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382Y1 -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 Google Patents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382Y1
KR200388382Y1 KR20-2005-0008841U KR20050008841U KR200388382Y1 KR 200388382 Y1 KR200388382 Y1 KR 200388382Y1 KR 20050008841 U KR20050008841 U KR 20050008841U KR 200388382 Y1 KR200388382 Y1 KR 200388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protection member
pipe
upper portion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멜
Priority to KR20-2005-0008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말뚝의 상단부가 타격될 때 말뚝의 상단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이를 보호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말뚝의 재활용을 반영구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말뚝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상부; 및 상기 상부의 둘레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말뚝의 상단부 측면을 감쌀 수 있는 측부;를 구비한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Member for protecting the upper end of a pile}
본 고안은 말뚝 상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 건축 등의 공사에 있어서는 다양한 이유로 다양한 종류의 말뚝을 지면에 박을 필요가 있다. 그러한 말뚝들을 크게 나누면 중앙부가 차있는 중실(中實)형 말뚝과 전체적으로 파이프(pipe)와 같은 형상을 갖는 파이프형 말뚝이 있다.
도 1 에는 말뚝 상단부(1a)가 보호되지 않은 상태에서 타격되어 지면에 박힌 중실형 말뚝(1)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말뚝 상단부(1a)가 예를 들어 망치와 같은 타격수단에 의하여 맞아서 넓게 퍼지게 된다.
이와 같이 말뚝 상단부(1a)가 퍼지게 되면 원래의 형상이 변형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사가 완료된 후 말뚝(1)을 뽑아서 재활용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재활용이 가능한 횟수가 크게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말뚝(1)의 재활용이 제한되면, 다시 말뚝을 생산 또는 구매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의 문제가 대두될 뿐만 아니라, 자원의 낭비라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도 2 에는 말뚝 상단부(2a)가 보호되지 않은 상태에서 타격되어 지면에 박힌 파이프형 말뚝(2)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말뚝 상단부(2a)가 타격수단에 의하여 맞아서 넓게 퍼지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다. 이 경우에도 도 1 에 도시된 중실형 말뚝(1)의 문제와 같은 문제가 있는데, 파이프형 말뚝(2)은 중앙이 비어 있으므로 타격을 받을 때 변형이 더 용이하다는 점에서 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말뚝의 상단부가 타격될 때 말뚝의 상단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이를 보호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말뚝의 재활용을 반영구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박힌 말뚝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말뚝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상부; 및 상기 상부의 둘레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말뚝의 상단부 측면을 감쌀 수 있는 측부;를 구비한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는, 상기 측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측부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연장부들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상기 연장부들 각각의 하단부는 외향으로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의 상면은 볼록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상부; 상기 상부의 둘레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 측면을 감쌀 수 있는 측부; 및 상기 상부의 하면 중 측부의 내면으로부터 파이프형 말뚝의 두께 만큼 이격된 돌출부;를 구비한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는, 상기 측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측부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연장부들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상기 연장부들 각각의 하단부는 외향으로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의 상면은 볼록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상부; 및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질 수 있는 내측지지부;를 구비한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내측지지부의 외면에는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되거나,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는 상기 상부의 둘레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 측면을 감쌀 수 있는 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측부의 내면으로부터 파이프형 말뚝의 두께 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는, 상기 측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측부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연장부들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상기 연장부들 각각의 하단부는 외향으로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의 상면은 볼록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를 상세히 설명한다.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는 말뚝(1)의 상단부(1a)를 덮을 수 있는 상부(11)와, 상기 상부(11)의 둘레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말뚝 상단부(1a)의 측면(1a')을 감쌀 수 있는 측부(12)를 구비한다.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는 강한 타격에도 파손되지 않아야 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전성과 연성이 적은 재료, 예를 들면 합금으로 형성되며, 그 두께도 말뚝의 크기와 상기 재료의 특성 등에 따라서 수 밀리미터 내지 수십 밀리미터로 정해진다.
도 3 에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가 XY평면방향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단면의 형상은 말뚝(1)의 형상에 따라서 정해지는 것으로서 반드시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사각형일 수 있다.
타격에 의한 충격이 중실형 말뚝(1)에 고르게 퍼지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11)에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임의의 필요에 의해 상부(11)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11)의 상면(11b)과 하면(11a)은 편평하다.
