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384Y1 - 말뚝용 첨단부재 - Google Patents

말뚝용 첨단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384Y1
KR200388384Y1 KR20-2005-0008844U KR20050008844U KR200388384Y1 KR 200388384 Y1 KR200388384 Y1 KR 200388384Y1 KR 20050008844 U KR20050008844 U KR 20050008844U KR 200388384 Y1 KR200388384 Y1 KR 200388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pipe
tip member
shap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멜
Priority to KR20-2005-0008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말뚝을 박기 위하여 가하는 충격이 감소되고, 그로 인하여 말뚝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미관도 향상되는 말뚝용 첨단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첨단부 및 이로부터 확장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중단된 제1상단부를 구비하되, V자형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종단면 및 밀폐된 형상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횡단면을 갖는 경사부; 및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내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경사부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상향으로 연장된 외면을 갖는 결합부;를 구비한 말뚝용 첨단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말뚝용 첨단부재 {Sharp-edged member for a pile}
본 고안은 말뚝용 첨단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는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파이프형 말뚝(1)을 지면(3)에 박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 말뚝(1)이 지면에 대해 깊이 들어갈 수록 파이프형 말뚝의 내부로 토양 등이 들어오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파이프형 말뚝의 외면(1a) 뿐만 아니라 내면(1b)에서도 토양 등에 의한 마찰력을 받게 되므로, 파이프형 말뚝(1)에 대해 가하는 해머(2)에 의한 충격이 충분히 강하지 못하면 파이프형 말뚝(1)이 지면에 대해 일정 깊이 이상으로 박히지 않게 된다.
그러나 해머(2)에 의한 충격을 크게 하면, 파이프형 말뚝(1)의 상단부가 그 충격에 견디지 못하고 변형될 수 있고, 따라서 파이프형 말뚝(1)을 재활용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박힌 상태에서의 미관도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말뚝을 박기 위하여 가하는 충격이 감소되고, 그로 인하여 말뚝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미관도 향상되는 말뚝용 첨단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첨단부 및 이로부터 확장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중단된 제1상단부를 구비하되, V자형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종단면 및 밀폐된 형상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횡단면을 갖는 경사부; 및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내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경사부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상향으로 연장된 외면을 갖는 결합부;를 구비한 말뚝용 첨단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는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내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되거나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상단부의 외측선은 파이프형 말뚝의 외측선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향내측으로 경사진 제2상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첨단부 및 이로부터 확장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중단된 제1상단부를 구비하되, V자형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종단면 및 밀폐된 형상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횡단면을 갖는 경사부; 및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외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경사부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상향으로 연장된 내면을 갖는 결합부;를 구비한 말뚝용 첨단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부의 내면에는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상단부의 외측선은 파이프형 말뚝의 외측선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향외측으로 경사진 제2상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2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10)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10)는 말뚝을 지면에 박을 때 지면과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경사부(11)와, 상기 경사부를 말뚝에 결합시키는 결합부(12)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부(11)는 최하단부에 위치한 뾰족한 형태의 첨단부(11a)와, 첨단부(11a)로부터 확장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중단된 제1상단부(11b)를 구비한다. 도 2 에는 경사부(11)가 중공(中空)의 원뿔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경사부(11)는 V자형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종단면 및 밀폐된 형상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횡단면을 갖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위에서 경사부의 종단면이 V자형의 외측선을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경사부(11)를 XZ평면 또는 YZ평면과 같은 수직평면의 방향으로 잘랐을 때, 그 단면에 보이는 형상의 좌측 및 우측의 경계선이 V자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경사부(11)가 중공(中空)의 원뿔형상을 갖든, 중실(中實)의 원뿔형상을 갖든, 어느 경우에나 공통된다.
또한 경사부의 횡단면이 밀폐된 형상의 외측선을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경사부(11)를 XY평면과 같은 수평평면의 방향으로 잘랐을 때, 그 단면에 보이는 형상의 외측 경계선이 밀폐된 형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그 단면의 형상이 링과 같이 되므로, 내측 경계선과 외측 경계선 모두 원형이 되겠으나, 본 실시예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경사부(11)가 중실(中實)의 원뿔형상인 경우와 같은 때에는 내측 경계선 자체가 없을 수도 있으며, 외측 경계선의 형상이 원형이 아닌 다각형 등 임의의 밀폐된 형상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사부(11)는 파이프형 말뚝을 지면에 박을 때, 파이프형 말뚝의 내부로 토양 등이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그 형상이 수직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충격으로도 파이프형 말뚝(1)을 지면에 박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12)는 파이프형 말뚝(1)의 내면(1b)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경사부의 중심선(C)과 평행하게 상향으로 연장된 외면(12c)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외면(12c)과 파이프형 말뚝의 내면(1b)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결합부(12)와 파이프형 말뚝(1)이 억지끼움된다.
