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175B1 -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175B1
KR102262175B1 KR1020200099323A KR20200099323A KR102262175B1 KR 102262175 B1 KR102262175 B1 KR 102262175B1 KR 1020200099323 A KR1020200099323 A KR 1020200099323A KR 20200099323 A KR20200099323 A KR 20200099323A KR 102262175 B1 KR102262175 B1 KR 10226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ground
fixing
gunpowder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걸
Original Assignee
김성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걸 filed Critical 김성걸
Priority to KR1020200099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84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의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공 구조의 지주(10); 상기 지주(1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로서 역삼각형 단면을 갖춘 원추대(20), 힌지부(33)를 갖춘 후크편(30), 치즐 구조를 갖춘 쐐기편(40)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탑재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경화제(50) 및 화약제(5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지면과 지주(10)에 대한 고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도로의 지면상으로 각종 시설물용 지주를 긴밀하게 설치함에 화학적 수단을 접목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기초 작업을 긴밀하고 간편하게 수행하여 품질향상과 생력화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Apparatus for fixing post of road facility}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의 지면상으로 긴밀하게 고정되는 지주에 대한 설치 공법을 개선하기 위한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 인프라의 하나인 도로 건설은 경제수준의 발전과 비례하지만 경기부양 정책에 따라 단기적으로 활성화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로를 포함한 모든 도로에는 가드레일, 표지판 등의 시설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도로 시설물의 설치에 있어서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지주의 고정과 관련된 기초 작업은 상당한 인력을 요하므로 생력화의 필요성이 크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하기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62229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51086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지면에 고정되며, 축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외향으로 전개되는 3개의 날개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쐐기부가 형성되며, 상단에 결합홈이 상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지면에 매설시 쐐기부를 통해 간편하게 고정되어 작업자의 설치 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도로변의 천공홈에 삽입되면서 그 둘레면에 천공홈에 매몰되어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편들이 장착된 기초부; 기초부의 상부면에 암수형합식으로 결합되고 그 몸체에 보행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편의물이 장착된 지주부; 등을 포함한다. 이에, 기초부의 양생작업이 배제되어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 1의 고정부재와 선행문헌 2의 기초부를 고정하기 위한 기초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한계성을 보이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62229호 "기둥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 고정용 지지구" (공개일자 : 2011.07.2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51086호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고정 장치" (공개일자 : 2010.04.0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지면상으로 각종 시설물용 지주를 긴밀하게 설치함에 화학적 수단을 접목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기초 작업을 긴밀하고 간편하게 수행하는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의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공 구조의 지주; 상기 지주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로서 역삼각형 단면을 갖춘 원추대, 힌지부를 갖춘 후크편, 치즐 구조를 갖춘 쐐기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탑재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경화제 및 화약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지면과 지주에 대한 고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상기 보강부재의 원추대는 외력에 의하여 지주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과정에서 경화제의 누출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보강부재의 후크편은 외력에 의하여 지주의 절개홈으로 돌출되는 과정에서 경화제의 누출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상기 보강부재의 쐐기편은 화약제에 의한 폭발력이 경화제로 전달되면 지주의 안내관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화약제는 유선 또는 무선 신호로 기폭부의 가동을 유발하는 회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추대와 상기 후크편에 화약제의 폭발력을 더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의 지면상으로 각종 시설물용 지주를 긴밀하게 설치함에 화학적 수단을 접목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기초 작업을 긴밀하고 간편하게 수행하여 품질향상과 생력화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의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도로에 설치되는 가드레일, 표지판 등의 시설물을 지지하는 지주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 구조의 지주(10)를 사용한다. 지주(10)는 하단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관체로서 상단이나 중간에 덮개(11)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11)는 지주(10)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분해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주(10)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지지대(13), 절개홈(15), 안내관(17)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주(1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로서 역삼각형 단면을 갖춘 원추대(20), 힌지부(33)를 갖춘 후크편(30), 치즐 구조를 갖춘 쐐기편(40)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탑재한다.
지주(10)는 하측 영역에 탑재되는 보강부재를 개재하여 지면에 긴밀하게 매립되고 상측 영역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지판 등을 긴밀하게 지지한다. 보강부재는 후술하듯이 원추대(20), 후크편(30), 쐐기편(40) 중의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원추대(20)는 지주(10)의 하단에서 역삼각형 단면으로 돌출 가능하다. 후크편(30)은 지주(10)의 측면에서 갈고리 형태로 돌출 가능하다. 쐐기편(40)은 후크편(30)의 하단과 측면에서 선단이 뾰족한 치즐(chisel) 형태로 돌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는 경화제(50) 및 화약제(5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지면과 지주(10)에 대한 고정력을 높인다.