중실형 말뚝(1)의 상단부(1a)에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를 덮은 상태에서 상부(11)의 상면(11b)을 타격하면, 그 충격이 하면(11a)을 통해 중실형 말뚝(1)의 상단부(1a)에 전해지고, 그 전해진 충격에 의하여 중실형 말뚝(1)이 지면에 박히게 된다.
이 때, 상기 중실형 말뚝의 상단부(1a)에 전해지는 충격은 수직하방(Z방향)으로뿐만 아니라 그에 직교하는 평면(XY평면)에서 방사상 외향으로도 퍼지게 되는데, 그 방사상으로 퍼진 충격에 의하여 말뚝 상단부(1a)의 측면(1a')을 퍼지게 하는 힘은 측부(12)의 내면(12a)에 의하여 저지되고,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와 같이 중실형 말뚝의 상단부(1a)가 넓게 퍼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중실형 말뚝의 상단부(1a)가 넓게 퍼지지 않게 됨에 따라서, 중실형 말뚝을 반영구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고, 박힌 말뚝의 미관도 향상될 뿐만 아니라, 말뚝 상단부(1a)의 치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박힌 말뚝의 상단부(1a)에 다른 기구(예를 들면, 다른 기둥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 클램프 등이 있다)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연장부(13)는 상기 측부(12)로부터 하향(Z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부(12)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것은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로 중실형 말뚝의 상단부(1a)를 덮고 타격함으로써 말뚝을 원하는 깊이까지 박은 후에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를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즉 말뚝 상단부(1a)와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는 타격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서로 밀착되도록 미세하게 변형되는데, 이 미세한 변형에 의하여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가 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13) 들 사이에 손가락을 넣고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를 회전시키면서 위로 당기면 그들간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연장부(13)가 없더라도 충분히 강한 힘으로 말뚝 상단부(1a)와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이격시키고자 하면 이들이 서로에 대해 분리되므로, 연장부(13)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연장부들 각각의 하단부(13b)는 외향으로 다소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타격을 위해서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를 말뚝 상단부(1a)에 올려 놓을 때 이들의 중심을 맞추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가 중실형 말뚝(1)에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는 경우에 따라서 파이프형 말뚝(2)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는 단조(forging)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 에는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는, 그 상부(11)의 하면(11a)은 제1실시예와 같이 편평하지만, 그 상면(11b')이 상방향(Z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말뚝을 지면에 박기 위하여 가하는 타격에 의한 충격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의 주변부 중 일 지점(예를 들어 모서리)에 집중되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가 파손되거나 말뚝(1)이 기울어지게 박히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본 변형예와 같이 상부(11)의 상면(11b')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면 타격 지점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의 중앙부에 있게 되므로, 타격에 의한 충격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고르게 퍼지게 되고, 따라서 그러한 문제가 방지된다.
다만,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와 같이 상부의 상면(11b)이 편평한 경우에도,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의 중앙부 또는 중앙부와 주변부 전체를 정확히 타격할 수 있다면, 본 변형예와 같이 상부(11)의 상면(11b')을 볼록하게 형성할 필요가 적다.
그 밖의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도 6 에는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는, 그 상부(11)의 상면(11b')뿐만 아니라, 하면(11a')도 상방향(Z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다. 따라서 상부(11)는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와 달리 전 영역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본 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의 상부(11)가 말뚝(1)을 지면에 박기 위하여 가하는 충격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을 만큼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면, 상부(11)의 하면을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와 같이 편평하게 할 필요가 없게 되는데, 이 경우에 본 변형예와 같이 상부의 하면(11a')을 상면(11b')과 평행하게 형성하면, 상부(11)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밖의 사항은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는 파이프형 말뚝(2)에 사용되기에 적합화된 것으로서, 파이프형 말뚝(2)의 상단부(2a)를 덮을 수 있는 상부(21)와, 상기 상부(21)의 둘레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말뚝 상단부(2a)의 측면(2a')을 감쌀 수 있는 측부(22)를 구비하는 것은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와 유사하나, 상기 상부(21)의 하면(21a) 중 측부(22)의 내면(22a)으로부터 파이프형 말뚝(2)의 두께(T) 만큼 이격된 곳에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위에서 돌출부(24)가 측부(22)의 내면(22a)으로부터 파이프형 말뚝(2)의 두께(T) 만큼 이격된 곳에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돌출부(24)의 최외측 지점과 측부(22)의 내면(22a) 간의 거리가 파이프형 말뚝(2)의 두께(T)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21)의 상면(21b)과 하면(21a)은 편평하다.