상기 제1상단부(11b)의 외측선(외측 경계선)은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1c)의 외측선(외측 경계선)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상단부(11b)의 외측선이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1c)의 외측선 보다 내측에 있으면, 말뚝을 지면에 박을 때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1c)가 토양 등에 걸려서 저항을 더 받게 되고, 그와는 반대로 제1상단부(11b)의 외측선이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1c)의 외측선 보다 외측에 있으면, 말뚝을 뽑을 때 제1상단부(11b)가 토양 등에 걸려서 말뚝(1)과 함께 뽑히지 않고 땅속에 박힌 채로 남게 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상단부(11b)의 외측선(외측 경계선)은 파이프형 말뚝(1)의 외측선(외측 경계선)과 일치되면서도 결합부(12)가 파이프형 말뚝(1)의 내측에 끼워지기 위해서는 결합부(12)가 제1상단부(11b)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어야 하는바, 이를 위하여 결합부(12)는 제1상단부(11b)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연장된 인입부(12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부(12)는 상향내측으로 경사진 제2상단부(12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말뚝용 첨단부재(10)를 파이프형 말뚝(1)에 끼우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3 을 참고하여 도 2 에 도시된 말뚝용 첨단부재(1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도 3 에 도시된 형태로 절단하고 이것을 중심점(P)를 중심으로 말아줌으로써 원추형의 형상이 형성된다.
도 3 에 도시된 제1돌출부(11c)와 제2돌출부(11d)는 원추형의 형상이 형성되기 직전에 그 원추형의 내측으로 들어가는데, 이로써 일단 원추형의 형상이 형성된 후에 외부의 충격 또는 힘에 의하여 원추형의 형상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1돌출부(11c)와 제2돌출부(11d) 중의 하나는 기준선(L)의 상측에 있게 되고, 다른 하나는 기준선(L)의 하측에 있게 된다. 인입부(12a)와 제2상단부(12b)는 상기 금속판을 말기 전에 절곡할 수도 있으나, 소정의 틀을 이용하면 금속판을 만 후에도 절곡할 수 있다.
도 4 에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1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변형예가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결합부(12)의 외면(12c')에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내면(1b')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1실시예와 같이 파이프형 말뚝(1)과 말뚝용 첨단부재(10)가 억지끼움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경우, 이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에 박은 후 다시 재활용을 위하여 뽑고자 할 때 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뽑기 위해서 말뚝(1)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데, 이 충격에 의하여 파이프형 말뚝(1)과 말뚝용 첨단부재(1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들이 분리되면, 말뚝용 첨단부재(10)는 지면 속에 남게 되고, 이를 재활용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토양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변형예와 같이 파이프형 말뚝(1)과 말뚝용 첨단부재(10)를 억지끼움이 아닌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시키면, 그러한 충격에 의하여도 분리되지 않으므로 말뚝용 첨단부재(10)가 지면 속에 남지 않게 되어 이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 에는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2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20)는 단일의 결합부(22)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10)와 상이한데, 이 결합부(22)는 파이프형 말뚝(1)의 내면(1b)과 실질적으로 일치되는 외면(22a)을 갖는다.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20)도 말뚝을 지면에 박을 때 지면과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경사부(21)와, 상기 경사부를 말뚝에 결합시키는 결합부(22)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부(21)는 최하단부에 위치한 뾰족한 형태의 첨단부(21a)와, 첨단부(21a)로부터 확장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중단된 제1상단부(21b)를 구비한다. 도 5 에는 경사부(21)가 중실(中實)의 원뿔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경사부(21)와 결합부(22)의 중심에 위치한 중심부(23)가 비어있을 수도 있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사부(21)는 V자형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종단면 및 밀폐된 형상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횡단면을 갖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의 의미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경사부(21)는 파이프형 말뚝(1)을 지면에 박을 때, 파이프형 말뚝의 내부로 토양 등이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그 형상이 수직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충격으로도 파이프형 말뚝(1)을 지면에 박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22)는 파이프형 말뚝(1)의 내면(1b)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경사부의 중심선(C)과 평행하게 상향으로 연장된 외면(22a)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외면(22a)과 파이프형 말뚝의 내면(1b)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결합부(22)와 파이프형 말뚝(1)이 억지끼움된다. 상기 제1상단부(21b)의 외측선(외측 경계선)이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1c)의 외측선(외측 경계선)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20)는 주조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10)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금속판의 굽힘과 절곡이 필요없게 되므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상대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주조에 의하여 제조되는 말뚝용 첨단부재(20)는 그 내부가 채워져 있는 중실(中實)의 원뿔형상을 갖거나, 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심부(23)가 비어있는 경우라도 경사부(21)와 결합부(22)가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20)의 경우에는, 그 결합부(22)가 경사부(21)의 제1상단부(21b)로부터 직접적으로 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결국 제1실시예에서 설명되었던 인입부(12a)는 필요없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22)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향내측으로 경사진 제2상단부(22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에는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2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변형예가 제2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결합부(22)의 외면(22a')에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내면(1b')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2실시예와 같이 파이프형 말뚝(1)과 말뚝용 첨단부재(20)가 억지끼움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경우, 이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에 박은 후 다시 재활용을 위하여 뽑고자 할 때 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뽑기 위해서 말뚝(1)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데, 이 충격에 의하여 파이프형 말뚝(1)과 말뚝용 첨단부재(2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들이 분리되면, 말뚝용 첨단부재(20)는 지면 속에 남게 되고, 이를 재활용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토양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변형예와 같이 파이프형 말뚝(1)과 말뚝용 첨단부재(20)를 억지끼움이 아닌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시키면, 그러한 충격에 의하여도 분리되지 않으므로 말뚝용 첨단부재(20)가 지면 속에 남지 않게 되어 이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 에는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2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가 제2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은, 결합부의 외면(22a")에 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25)에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외면(1a)의 일부가 도 8 에 도시된 B방향으로 압입됨으로써, 말뚝용 첨단부재(20)와 파이프형 말뚝(1)이 고정된다는 것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20)는 파이프형 말뚝(1)에 영구적으로 고정시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 경우, 상기 말뚝용 첨단부재(20)는 파이프형 말뚝(1)과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에 박힌 후에 그 용도가 다하면 파이프형 말뚝(1)과 함께 뽑혀져서 재활용된다.