지주(10)와 보강부재는 상호 연계하여 지면에 대한 매립 강도를 확보하지만 토질, 시공방식, 작업 숙련도 등에 따라 안정적 품질이 확보되지 않는다. 경화제(50)와 화약제(55)는 지주(10)와 보강부재가 지면에 대한 결합력(고정력)을 높이도록 작용한다. 경화제(50)와 화약제(55)는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경화제(50)는 에폭시 등의 수지재와 시멘트를 주재로 하는 공지의 액상형 또는 겔형에 보강섬유를 부가하여 사용한다. 화약제(55)는 DXC56 또는 DXC59를 포함하는 둔감성 고폭약(High Explosive)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상기 보강부재의 원추대(20)는 외력에 의하여 지주(10)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과정에서 경화제(50)의 누출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주(10)의 하측 영역에 원추대(20)와 경화제(5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지주(10)는 상단에 덮개(11)를 중간에 지지대(13)를 구비할 수 있다. 원추대(20)는 역삼각형 단면을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고, 외주면의 나선부(21)와 상면의 파지부(23)를 구비한다. 경화제(50)는 거치대(52)를 개재하여 다수의 지점에 분산 설치된다.
제1실시예의 시공에 있어서, 덮개(11)와 지지대(13)에 의해 지지 가능한 작동봉(25)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작동봉(25)을 원추대(20)의 파지부(23)에 결합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가압력과 회전력을 작용하면 원추대(20′)가 지주(10)의 하단에서 돌출되는 동시에 경화제(50)를 파열ㆍ누출시켜 고정력을 높인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보강부재의 후크편(30)은 외력에 의하여 지주(10)의 절개홈(15)으로 돌출되는 과정에서 경화제(50)의 누출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주(10)의 하측 영역에 후크편(30)과 경화제(5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지주(10)는 상하 양단을 개방할 수 있고, 하단을 원추형으로 폐쇄할 수도 있다. 지주(10)의 하측 영역에는 측면상으로 다수의 절개홈(15)이 형성된다. 후크편(30)은 지지부(31)와 힌지부(33)를 개재하여 절개홈(15)으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경화제(50)는 지주(10)의 내면에서 각각의 후크편(30)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제2실시예의 시공에 있어서, 덮개(11)와 헤드부(37)를 갖춘 작동봉(35)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작동봉(35)의 헤드부(37)를 지주(10)에 밀어 넣고 외부에서 가압력과 회전력을 작용하면 후크편(30)이 지주(10)의 절개홈(15)에서 돌출되는 동시에 경화제(50)를 파열ㆍ누출시켜 고정력을 높인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상기 보강부재의 쐐기편(40)은 화약제(55)에 의한 폭발력이 경화제(50)로 전달되면 지주(10)의 안내관(17)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주(10)의 하측 영역에 쐐기편(40), 경화제(50), 화약제(55)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지주(10)는 하측 영역에 덮개(11)를 고정시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지주(10)의 독립된 공간에는 다수의 안내관(17)이 설치된다. 쐐기편(40)은 몸통과 선단을 동일한 크기로 하거나 선단을 몸통보다 굵게 형성할 수 있다. 쐐기편(40)의 몸통에는 돌기부(41)와 확경부(43)가 형성된다. 돌기부(41)와 확경부(43)는 안내관(17)의 내면에 형성되는 돌기부에 의하여 쐐기편(40)의 임의적 이탈을 구속한다. 경화제(50)는 지주(10)의 독립된 공간에 충진되고, 화약제(55)는 경화제(50)의 상측으로 덮개(11)에 고정된다.
제3실시예의 시공에 있어서, 전술한 작동봉(25)(35)을 사용하지 않고 화약제(55)의 폭발력을 이용한다. 화약제(55)의 폭발력이 경화제(50)에 전달되면 다수의 쐐기편(40)이 지주(10)의 하단과 측면으로 돌출되고 이와 동시에 경화제(50)가 누출되어 고정력을 높인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화약제(55)는 유선 또는 무선 신호로 기폭부(56)의 가동을 유발하는 회로부(57)를 구비하고, 상기 원추대(20)와 상기 후크편(30)에 화약제(55)의 폭발력을 더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 화약제(55)는 광의적으로 기폭부(56)와 회로부(57)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화약제(55)에 긴밀하게 접촉되는 기폭부(56)는 전자제어식을 적용한다. 기폭부(56)에 연결되는 회로부(57)는 기폭부(56)에 점화신호를 인가하는 제어기판을 구비한다. 제어기판은 리드선을 통한 유선 방식 또는 무선 신호에 의한 무선 방식으로 가동된다.