파이프형 말뚝(2)의 상단부(2a)에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를 덮은 상태에서 상부(21)의 상면(21b)을 타격하면, 그 충격이 하면(21a)을 통해 파이프형 말뚝(2)의 상단부(2a)에 전해지고, 그 전해진 충격에 의하여 파이프형 말뚝(2)이 지면에 박히게 된다.
이 때, 상기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2a)에 전해지는 충격은 수직하방(Z방향)으로뿐만 아니라 그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방사상 외향 및 내향으로도 퍼지게 되는데, 그 방사상으로 퍼진 충격에 의하여 말뚝 상단부(2a)의 측면(2a')을 외향 또는 내향으로 변형시키려고 하는 힘은 측부(22)의 내면(22a)과 돌출부(24)에 의하여 저지되고, 따라서 도 2 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와 같이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2a)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이로서, 파이프형 말뚝(2)에 대해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를 사용할 경우에 말뚝 상단부(2a)가 파이프의 내측으로 밀릴 수 있다는 문제가 해결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2a)가 변형되지 않게 됨에 따라서, 파이프형 말뚝을 반영구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고, 박힌 말뚝의 미관도 향상될 뿐만 아니라, 말뚝 상단부(2a)의 치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박힌 말뚝의 상단부(2a)에 다른 기구(예를 들면, 다른 기둥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 클램프 등이 있다)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7 에 도시된 연장부(23)는 상기 측부(22)로부터 하향(Z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부(22)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것은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로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2a)를 덮고 타격함으로써 말뚝(2)을 원하는 깊이까지 박은 후에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를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즉 말뚝 상단부(2a)와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는 타격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서로 밀착되도록 미세하게 변형되는데, 이 미세한 변형에 의하여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가 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23) 들 사이에 손가락을 넣고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를 회전시키면서 위로 당기면 그들간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연장부(23)가 없더라도 충분히 강한 힘으로 말뚝 상단부(2a)와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이격시키고자 하면 이들이 서로에 대해 분리되므로, 연장부(23)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연장부들 각각의 하단부(23b)는 외향으로 다소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타격을 위해서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를 말뚝 상단부(2a)에 올려 놓을 때 이들의 중심을 맞추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는 단조(forging)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관하여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도 8 에는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는, 그 상부(21)의 하면(21a)은 제1실시예와 같이 편평하지만, 그 상면(21b')이 상방향(Z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상이하다.
말뚝(2)을 지면에 박기 위하여 가하는 타격에 의한 충격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의 주변부 중 일 지점(예를 들어 모서리)에 집중되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가 파손되거나 말뚝(2)이 기울어지게 박히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본 변형예와 같이 상부(21)의 상면(21b')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면 타격 지점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의 중앙부에 있게 되므로, 타격에 의한 충격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고르게 퍼지게 되고, 따라서 그러한 문제가 방지된다.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와 같이 상부의 상면(21b)이 편평한 경우에도,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의 중앙부 또는 중앙부와 주변부 전체를 정확히 타격할 수 있다면, 본 변형예와 같이 상부(21)의 상면(21b')을 볼록하게 형성할 필요가 적다.
그 밖의 사항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도 9 에는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는, 그 상부(21)의 상면(21b')뿐만 아니라, 하면(21a')도 상방향(Z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다. 따라서 상부(21)는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와 달리 전 영역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파이프형 말뚝(2)을 지면에 박기 위하여 가하는 충격은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의 주변부를 통하여만 파이프형 말뚝(2)에 전달되므로,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의 상부(21)가 파이프형 말뚝(2)을 지면에 박기 위하여 가하는 충격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을 만큼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면, 상부(21)의 하면을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와 같이 편평하게 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 본 변형예와 같이 상부의 하면(21a')을 상면(21b')과 평행하게 형성하면, 상부(21)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밖의 사항은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는 파이프형 말뚝(2)에 사용되기에 적합화된 것으로서, 파이프형 말뚝(2)의 상단부(2a)를 덮을 수 있는 상부(31)와, 상기 상부(31)의 둘레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말뚝 상단부(2a)의 측면(2a')을 감쌀 수 있는 측부(32)를 구비하는 것은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와 유사하나, 상기 상부(31)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되 측부의 내면(32a)으로부터 파이프형 말뚝의 두께(T) 만큼 이격된 내측지지부(34)를 구비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위에서 내측지지부(34)가 측부(32)의 내면(32a)으로부터 파이프형 말뚝(2)의 두께(T) 만큼 이격된다는 것은, 내측지지부의 외면(34a)과 측부의 내면(32a) 사이의 거리가 두께(T)와 실질적으로 같다는 의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31)의 상면(31b)은 편평하다.
