B1 (ko) IoT를 이용하여 캡슐호텔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2783B1 (ko) 메신저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guiar et al. Leveraging electronic ticketing to provide personalized navigation in a public transport network
KR20180051092A (ko) 방문 차량을 위한 주차장소 예약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05743B1 (ko) 인테리어 설계를 가이드 하는 애플리케이션
KR102426292B1 (ko) 스마트폰에 설치된 인공지능 모듈과 연계된 보이는 ars(vars)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56768B1 (ko) 비콘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일정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