한편, 도 1의 원추대(20)에도 화약제(55)를 적용할 수 있고, 도 2의 작동봉(35)의 헤드부(37)에도 화약제(55)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에는 생략하나, 도 4의 쐐기편(40)에도 화약제(55)를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지주 11: 덮개
13: 지지대 15: 절개홈
17: 안내관 20: 원추대
21: 나선부 23: 파지부
25: 작동봉 30: 후크편
31: 지지부 33: 힌지부
35: 작동봉 37: 헤드부
40: 쐐기편 41: 돌기부
43: 확경부 50: 경화제
52: 거치대 55: 화약제
56: 기폭부 57: 회로부

Claims (5)

  1. 도로 시설물의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공 구조의 지주(10);
    상기 지주(10)의 일측으로 외력에 의해 돌출되는 보강부재로서 역삼각형 단면을 갖춘 원추대(20), 힌지부(33)를 갖춘 후크편(30), 치즐 구조를 갖춘 쐐기편(40)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탑재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경화제(50) 및 화약제(5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지면과 지주(10)에 대한 고정력을 높이며,
    상기 보강부재의 원추대(20)는 외력에 의하여 지주(10)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과정에서 경화제(50)의 누출을 유발하고,
    상기 보강부재의 후크편(30)은 외력에 의하여 지주(10)의 절개홈(15)으로 돌출되는 과정에서 경화제(50)의 누출을 유발하며,
    상기 보강부재의 쐐기편(40)은 화약제(55)에 의한 폭발력이 경화제(50)로 전달되면 지주(10)의 안내관(17)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약제(55)는 유선 또는 무선 신호로 기폭부(56)의 가동을 유발하는 회로부(57)를 구비하고, 상기 원추대(20)와 상기 후크편(30)에 화약제(55)의 폭발력을 더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KR1020200099323A 2020-08-07 2020-08-07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KR10226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23A KR102262175B1 (ko) 2020-08-07 2020-08-07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23A KR102262175B1 (ko) 2020-08-07 2020-08-07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175B1 true KR102262175B1 (ko) 2021-06-09

Family

ID=7641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323A KR102262175B1 (ko) 2020-08-07 2020-08-07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1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384Y1 (ko) * 2005-03-31 2005-06-30 주식회사 카멜 말뚝용 첨단부재
KR100674264B1 (ko) * 2006-06-30 2007-01-24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연약지반 보강용 기초말뚝
KR100951086B1 (ko) 2009-04-01 2010-04-05 주식회사태헌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고정 장치
KR101162229B1 (ko) 2010-01-14 2012-07-09 김두선 기둥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 고정용 지지구
CN208235512U (zh) * 2018-04-17 2018-12-14 福建岩土工程勘察研究院有限公司 一种扩张型扩大头锚杆
KR101961650B1 (ko) * 2018-07-04 2019-03-29 (주)유성종합감리단건축사사무소 건축공사용 부력에 따른 인발 저항 말뚝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384Y1 (ko) * 2005-03-31 2005-06-30 주식회사 카멜 말뚝용 첨단부재
KR100674264B1 (ko) * 2006-06-30 2007-01-24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연약지반 보강용 기초말뚝
KR100951086B1 (ko) 2009-04-01 2010-04-05 주식회사태헌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고정 장치
KR101162229B1 (ko) 2010-01-14 2012-07-09 김두선 기둥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 고정용 지지구
CN208235512U (zh) * 2018-04-17 2018-12-14 福建岩土工程勘察研究院有限公司 一种扩张型扩大头锚杆
KR101961650B1 (ko) * 2018-07-04 2019-03-29 (주)유성종합감리단건축사사무소 건축공사용 부력에 따른 인발 저항 말뚝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731B1 (ko) 확장형 날개가 장착된 내하체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방법
FI56421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vlaegsnande av ett i marken foerankrat och foerspaent staolknippeankare
EA200000883A1 (ru)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ремонта и/или ликвидации скважин
KR102262175B1 (ko)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KR20070009506A (ko) 콘크리트 전주 보강 부재의 배열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지그
AU608391B2 (en) Anchor device for securing rock bolts
AP984A (en) Pillar bag.
US5098228A (en) Destructible cartridge for securing anchor member
KR101777774B1 (ko) 확대굴착 교반장치를 이용한 정착장 확대개량형 그라운드앵커 시공 공법
KR101528569B1 (ko) 패커 확장형 정착날개를 갖는 영구앵커
ES512094A0 (es) Perfecccionamientos en una construccion civil subterranea alargada de seccion constante.
ES2660386T3 (es) Punta de hincar para poste
US20020136607A1 (en) Support element for underground underworkings
GB2073283A (en) Rock bolting
KR101393728B1 (ko) 연약지반용 가설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공법
KR101285031B1 (ko) 강연선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1827202B1 (ko) 지반 고정 장치
CN105649015B (zh) 一种爆炸注浆防沉降管桩
JP2013014966A (ja) 中空柱の補強方法
JPS60215919A (ja) 破壊目標位置の形成によつて予備緊張された圧縮アンカーの引張り材を分離するための装置
CN218443566U (zh) 预裂爆破的炸药装填精确定位装置
JP2001152448A (ja) 地中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構築工法
AU782049B2 (en) A strata bol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176614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CN205531609U (zh) 地面安装底座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