파이프형 말뚝(2)의 상단부(2a)에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를 덮은 상태에서 상부(31)의 상면(31b)을 타격하면, 그 충격이 파이프형 말뚝(2)의 상단부(2a)에 전해지고, 그 전해진 충격에 의하여 파이프형 말뚝(2)이 지면에 박히게 된다.
이 때, 상기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2a)에 전해지는 충격은 수직하방(Z방향)으로뿐만 아니라 그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방사상 외향 및 내향으로도 퍼지게 되는데, 그 방사상으로 퍼진 충격에 의하여 말뚝 상단부(2a)의 측면(2a')을 외향 또는 내향으로 변형시키려고 하는 힘은 측부(32)의 내면(32a)과 내측지지부의 외면(34a)에 의하여 저지되고, 따라서 도 2 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와 같이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2a)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이로서, 파이프형 말뚝(2)에 대해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10)를 사용할 경우에 말뚝 상단부(2a)가 파이프의 내측으로 밀릴 수 있다는 문제가 해결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2a)가 변형되지 않게 됨에 따라서, 파이프형 말뚝을 반영구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고, 박힌 말뚝의 미관도 향상될 뿐만 아니라, 말뚝 상단부(2a)의 치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박힌 말뚝의 상단부(2a)에 다른 기구(예를 들면, 다른 기둥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 클램프 등이 있다)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10 에 도시된 연장부(33)는 상기 측부(32)로부터 하향(Z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부(32)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것은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로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2a)를 덮고 타격함으로써 말뚝(2)을 원하는 깊이까지 박은 후에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를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즉 말뚝 상단부(2a)와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20)는 타격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서로 밀착되도록 미세하게 변형되는데, 이 미세한 변형에 의하여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가 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33) 들 사이에 손가락을 넣고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를 회전시키면서 위로 당기면 그들간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연장부(33)가 없더라도 충분히 강한 힘으로 말뚝 상단부(2a)와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이격시키고자 하면 이들이 서로에 대해 분리되므로, 연장부(33)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연장부들 각각의 하단부(33b)는 외향으로 다소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타격을 위해서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를 말뚝 상단부(2a)에 올려 놓을 때 이들의 중심을 맞추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는 단조(forging)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관하여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와 같이 상기 상부의 상면(31b)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타격 지점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의 중앙부에 있게 되므로, 타격에 의한 충격이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고르게 퍼지게 되어, 상부(31)의 모서리 또는 말뚝의 상단부(2a)가 부정확한 타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말뚝이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박히는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가 측부(32)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측부(32)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내측지지부(34)가 파이프형 말뚝(2)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파이프형 말뚝의 두께(T)가 특별히 얇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내측지지부(34)만에 의해서도 타격에 의한 파이프형 말뚝(2)의 상단부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내측지지부(34)가 제2실시예의 돌출부(24)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파이프형 말뚝(2)의 상단부 내측에 깊게 끼워지고 또한 밀착되기 때문이다.
도 11 에는 제3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가 제3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은, 내측지지부의 외면(34a')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는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변형예는 일 단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이미 특정의 용도로 사용된 파이프를 말뚝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미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형 말뚝(2)은 그 나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파낸 부분이 강도면에서 취약하므로, 그 부분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그 부분을 보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술된 제3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덮고 이를 타격하면, 파이프형 말뚝 중 나사가 형성된 부분이 찌그러지는 등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를 위와 같은 파이프의 단부에 끼우면, 나사에 의하여 패인 파이프 내측의 공간이 채워지므로, 그러한 문제가 해결된다.