그 밖에 본 변형예에 관하여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전술된 제2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도 9 에는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하에서는 제3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3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30)는 결합부(32)의 내면(32b)과 말뚝(1)의 하단부 외면(1a') 간의 접촉에 의하여 말뚝(1)과 결합된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상이한데, 이 결합부(32)는 말뚝(1) 하단부의 외면(1a')과 실질적으로 일치되는 내면(32b)을 갖는다.
제3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30)도 말뚝을 지면에 박을 때 지면과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경사부(31)와, 상기 경사부를 말뚝에 결합시키는 결합부(32)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부(31)는 최하단부에 위치한 뾰족한 형태의 첨단부(31a)와, 첨단부(31a)로부터 확장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중단된 제1상단부(31b)를 구비한다. 도 9 에는 경사부(31)가 중실(中實)의 원뿔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경사부(31)의 중심에 위치한 중심부(33)가 비어있을 수도 있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사부(31)는 V자형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종단면 및 밀폐된 형상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횡단면을 갖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의 의미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경사부(31)는 파이프형 말뚝(1)을 지면에 박을 때, 파이프형 말뚝의 내부로 토양 등이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그 형상이 수직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충격으로도 파이프형 말뚝(1)을 지면에 박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32)는 파이프형 말뚝(1) 하단부의 외면(1a')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경사부의 중심선(C)과 평행하게 상향으로 연장된 내면(32b)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내면(32b)과 파이프형 말뚝의 외면(1a')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결합부(32)와 파이프형 말뚝(1)이 억지끼움된다.
상기 제1상단부(31b)의 외측선(외측 경계선)은 파이프형 말뚝의 외측선(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1a')가 아닌 부분(1a)의 외측선(외측 경계선))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말뚝(1)과 결합부(32)가 결합되는 부분에 단차가 생김으로 인하여 마찰을 증대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30)는 주조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10)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금속판의 굽힘과 절곡이 필요없게 되므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상대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30)의 경우에는, 그 결합부(32)가 경사부(31)의 제1상단부(31b)로부터 직접 상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되었던 인입부(12a)는 필요없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32)는 상향외측으로 경사진 제2상단부(32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말뚝(1)과 말뚝용 첨단부재(30)를 결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3실시예도 전술된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 및 제2변형예와 같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제1변형예는 결합부(32)의 내면(32b)에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외면(1a')에 형성되는 나사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된 것이다. 이 변형예는 제3실시예를 기본으로 하되, 제2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 간의 차이만을 제3실시예에 반영하면 도출될 수 있으므로, 따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3실시예의 제2변형예는, 말뚝(1)의 하단부 외면(1a')에 홈을 형성하고, 결합부(32)를 하단부 외면(1a')에 끼운상태에서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압입함으로써 말뚝(1)과 말뚝용 첨단부재(30)를 결합시킨 것이다. 이 변형예는 제3실시예를 기본으로 하되, 제2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 간의 차이만을 제3실시예에 반영하면 도출될 수 있으므로, 따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3실시예 및 그에 따른 변형예들은 파이프형 말뚝(1)에 뿐만 아니라, 중실(中實)형 말뚝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여, 말뚝을 박기 위하여 가하는 충격이 감소되고, 그로 인하여 말뚝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미관도 향상되는 말뚝용 첨단부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지면에 박히는 파이프형 말뚝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가 완성되기 전의 펼쳐진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 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 은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 은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 은 도7의 파이프형 말뚝과 말뚝용 첨단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9 는 제3실시예에 따른 말뚝용 첨단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파이프형 말뚝 10, 20, 30: 말뚝용 첨단부재
11, 21, 31: 경사부 11a, 21a, 31a: 첨단부
11b, 21b, 31b: 제1상단부 12, 22, 32: 결합부
12b, 22b, 32c: 제2상단부

Claims (9)

  1. 첨단부 및 이로부터 확장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중단된 제1상단부를 구비하되, V자형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종단면 및 밀폐된 형상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횡단면을 갖는 경사부; 및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내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경사부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상향으로 연장된 외면을 갖는 결합부;를 구비한 말뚝용 첨단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는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내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용 첨단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용 첨단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단부의 외측선은 파이프형 말뚝의 외측선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용 첨단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향내측으로 경사진 제2상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용 첨단부재.