다만, 본 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가 반드시 그러한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를 파이프형 말뚝(2)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 말뚝을 여러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외면(34a')에 나사가 형성된 내측지지부는 상부(31)와는 별도로 단조 등에 의하여 제작된 후에 상부(31)의 하측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 밖에 본 변형예에 관하여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전술된 제3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도 12 에는 제3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가 제3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은, 내측지지부의 외면에 홈(3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에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 측면(2a')의 일부가 B방향으로 압입됨으로써,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와 파이프형 말뚝(2)이 고정된다는 것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는 파이프형 말뚝(2)에 영구적으로 고정시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 경우, 상기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30)는 파이프형 말뚝(2)과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에 박힌 후에 그 용도가 다하면 파이프형 말뚝(2)과 함께 뽑혀져서 다시 재활용된다.
그 밖에 본 변형예에 관하여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전술된 제3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의 제1변형예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여, 말뚝의 상단부가 타격될 때 말뚝의 상단부가 변형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말뚝의 재활용이 반영구적으로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비용이 절감되며 자원의 낭비가 방지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여 박힌 말뚝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말뚝 상단부가 보호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드려져 지면에 박힌 중실형 말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말뚝 상단부가 보호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드려져 지면에 박힌 파이프형 말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 는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 은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 은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 는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0 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 은 제3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2 는 제3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중실형 말뚝 2: 파이프형 말뚝
10, 20, 30: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11, 21, 31: 상부
12, 22, 32: 측부 13, 23, 33: 연장부
24: 돌출부 34: 내측지지부

Claims (15)

  1. 말뚝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상부; 및
    상기 상부의 둘레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말뚝의 상단부 측면을 감쌀 수 있는 측부;를 구비한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측부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연장부들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들 각각의 하단부는 외향으로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상면은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5.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상부;
    상기 상부의 둘레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 측면을 감쌀 수 있는 측부; 및
    상기 상부의 하면 중 측부의 내면으로부터 파이프형 말뚝의 두께 만큼 이격된 돌출부;를 구비한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측부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연장부들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들 각각의 하단부는 외향으로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상면은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9.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상부; 및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질 수 있는 내측지지부;를 구비한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부의 외면에는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부의 외면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둘레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파이프형 말뚝의 상단부 측면을 감쌀 수 있는 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측부의 내면으로부터 파이프형 말뚝의 두께 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측부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연장부들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들 각각의 하단부는 외향으로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15.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상면은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KR20-2005-0008841U 2005-03-31 2005-03-31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KR200388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41U KR200388382Y1 (ko) 2005-03-31 2005-03-31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41U KR200388382Y1 (ko) 2005-03-31 2005-03-31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382Y1 true KR200388382Y1 (ko) 2005-06-30

Family

ID=4368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841U KR200388382Y1 (ko) 2005-03-31 2005-03-31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3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561B1 (ko) * 2010-03-30 2012-03-22 파일테크 주식회사 착탈식 파일 안전캡이 구비된 두부 보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561B1 (ko) * 2010-03-30 2012-03-22 파일테크 주식회사 착탈식 파일 안전캡이 구비된 두부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19411A (ja) 樹脂製バリケードパイプの端部補強部材
KR200388382Y1 (ko) 말뚝 상단부 보호부재
JP2009024350A (ja) 鋼管杭の杭頭構造及び杭頭材
KR101145429B1 (ko) 앵커볼트
KR20100124166A (ko) 항타 강관 파일용 슈우
JP3157331U (ja) 支柱用カバー
KR101624897B1 (ko) 기초파일
KR101814913B1 (ko) 자루를 포함하는 진동방지용 해머본체
TWI777136B (zh) 用於破碎堅硬物件的鎚頭
CN212388533U (zh) 一种高稳定性钢管桩
KR20100071265A (ko) 강관 파일의 선단부 보강 부재
KR20100010873U (ko) 헤머와 자루의 조립구조
KR200398429Y1 (ko) 강관파일
JP6511339B2 (ja) 杭の先端シュー及び杭構造
KR200247038Y1 (ko) 강관파일 상단부 보호용 캡
FI85901C (fi) Bergsko
CN218291920U (zh) 一种混凝土预制桩
JP3134479U (ja) 緩衝材付ハンマー
KR200327590Y1 (ko) 햄머
KR101551130B1 (ko) 복합말뚝의 연결부
KR102126075B1 (ko) 풀림 및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앙카볼트용 보호캡
JP6594050B2 (ja) 免震装置の取り付け構造
KR200417309Y1 (ko) 브라켓 삽입용 지그
KR20180113268A (ko) 강관매입말뚝의 선단보강장치
KR200232595Y1 (ko) 강관말뚝 선단부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