  6. 첨단부 및 이로부터 확장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중단된 제1상단부를 구비하되, V자형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종단면 및 밀폐된 형상의 외측선을 포함하는 횡단면을 갖는 경사부; 및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외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경사부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상향으로 연장된 내면을 갖는 결합부;를 구비한 말뚝용 첨단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면에는 파이프형 말뚝의 하단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용 첨단부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단부의 외측선은 파이프형 말뚝의 외측선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용 첨단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향외측으로 경사진 제2상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용 첨단부재.
KR20-2005-0008844U 2005-03-31 2005-03-31 말뚝용 첨단부재 KR200388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44U KR200388384Y1 (ko) 2005-03-31 2005-03-31 말뚝용 첨단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44U KR200388384Y1 (ko) 2005-03-31 2005-03-31 말뚝용 첨단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384Y1 true KR200388384Y1 (ko) 2005-06-30

Family

ID=4368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844U KR200388384Y1 (ko) 2005-03-31 2005-03-31 말뚝용 첨단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38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01B1 (ko) * 2010-08-09 2013-02-12 (주)부광엔지니어링 도로 구조물 고정용 앵커
KR101824926B1 (ko) * 2017-05-18 2018-02-02 김사문 콘크리트 흙막이 벽체 조성용 인케이싱 구조
KR20200107521A (ko) * 2019-03-08 2020-09-16 강병관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KR102262175B1 (ko) * 2020-08-07 2021-06-09 김성걸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01B1 (ko) * 2010-08-09 2013-02-12 (주)부광엔지니어링 도로 구조물 고정용 앵커
KR101824926B1 (ko) * 2017-05-18 2018-02-02 김사문 콘크리트 흙막이 벽체 조성용 인케이싱 구조
WO2018212449A1 (ko) * 2017-05-18 2018-11-22 김사문 콘크리트 흙막이 벽체 조성용 인케이싱 구조
KR20200107521A (ko) * 2019-03-08 2020-09-16 강병관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KR102295198B1 (ko) * 2019-03-08 2021-08-31 (주)더브릿지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KR102262175B1 (ko) * 2020-08-07 2021-06-09 김성걸 도로 시설물의 지주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8384Y1 (ko) 말뚝용 첨단부재
CN107771110B (zh) 用于产生摩擦焊连接的连接元件
CN101566185A (zh) 卡子
CA2093851A1 (en) Concrete anchor
WO2009050942A1 (ja) 板材に対するインサートの固着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
US2874603A (en) Nail with frangible extension
WO2005017369A3 (en) Locator stud and method of assembly
US20060269382A1 (en) Nail having flexible sleeve mounted thereto
KR20190117073A (ko) 체크밸브 이탈방지형 그라우팅 강관 제작방법 및 그라우팅 강관,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AU2013200754C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actile ground surface indicators
CN208460317U (zh) 园林用告示牌
CN107091382A (zh) 带有内接头的自锁定硬质管接驳件
KR200388382Y1 (ko)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KR20170127321A (ko) 목재용 나사못
CN212386942U (zh) 一种瓶盖结构
CN105672171A (zh) 一种道路交通护栏及其施工方法
JP4163772B2 (ja) 合成樹脂成形品のスペーサー取付方法およびその構造
JP2005105756A (ja) スパイラルアンカー杭とその施工法
JP2004238848A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拡張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2008303696A (ja) ガードパイプユニット
JP2007154456A (ja) 鋼管杭施工時の杭頭補強構造および鋼管杭の施工方法
CN216731537U (zh) 模架导套装配工具
JP3196205U (ja) アンカー杭
KR100889505B1 (ko) 수목보호판 고정을 위한 고정관 구조
CN210373436U (zh) 一种大功率介槽火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